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23:10:01

수리부엉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랑스 만화에 대한 내용은 수리부엉이(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수부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독일 공군의 쌍발 중전투기에 대한 내용은 He 219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7. 울진 후정리 향나무
  8.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9.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0.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2.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3.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4.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5.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6.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7.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8.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9. 홍도 천연보호구역
  20.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2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22.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23.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24.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I급 ]⠀
<colbgcolor=#fff,#1f2023> 포유류 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조류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흰배딱따구리†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파충류 비바리뱀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어류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곤충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식물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colbgcolor=#fff,#1f2023><width=15%> 포유류 || 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조류 개리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물떼새 · 검은머리촉새 · 검은목두루미 · 고대갈매기 · 긴꼬리딱새 · 긴점박이올빼미 · 까막딱따구리 · 노랑부리저어새 · 독수리 · 따오기 · 뜸부기 · 무당새 · 물수리 · · 벌매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배새매 · 붉은어깨도요 · 붉은해오라기 · 뿔쇠오리 · 뿔종다리 · 새매 · 새호리기 · 섬개개비 · 솔개 · 쇠검은머리쑥새 · 쇠제비갈매기 · 수리부엉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알락개구리매 · 알락꼬리마도요 · 양비둘기 · 회갈색올빼미 · 재두루미 · 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청호반새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뒷부리도요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
양서류 고리도롱뇽 · 금개구리 · 맹꽁이
파충류 구렁이 · 남생이 · 표범장지뱀
어류 가는돌고기 · 가시고기 · 꺽저기 · 꾸구리 · 다묵장어 · 돌상어 · 둑중개 · 묵납자루 · 버들가지 · 부안종개 · 어름치 · 연준모치 · 열목어 · 새미 · 칠성장어 · 큰줄납자루 · 한강납줄개 · 한둑중개
곤충 깊은산부전나비 · 꼬마잠자리 · 노란잔산잠자리 · 대모잠자리 · 두점박이사슴벌레 · 뚱보주름메뚜기 · 멋조롱박딱정벌레 · 물방개 · 물장군 · 불나방 · 쇠똥구리 · 쌍꼬리부전나비 · 애기뿔쇠똥구리 · 여름어리표범나비 · 왕은점표범나비 · 은줄팔랑나비 · 윤조롱박딱정벌레 · 참호박뒤영벌 · 창언조롱박딱정벌레 · 큰자색호랑꽃무지 · 홍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갯게 · 거제외줄달팽이 · 검붉은수지맨드라미 · 금빛나팔돌산호 · 기수갈고둥 · 깃산호 · 대추귀고둥 · 둔한진총산호 · 망상맵시산호 · 물거미 · 밤수지맨드라미 · 별혹산호 · 붉은발말똥게 · 선침거미불가사리 · 연수지맨드라미 · 염주알다슬기 · 울릉도달팽이 · 유착나무돌산호 · , 의염통성게 · 자색수지맨드라미 · 잔가지나무돌산호 · 착생깃산호 · 참달팽이 · 측맵시산호 · 칼세오리옆새우 · 해송 · 흰발농게 · 흰수지맨드라미
식물 가는동자꽃 · 가시연꽃 · 가시오갈피 · 각시수련 · 개가시나무 · 갯봄맞이꽃 · 검은별고사리 · 구름병아리난초 · 기생꽃 · 끈끈이귀개 · 나도범의귀 · 나도승마 · 나도여로 · 날개하늘나리 · 넓은잎제비꽃 · 노랑만병초 · 노랑붓꽃 · 눈썹고사리 · 단양쑥부쟁이 · 닻꽃 · 대성쓴풀 · 대청부채 · 대흥란 · 독미나리 · 두잎약난초 · 매화마름 · 무주나무 · 물고사리 · 물석송 · 방울난초 · 백부자 · 백양더부살이 · 백운란 · 복주머니란 · 분홍장구채 · 산붓꽃나무 · 산작약 · 삼백초 · 새깃아재비 · 서울개발나물 · 석곡 · 선모시대 · 선제비꽃 · 섬개야광나무 · 섬개현삼 · 섬시호 · 섬현삼 · 세뿔투구꽃 · 손바닥난초 · 솔잎란 · 순채 · 신안새우난초 · 애기송이풀 · 연잎꿩의다리 · 왕제비꽃 · 으름난초 · 자주땅귀개 · 장백제비꽃 · 전주물꼬리풀 · 정향풀 · 제비동자꽃 · 제비붓꽃 · 조름나물 · 죽절초 · 지네발란 · 진노랑상사화 · 차걸이란 · , 참물부추 · 초령목 · 칠보치마 · 콩짜개란 · 큰바늘꽃 · 파초일엽 · 피뿌리풀 · 한라송이풀 · 한라옥잠난초 · 한라장구채 · 해오라비난초 · 흑난초 · 홍월귤
해조류 그물공말 · 삼나무말
고등균류 화경버섯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colcolor=#000> 수리부엉이(수알치새, 모치새, 뿔올빼미, 귀곡새)
鵂 | Eurasian eagle-owl
파일:수리부엉이_DSC_0048.jpg
학명 Bubo bubo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올빼미목(Strigiformes)
올빼미과(Strigidae)
아과 올빼미아과(Striginae)
수리부엉이속(Bubo)
수리부엉이(B. bubo)
아종
  • 유럽수리부엉이(B. b. bubo)
  • 북중국수리부엉이(B. b. kiautschensis)
  • 서부시베리아수리부엉이(B. b. sibiricus)
  • 스페인수리부엉이(B. b. hispanus)
  • 동부수리부엉이(B. b. ruthenus)
  • 아하로니수리부엉이(B. b. interpositus)
  • 동부시베리아수리부엉이(B. b. yenisseensis)
  • 야쿠티아수리부엉이(B. b. jakutensis)
  • 우수리수리부엉이(B. b. ussuriensis)
  • 대초원수리부엉이(B. b. turcomanus)
  • 투르크메니스탄수리부엉이(B. b. omissus)
  • 아프가니스탄수리부엉이(B. b. nikolskii)
  • 히말라야수리부엉이(B. b. hemachalana)
  • 남중국수리부엉이(B. b. swinhoei)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colcolor=#fff> 천연기념물 제324호
올빼미[1] 제324-1호
수리부엉이 제324-2호
솔부엉이 제324-3호
쇠부엉이 제324-4호
칡부엉이 제324-5호
소쩍새 제324-6호
큰소쩍새 제324-7호

[1] 한국에 서식하는 건 회갈색올빼미인데, 천연기념물 목록에는 황갈색올빼미로 잘못 올라와 있다.
파일:수리부엉이.jpg

1. 개요2. 언어별 명칭3. 특징4. 생태
4.1. 먹이4.2. 경쟁자
5. 잡종 교배6. 피해7. 여담8. 미디어에서의 모습

[clearfix]

1. 개요

파일:IMG_37165.jpg

수리부엉이속의 대형 맹금류

전세계적으론 개체수가 많지만,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텃새[1]로 2급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천연기념물이다.[2] 주로 사람의 접근성이 낮은 깊은 숲 속이나 나무가 우거진 산림, 바위산이나 절벽 같은 곳에서 둥지를 튼다.[3]

강원도 산간 지방 외딴 곳에 있다면 운 좋을 때 소리를 듣거나 어두워서 쉽게 식별은 어렵지만 목격할 수도 있다. 그래서 주로 강원도 산골에 있는 군대에서 목격된다는 이야기가 많다.

2.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colbgcolor=#DCDCDC> 한국어 수리부엉이, 수알치새, 뿔올빼미, 귀곡새
일본어 ワシミミズク(鷲鵂)
한문 (휴) / 鴟鵂(치휴), 夜猫(야묘), 夜猫子(야묘자), 猫兒(묘아), 猫兒頭(묘아두), 猫頭(묘두), 猫頭鷹(묘두응), 穀轆鷹(곡록응), 怪鴟(괴치), 茅鴟(모치)
중국어 鵰鴞 / 雕鸮, 鷲兔 / 鹫兔, 怪鴟 / 怪鸱, 角鴟 / 角鸱, 恨狐, 老兔
영어 Eurasian eagle owl, Eagle owl
웨일스어 eryrdylluan Ewrop[4]
독일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Uhu[5]
네덜란드어 oehoe
스웨덴어 berguv
노르웨이어 hubro
덴마크어 stor hornugle
핀란드어 huuhkaja
프랑스어 hibou grand-duc,[6] grand-duc d'Europe
이탈리아어, 라틴어, 스페인어 bubo, Bubo bubo
포르투갈어 bufo-real
루마니아어 buf-real
폴란드어 puchacz zwyczajny
러시아어 филин, обыкновенный филин
우크라이나어 пугач звичайний
그리스어 μπούφος, ευρασιατικός μπούφος
고전 그리스어 βύας
튀르키예어 puhu, bayağı puhu
아랍어 بوم أوراسي
페르시아어 شاه‌بوف
태국어 นกอินทรีนกฮูก
히브리어 אוח מצוי
베트남어 cú đại bàng á âu
몽골어 эгэл шар шувуу
에스페란토 gufo

3. 특징

파일:수리부엉이2.jpg
몸길이 60~75cm, 익장 131~188cm. 초대형 개체는 익장이 무려 2m나 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이 정도면 모든 올빼미/부엉이 종을 통틀어 사실상 최대종이다.[7] 깃털 색은 회색에서 갈색, 고동색까지 있다.

암컷이 수컷보다 거대하며 체중은 암컷이 1.75 ~ 4.6kg, 수컷이 1.2 ~ 3.2kg으로 겉보기에 비해 매우 가볍다.[8] 시베리아 만주지방같이 추운 곳에서 사는 수리부엉이 종에서는 최대 7kg까지 나온 초대형도 있다.
파일:수리부엉이 새끼.jpg
(출처: Battlefield Falconry Centre) 새끼 수리부엉이. 부엉이나 올빼미 계통(Strix 계열)에 속하는 녀석들은 새끼 때 엄청나게 푹신푹신한 털뭉치의 형상이다. 그만큼 귀엽다.

파일:수리부엉이3.jpg
(출처: The Colonial)
머리 꼭대기는 갈색을 띤 검은색. 각 깃털은 연한 미색 또는 엷은 녹슨 색의 가장자리와 검은 갈색의 파도 모양 얼룩무늬 또는 벌레 먹은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턱밑과 윗멱은 흰색이고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세로 얼룩무늬가 있는 한줄의 깃털로 경계되어 있다. 아랫멱과 목옆 깃털의 중앙에는 너비가 10 ~ 15mm의 검은 갈색인 세로 얼룩무늬가 있으며, 깃 가장자리는 엷은 녹슨 황갈색이다. 윗가슴도 같으나 축반(軸班)은 다소 가늘고 벌레 먹은 모양의 얼룩무늬가 많다. 큰 몸집과 긴 귀깃으로 다른 부엉이와 쉽게 구별된다.

부엉이 종류가 맹금류치고는 귀여운 외형으로 꽤 인기가 많다. 게다가 수리부엉이는 머리에 난 쫑긋한 귀깃 덕분에 더 귀여운 느낌을 보여준다.[9] 그리고 부엉이의 귀여움을 부각하는 또 다른 요소가 있다면, 풍부한 표정을 지을 수 있는 얼굴. 보통 눈이 좌우에 위치해 있는 대부분 조류들과는 달리, 부엉이는 인간의 얼굴처럼 눈이 정면에 있어 더 다양한 표정을 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매력 포인트다.

4. 생태

대한민국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부터 러시아 남부, 중앙아시아, 그리고 유럽 전 지역에서 서식한다.

파일:수리부엉이4.jpg
(측은)(출처: Screech Owl Sanctuary)
수리부엉이와 검독수리는 서로의 활동 시간대만 다를 뿐 각자의 세계에서 야생을 지배한다.
KBS 자연 다큐멘터리 '밤의 제왕 수리부엉이' 중에서
한국의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크며, 보통 바위나 나무 위에 직립 자세로 앉는다.

맹금류답게 아주 튼튼한 다리,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올빼미과 아니랄까봐 야간시력이 미치도록 좋다. 몸에 나있는 깃털은 가장자리에 미세한 솜털이 나 있으며 날개깃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유사한 돌기가 있어 소리를 흡수하는 덕분에 거의 무소음에 가까운 비행이 가능하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가 날아오를 때 '푸드더덕' 하면서 날아가는 것과 비교하면 놀라울 정도로 조용하다. # 그래서 먹잇감은 수리부엉이가 눈앞에 올 때까지 알아챌 수가 없다.

평지에서 고산에 이르기까지 바위벽, 하천을 낀 절벽 등지에 살면서 한 배에 알 두세 개를 낳는다. 야생에서 살아가는 개체는 19~21년 정도를 산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사람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안전한 환경에서 자란 사육개체는 더 오래 살 수 있기도 한다. 어떤 동물원에서는 68년을 넘게 장수했다는 녀석도 있었다. 특이하게 번식기가 늦겨울인데, 일찍 알을 낳아서 먹이가 풍부한 여름에 새끼를 독립시키기 위함이다. 비슷한 예로 황제펭귄이 있다. 수리부엉이는 중간에 한 번 새끼를 데리고 이소하는데, 이때 아직 장시간 활공을 하기엔 덜 자란 새끼는 걸어서 이동한다.[10]

후팅을 할 때 암컷은 우↑~후↓ 하고 높은 울음소리를 내며, 수컷은 부~후↓ 하는 낮은 울음소리를 내는 차이점이 있다.

4.1. 먹이

서식지가 넓고 먹이 적응력이 뛰어나 작은 동물부터 자기보다 큰 중형 동물들에 경쟁자 수준의 다른 맹금류까지 사냥하거나 죽일 수 있다. 먹이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진 종이라 영문 위키피디아에 먹이 항목이 따로 분류되어 있을 정도.

주 먹이는 , 오리, 메추라기, 비둘기 등의 중소형 조류와 토끼, , 다람쥐, 청설모, 두더지, 고슴도치, 박쥐 등의 소형 포유류이다. 경우에 따라 족제비, 밍크, 소나무담비, 붉은여우, 너구리, 고양이, 어리거나 몸집이 작은 등 식육목 포유류도 가리지 않고 잡아먹으며, 러시아에서는 을 잡아먹은 기록도 있다. # 그 외에도 왜가리, 기러기, 백로, 큰뇌조 등 중대형 조류를 사냥하기도 하고, 그 중에서 특히 황조롱이, 솔개, 참매, 말똥가리, 다른 올빼미/ 부엉이등 자기보다 작은 맹금류들을 많이 사냥한다.[11] 가끔 노루 고라니, 멧돼지 등 대형 동물들의 어린 개체들을 사냥하기도 하며 이외에도 도마뱀, 장지뱀, 등의 파충류나 개구리 등의 양서류도 잡아먹는다.

날개짓 소리가 거의 나지 않아 기습 공격을 하기에 적합한데, 나무 위에서 먹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비교적 느린 속도로 먹잇감에게 접근하며 작은 먹이는 충격으로 기절하거나 즉사하게 된다. 비교적 큰 먹이는 발톱으로 숨통을 끊거나 부리로 목을 부러뜨리기도 한다. 고슴도치는 머리를 공격해 죽인 후 가시가 있는 등가죽을 능숙하게 벗겨내 먹기 때문에 고슴도치의 가장 위협적인 천적이다. 설치류나 작은 새는 통째로 삼키며 멧토끼 같은 큰 먹이는 운반하기에 너무 무겁기 때문에 죽인 자리에서 해체하거나 일부를 먹고 둥지로 운반한다. 잡은 먹이를 일부 저장해 놓는 습성이 있다.

4.2. 경쟁자

야행성인 만큼 보통 다른 부엉이 올빼미 종류와 경쟁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수리부엉이는 부엉이/올빼미 종류들 중 큰 편에 속하긴 하지만 수리 종류들에 비하면 작기 때문에 드물게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같이 자기보다 큰 맹금류들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새끼는 다른 맹금류뿐만 아니라 족제비과 동물이나 붉은여우, 멧돼지 등에게도 위협을 받는다.

5. 잡종 교배

파일:슈누후네가족들.jpg
파일:슈누후222.jpg

실제로 독일에서 암컷 수리부엉이와 수컷 흰올빼미를 교배시켜 나온 새끼가 두 마리 있다. 녀석들의 이름은 각각 "스누피(Snoopy)"와 "시나(Sheena)"라고 하고 하며, 독일어에서 수리부엉이의 "Uhu"와 흰올빼미의 "Schnee-Eule"라는 말을 합쳐서 슈누후(Schnuhu)라고 한다.

파일:시베투르크잡종수리붱.jpg
파일:RUPERT-680x1024.jpg

슈누후와 다르게 딱히 잡종이라는 인상이 잘 들지 않는 서부시베리아-투르크메니스탄 잡종. 이 녀석은 영국의 야생동물원인 Screech Owl Santuary에 있으며 이름은 "루퍼트(Rupert)"라고 한다. #

파일:유라시안x시베리안잡종수리.jpg

유럽수리부엉이와 서부시베리아수리부엉이의 잡종. 보통 유럽수리부엉이의 깃털보다 더 옅은 베이지색에 가깝고 서부시베리아수리부엉이처럼 깃털이 매우 북실북실하다. 위 사진의 잡종은 pets4homes에서 분양하고 있던 사육개체.

사실 수리부엉이 잡종 교배는 이곳 저곳에서 알게 모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슈누후를 빼곤 전부 아종간 잡종이라 인지도가 거의 없다.

6. 피해

대한민국 내에선 개체수가 얼마 없기 때문에[12]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한다. 간혹 인간이 기르는 가축을 노리기도 하나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이라는 특성상 사람이 잡아도 수리부엉이에게 어떤 법적 처벌(?)도 기대할 수가 없으며 길고양이를 돌보는 채널을 운영하는 한 유튜버가 새끼 고양이를 노리는 수리부엉이에게 짱돌을 던진 일로 논란이 된 경우처럼 해치려는 시도만 해도 논란이 되기도 한다. 참고로 수리부엉이 외에도 이렇게 천연기념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천연기념물을 지정한 국가에서 보상을 해달라'라는 요구를 행하기도 하나,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아직 없다.

7. 여담

8. 미디어에서의 모습



[1] 서식 아종은 북중국수리부엉이. [2] CITES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급, 천연기념물 지정번호: 제324-2호(1982.11.04), 지나친 개발과 산림 파괴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먹잇감 부족, 수리부엉이가 활동하는 밤에도 고층 빌딩 등의 인공 조명을 켜놓음으로 인한 빛공해 때문에 생기는 사고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3] 아주 드물게 사람이 사는 아파트의 발코니나 옥상에서 둥지를 트는 일도 있다. TV 동물농장에서 옥상에 둥지를 튼 수리부엉이 가족의 이야기를 방영한 적이 있었다. #1 #2 [4] eryrdylluan은 수리부엉이(eryr(수리)+dylluan(올빼미))이며, 뒤에 Ewrop(유럽)을 붙인 것이다. 유라시안 외의 다른 종류를 쓸 경우 eryrdylluan(수리부엉이)+지역/종류명 이런 식. (예시: eryrdylluan Fraser=프레이저 수리부엉이) [5]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이 사용한 He 219 야간전투기, Fw 189 정찰기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 [6] 대공 부엉이. 프랑스어는 부엉이와 올빼미를 구분한다. [7] 그 다음으로 큰 종은 블래키스톤물고기잡이부엉이(60 ~ 72cm), 흰올빼미(52 ~ 71cm). 위아래의 키만 고려했을 경우 올빼미속의 최대종인 큰회색올빼미(61 ~ 84cm)가 가장 크다. [8] 물론 사람 기준이며 부엉이 기준으로는 가장 무겁다. [9] 일본에서 수리부엉이를 ワシミミズク(와시미미즈쿠)라고 하는데, 단어로 나누어보면 와시(수리)+미미(귀)+즈쿠(부엉이)의 합성어. '와시'를 빼고 그냥 '미미즈쿠'라고 하기도 한다. 머리 위 깃털깃은 당연히 귀는 아니고 정식명칭은 '깃털로 된 뿔'이라는 뜻으로 우각(羽角)이라고 부른다. 모든 맹금류들이 그렇듯이 수리부엉이의 진짜 귀는 깃털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을 뿐이지 얼굴 양 옆에 있다. 위에서부터 말똥가리, 백송고리, 쿠퍼스 매, 가면올빼미, 수리부엉이의 귀 모습은 링크 참조 링크 [10] 2016년 5월 TV 동물농장에선 아파트 옥상에 집을 지었다가 새끼가 걸어서 이동하기엔 아파트와 인근 담벽이 너무 높기 때문에 촬영진이 온갖 도움을 줘서 뒷산에 이소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11] 심지어 독일에서는 겨울에 칡부엉이만 잡아먹은 경우도 있었다. [12] 대한민국외 몇 지역에선 꽤 안정적인 개체수가 서식한다. [13] 지금 기준으로도 2천만 원은 큰 돈이지만 당시에는 돈의 가치가 더 컸고 무엇보다 외환 위기 와중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농장 주인이 얼마나 막막했을지 짐작 가능하다. [14] 원래 모래섬이 따로 있었으나 댐 수위 상승 등으로 번식지가 초토화되는 일이 빈번해 설치했다. [15] 투르크메니안 수리부엉이라 이름은 심플하게 "투르(トル)" 이다. [16] 사실 이는 환경보호 차원에서는 잘못된 행위였다. 수리부엉이는 북아메리카에서 외래종이며, 근연종이자 북미 토종인 큰뿔부엉이와 이종교배가 가능하므로 유전적 피해를 감길 수도 있었다. [17] 뉴욕은 길거리에도 쥐가 들끓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쥐를 사냥하거나 시민들이 주는 먹이로 살아가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