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0:09:37

황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좁은 의미의 황새에 대한 내용은 황새(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본 단어가 별명인 대한민국의 축구인에 대한 내용은 황선홍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황새
雚,鸛 | Stork
파일:황새 둥지.jpg
학명 Ciconiidae
Gray, 1840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황새목(Ciconiiformes)
황새과(Ciconiidae)
파일:황새복원센터.jpg
한국교원대학교 황새복원센터에 서식 중인 황새들.

1. 개요2. 생태3. 종류4. 국내 보유 현황5. 한자6. 기타

[clearfix]

1. 개요

황새목 황새과에 속하는 종들을 한데 이르는 이름. 보통 영어로는 Stork으로 불린다. 옛날에는 '큰 새'라는 뜻의 한새로 불렸다.

한국에서의 황새에 관한 사항은 황새(종) 항목 참조.

2. 생태

매구아리황새, 검은머리황새, 숲황새를 제외하면 전부 구대륙에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강가나 습지에 서식하나 종에 따라 초원이나 목초지에서 활동하기도 한다. 주로 물고기 양서류, , 도마뱀, 설치류, 참새 등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으나, 대머리황새속의 황새들은 여기에 사체와 쓰레기도 먹고 열린부리황새들은 연체동물 사냥에 특화되어 있다.

신체적 특성상 발성기관이 퇴화되어 있어 울음소리를 못 낸다. 이 특징 덕분에 피를 마시는 새에서는 기계 새가 "황새의 울음을 듣겠느냐?"라는 질문을 하였다. 대신 부리를 빠르게 부딪혀서 따다다다닥 하는 소리로 의사소통을 한다. 이걸로 대화도 하고, 적을 위협하는데 쓰기도 한다.

번식의 경우 모든 종이 일부일처제 형태이지만 중소형종의 경우 큰 군집을 이루어 번식하며 해마다 짝을 바꾼다. 반면 대형종 황새들과 홍부리황새의 경우 작은 무리를 이루거나 한 쌍이 독립적으로 번식하며 짝을 바꾸지 않고 해마다 같은 장소로 돌아와 번식한다. 알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6개 정도를 낳으며 암수가 교대로 품고 기른다.

황새는 새끼간 경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화가 늦거나 생육이 느려서 몸집이 작고 약한 새끼는 어미가 직접 죽이거나 심지어 잡아먹는다. 심한 경우 가장 크고 건강한 새끼 한 마리만 남겨두고 나머지 새끼를 다 죽이는 경우도 있다. 인간의 시선에는 잔인해 보이지만, 이렇게 약한 새끼는 스스로 생존하기 힘들고, 질병이나 기생충 감염에도 취약해 다른 건강한 새끼들에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국 모두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인 것이다.


하지만 드물게도 약한 새끼를 죽이지 않고 끝까지 키워내는 모성애가 매우 강한 개체도 존재한다. 심지어 약한 새끼만 따로 먹이를 챙겨 주기도 한다. #해당영상

수컷 황새가 이미 암컷과 새끼를 둔 상태에서 새로 짝짓기를 하는 바람에 기존 새끼들이 새암컷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해당영상

천적의 경우, 알이나 새끼는 다양한 육식동물에게 노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성체들은 날카로운 부리와 큰 덩치, 난폭한 성격 때문에 천적이 거의 없다. 다만, 중소형 황새들은 대형 맹금류인 검독수리 흰꼬리수리, 흰점배무늬수리 고양이과 동물[1], 대형 파충류가 천적인데, 그 외에도 검은등자칼에게 아프리카대머리황새가 죽임당한 경우도 있고, 에게 황새 부부가 죽임을 당한 경우도 있었다.

3. 종류

4. 국내 보유 현황


과거에는 서울동물원에서 홍대머리황새, 매구아리황새도 보유했지만 모두 소멸되었다.

5. 한자

황새의 '황'자 자체가 한자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사실 '한'(크다)에서 유래된 말로 중세 한국어 시기까지만 해도 '한새'로 쓰이던 순우리말이다. 음운적으로는 부자연스러운 변화인데 고유어 지명 같은 데서도 꽤 흔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어쩌면 과거의 사람들도 이 발음이 한자어라고 생각해 과도교정을 저질렀을지도 모른다.

6. 기타



[1]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황새 한 마리가 표범의 공격으로부터 겨우 도망친 사례가 있다. [2] 이곳 개체들은 오월드에 있었을 때는 격리되어 있었다. [3] 현재 백사이드에서 관리중이다. [4] 아이니테마파크의 개체 2마리를 구조하여 사육중이다. [5] 이 설화에서 착안하여 통계학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설명하기도 한다. 황새와 신생아 문서 참조. [6] 아이는 양배추밭에서 태어난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를 응용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양배추밭의 아이들. [7] 원제는 "Caliph Stork", 즉 칼리프 황새. 한국에선 황새가 된 임금님이란 동화로 알려져있다. [8] 별명이 황새인데, 황선홍이 어린 시절 가난하여 물배를 채우고 뛰는 모습이 황새 같다 하여 주변에서 붙여준 별명이다. 나름 가슴 아픈 사연이 있는 별명. [9] 아이디가 Stork, 즉 황새다. 다만 다른 별명이 워낙 많아서 정작 황새라는 별명은 잘 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