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006f><tablebgcolor=#31006f>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24-25 시즌 선수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31006f,#ddd |
<colbgcolor=#31006f><colcolor=#fff> 감독 | JJ 레딕 | |
코치 | 밥 바이어 · 스캇 브룩스 · 린지 하딩 · 뷰 르베스큐 · 네이트 맥밀란 · 그렉 세인트 쟝 | ||
가드 | 0 제일런 후드쉬피노 · 1 디안젤로 러셀 · 7 게이브 빈센트 · 9 브로니 제임스 · 12 맥스 크리스티 · 15 오스틴 리브스 · 41 퀸시 올리바리TW | ||
가드-포워드 | 4 달튼 크넥트 · 5 캠 레디시 | ||
포워드 | 2 재러드 밴더빌트 · 20 맥스웰 루이스 · 23 르브론 제임스 · 28 하치무라 루이 · 94 아르멜 트라오레TW | ||
포워드-센터 | 3 앤서니 데이비스 · 11 잭슨 헤이즈 · 35 크리스천 우드 | ||
센터 | 10 크리스천 콜로코TW | ||
* TW : 투웨이 계약 | |||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르브론 제임스 관련 틀
|
||||
{{{#!folding ▼ |
르브론 제임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
2012 | 2013 | 2016 | 2020 |
2023 |
2004 | 2008 | 2012 | 2024 |
200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5-56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밥 페팃 | 밥 쿠지 | 빌 러셀 | 밥 페팃 | 윌트 체임벌린 | |
1960-61 | 1961-62 | 1962-63 | 1963-64 | 1964-65 | |
빌 러셀 | 빌 러셀 | 빌 러셀 | 오스카 로버트슨 | 빌 러셀 | |
1965-66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웨스 언셀드 | 윌리스 리드 | |
1970-71 | 1971-72 | 1972-73 | 1973-74 | 1974-75 | |
루 앨신더 | 카림 압둘자바 | 데이브 코웬스 | 카림 압둘자바 | 밥 맥아두 | |
1975-76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
카림 압둘자바 | 카림 압둘자바 | 빌 월튼 | 모제스 말론 | 카림 압둘자바 | |
1980-81 | 1981-82 | 1982-83 | 1983-84 | 1984-85 | |
줄리어스 어빙 | 모제스 말론 | 모제스 말론 | 래리 버드 | 래리 버드 | |
1985-86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
래리 버드 | 매직 존슨 | 마이클 조던 | 매직 존슨 | 매직 존슨 | |
1990-91 | 1991-92 | 1992-93 | 1993-94 | 1994-95 |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찰스 바클리 | 하킴 올라주원 | 데이비드 로빈슨 | |
1995-96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00 | |
마이클 조던 | 칼 말론 | 마이클 조던 | 칼 말론 | 샤킬 오닐 | |
2000-01 | 2001-02 | 2002-03 | 2003-04 | 2004-05 | |
앨런 아이버슨 | 팀 던컨 | 팀 던컨 | 케빈 가넷 | 스티브 내시 |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
스티브 내시 | 디르크 노비츠키 | 코비 브라이언트 | 르브론 제임스 | 르브론 제임스 |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
데릭 로즈 | 르브론 제임스 | 르브론 제임스 | 케빈 듀란트 | 스테판 커리 |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
스테판 커리 | 러셀 웨스트브룩 | 제임스 하든 | 야니스 아데토쿤보 | 야니스 아데토쿤보 |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
니콜라 요키치 | 니콜라 요키치 | 조엘 엠비드 | 니콜라 요키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0-51 | 1951-52 | 1952-53 | 1953-54 | 1954-55 |
에드 맥컬레이 | 폴 아리진 | 조지 마이칸 | 밥 쿠지 | 빌 샤먼 | |
1955-56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
밥 페팃 | 밥 쿠지 | 밥 페팃 |
엘진 베일러 밥 페팃 |
윌트 체임벌린 | |
1960-61 | 1961-62 | 1962-63 | 1963-64 | 1964-65 | |
오스카 로버트슨 | 밥 페팃 | 빌 러셀 | 오스카 로버트슨 | 제리 루카스 | |
1965-66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
애드리언 스미스 | 릭 배리 | 할 그리어 | 오스카 로버트슨 | 윌리스 리드 | |
1970-71 | 1971-72 | 1972-73 | 1973-74 | 1974-75 | |
레니 윌킨스 | 제리 웨스트 | 데이브 코웬스 | 밥 레이니어 | 월트 프레이저 | |
1975-76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
데이브 빙 | 줄리어스 어빙 | 랜디 스미스 | 데이비드 톰슨 | 조지 거빈 | |
1980-81 | 1981-82 | 1982-83 | 1983-84 | 1984-85 | |
네이트 아치발드 | 래리 버드 | 줄리어스 어빙 | 아이제아 토마스 | 랄프 샘슨 | |
1985-86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
아이제아 토마스 | 톰 체임버스 | 마이클 조던 | 칼 말론 | 매직 존슨 | |
1990-91 | 1991-92 | 1992-93 | 1993-94 | 1994-95 | |
찰스 바클리 | 매직 존슨 |
존 스탁턴 칼 말론 |
스카티 피펜 | 미치 리치몬드 | |
1995-96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00 | |
마이클 조던 | 글렌 라이스 | 마이클 조던 | (NBA 파업) |
샤킬 오닐 팀 던컨 |
|
2000-01 | 2001-02 | 2002-03 | 2003-04 | 2004-05 | |
앨런 아이버슨 | 코비 브라이언트 | 케빈 가넷 | 샤킬 오닐 | 앨런 아이버슨 |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
르브론 제임스 | 코비 브라이언트 | 르브론 제임스 |
코비 브라이언트 샤킬 오닐 |
드웨인 웨이드 |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
코비 브라이언트 | 케빈 듀란트 | 크리스 폴 | 카이리 어빙 | 러셀 웨스트브룩 |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
러셀 웨스트브룩 | 앤서니 데이비스 | 르브론 제임스 | 케빈 듀란트 | 카와이 레너드 |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
야니스 아데토쿤보 | 스테판 커리 | 제이슨 테이텀 | 데미안 릴라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46-47 | 1947-48 | 1948-49 | 1949-50 | 1950-51 |
조 펄크스 | 맥스 자슬로프스키 | 조지 마이칸 | 조지 마이칸 | 조지 마이칸 | |
1951-52 | 1952-53 | 1953-54 | 1954-55 | 1955-56 | |
폴 아리진 | 네일 존스턴 | 네일 존스턴 | 네일 존스턴 | 밥 페팃 |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1960-61 | |
폴 아리진 | 조지 야들리 | 밥 페팃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
1961-62 | 1962-63 | 1963-64 | 1964-65 | 1965-66 |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윌트 체임벌린 |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1970-71 | |
릭 배리 | 데이브 빙 | 엘빈 헤이즈 | 제리 웨스트 | 루 앨신더(카림 압둘자바) | |
1971-72 | 1972-73 | 1973-74 | 1974-75 | 1975-76 | |
카림 압둘자바 | 네이트 아치발드 | 밥 맥아두 | 밥 맥아두 | 밥 맥아두 |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1980-81 | |
피트 마라비치 | 조지 거빈 | 조지 거빈 | 조지 거빈 | 애드리안 댄틀리 | |
1981-82 | 1982-83 | 1983-84 | 1984-85 | 1985-86 | |
조지 거빈 | 알렉스 잉글리시 | 애드리안 댄틀리 | 버나드 킹 | 도미니크 윌킨스 |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1990-91 |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
1991-92 | 1992-93 | 1993-94 | 1994-95 | 1995-96 |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데이비드 로빈슨 | 샤킬 오닐 | 마이클 조던 |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
마이클 조던 | 마이클 조던 | 앨런 아이버슨 | 샤킬 오닐 | 앨런 아이버슨 | |
2001-02 | 2002-03 | 2003-04 | 2004-05 | 2005-06 | |
앨런 아이버슨 |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 앨런 아이버슨 | 코비 브라이언트 |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
코비 브라이언트 | 르브론 제임스 | 드웨인 웨이드 | 케빈 듀란트 | 케빈 듀란트 |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케빈 듀란트 | 카멜로 앤서니 | 케빈 듀란트 | 러셀 웨스트브룩 | 스테판 커리 |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
러셀 웨스트브룩 | 제임스 하든 | 제임스 하든 | 제임스 하든 | 스테판 커리 |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2025-26 | |
조엘 엠비드 | 조엘 엠비드 | 루카 돈치치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46-47 | 1947-48 | 1948-49 | 1949-50 | 1950-51 |
어니 캘벌리 | 호위 달마 | 밥 데이비스 | 딕 맥과이어 | 앤디 필립 | |
1951-52 | 1952-53 | 1953-54 | 1954-55 | 1955-56 | |
앤디 필립 | 밥 쿠지 | 밥 쿠지 | 밥 쿠지 | 밥 쿠지 |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1960-61 | |
밥 쿠지 | 밥 쿠지 | 밥 쿠지 | 밥 쿠지 | 오스카 로버트슨 | |
1961-62 | 1962-63 | 1963-64 | 1964-65 | 1965-66 | |
오스카 로버트슨 | 가이 로저스 | 오스카 로버트슨 | 오스카 로버트슨 | 오스카 로버트슨 |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1970-71 | |
가이 로저스 | 윌트 체임벌린 | 오스카 로버트슨 | 레니 윌킨스 | 놈 밴 리어 | |
1971-72 | 1972-73 | 1973-74 | 1974-75 | 1975-76 | |
제리 웨스트 | 네이트 아치발드 | 어니 디그레고리오 | 케빈 포터 | 슬릭 왓츠 |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1980-81 | |
돈 부세 | 케빈 포터 | 케빈 포터 | 마이클 레이 리처드슨 | 케빈 포터 | |
1981-82 | 1982-83 | 1983-84 | 1984-85 | 1985-86 | |
조니 무어 | 매직 존슨 | 매직 존슨 | 아이제아 토마스 | 매직 존슨 |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1990-91 | |
매직 존슨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
1991-92 | 1992-93 | 1993-94 | 1994-95 | 1995-96 |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존 스탁턴 |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
마크 잭슨 | 로드 스트릭랜드 | 제이슨 키드 | 제이슨 키드 | 제이슨 키드 | |
2001-02 | 2002-03 | 2003-04 | 2004-05 | 2005-06 | |
안드레 밀러 | 제이슨 키드 | 제이슨 키드 | 스티브 내시 | 스티브 내시 |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
스티브 내시 | 크리스 폴 | 크리스 폴 | 스티브 내시 | 스티브 내시 |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라존 론도 | 라존 론도 | 크리스 폴 | 크리스 폴 | 라존 론도 |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
제임스 하든 | 러셀 웨스트브룩 | 러셀 웨스트브룩 | 르브론 제임스 | 러셀 웨스트브룩 |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2025-26 | |
크리스 폴 | 제임스 하든 | 타이리스 할리버튼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2-53 | 1953-54 | 1954-55 | 1955-56 | 1956-57 |
돈 메이네케 | 레이 펠릭스 | 밥 페팃 | 모리스 스톡스 | 톰 하인슨 | |
1957-58 | 1958-59 | 1959-60 | 1960-61 | 1961-62 | |
우디 솔즈베리 | 엘진 베일러 | 윌트 체임벌린 | 오스카 로버트슨 | 월트 벨라미 | |
1962-63 | 1963-64 | 1964-65 | 1965-66 | 1966-67 | |
테리 디싱거 | 제리 루카스 | 윌리스 리드 | 릭 배리 | 데이브 빙 | |
1967-68 | 1968-69 | 1969-70 | 1970-71 | 1971-72 | |
얼 먼로 | 웨스 언셀드 | 루 앨신더 |
데이브 코웬스 제프 페트리 |
시드니 윅스 | |
1972-73 | 1973-74 | 1974-75 | 1975-76 | 1976-77 | |
밥 맥아두 | 어니 디그레고리오 | 자말 윌키스 | 앨번 애덤스 | 애드리언 댄틀리 | |
1977-78 | 1978-79 | 1979-80 | 1980-81 | 1981-82 | |
월터 데이비스 | 필 포드 | 래리 버드 | 대럴 그리핀 | 벅 윌리엄스 | |
1982-83 | 1983-84 | 1984-85 | 1985-86 | 1986-87 | |
테리 커밍스 | 랄프 샘슨 | 마이클 조던 | 패트릭 유잉 | 척 퍼슨 | |
1987-88 | 1988-89 | 1989-90 | 1990-91 | 1991-92 | |
마크 잭슨 | 미치 리치몬드 | 데이비드 로빈슨 | 데릭 콜먼 | 래리 존슨 | |
1992-93 | 1993-94 | 1994-95 | 1995-96 | 1996-97 | |
샤킬 오닐 | 크리스 웨버 |
그랜트 힐 제이슨 키드 |
데이먼 스타더마이어 | 앨런 아이버슨 |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2001-02 | |
팀 던컨 | 빈스 카터 |
엘튼 브랜드 스티브 프랜시스 |
마이크 밀러 | 파우 가솔 | |
2002-03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 | |
아마레 스타더마이어 | 르브론 제임스 | 에메카 오카포 | 크리스 폴 | 브랜든 로이 |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
케빈 듀란트 | 데릭 로즈 | 타이릭 에반스 | 블레이크 그리핀 | 카이리 어빙 |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
데미안 릴라드 | 마이클 카터윌리엄스 | 앤드류 위긴스 | 칼앤서니 타운스 | 말콤 브록던 |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
벤 시몬스 | 루카 돈치치 | 자 모란트 | 라멜로 볼 | 스카티 반즈 | |
2022-23 | 2023-24 | 2024-25 | 2025-26 | 2026-27 | |
파올로 반케로 | 빅터 웸반야마 |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3-24 | 2024-25 | 2025-26 | 2026-27 | 2027-28 |
르브론 제임스 | }}}}}}}}}}}} |
개인 수상 | |||
|
2024 | ||
베스트팀 | |||
|
1st :
2005-06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9-20 2nd : 2004-05 · 2006-07 · 2020-21 3rd : 2018-19ㆍ 2021-22ㆍ 2022-23ㆍ 2023-24 |
||
|
1st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2nd : 2013-14 |
||
NBA All 토너먼트 팀
|
2023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17408C><tablebordercolor=#17408C> |
NBA 기록 보유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 |
<colbgcolor=#17408C><colcolor=#fff> 최다 출장 |
로버트 패리시 (Robert Parish) - 1611경기 (1976~1997) |
최다 득점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40264점 (2003~현재) |
|
최다 어시스트 |
존 스탁턴 (John Stockton) - 15806개 (1984~2003) |
|
최다 리바운드 |
윌트 체임벌린 (Wilt Chamberlain) - 23924개 (1959~1973) |
|
최다 블락 |
하킴 올라주원 (Hakeem Olajuwon) - 3830개 (1984~2002) |
|
최다 스틸 |
존 스탁턴 (John Stockton) - 3265개 (1984~200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860038><tablebordercolor=#860038>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기록 보유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 |
<colbgcolor=#860038><colcolor=#FFFFFF> 최다 출장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849경기 (2003~2010, 2014~2018) |
최다 득점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23119점 (2003~2010, 2014~2018) |
|
최다 어시스트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6228개 (2003~2010, 2014~2018) |
|
최다 리바운드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6190개 (2003~2010, 2014~2018) |
|
최다 블락 |
지드루나스 일가우스카스 (Zydrunas Ilgauskas) - 1269개 (1996~2010) |
|
최다 스틸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1376개 (2003~2010, 2014~2018) |
NBA 75th Anniversary Team (NBA 75주년 팀) / 영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카림 압둘자바 | 야니스 아데토쿤보 | 네이트 아치발드 | 찰스 바클리 | 밥 쿠지 |
데이브 코웬스 | 케빈 듀란트 | 줄리어스 어빙 | 조지 거빈 | 할 그리어 | |
제임스 하든 | 엘빈 헤이즈 | 제리 루카스 | 모제스 말론 | 케빈 맥헤일 | |
조지 마이칸 | 스티브 내시 | 디르크 노비츠키 | 하킴 올라주원 | 밥 페팃 | |
윌리스 리드 | 오스카 로버트슨 | 데이비드 로빈슨 | 빌 러셀 | 존 스탁턴 | |
폴 아리진 | 릭 배리 | 래리 버드 | 윌트 체임벌린 | 클라이드 드렉슬러 | |
팀 던컨 | 패트릭 유잉 | 월트 프레이저 | 케빈 가넷 | 존 하블리첵 | |
앨런 아이버슨 | 매직 존슨 | 샘 존스 | 마이클 조던 | 칼 말론 | |
로버트 패리시 | 크리스 폴 | 스카티 피펜 | 빌 셔먼 | 아이제아 토마스 | |
네이트 서몬드 | 웨스 언셀드 | 빌 월튼 | 제리 웨스트 | 제임스 워디 | |
레이 앨런 | 카멜로 앤서니 | 엘진 베일러 | 데이브 빙 | 코비 브라이언트 | |
빌 커닝햄 | 스테판 커리 | 앤서니 데이비스 | 데이브 드부셔 | 르브론 제임스 | |
제이슨 키드 | 카와이 레너드 | 데미안 릴라드 | 피트 마라비치 | 밥 맥아두 | |
레지 밀러 | 얼 먼로 | 샤킬 오닐 | 게리 페이튼 | 폴 피어스 | |
데니스 로드맨 | 돌프 셰이스 | 드웨인 웨이드 | 러셀 웨스트브룩 | 레니 윌킨스 | |
도미니크 윌킨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 202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the Athletic에서 NBA 출범 75주년을 기념하여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75명을 발표했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마이클 조던 | 르브론 제임스 | 카림 압둘자바 | 빌 러셀 | 매직 존슨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윌트 체임벌린 | 래리 버드 | 샤킬 오닐 | 팀 던컨 | 코비 브라이언트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하킴 올라주원 | 오스카 로버트슨 | 케빈 듀란트 | 제리 웨스트 | 스테판 커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칼 말론 | 케빈 가넷 | 모제스 말론 | 줄리어스 어빙 | 데이비드 로빈슨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디르크 노비츠키 | 찰스 바클리 | 엘진 베일러 | 야니스 아데토쿤보 | 존 스탁턴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아이제아 토마스 | 릭 배리 | 드웨인 웨이드 | 존 하블리첵 | 크리스 폴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밥 페팃 | 스카티 피펜 | 제임스 하든 | 카와이 레너드 | 조지 마이칸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제이슨 키드 | 패트릭 유잉 | 스티브 내시 | 밥 쿠지 | 앨런 아이버슨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엘빈 헤이즈 | 조지 거빈 | 클라이드 드렉슬러 | 윌리스 리드 | 월트 프레이저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러셀 웨스트브룩 | 레지 밀러 | 게리 페이튼 | 케빈 맥헤일 | 폴 피어스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도미니크 윌킨스 | 레이 앨런 | 앤서니 데이비스 | 밥 맥아두 |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드와이트 하워드 | 데이브 코웬스 | 얼 먼로 | 제임스 워디 | 웨스 언셀드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돌프 셰이스 | 데니스 로드맨 | 카멜로 앤서니 | 빌 월튼 | 크리스 웨버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빌리 커닝햄 | 네이트 아치발드 | 데미안 릴라드 | 알론조 모닝 | 할 그리어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알렉스 잉글리시 | 제리 루카스 | 피트 마라비치 | 로버트 패리시 | 레니 윌킨스 | |||||
출처 | }}}}}}}}}}}} |
35 Greatest Boys McDonald's All Americans 맥도날드 올 아메리칸이 선정한 위대한 소년 35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그랜트 힐 | 글렌 로빈슨 | 닥 리버스 | 대니 매닝 | 데릭 로즈 |
도미니크 윌킨스 | 드와이트 하워드 | 랄프 샘슨 | 래리 존슨 | 르브론 제임스 | |
마이클 조던 | 매직 존슨 | 바비 헐리 | 빈스 카터 | 샘 퍼킨스 | |
샤킬 오닐 | 아마레 스타더마이어 | 아이제아 토마스 | 알론조 모닝 | 제리 스택하우스 | |
제이 윌리엄스 | 제이슨 키드 | 제임스 워디 | 카멜로 앤서니 | 크리스 멀린 | |
크리스 폴 | 크리스찬 레이트너 | 클락 켈로그 | 케니 스미스 | 케빈 가넷 | |
케빈 듀란트 | 코비 브라이언트 | 타일러 한스브로 | 패트릭 유잉 | 폴 피어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윌트 체임벌린 | 오스카 로버트슨 | 제리 루카스 | 제리 루카스 | 빌 라프터리 | |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코니 호킨스 | 빌 브래들리 | 캐지 러셀 | 에드거 레이시 | 루 앨신더 |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루 앨신더 | 켈빈 머피 | 스펜서 헤이우드 | 폴 웨스트팔 | 조지 맥기니스 |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톰 맥밀런 | 모리스 루카스 | 퀸 버크너 | 아드리안 댄틀리 | 모제스 말론 |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빌 카트라이트 | 대럴 그리피스 | 앨버트 킹 | 마크 어과이어 | 클락 켈로그 |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닥 리버스 | 패트릭 유잉 | 웨이먼 티스데일 | 레지 윌리엄스 | 존 윌리엄스 |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대니 페리 | J.R. 리드 | 래리 존슨 | 알론조 모닝 | 케니 앤더슨 |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데이먼 베일리 | 크리스 웨버 | 제이슨 키드 | 라쉬드 월러스 | 펠리페 로페즈 |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케빈 가넷 | 마이크 비비 |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 라샤드 루이스 | 조나단 벤더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다리우스 마일스 | 다후안 와그너 | 르브론 제임스 | 르브론 제임스 | 세바스찬 텔페어 |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몬타 엘리스 | 그렉 오든 | O.J. 메이요 | 브랜든 제닝스 | 데릭 페이버스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해리슨 반스 | 마이클 키드길크리스트 | 샤바즈 무하마드 | 앤드류 위긴스 | 클리프 알렉산더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벤 시몬스 | 론조 볼 | 마이클 포터 주니어 | RJ 배럿 | 아이재아 스튜어트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케이드 커닝햄 | 쳇 홈그렌 | 다리크 화이트헤드 | 카메론 부저 | 쿠퍼 플래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아마레 스타더마이어 션 메이 |
르브론 제임스 섀넌 브라운 |
드와이트 하워드 |
타일러 핸스브로 안드레이 블라체 |
케빈 듀란트 테디어스 영 |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돈테 그린 코리 피셔 |
브랜든 제닝스 타이릭 에반스 |
데릭 페이버스 레나르도 시드니 |
해리슨 반스 카이리 어빙 |
제임스 마이클맥아두 앤서니 데이비스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샤바즈 무하마드 로드니 퍼비스 |
줄리어스 랜들 자바리 파커 |
자릴 오카포 클리프 알렉산더 |
알론조 트리어 체이크 디알로 |
디애런 팍스 말릭 몽크 |
|
2017 | 2018 | 2019 | 2022 | 2024 | |
브라이언 보웬 로니 워커 4세 |
에밋 윌리엄스 나시르 리틀 |
콜 앤서니 제임스 와이즈먼 |
닉 스미스 주니어 딜런 미첼 |
딜런 하퍼 리암 맥닐리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 |
나이키 종신 계약자 |
}}} | ||||
종신 계약자 명단 | |||||||
<rowcolor=#000> 순서 | 이름 | 국가 | 종목 | 비고 | |||
1 | 마이클 조던 | 농구 | |||||
2 | 르브론 제임스 | 농구 | |||||
3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축구 | |||||
4 | 케빈 듀란트 | 농구 | |||||
틀 정보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Youngest individual to score 10000 points in an NBA career
(NBA 최연소 통산 1만득점 기록 보유자)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23세 59일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TD 뱅크노스 가든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Youngest individual to score 20000 points in an NBA career
(NBA 최연소 통산 2만득점 기록 보유자)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28세 17일
|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오라클 아레나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Youngest player to score 30000 points in an NBA career
(NBA 최연소 통산 3만득점을 달성한 선수)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33세 24일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AT&T 센터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Most NBA All-Star Game starts
(NBA 올스타전 최다 출전)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총 19회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Most points in NBA All-Star games
(NBA 올스타전 최다 득점)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426득점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Most minutes played in NBA postseason
(NBA 플레이오프 최다 출전 시간)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1만 1654분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Most field goals attempted in NBA playoff games
(NBA 플레이오프 경기 최다 야투)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총 5797개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Most turnovers in an NBA career
(NBA 최다 턴오버)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
총 4966개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First father-son duo to play on the same NBA team at the same time
(같은 NBA 팀에서 뛰게 된 최초의 부자 듀오)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르브론 제임스 및 브로니 제임스
|
NBA 최초의 부자 듀오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2012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선정 올해의 스포츠맨 |
||||
|
||||
팻 서미트 마이크 슈셉스키 |
→ | 르브론 제임스 | → | 페이튼 매닝 |
2016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선정 올해의 스포츠 인물 |
||||
|
||||
세레나 윌리엄스 | → | 르브론 제임스 | → |
J.J. 왓 호세 알투베 |
2020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선정 올해의 스포츠 인물 |
||||
|
||||
메건 라피노 | → |
르브론 제임스 패트릭 마홈스 로랑 뒤베르네-타르디프 오사카 나오미 브리아나 스튜어트 |
→ | 톰 브래디 |
2020년 타임 선정 올해의 운동선수 |
||||
|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르브론 제임스 | → | 시몬 바일스 |
르브론 제임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
{{{#FFB81C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등번호 23번}}} | ||||
데릭 앤더슨 (1997~1999) |
→ |
르브론 제임스 (2003~2010, 2014~2018) |
→ | 결번 | |
마이애미 히트 등번호 6번 | |||||
마리오 찰머스 (2008~2010) |
→ |
르브론 제임스 (2010~2014) |
→ |
빌 러셀 ( 영구 결번)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23번 | |||||
게리 페이튼 2세 (2018) |
→ |
르브론 제임스 (2018~2021, 2023~) |
→ | 현역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6번 | |||||
랜스 스티븐슨 (2018~2019) |
→ |
르브론 제임스 (2021~2023) |
→ |
빌 러셀 ( 영구 결번) |
}}} ||
|
|
<colbgcolor=#31006f><colcolor=#fff>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No. 23 | |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
본명 |
르브론 레이먼 제임스 시니어 LeBron Raymone James Sr. |
출생 | 1984년 12월 30일 ([age(1984-12-30)]세) |
오하이오 주 애크런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세인트 빈센트 -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 |
신장 | 204.5cm (6' 8.5") |
체중 | 113.4kg (250 lbs)[1] |
발사이즈 | US 15.5 (335 mm) |
윙 스팬 | 214cm (7' 0.25")[2] |
후원사 | 나이키[3] (LeBron) |
포지션 | 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4] |
드래프트 |
2003 NBA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지명 |
소속 구단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03~2010) 마이애미 히트 (2010~2014)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14~2018)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18~ ) |
등번호 |
23번 - 클리블랜드 / 레이커스[5][6] 6번 - 마이애미 / 레이커스[7] /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
가족 |
|
계약 | 2024-25 ~ 2025-26 / $101,355,998 |
연봉 | 2024-25 / $48,728,845 |
종교 | 가톨릭 |
링크 | | | | | |
[clearfix]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소속의 농구 선수. 주 포지션은 스몰 포워드.[9] 리그 최고령 현역 선수이다.고교 졸업 후 곧바로 2003 NBA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고향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종목을 가리지 않고 루징 프랜차이즈의 대명사였던 클리블랜드의 첫 우승을 이뤄줄 선수로 Chosen One이란 이명까지 얻으며 클리블랜드 팬들의 열혈한 지지를 받은 선수였다. 리그 MVP를 연속으로 수상할 정도로 개인 기량은 정점을 찍었지만, 거듭된 우승 도전 실패 끝에 논란의 슈퍼팀을 결성하며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해 2회의 우승을 차지했다.
그렇게 마이애미에서 4년을 보내고 다시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로 복귀해 팀을 4년 연속 파이널 진출로 이끌었고, 특히 2016년 우승을 차지하며 클리블랜드 프랜차이즈의 오랜 숙원을 풀어준 드라마틱한 커리어로도 유명하다. 이후 2018년 LA 레이커스로 이적해 2020년 우승을 차지하며 세 팀에서 우승하는 영예를 누렸다.
대표적인 수상 경력은 4회의 정규 시즌 MVP, 4회의 파이널 우승 및 파이널 MVP이다. 누적으로는 선수 생활 21년차 임에도 불구하고 기량을 유지하면서 NBA 역사상 최초로 통산 4만 득점을 돌파했고, 1만 리바운드 및 1만 어시스트 기록을 달성해 유일무이한 4만-1만-1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별명은 킹 제임스(KING JAMES).[10]
2. 생애
2.1. 유년 시절
|
글로리아는 아버지 없이 르브론을 키워야 했기에 집은 매우 가난했다. 사실 글로리아는 미용실을 하던 홀어머니(르브론의 외할머니) 프레다 제임스와 함께 살 때는 생활이 크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르브론의 세 살 생일을 일주일 앞두고 프레다가 세상을 뜨자 금방 가세가 기울었다. 스물 남짓한 미혼모가 친척도 없이 아이를 키우기는 힘들었던 것.
르브론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르브론 본인은 "아빠가 너무 보고싶어요..."라고 말했다.[13] 어머니 글로리아는 르브론을 아버지 없이 키워야 했고, 5살과 8살 정도의 시기에 집을 12번 가까이 옮기며 계속 전학을 하는 어려운 생활을 해야 했다.[14] 르브론 말에 따르자면 어린 아이에게는 절대로 보이고 싶지 않은 그런 것들을 보면서 자랐다고 한다.
그런 르브론에게 아버지나 다름 없는 에디 잭슨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그는 르브론의 어머니 글로리아의 남자친구였지만 경제적으로는 무능했고 마약 거래로 감옥을 다녀오는 등 르브론 모자에게 집안의 가장 같은 역할을 해 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잭슨은 르브론에게는 자상했고, 아버지가 없었던 르브론도 주위에서 나오는 말들은 무시하고 잘 지냈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때 잭슨은 WWE를 보여주면서 르브론과 친목을 다졌는데, 르브론은 레슬러 중에 마초맨을 제일 좋아했다고 한다.
이 에디 잭슨은 결국 르브론이 NBA에서 데뷔하는 것을 보지 못한채 글로리아 제임스와 헤어지는데, 그 이유는 바로 $775,000를 담보 사기로 얻은 것에 있다. 이로 인해 에디 잭슨은 3년형을 선고 받고 헤어진다. 잭슨은 그 후 음주운전과 같은 각종 사고에 휘말렸다.
2.2. 아마추어 시절: 농구 역사상 최고의 유망주
|
그런데 르브론이 농구에 엄청난 재능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워커는 그를 농구 학교에 보내 제대로 농구를 배우게 했고[15], 르브론은 여기서 시언 코튼, 드루 조이스 3세, 윌리 맥기 등의 친구들과 동향 출신인 키스 댐브럿[16], 드류 조이스 2세 등 훗날 고등학교 은사들을 만나게 되었다.
Fab4라고 스스로를 부르던 르브론과 친구들은 점차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고, AAU(Amateur Athletic Union) 8학년 이하 대회에서 결승까지 진출하는 활약을 했지만 결국 67-68로 아깝게 패배하고 말았다.
이후 고등학교에 진학할 무렵, 르브론은 세인트 빈센트-세인트 메리(SVSM)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다른 애크런에서 농구 잘하는 흑인 학생은 부틀 고등학교에 가는 것이 관례였지만 부틀에서는 초단신이었던 드루 조이스 3세를 받는 것을 거절했고, 친구와 계속 농구를 하고 싶었던 르브론은 조이스 3세가 SVSM 입학을 결정하자 미련없이 부틀 입학을 포기했다. 주로 가톨릭계 백인들이 다니던 SVSM은 공부 잘하기로 소문난 학교였지만 농구에서는 완전히 무명이었다.[17]
그러나 Fab4는 빈센트-세인트 메리를 1984년 이후 처음으로 주 챔피언으로 이끄는 것을 시작으로 엄청난 활약을 하며 지역을 들썩이게 만들었다. 점점 몸이 자라던 르브론의 기량은 이미 고등학생을 초월한 수준이었고, 시합 중에 비트윈더렉 덩크를 작렬시킬 정도였다. 그는 3년이나 연속으로 오하이오 주의 미스터 배스킷볼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싹수가 보였다. NBA의 전설 중 하나인 빌 월튼[18]은 르브론 제임스가 한창 고등학교에서 뛸 시기에(졸업시즌이 아닌) 그의 경기를 보고 "저 아이는 지금 당장 NBA에 가도 주전으로 뛸 수 있다." 라고 칭찬했다. 실제로 슬램매거진 표지를 장식하기도 하고 고등학교 때 받을 수 있는 상이란 상을 다 휩쓸었다.
|
르브론의 고등학교 시절은 유례를 찾아볼 수도 없을 정도로 강력했는데, 그는 사상 최초로 2학년으로서 미스터 배스킷볼[20]에 선정되었고, 고작 2학년의 신분으로 USA 투데이가 선정한 All-USA 퍼스트팀에 올랐으며, 3학년 때는 게토레이가 선정한 전미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는데 이것 역시 3학년으로선 역대 최초이다. 최종적으로 고등학교 4년 동안(미국은 보통 4년제이다) 르브론은 오하이오주 미스터 배스킷볼 3회, 전미 미스터 배스킷볼 2회, 전미 올해의 선수상 2회란 말도 안되는 업적을 세웠다.[21]
이를 감안하면 위 월튼의 멘트는 절대 과장이 아니다. 당시는 한해에 몇 명씩 고졸 NBA선수가 배출되던 시기이므로 전미 MVP에 선정되지 못한 선수들도 다수 NBA에 직행하곤 했다.[22] 즉 전미 MVP에 뽑혔다면 NBA급 유망주란 것을 입증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월튼이 이 멘트를 남긴 것은 2002년에 당시 3학년이던 르브론의 경기를 중계했을 때였는데, 이때 르브론은 키가 이미 6피트8인치로 1년 뒤 드래프트됐을 당시와 키가 같았다. 즉 월튼이 봤던 '3학년 르브론'은 이미 203cm에 근육질 체형인데다 압도적인 전미 최고의 고등학교 선수였다는 것이니 NBA에서 뛰기 충분한 실력이었으며, 팀구성에 따라 주전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다.[23]
워낙 매스컴의 관심이 폭발하다보니 위기도 있었다. 2003년 제임스의 어머니 글로리아가 제임스의 18번째 생일 때 Hummer H2를 선물로 주었고,[24] 제임스 자신도 고가의 저지를 선물로 받아서 제명당할 위기에 처하긴 했지만, 다행히 2게임 결장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렇게 화려한 고교시절을 보낸 제임스는 졸업할 시간이 되었다. 그동안 함께 한 친구들은 모두 대학에 진학하기로 했지만, 워낙에 초월적인 기량을 가지고 있던 르브론은 더이상 어머니를 고생하게 만들고 싶지 않기도 해서 2003년 드래프트에 참가신청을 하게 된다. 그리고, 2003년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고향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 지명되면서 르브론은 NBA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2.3. 선수 경력
자세한 내용은 르브론 제임스/선수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르브론 제임스/플레이 스타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NBA 챔피언 4회 (
2012-
2013,
2016,
2020) NBA 파이널 MVP 4회 ( 2012- 2013, 2016, 2020) NBA 정규 시즌 MVP 4회 (2009-2010, 2012-2013) 올-NBA 퍼스트 팀 13회 (2006, 2008-2018, 2020) NBA 인-시즌 토너먼트 우승 (2023) NBA 인-시즌 토너먼트 MVP (2023) NBA 올스타 20회 (2005-2024) NBA 올스타전 MVP 3회 (2006, 2008, 2018) 올-NBA 세컨드 팀 3회 (2005, 2007, 2021) 올-NBA 서드 팀 4회 (2019, 2022-2024) NBA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5회 (2009-2013) NBA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2014) NBA 올해의 신인상 (2004)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04) NBA 올해의 득점왕 (2008) NBA 올해의 어시스트왕 (2020) NBA 75주년 팀 (2022) 2006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일본 동메달 FIBA 선정 올림픽 MVP (2024) 2004 아테네 올림픽 동메달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 |
5. 주요 기록
데뷔를 매우 어린 나이에 했고 꾸준히 정상급 기량을 유지했기 때문에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가리지 않고 수많은 기록을 쌓아올렸다.- ALL- NBA 팀 20회 역대 최다 수상[25]
- ALL- NBA 퍼스트팀 13회 역대 최다 수상[26]
- NBA 역사상 통산 최다 득점자[27]
- NBA 전 구단 상대로 40+득점 달성
- 서로 다른 3개의 구단에서 파이널 MVP 수상
5.1. 정규 시즌
- 이 주의 선수상 수상 횟수 역대 1위 (65회)[28]
- 이 달의 선수상 수상 횟수 역대 1위 (46회)
- 출전 시간 현역 1위, 역대 3위[29]
- 통산 득점 역대 1위[30]
- 통산 어시스트 역대 4위
- 평균 득점 현역 1위, 역대 4위 (27.2)
- VORP 역대 1위 (144.05)[31]
- MVP 쉐어 1위
- 정규 시즌 득점왕과 어시스트왕을 모두 수상한 5번째 선수[32]
- 통산 턴오버 역대 1위
5.2. 플레이오프
- 출전 시간 역대 1위[33]
- 통산 NBA 플레이오프 출전 경기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승리 경기 수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승리 시리즈 수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득점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스틸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턴오버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자유투 성공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필드골 성공 역대 1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3점슛 성공 역대 3위
- 통산 NBA 플레이오프 리바운드 역대 4위
- VORP 역대 1위 (33.9)
6. 논란 및 사건사고
자세한 내용은 르브론 제임스/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7. 어록 및 르브론 제임스에 대한 언사
This fall, man, this is very tough, this fall, I'm going to take my talents to South Beach and join the Miami Heat.
올 가을에는…… 말하기가 쉽지 않네요. 올 가을, 저는 제 재능을 사우스비치로 가져가서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합니다.
2010년 7월 9일, The Decison show[36]
올 가을에는…… 말하기가 쉽지 않네요. 올 가을, 저는 제 재능을 사우스비치로 가져가서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합니다.
2010년 7월 9일, The Decison show[36]
“At the end of the day, all the people that was rooting on me to fail, at the end of the day they have to wake up tomorrow and have the same life that they had before they woke up today, They have the same personal problems they had today. I'm going to continue to live the way I want to live and continue to do the things that I want to do with me and my family and be happy with that. They can get a few days or a few months or whatever the case may be on being happy about not only myself, but the Miami Heat not accomplishing their goal, but they have to get back to the real world at some point."
("나의 실패를 고대하던 놈들은 그래봤자 내일 일어나면 이것과 상관없이 뼈빠지게 일하고 현실문제에 치여 살겠지만, 난 가족들과 함께 행복하게 지낼 것이다. 그들은 잠시동안 이것으로 위안을 삼겠지만, 히트는 그들의 바람대로 되지 않을 것이며, 그들은 어느 순간 현실세계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2011 NBA 파이널에서 패배한 이후 인터뷰. 일명 리얼월드 발언이다. 르브론 제임스의 안티가 세계적으로 급증한 사건이기도 하다.
("나의 실패를 고대하던 놈들은 그래봤자 내일 일어나면 이것과 상관없이 뼈빠지게 일하고 현실문제에 치여 살겠지만, 난 가족들과 함께 행복하게 지낼 것이다. 그들은 잠시동안 이것으로 위안을 삼겠지만, 히트는 그들의 바람대로 되지 않을 것이며, 그들은 어느 순간 현실세계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2011 NBA 파이널에서 패배한 이후 인터뷰. 일명 리얼월드 발언이다. 르브론 제임스의 안티가 세계적으로 급증한 사건이기도 하다.
In Northeast Ohio, nothing is given. Everything is earned. You work for what you have.
I'm ready to accept the challenge. I'm coming home.
오하이오에서 그냥 얻어지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쟁취해야한다. 우리가 가진 것을 위해 우린 뛴다.
나는 이러한 도전에 응할 준비가 됐다. 난 집에 돌아간다.
2014년 7월 11일자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Sports Illustrated)에 실린 르브론 제임스의 편지 中 마지막 문구들
I'm ready to accept the challenge. I'm coming home.
오하이오에서 그냥 얻어지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쟁취해야한다. 우리가 가진 것을 위해 우린 뛴다.
나는 이러한 도전에 응할 준비가 됐다. 난 집에 돌아간다.
2014년 7월 11일자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Sports Illustrated)에 실린 르브론 제임스의 편지 中 마지막 문구들
CLEVELAND! This is for you!
2016년 우승 직후
2016년 우승 직후
8. 여담
|
- 마이클 조던과 비교가 많이 되곤 하지만 사실 르브론 본인은 조던빠에 가깝다. 조던빠 기질이 어느정도냐면 르브론은 원래 왼손잡이인데 조던이 오른손으로 슛을 쏘기 때문에 슛을 할 때 오른손으로 슛을 쏜다.[38] 또한 본인이 조던하고 맞붙는 합성 사진을 휴대폰 배경화면으로 쓰고 있을 정도. '조던 막고 르브론 뚫고' 누구의 배경화면일까 2009년 11월 경에는 마이클 조던의 등번호였던 23번을 NBA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자는 주장을 한 적이 있다. 리그 최고의 선수가 되어서도 마이클 조던을 폄하하는 발언을 오히려 하지 않고 조던에 대한 존경심을 담은 발언을 주로 하는 편이다. 코비를 필두로 한 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슈팅 가드들이 조던의 거대한 그늘에 시달리며 "존경은 하지만 난 조던이 아니다." 는 식으로 조던과 매칭되는것에 대해 상당히 진저리를 치는 것에 비하면, 아무래도 세대가 다르고 스타일도 차이가 많이 나다보니 그런 압박은 그다지 받지 않는 편인듯. 오히려 조던은 자신의 동기부여가 된다고 발언하는 편이다. 조던이 1994년 1차 은퇴를 했을 때 르브론은 9살이었는데 은퇴 소식을 듣고 울어버렸다고 한다.
- 조던 이후 최고의 농구선수라는 점에서 GOAT인 마이클 조던과, 역대 최고의 포워드라는 점에선 또다른 포워드 본좌인 래리 버드와, 포워드라곤 하나 사실상 장신 포인트가드의 역할을 소화한다는 점에선 매직 존슨과 정말 꾸준히 비교가 이루어지는 선수이다. 또한 올타임 No.2 자리에 누가 더 어울리냐에 대해선 카림 압둘자바, 21세기 미 스포츠 내 최고의 스타성으로 인기를 양분했다는 점에선 코비 브라이언트, 2010년대 각각 동서부 최고의 선수라는 점에선 케빈 듀란트, 오랜시간 정점급 활약을 펼친 터줏대감과 10년대 중반에 혜성처럼 나타난 슈퍼스타의 대결구도라는 점에선 스테판 커리, 그가 우승과 MVP를 수차례 해내기 전엔 공수겸장 포인트 포워드의 대명사라는 점에선 스카티 피펜 등등 정말 별에 별 선수들과 비교가 이루어졌다. 커리어가 커리어이니 만큼 한명한명 역대급으로 평가받는 선수들과 비교되는 것이 당연하기도 하고, 르브론의 커리어가 많이 진행된 시점에서는 사실상 맨 윗줄의 조던과의 비교가 가장 치열하다고 볼 수 있다.
- 새가슴 논쟁에 자주 시달리는 편인데 2010-11 시즌 피크에 달했던 시기에 하필이면 역대 최고의 클러치 플레이어로 꼽히는 마이클 조던과 비교되면서 조롱받아야 했다.[39] 하지만 바로 다음시즌 2011-12 시즌을 기점으로 플레이오프와 파이널에서 이런 논란을 일축할 만한 대활약을 선보이며 이런 반응들은 대부분 가라앉았다. 특히 2016 파이널에서 3-1 상황에서 3연승을 하며 역전승을 거두고 특히 7차전에서 클러치 상황의 블락까지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새가슴 논란을 완전히 떨쳐버렸다.
- 실제론 르브론은 마이애미 시절을 제외하곤 리그 최고 수준의 클러치 플레이어였다. 2000년대 이후 플레이오프 버저비터 위닝샷 갯수 독보적인 단독 1위를 달리고 있고(2018년 기준 5개) 4쿼터 득점 역시 매시즌 상위권을 차지한다. 다만 클러치 상황에서 르브론은 점퍼보다 자신의 강점인 돌파를 위주로 플레이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임팩트가 약하단 느낌이 없지않다. 다만 2018-19 시즌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기량 하락과 함께 클러치 능력도 다소 하락한 편.
- NBA 역사상 가장 자신의 몸에 많은 돈을 투자하는 선수이다. 1년에 19억 이상을 신체 관리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개인 피지컬 트레이닝은 물론이고 선수들이 가장 싫어하는 시즌, 비시즌의 엄격한 식사제한이다. 르브론도 사람인지라 20대 초반에 햄버거나 피자 같은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했다. 하지만 20대 중후반으로 갈수록 몸을 날렵하게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느끼며 식습관을 바꾸고 체중 관리를 시작한 후로, 그는 선수 생활 내내 무릎과 하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32세 시즌인 2016년에는 설탕, 탄수화물, 유제품을 60일 넘게 끊고 고기, 생선, 과일류를 섭취하는 등 꾸준하게 식습관을 발전시키고 있다.
- 뿐만 아니라 르브론은 비시즌 기간에도 상대 선수의 압박을 견뎌내기 위한 근육갑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밸런싱, 균형훈련을 모두 소화하며 20년 넘게 자기 자신을 관리한것으로 유명하다. 이런 르브론의 철저한 자기관리는 한국나이 40세 시즌때 압둘자바의 득점을 넘을수 있게 해준 원동력이 됐다.
- BANANA BOAT BRO THERS 중 한 명이다. 넷 다 드림팀에서 같이 뛴 적도 있고 사적으로 매우 친한 사이로 유명하다. NBA 같은 비즈니스적인 성격이 강한 곳에서 유별나게 특이한 케이스이다. 르브론은 커리어가 끝나기 전에 한번 서로 뭉치고 싶다는 말도 했었다.
- 카이리 어빙과의 케미가 워낙에 좋았고, 흡사 유사부자관계수준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비록 2014-15 시즌 초반에는 르브론과 어빙 간에 볼배합 문제로 인해 손발이 안맞고 그로인해 르브론이 공격 과정에 별 다른 적극성을 띄지 않는 모습을 연출하자 팬들 사이에서 말이 많았다. 이때 모 커뮤니티의 한 르브론 팬이 "르브론은 아버지의 마음으로 경기를 지켜보는 것이다."라며 별 문제없는 사안이라는 의견을 내놓았고 이를 본 NBA 갤러리에서 조롱하는 의미로 '르버지'라는 별명을 만들어냈다. 아들빙이라는 별명도 이러한 맥락으로 파생된 것.[40]
- 경기중에 멘붕한 모습이나 오프시즌의 행사 참석 모습을 두고 NBA 갤러리에서는 짤방제조기, 개념글 치트키로 취급받고 있다.
- 클리블랜드를 떠났을 때의 움직임이 이미 계산된 것이 아니었느냐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르브론의 샐러리를 안고는 프리 에이전트를 끌어들이기에는 무리가 있고, 클리블랜드 자체가 작은 시장이라 대스타가 오지 않는다는 점도 있어서 르브론을 가지고도 클리블랜드는 거듭거듭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었다. 게다가 르브론이 억지로 탱킹을 하거나 부상을 당하지 않는 이상은 클리블랜드가 상위 픽을 받기도 힘들다. 그렇기에 르브론이 떠남으로 팀이 자유롭게 탱킹을 하고 상위 픽으로 젊은 유망주를 뽑은뒤 어느정도 안정된 후에 르브론이 컴백하면 자연스럽게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마이애미 시절처럼 빅3나 최소한 스탁턴-말론의 픽앤롤 듀오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 하지만 클리블랜드에게 어빙을 뽑은 픽이 상당히 낮았는데 어빙을 뽑은점이나 르브론이 떠나는 과정에서 엄청 욕을 먹었다는 점에서 결과론적인 말에 가깝다. 팀 전력을 강화시킬 목적이라면, FA로 떠나는 것보단 자신을 대권후보 팀에 트레이드 매물로 쓰는게 더 나았을 것이다. 르브론 자신이 트레이드 카드였다면 몇 년치 1라운드 유망주와 벤치 에이스 다수는 기본으로 받았을 터. 또한 팀에 복귀할 생각이었다면 디시전 쇼같은 삽질로 욕을 굳이 먹을 필요도 없었다.
-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사실이 있는데, 르브론이 디시전 쇼를 한 계기가 있다. 당시 쇼 방송을 했던 방송사가 르브론의 FA 상황이 상당한 화젯거리가 된 탓에 방송 기부금은 불우 이웃을 돕는 데 쓴다고 르브론을 꼬드겼고, 르브론은 이 꼬드김에 넘어가서 디시전 쇼를 하게 된 것. 르브론이 먼저 계획한 쇼가 아니었다. 하지만, 이런 이벤트에 눈이 멀어서 고향 팬들을 생각하지 않고 방송을 한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다. 게다가 기부를 하고 싶었으면 대부분의 농구선수들이 하는 자선경기나 다른 이벤트, 심지어 본인이 사비를 털어서 기부하는 등 수많은 방법이 있었으나, 굳이 이런 쇼를 하기로 한 것이다. ESPN이 아이디어를 냈다고는 하나 르브론의 고용주는 물론이고 스폰서도 아닌 ESPN은 르브론에게 영향을 미칠 위치에 있지 않았다. 르브론도 신인도 어린 선수도 아닌, 비지니스 마인드가 투철한 베테랑 NBA선수인데 누가 누굴 꼬드긴단 말인가? 정확히는 꼬드겼다기보다는 제안했다고 해야 한다. 결국 이 아이디어를 낸 건 아니라고 하나 이런 방식의 쇼를 하기로 결정한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닌 본인이고, 이에 따른 책임도 본인에게 있는 것이다. 물론 디시전 쇼는 원 소속팀인 클리블랜드의 팬 중 일부의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쁠 수 있으나 어떠한 종류의 범죄에도 해당되지 않고 리그 전체를 위한 흥행 요소로 작용하는 슈퍼스타의 쇼맨십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기에 도덕적인 책임이 있는지도 애매한 부분이다. 르브론은 이미 FA 자격을 획득하였고 팀을 떠날 것을 결정하였기에 디시전 쇼를 하든 말든 원 소속팀인 클리블랜드의 팬 중 일부의 기분이 상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르브론은 요즘 NBA 슈퍼스타들의 FA 전 이적을 위한 태업 행태와는 다르게 계약기간 동안 태업 이슈 없이 성실하게 팬들의 기대에 부응한 후 FA로 이적하였기에, 디시전 쇼를 문제시하기 위해서는 디시전 쇼가 어떻게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지부터 증명되어야만 한다. 아무리 팬들의 응원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미 계약을 성실하게 끝마친 스포츠 선수가 이전 소속팀의 모든 팬들의 기분까지 살펴야 할 의무는 없다. 르브론은 디시전 쇼에서 이적을 발표했을 뿐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 대해서 어떠한 비난이나 비하도 하지 않았다.[41]
- S급 선수임에도 파울콜이 짠 편이라는 의견이 있다. 공격비중의 절반이 돌파인데도 반칙을 잘 안불어준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런 측면으로 보면 2017-18 시즌에는 유독 그런 경향이 강해졌는데, 2017년 11월29일 열린 마이애미 히트와의 경기에서 파울을 너무 안불어주자 항의하다 퇴장을 당했다. 재밌는것은 그의 농구 커리어 15년 동안 최초의 퇴장이었다. 이와는 반대로 트레블링 콜은 상당히 후한 편에 대한 비판이 상당히 많다.
다만 파울콜이 짜다는 데는 의문의 여지가 있는 것이 농구 커리어 15년 동안 퇴장당하지 않았다는 건 르브론이 수비할 때는 반대로 거의 파울이 불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비를 열심히 하면 파울은 피할 수가 없기 때문. 게다가 르브론에 대한 파울콜이 짜다는 근거가 빈약한 것이 르브론은 슛 갯수에 비해 자유투를 상당히 많이 쏘는 선수이기 때문이다. 르브론이 야투를 가장 많이 쏠 때가 2005-06 시즌으로 23개 정도였는데, 이때 자유투를 10.3개, 2007-08 시즌엔 21.9개 야투를 쏘면서 자유투 10.3개를 던졌다. 2.2:1, 2.1:1 정도의 비율이다. 소위 말하는 '자유투 삥뜯기'로 유명한 자유투를 얻어내는 비중이 심한
제임스 하든이 2017-19 시즌에 야투 20.1개/자유투 10.1개를 기록했다.[42] 물론 하든의 자유투 비중이 더 높긴 하지만, 하든은 어거지로 자유투를 만들어낸다는 논란이 있을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자유투를 많이 쏘는 선수란 걸 감안할 필요가 있다. 위의 수치를 보면 르브론이 닥치고 돌파할 때는 하든에 버금갈 정도로 자유투를 많이 얻어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커리어 후반기에 접어들수록 자유투 개수가 적어지는데 이는 위의 플레이스타일 항목에서 장점으로 적어놨듯이 중거리슛의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돌파의 비중이 많은데도 하든보다 반칙을 잘 안 불어주는 이유는 수비수들이 하든같은 선수들에 비해 르브론에겐 반칙을 적게 하기 때문인 것도 있다. 르브론은 파워포워드의 덩치로 가드처럼 달리는 선수이고, 빅맨이 아닌 이상, 아니 빅맨이어도 그의 돌파를 막기 힘들다. 파울해봤자 앤드원 적립이니까. 실제로 르브론이 돌파할 때는 많은 수비수들이 수비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애초에 르브론은 플레이스타일상 하든보다 자유투가 적을 수밖에 없다. 하든은 멸칭에 가깝게 '자유투 삥뜯기'로 불릴 정도로 어거지에 가깝게 자유투를 얻어내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그가 완전히 균형을 잃은 상태에서 컨택을 유도하며 들어갈리가 없는 슛을 쏘는 것도 가끔 파울콜이 불릴 정도. 이 때문에 하든은 파울이 잘 안 불릴 경우 경기를 말아먹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정상적인 자유투 얻어내기를 할 때도 앤드원 플레이보다는 투샷, 쓰리샷이 많다. 포인트는 이렇다보니 하든은 파울콜 이후 대부분 슛이 안 들어가다보니 같은 수의 파울을 얻어내도 자유투 수가 당연히 2개 이상씩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르브론은 하든보다 압도적인 파워와 마무리 능력으로 파울 이후 슛이 들어가는 경우가 더 많고, 따라서 앤드원이 더 많다. 당연히 파울 갯수 대비 자유투는 하든보다 르브론이 더 적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저 정도 자유투를 쏘는 것이다. 르브론에게 파울콜이 짠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르브론이 돌파할 때마다 거의 매번 파울당했다는 어필을 강하기 때문이다. 실제 수치를 봐도, 경기를 봐도 그가 파울콜이 짜다고 볼만한 근거는 빈약하다. 진짜 파울콜이 짜다면 저렇게 많은 자유투를 얻어낼 수도 없고, 수비를 등한시하지 않는 이상 데뷔 후 15년 동안 퇴장당하지 않을 수도 없다.
Last two minute Report[43]가 작성된 2015년 3월 1일 이후로 클러치 타임에 파울을 당했는데 안 불린 확률이 24.5%로 리그 평균 20.7%[44]보다 높으며, 파울이 아닌데 파울콜이 불린 확률은 0%이다.
- 현 NBA 최고의 슈퍼스타인 만큼 많은 젊은 선수들의 우상이기도 한데, 실제로 루카 돈치치의 농구 우상이기도 하다. 야니스 아데토쿤보는 르브론과 MVP 경쟁을 한 2019-20 시즌 이후 한 인터뷰에서 르브론이 현재 최고의 선수이며 그를 어린 선수일 때 보는 것이 자신에게는 조던을 보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었다고 밝혔다. #
- 어린 시절 프로레슬링을 즐겨본 팬으로[45] 2003년 데뷔 1주일 차 밖에 안 됐던 만 18세 시절 WWE RAW를 객석에서 지켜보기도 했다. ** 2015년 트위터를 통해 좋아하는 레슬러가 누구인지 질문을 받았는데 얼티밋 워리어, 스팅, 릭 플레어, 리전 오브 둠을 꼽았다. ** 어린 시절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던 프로레슬러들을 종종 언급하기도 하는데 2016년 WCW 아이콘이었던 스팅이 WWE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자 축하 인사를 건넸으며 **, 또한 2020년 리전 오브 둠의 멤버였던 애니멀이 세상을 떠나자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태그팀이었다며 호크와 애니멀은 영원할 것이란 추모글을 적었다. ** 2021년 3월 16일에는 스티브 오스틴의 3장16절 프로모를 기념하기 위해 WWE에서 행하고 있는 3:16 Day 기념에 동참하여 LeBron 3:16 티셔츠를 입기도 했다. **
- 다만 공무, 즉 자신의 경기를 앞두고선 칼같이 차단하는 모습을 보인다. 2016-17 시즌 개막전 당시 언더테이커가 클리블랜드 홈경기에 초청을 받아 클리블랜드 선수단 라커룸 밖에서 대기한 적이 있었는데 ' 버드맨' 크리스 앤더슨, 리처드 제퍼슨, 케빈 러브 등 여러 선수들이 그를 반갑게 맞이했지만 르브론은 문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
- 꽤 젊은 나이부터 탈모가 시작되어 상당히 진행되었다. 아들이 이발하는 장면을 찍어 SNS에 올렸는데 머리가 매우 부럽다는 발언을 하고 조던과 비교하는 기자의 질문에 우린 둘 다 대머리라고 농담할 정도로 본인도 꽤 탈모가 신경쓰이는듯. 노장이라 불려도 무리 없는 최근에는 머리를 심는 식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점점 한계가 오고 있다.
- 2014년 ESPN 기사, "LeBron James' Greatest Weapon Is His Brain"과 르브론의 팀 동료들, 측근들에 따르면 사진기억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46] 가끔 옛날 농구 경기를 틀어놓으면, "어, 1997 파이널 2차전이네," 라며 매번 알아맞히고, 미식축구 경기를 볼 때면, "어, 저 코너백은 몇 년도 몇 번째로 어떤 팀에 드래프트 됐어" 라며 세세한 점들까지 기억해낸다고 한다. 함께 비디오게임을 해도 르브론 혼자 모든 기술들을 외워서 매번 이긴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기억력은 2007 파이널 등 자신이 실패했을 때까지의 기억까지도 너무 생생나게 기억나게 하여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잦았다고도 한다. 노비츠키와 댈러스에게 패배한 2011 파이널이 그 대표적인 경우. 2011년 이후로 르브론이 플레이오프 때면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을 전부 끊는 것도 기억력이 이유라고 한다. 관련 링크
- NBA가 사무국과 선수노조 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2011-12 시즌 일부를 쉬게 되자 부업을 찾고 있는 걸로 보였다. 난데없이 10월 초에 트위터를 통해 프로 미식축구리그인 NFL의 FA계약 마감일을 물어보면서 뉴스거리를 만들더니, 1주일 후엔 시애틀 시호크스의 피트 캐롤 감독과 대화를 주고받았다.[47] 물론 진짜 미식축구로 전향할 가능성은 없다. 그런 격렬한 스포츠를 하다 다치기라도 하면 NBA 커리어는... 그래도 사람들은 인류최종병기 수준 피지컬[48]의 타이트엔드를 보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많은 사람들이 르브론이 NFL로 온다면 사이즈가 더 큰 캘빈 존슨, 더 운동능력이 뛰어난 롭 그론카우스키일 것이라는 반응이 였다.
- 뉴욕 양키스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2007년 뉴욕 양키스와 고향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아메리칸리그 디비전시리즈가 열렸을 때, 클리블랜드의 홈구장 제이콥스 필드(2008년부터 프로그레시브 필드로 개명)에 양키스 모자를 쓰고 나타나서 양키스를 응원하는 모습이 포착되어 고향팬들에게 욕을 왕창 얻어먹었다. 절친한 관계인 CC 사바시아가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FA로 풀리자 양키스로 가라고 권유한 것도 바로 르브론. 비슷하게 사바시아도 르브론한테 뉴욕 닉스로 가라고 권유한 적이 있다.
- 리버풀 FC의 서포터이다. SNS로도 종종 리버풀을 응원하는 글을 올리고 2011년에는 안필드를 방문해서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유니폼을 선물받기도 했다. 또한 리버풀의 지분 2%까지 보유하고 있다.
- 2013년 9월 14일 오랫동안 사귀던 여자친구 서배나 브린슨과 결혼했다. 사실 진작에 자식도 둘 있는 사이.
- 엄청난 NFL의 팬이다. 응원팀은 클리블랜드 브라운스고 자주 직관을 가고 많은 선수들과 친하다. 종종 이번 주 승리팀을 예측하는 영상을 인스타그램에 올린다.
- 특이하게도 자신이 직관한 클리블랜드의 많은 경기에서 승리한다. 예를 들어 2016년 8월 19일에는 고향 연고지 야구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홈경기를 관람했는데, 이날 인디언스는 끝내기 동점 홈런과 끝내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으로 승리했다. 10월 7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보스턴 레드삭스의 201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2차전에서도 찾아왔으며, 이날 인디언스는 선발 코리 클루버의 호투와 타선의 힘으로 승리하여 시리즈 전적 2:0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근데 구단 역사상 가장 중요한 경기일지도 모르는 2016년 월드 시리즈 7차전은 직관을 갔는데도 졌다.
- 클리블랜드에서 제일 잘 나가는 팀의 슈퍼스타이다 보니 정작 자신은 농구선수인데도 같은 연고지의 슬픔을 제조하는 팀의 저지 판매량 상위권에 들어가고 있다.
- 클리블랜드 2기부터 수염을 본격적으로 기르기 시작했는데 2017-18 시즌에서의 수염들이 미국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의 수염과 판박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레이커스 이적 후에는 이 수염이 점점 하얗게 세기 시작해서는 귀 밑쪽의 수염은 아예 하얗게 세고 말았다.
- 건강을 위해 매일 와인을 반잔씩 마신다고 한다. 이건 르브론만 특이한 건 아니고, 레드와인이 심폐 기능에 좋다는 이유로 NBA 대다수 팀들은 선수에게 매일 레드와인 반잔을 마실 것을 권유하곤 한다.
- 미국 내 인기가 상당한 편이다. 디시전 쇼 등을 통해서 안 좋은 이미지가 약 4년간 있었으나 『아임 커밍 홈』을 통해서 클리블랜드에 복귀하고 그 과정에서 극적인 역전우승을 펼치면서 이미지가 개선되며 인기도 늘었다. 그러나 인기 많은 선수답게 안티지분도 상당하다.
2018년 MBLM의 BFF 마케팅연구통계 미국에서 가장 사랑 받는 유명인 10인
1. 버락 오바마
2. 미셸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리아나
5. 비욘세
6. 르브론 제임스
7. 오프라 윈프리
8. 톰 행크스
9. 빌 게이츠
10. 세리나 윌리엄스
남성에게 가장 사랑 받는 유명인 10인
1. 르브론 제임스
2. 버락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빌 게이츠
5. 스테판 커리
6. 도널드 트럼프
7. 톰 행크스
8. 세리나 윌리엄스
9. 리아나
10. 미셸 오바마
여성에게 가장 사랑 받는 유명인 10인
1. 미셸 오바마
2. 버락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리아나
5. 비욘세
6. 오프라 윈프리
7. 톰 행크스
8. 빌 게이츠
9. 세리나 윌리엄스
10. 르브론 제임스
1. 버락 오바마
2. 미셸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리아나
5. 비욘세
6. 르브론 제임스
7. 오프라 윈프리
8. 톰 행크스
9. 빌 게이츠
10. 세리나 윌리엄스
남성에게 가장 사랑 받는 유명인 10인
1. 르브론 제임스
2. 버락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빌 게이츠
5. 스테판 커리
6. 도널드 트럼프
7. 톰 행크스
8. 세리나 윌리엄스
9. 리아나
10. 미셸 오바마
여성에게 가장 사랑 받는 유명인 10인
1. 미셸 오바마
2. 버락 오바마
3. 드웨인 존슨
4. 리아나
5. 비욘세
6. 오프라 윈프리
7. 톰 행크스
8. 빌 게이츠
9. 세리나 윌리엄스
10. 르브론 제임스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이적해서 클리블랜드에서 반응이 안 좋을 거라고 생각하면 이 또한 그렇지 않다. 헤어지는 과정이 좋았기 때문에 클리블랜드에서는 헌정영상을 틀어줄 정도로 사이가 좋다.[49]
- 2 Chainz가 2019년에 발매한 신작에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 르브론의 우승을 가장 많이 좌절시킨 스티브 커 감독은 아이러니하게도 아날리스트 시절 릅빠의 모습을 여러 번 보여줬는데 우승 전이라 올타임 드래프트에서 4라운드까지 뽑히지 않던 르브론을 뽑거나 우승 2회 때부터 올타임 탑5 얘기를 꺼내기도 했다. 감독시절에도 파이널에서 듀란트와 르브론을 이긴 후 듀란트가 최고냐 르브론이 최고냐 논쟁이 한창이던 때 인터뷰에서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갑자기 르브론이 최고라고 하는 등 계속해서 팬 인증을 하고 있다.
- 딸 주리 제임스가 유튜브를 개설했다. 르브론도 간간히 출연 중이다. #
- 2020년 타임지 올해의 운동선수에 뽑혔다. 지난 2012년, 2016년에 이어 벌써 3번째.
- 뉴욕 양키스의 팬으로 알려져 있지만 2021년 3월 보스턴 레드삭스, 리버풀 FC, 피츠버그 펭귄스 등이 소속되어있는 펜웨이스포츠그룹(FSG)에 5억 3600만 파운드 (한화 8500억원)을 투자하면서 16일부터 대주주로 활동할 예정임을 발표했다.
- 영화 스페이스 잼 2에서는 본인이 직접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영화의 흥행과는 별개로 전문 배우가 아닌 거치고는 연기도 생각보다 괜찮은 편이었다. 하지만 2021년 골든 라즈베리에서 최악의 남우 주연상으로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최악의 콤비상과 최악의 프리퀄/리메이크/표절/속편상까지 차지하였다.
-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억이 넘는다. 당연히 NBA 선수로서는 최초. 전 세계를 통틀어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억이 넘는 계정은 단 34개에 불과하며 개인 운동선수로 범위를 좁히면 르브론을 포함해도 단 5개뿐이다. 이러나저러나 팬과 안티의 개념을 넘어서 르브론의 스타성이 전 스포츠를 통틀어서도 손에 꼽을 정도라는 것은 확실하다.
-
NBA공식 스폰기업인
기아 모델
기아 K9을 시승하고 마음에 들어 기아 K9의 홍보 대사가 된 적이 있다.
#[50]
-
2022년 8월 15일 르브론의 사업적 마인드를 엿볼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제목은 주식회사 르브론 제임스로
이왜진르브론이라는 거대한 상품성을 지닌 선수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접할 수 있으며 교보문고를 포함한 여러 온라인 서점에서 판매 중이다.
- 르브론 제임스의 얼굴 윤곽을 본뜬 걸로 추정되는 변기가 존재한다.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
너무 유명해진데다가 미국인이라서 한국 사람들은 쉽게 알아차리기 힘든 부분이지만, 이름이 제법 특이한 편이다. 사실 성인
제임스 또한 성보다는 이름으로 더 많이 쓰긴 하지만, 그래도 성으로 쓰는 사람들이 없진 않아 그렇게 이상한 경우는 아니다. 그러나 LeBron이라는 이름을 쓰는 사람은 미국에서도 거의 없는데다가 그 형태 또한 굉장히 독특한 경우이다. 사실
프랑스 쪽에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프랑스식
성씨 비슷하다고 생각했을 것인데, 프랑스 식 성인 'Le Brun'이나
안달루시아 식 성인 'Le brón'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51]. 프랑스, 안달루시아
성씨이므로 이 동네에선 당연히 이름으로는 쓰질 않는다. 따라서, 르브론 제임스가 유명해진 2003년 전까지 아기에게 'LeBron'이라는 이름을 붙여주는 경우는 1년에 겨우 예닐곱 명 정도에 불과했으며, 단 한 명의 아이에게도 이 이름이 붙지 않았던 해도 많았다. 그러다가 르브론 제임스가 유명해진 후에 남자 아기들에게 이 이름을 붙여주는 경우가 제법 많아져, 해마다 3~50 명 정도의 아기에게 르브론이란 이름이 붙여지고 있고, 가장 많았던 2007년에는 110명의 아기가 르브론이라 이름지어져 최대치를 찍었었다.
어쨌거나 '성씨에 더 걸맞은 극히 희귀한 이름'과 '성씨보다는 이름에 붙는 경우가 훨씬 많은 성씨'를 가진 상당히 특이한 이름의 소유자이다. 굳이 한국식으로 예를 들자면, 성이 '정'씨이고 이름이 '황보'라서 둘을 합쳐 '정황보'라는 이름을 가진 것이나 마찬가지인 셈. [52]
- 2023년 1월 17일 휴스턴 로키츠전에서 자바리 스미스 주니어가 르브론에게 다가와 "혹시 처음 NBA 데뷔전에서 저희 아버지랑 같이 뛰셨던 거 기억나세요? 새크라멘토 킹스전이요" 라고 르브론에게 물었는데,[53] 이에 르브론의 반응은 "왜 나한테 그러는 건데...". 경기 후 인터뷰에서도 이 일을 언급하며 자신이 너무 늙은 거 같다는 푸념을 장난스레 내놓기도 했다.
- NBA 선수들 중 크리스마스에 가장 많은 경기를 뛰었다.
- 현 소속팀 레이커스와 크립토닷컴 아레나를 공유하며 아레나의 권리를 가진 NHL팀 로스앤젤레스 킹스와 킹스의 퍼시픽 디비전 라이벌인 베이거스 골든나이츠의 이름을 헷갈리는 병크를 저질렀다. 이에 킹스의 공식 트위터 계정은 "어떤 룸메이트는 설거지하는 걸 잊고, 어떤 룸메이트는 쓰레기를 버리는 걸 잊는다. 다른 이들은 당신이 거기에 사는 것조차 잊는다 🥲"라는 트윗을 올렸다.
- 몸에 문신이 많다.
- 르브론은 내 아들이 대신 해줄거라고 믿었다. 르브론이 만약 내가 없으면 아들이 알아서 해준다고 믿고있었다. 일단 내 아들부터 함께 뛰보고 은퇴 안하기로 결심했다.
- 본인 아들 브로니에게 상당히 장난을 많이 하는듯하다. 출근하는 브로니 차에 시리얼을 부었다.
8.1. Taco Tuesday!!
르브론이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이적한 후로부터 하는 르브론의 인스타그램 명물 중 하나. 매주 화요일 혹은 타코를 먹는 날에는[54] 웬만해선 빠지지 않고 가족, 혹은 팀원들과 타코를 먹을 때마다 외친다.사실 "Taco Tuesday"는 제임스가 만든 말이 아니라 제임스가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던 말이다.
대략적인 패턴으로는
1. 잡설. 특히 엄살 피우는 소리를 자주 한다. 힘이 없다든지...
2. SIKE!![55] 오늘이 무슨 날이냐!
3. 카메라를 전환해 테이블의 게스트나 부엌의 가족들에게 what day is it today!?를 묻기.[56]
4. 카메라를 다시 전환 후 IT'S TACO TUESDAY!!!라고 크게 외친다.
5. 꺄꺄꺄꺄꺄꺄꺄우우!
2. SIKE!![55] 오늘이 무슨 날이냐!
3. 카메라를 전환해 테이블의 게스트나 부엌의 가족들에게 what day is it today!?를 묻기.[56]
4. 카메라를 다시 전환 후 IT'S TACO TUESDAY!!!라고 크게 외친다.
5. 꺄꺄꺄꺄꺄꺄꺄우우!
대략 이런식. 그 유구한 역사를 보건대...
- 가장 기본적인 메들리 모음
- 하다하다 하우스 오브 하이라이트까지..
- 모교 행사에서도 한다!
- 스테이플 센터를 가득 메우는 타코 튜스데이 챈트[57]
- 르브론이 없으면 아이들이 한다
- 팀원들과 회식날에도 간단하게나마 해주시는 릅신
- 갈매기도 했다!(1) 갈매기도 한다!(2) 스페인어로도 한다![58]
-
네이마르도 했다![59]-
릅신의 감미로운 R&B 버전은 덤이다- - 코로나도 타코 튜즈데이를 막을 수 없다
- 결국은 미고스가 타코 튜스데이로 노래까지 만들었다
- 올랜도 버블에서도 외쳐주는 릅신
이 때문에 이름에 타코가 들어가는 타코 폴이 화면에 잡히면 중계진들이 Tacko Tuesday!를 외친다. 이 덕인지 타코 폴도 이 드립을 본인 인스타에 스폰서십 받은 타코광고와 더불어 자주 써먹는다.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에서도 말미에 벅스 버니에게 해준다. 더빙판에서는 타코 먹는 날로 번역되었다.[60]
8.2. vs 마이클 조던
자세한 내용은 마이클 조던 vs 르브론 제임스 문서 참고하십시오.8.3. You are my sunshine
2024년 3월부터 르브론 제임스를 밝게 합성해놓은 사진에 You are my sunshine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한 밈이 유행 중이다. # 이 사진 외에도 어둡게 합성해놓은 사진[61] 등 여러 바리에이션이 나오고 있다.이 밈의 해석은 '글레이징' (Glazing) [62] 을 비하하는 의도로 만든 밈이긴 했으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하자 대상혁 숭배 밈과 같이 결국엔 뇌절을 넘은 예술 작품이 되어 버렸다. NBA 에서는 르브론 제임스 말고도 다른 선수 들도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선수들이 많긴 하나 국제적으로 보면 르브론 제임스는 마이클 조던, 샤킬 오닐 처럼 이름이 널리 알려진 선수 중 하나다. 그래서 인터넷 플래폼인 틱톡이나 유튜브에서 NBA 이야기가 나오면 르브론 제임스는 여러 곳에서 언급된다. 하지만 너무 반복되는 글레이징에 의해 사람들이 만든 밈이 바로 이것이다.
이 밈 덕분에 copypasta 또한 심각치 않다.
9. 출연작
- 모어 댄 어 게임(2008) - 주연, 기획
-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2015) - 본인 역[63]
- 스몰풋[64] - 궝기 역
- 나이키 광고 <르브론 제임스의 공포의 방(총 3편)> - [65]
-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 - 본인 역, 제작
- 허슬 - 제작
- 비커밍: 꿈으로 가는 길 - 제작
- 멀티버서스 - 플레이어블 캐릭터
- 스타팅 5 - 본인 역
10. 관련 문서
[1]
NBA 입성 전엔 104kg (230 lbs), 신인 때부터 히트 합류전까지 108.8kg (240 lbs), 히트 합류 후 117.9kg (260 lbs)였고 최고 많이 나갈 땐 120kg (265 lbs)까지 나갔다. 그 후에 2014년 여름에 캐벌리어스에 재합류하면서 113kg까지 다시 감량하였다. 2018-19 시즌 중 당한 사타구니 부상으로 인해 체중이 127kg까지 불었지만 시즌 종료 후 오프 시즌에 감량을 했다.
[2]
드래프트 당시 측정된 윙스팬. 당시에 비해 맨발 키가 약 3cm나 자랐기 때문에 윙스팬 역시 길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여태껏 공식적인 재측정은 없었다.
[3]
나이키가 전 종목 통틀어서 종신 계약한 4명의 선수 중 한 명이다. 다른 3명은
마이클 조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케빈 듀란트. 나이키는 아들인
브로니 제임스와도 예비 계약을 체결했기에 4명의 종신 선수 중 최초로 2대가 후원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됐다.
[4]
커리어 대부분을
스몰 포워드로 뛰었으며 팀 구성에 따라
파워 포워드를 오가는 경우도 많다.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는 물론 한시적으로
센터 포지션에서도 뛴 적도 있으며, 특히 루키 시즌에는 출장 시간의 14%를 포인트 가드로 뛰었다. 르브론의 커리어 출장비율을 포지션별로 나누면 포인트 가드로 5%,
슈팅 가드로 7%, 스몰 포워드로 59%, 파워 포워드 27%,
센터 1%로, 포워드 중에
멀티 포지션 플레이어가 많다곤 하나 르브론만큼 포지션 소화 범위가 넓은 선수는 역대로도 드물다.
[5]
2018~2021, 2023~
[6]
2023-24 시즌 시점으로 빌 러셀에 대한 존경심으로 등번호 6번에서 23번으로 변경했다.
[7]
2021~2023
[8]
브로니(Bronny) 제임스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9]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파워 포워드 혹은 팀 사정에 의해
센터로 출전하기도 한다. 다만, 베스킷볼 레퍼런스 트래커 기준 모든 포지션을 소화한 것으로 나올 정도로, 포지션 의미 없이 1~5번으로 다 출전 가능한 선수이다.
[10]
르브론의 인스타 아이디이기도 하다.
[11]
한국 시간 1984년 12월 31일 월요일 오전 6시 4분.
[12]
스테판 커리와 같은 병원 출생이라고 한다.
[13]
단, 르브론은 스포츠 스타로 성공하고 난 뒤의 인터뷰에서는 자기 아버지에 대해서는 알거나 보고 싶지도 않다고 단호하게 말한 바 있다.
[14]
글로리아가 거의 삶을 놓아 버리는 바람에 르브론에게 신경을 쓰지 못해 1년에 80~100일씩 결석하곤 했다.
[15]
조던이 르브론을 막는 방법에 대해 "르브론은 왼쪽으로는 돌파 안 하니까 나는 르브론을 왼쪽으로 몰아서 슛하게 만들겠음." 이라고 말했는데, 르브론은 여기에 대해 "워커 선생님이 나에게 왼손 레이업을 가르쳐 주었다." 고 대답했다. 그리고 며칠 후 올랜도 원정 경기에서 깨끗하게 왼쪽 돌파로 위닝샷 성공.
[16]
1958년 10월 26일 유대계 미국인이자 듀케인 대학교 시절 농구선수이던 아버지
시드 댐브럿(1931~2021)과 애크런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였던 어머니 페이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사촌 어윈(1928~2010)은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 재학 시부터 농구선수로 활약하여 1950 NBA 드래프트 때 뉴욕 닉스에 전체 7번으로 지명되었으나 컬럼비아 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했는데, 1951년 CCNY 재학 시절 발생한 점수 조작 사건으로 유죄 선고를 받았다. 키스 댐브롯 자신은 파이어스톤 고등학교 때 야구와 농구를 즐기다가 애크런대 진학 후 경영학을 전공하며 야구부에서 3루수로 뛰었고, 1984년 동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까지 땄다. 1984년 NCAA 디비전3 대학인 티핀 대학교에서 감독 생활을 시작해 1986년 이스턴 미시건 대학교 코치로 전근가서 벤 브라운 감독을 3년 간 보좌했고, 이후 애시랜드 대학교(1989~1991),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1991~1993)를 각각 거쳤으나 1993년 마이애미 대학교(오하이오)와의 대결 전에 인종 차별적인 발언 논란으로 센트럴 미시건대에서 쫓겨났다. 한동안 고향에 있는 유대인 커뮤니티 센터와 일부 썸머리그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다 1998년 세인트 빈센트-세인트 메리 고등학교 감독으로 현장 복귀해 3년 동안 맡았고, 2001년 모교 애크런대 코치로 전근간 후 댄 힙셔 감독을 보좌하다가 2004년 감독으로 승진하여 임기 13년 동안 NCAA 전국대회 진출 3회, NIT 진출 5회, CBI 진출 1회, CIT 진출 1회 등을 각각 일궈냈고, 2017년 듀케인대로 옮겨서 임기 7년 동안 팀을 이끌며 마지막 시즌인 2023-24 시즌에는 농구부를 47년만에 NCAA 전국대회로 다시 진출시켜 32강까지 가게 했다.
[17]
여담으로 이때 SVSM 농구부 주장을 맡고 있던 사람이 현재 르브론의 매니지먼트 회사 CEO인 매버릭 카터다. 카터는 어린 시절 르브론의 이웃집에 살면서 서로의 생일 파티에 초대받은 적도 있었다.
[18]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의 우승 멤버이며, 다재다능한 것이 특징인 센터
[19]
훗날 르브론이 디시전 쇼를 통해 빅3를 결성한 것에 대한 반감이 컸던 이유는 물론 쇼 자체에 대한 거부감도 컸지만 근본적으로는 마이클 조던처럼 본인만의 스토리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기량 면에서만 조던의 뒤를 이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은 것이 아니라, 실력과 배경 모든 면에서 엄청난 슈퍼스타의 탄생이 예고되어 있었던 것.
[20]
Mr. Basketball은 공신력있는 미국 언론들이 지정하는 주별 MVP를 지칭하며, Mr. Basketball USA는 전국 MVP이다. 대학농구와 마찬가지로 미국 고등학교 농구에선 공신력 있는 MVP상이 여러개가 있는데, 이 중 하나가 Mr. Basketball이다.
[21]
맥도날드 올스타 게임만 참가 1회인데, 이건 당연한 것이 원래 맥도날드 게임은 졸업반 선수들만 초청하는 경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도 당연한 듯이 MVP를 수상했다.
[22]
실제로 1996년 전미 미스터 배스킷볼은
마이크 비비였는데, 2위였던
코비 브라이언트는 대학을 포기하고 NBA드래프트에 참가해 뽑혔다. 즉 초고교급 선수였던 코비도 못 받은 상이란 것. 참고로 미스터 배스킷볼이나 위에 언급된 올해의 선수상은 유망주로서 평가가 아니라 해당 선수의 고등학교에서 성과만 놓고 주는 것이다. 이는 올해의 대학선수상도 마찬가지. 코비가 유망주로서 평가가 비비보다 낮았기 때문에 상을 놓친 것이 아니다.
[23]
여담으로 미국에서는 같은 학년이라도 나이차이가 조금 나는 경우가 있는데, 르브론이 졸업한 2003년은 84~85년생들이 졸업하던 해였다. 실제로 르브론과 같은 84년생이고 생일도 3개월밖에 차이나지 않는 라샤드 매캔츠는 전 해인 2002년에 졸업해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을 다니고 있었다. 같은 고졸이라도 나이차이가 나는게 이 때문이다. 미국 아이들은 보통 6세 생일이 지난 다음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때문에 1990년 12월에 6세가 된 르브론이 1991년에 입학한 것인데, 만약 르브론의 어머니가 그를 90년에 입학시켰다면 (만5세라도 입학이 가능하다. 다만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너무 어린 나이에 학업을 시작하면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론 웬만해선 6세가 지나고 입학시킨다) 르브론이 2002년에 드래프트되는 것도 가능했을 것이다.(위에서 설명했다시피 2002년에 3학년 르브론은 이미 NBA입성이 가능하고도 남는 초특급 유망주였다) 당시 드래프트 나이기준은 '드래프트가 열리는 해에 18세 생일이 지날 것'이기 때문에 실제론 아직 17세인 선수들이 드래프트되기도 했었기 때문. 그랬다면 12월생인 르브론은 역대 최연소 NBA선수가 됐을 것이다.
[24]
자동차를 사준 것 자체는 문제가 없었지만 당시 글로리아의 신용등급으로는 받을 수 없는 액수의 대출을 받아 차를 구입했다는 것이 문제였다. 은행으로서는 머지 않아 백만장자가 될 것이 거의 확실한 르브론의 미래 가치를 고려해 대출을 해 준 것. 더군다나 이 시절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전이라서 대출이 워낙 쉬웠기 때문에 이 정도면 매우 합리적인 대출 근거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선수가 100달러 이상의 선물을 받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는 규정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있었다.
[25]
이전 기록은 팀 던컨, 카림 압둘-자바, 코비 브라이언트의 15회.
[26]
이전 기록은 코비 브라이언트, 칼 말론의 11회.
[27]
2023년 2월 7일
오클라호마 시티 썬더와의 경기에서 달성, 이전 기록은 카림 압둘-자바의 38,387점.
[28]
다만 2001-02 시즌 전에는 동서부 통틀어 한 선수만 이 달의 선수와 이 주의 선수에 선정했지만 2001-02 시즌부터 동서부에 각각 한 명씩 선정하기 시작했다.
[29]
53,708분 - 2023/2/6기준
[30]
30년이 넘도록 깨지지 않던
카림 압둘자바의 기록을 경신했다.
[31]
시즌 9차례 1위
[32]
윌트 체임벌린,
제리 웨스트,
러셀 웨스트브룩,
제임스 하든 다음이 르브론
[33]
2018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총 9천 870분 출전 시간을 기록했는데,
2018 NBA 파이널에서 4경기를 치르면서 역대 최초로 '포스트시즌 1만 분 출전 시간' 을 기록했다.
[34]
전통의 소개 문구.
[35]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히트 시절을 뒤로하고 클리블랜드로 다시 돌아온 2014-15 시즌 개막전 소개 문구에서는
디디의 Coming Home을 같이 틀었다. 유튜브 댓글을 보면 이 소개 영상을 보면서 눈물이 흘렀다는 댓글이 심심찮게 보인다. 이 노래의 가사를 보면 르브론에 걸맞은 가사가 심심찮게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6]
릅까가 폭증한 결정적인 이유1
[37]
목표 우승횟수를 묻는 MC의 질문에 1번도, 2번도, 3번도, 4번도, 5번도, 6번도, 7번도 아닌 8번의 연속 우승을 해내겠다고 호언장담했다.
[38]
2017년 본인이 직접 밝혔다. 조던이나 페니 하더웨이 같은 자신이 보고 자라며 동경하던 선수가 오른손으로 슛을 쏘길래 오른손으로 슛을 쏘기 시작했다는 내용, 마지막에는 왼손잡이라고 웃으며 말한다. [39] 다만 당시엔 꼭 조던이 아니더라도 상대했던 팀의 에이스가 클러치에 강한 일명 사기츠키. 디르크 노비츠키였기에 이런식의 비교는 피할수 없었을 것. [40] 여담으로 비록 르버지라는 별명이 멸칭에 가까운 별명이지만, 실제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르브론은 상당히 훌륭한 사람이다. 멀리 갈 것 없이 2018년 FA 자격을 얻었을 때 가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행선지로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고, 가끔씩 인스타에 아내와 아들,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게시물을 올리는데 정말로 화목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41] 이 변론의 요해는 두 가지인데 의무가 아니면 상관없다는 식으로 도덕에 있어서 약한 적극성을 긍정하고 있다. 그리고 디시전 쇼로 인해서 마음이 상하는 것은 클리블랜드 팬뿐이라는 주장과 동시에 어차피 클리블랜드 일부 팬은 기분이 상할 것인데 르브론이 그 일부 클리블랜드 팬을 기분 상하게 했을 뿐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 두 가지 부분을 애매하게 섞어서 주장하고 있는데 최소한 일부 클리블랜드 팬은 어차피 기분이 상할 것이며, 르브론이 그 일부 클리블랜드 팬의 기분을 상하게 했을 뿐이라며 일부라는 말을 이상하게 사용하고 있고, 그 와중에 디시전 쇼로 인해서 클리블랜드 팬들만 기분이 상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함축하고 있어서 이 부분은 교묘한 궤변이라고 할 수 있다. [42] 초창기에 돌파를 통해 엄청난 갯수의 자유투를 얻어내던 마이클 조던은 가장 자유투를 많이 얻어낼 때가 야투 27.8개당 11.9개의 자유투, 2.3:1의 비율이었고 통산 2.8:1 정도의 비중이었다. 물론 조던은 지금보다 심판콜이 빡센 시절에 뛰었다. [43] 4쿼터 마지막 2분 3점차 이내 좁혀진 경기 대상 [44] 하든 14.1%, 아데토쿤보 14.8%, 커리 21.7%, 레너드 19.0%, 웨스트브룩 16.7%, 릴라드 14.1% [45] 르브론의 10대 시절은 프로레슬링 역사에서 월요일 밤의 시청률 전쟁과 이후의 루스리스 어그레션 시대와 일치한다. 당시 레슬링의 인기와 위상은 현재와 비교도 안 될만큼 높았고 당시 레슬링을 즐겨보던 르브론에게도 이는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었을 것이다. [46] 원문은 photographic memory인데, 사실 이는 직관기억력 (eidetic memory)를 지칭하는 데도 쓰이지만 구어체에선 "마지 사진처럼 엄청나게 기억력이 좋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영화 배트맨 비긴즈의 메이킹 필름을 보면 스태프들이 크리스천 베일의 기억력을 칭찬하면서 "He has photographic memory"라고 언급한다. 창작물의 영향인지 완전기억능력이나 직관기억력 등과 연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 단어를 쓸 때는 그냥 "말도 안 되게 기억력이 좋다"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애초에 직관력은 과거에 잠깐 본 시각적 이미지를 아주 세세하게 기억하는, 보고된 사례는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과학적으로 실존한다고 100% 증명은 아직 되지 않은 능력이다. 그런데 후술되는 대로 누가 언제 드래프트되고 이런 거는 시각적 이미지와는 큰 상관이 없다. 베일이나 르브론이나 그냥 일반 사람들보다 훨씬 기억력이 좋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47] 캐롤 감독은 곧바로 '르브론'이라고 적힌 유니폼을 제작하기까지 했다. [48] 당시 르브론은 206cm에 120kg이 넘는 몸으로 최전성기의 운동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49] 2018 파이널까지의 과정은 어빙의 이적 후 사실상 르브론 개인의 힘으로 올라간 시리즈였기 때문에 더 이상 뭘 어떻게 해도 골든스테이트를 이길 수 없다는 것이 클리블랜드 사람들의 반응이었다. [50] 현재는 안 타고 다니는 듯하다. [51] 왜 추정이냐면,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는 본인이 직접 밝히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이 물어보지는 않는 편이기 때문. 무례까지는 아닌데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불쾌하게 생각할 수 있다고 여겨 이런 문제를 직접적으로 물어보지를 않는게 대부분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미국 미디어들도 르브론 제임스에게 이름의 유래를 직접적으로 물어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듯하다. [52] 그래서 그런지 이름 앞부분인 Le- 부분과 관련된 밈을 현지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볼수 있다. 예를 들면 르브론이 컨테스트 3점을 넣으면 LeFuckYou3(...), 르브론이 무언가를 제대로 예측하면 LeProphet, 르브론이 어이없는 플랍을 시전하면 LeFlop, 르브론의 야투감각이 형편없으면 LeBrick과 같이 르브론이 어이없는 행동/발언을 할 때 마다 꾸준히 소환된다 [53] 다만 실제로 르브론의 데뷔 경기인 2003년 10월 29일 경기 기록지를 보면 자바리 시니어가 경기 내내 벤치에 앉아 있었다. [54] 화요일이 아닌 날이라도 할때가 있는데, 이때는 세계 어딘가에는 화요일이겠지 같은 드립을 친다. [55] 원래는 psych로 써야 한다. 쉽게 말해 뻥이야! 정도? 물론 밝은 분위기로 나온다면 생략한다. [56] 브로니나 브라이스, 주리같은 아이들은 잘 받아주는데, 유독 아내인 사반나는 잘 안 받아준다. 이불을 뒤집어 쓰고 있다든지, 짧게 타코? 정도만 해준다. [57] 이날은 110점을 넣었기 때문에 진짜 타코 튜스데이였다. [58] 2020 올스타전 이후에 한것으로 추정. [59] 네이마르는 코비의 헬기 사고 소식을 듣고 골 세레머니로 코비를 추모하기도 했고 휴식기에 NBA를 보러오는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60] 르브론이 외치는것 기준이고 벅스는 이 앞에 화요일인것을 빼먹지 않는다. 정확한 대사는 벅스: '화요일 타코먹는 날까지 있어도 될까?' 르브론: '타코 먹는~날! 좋지!' [61] 이 어두운 사진은 Evil Lebron이라고 불린다. 약간 두 자아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가진 밈이라고 보면 된다. [62] 글레이징 또한 밈 단어로 일정한 사람이나 단체를 (그리고 이 의도에서는 르브론 제임스를) 마치 신 처럼 숭배하듯이 인터넷에서 그 인물이나 단체를 과도하게 사랑하고 비판이나 논란이 될만한 걸 실드 쳐 주는 그런 단어이다. 일종의 정신승리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63] 카메오 출연이지만 웬만한 조연만큼의 비중이다. 부자면서도 돈문제에 관해서 상당히 쪼잔한 면이 있으면서(친구 왈 "니가 지금 차고 있는 시계가 내가 사는 아파트보다 더 비싼데 나보고 점심을 사라고?") 친구 일에는 또 오지랖 넓게 간섭하는 역할로 나오는데, 연기력이 상당하다. [64]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65] 해당 광고는 <파천일검> 작가 아신(김영헌)에 의해 만화화되어 전국 나이키 매장에 배포되었다. 영어 및 중국어판으로도 번역됨.
2017년 본인이 직접 밝혔다. 조던이나 페니 하더웨이 같은 자신이 보고 자라며 동경하던 선수가 오른손으로 슛을 쏘길래 오른손으로 슛을 쏘기 시작했다는 내용, 마지막에는 왼손잡이라고 웃으며 말한다. [39] 다만 당시엔 꼭 조던이 아니더라도 상대했던 팀의 에이스가 클러치에 강한 일명 사기츠키. 디르크 노비츠키였기에 이런식의 비교는 피할수 없었을 것. [40] 여담으로 비록 르버지라는 별명이 멸칭에 가까운 별명이지만, 실제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르브론은 상당히 훌륭한 사람이다. 멀리 갈 것 없이 2018년 FA 자격을 얻었을 때 가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행선지로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고, 가끔씩 인스타에 아내와 아들,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게시물을 올리는데 정말로 화목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41] 이 변론의 요해는 두 가지인데 의무가 아니면 상관없다는 식으로 도덕에 있어서 약한 적극성을 긍정하고 있다. 그리고 디시전 쇼로 인해서 마음이 상하는 것은 클리블랜드 팬뿐이라는 주장과 동시에 어차피 클리블랜드 일부 팬은 기분이 상할 것인데 르브론이 그 일부 클리블랜드 팬을 기분 상하게 했을 뿐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 두 가지 부분을 애매하게 섞어서 주장하고 있는데 최소한 일부 클리블랜드 팬은 어차피 기분이 상할 것이며, 르브론이 그 일부 클리블랜드 팬의 기분을 상하게 했을 뿐이라며 일부라는 말을 이상하게 사용하고 있고, 그 와중에 디시전 쇼로 인해서 클리블랜드 팬들만 기분이 상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함축하고 있어서 이 부분은 교묘한 궤변이라고 할 수 있다. [42] 초창기에 돌파를 통해 엄청난 갯수의 자유투를 얻어내던 마이클 조던은 가장 자유투를 많이 얻어낼 때가 야투 27.8개당 11.9개의 자유투, 2.3:1의 비율이었고 통산 2.8:1 정도의 비중이었다. 물론 조던은 지금보다 심판콜이 빡센 시절에 뛰었다. [43] 4쿼터 마지막 2분 3점차 이내 좁혀진 경기 대상 [44] 하든 14.1%, 아데토쿤보 14.8%, 커리 21.7%, 레너드 19.0%, 웨스트브룩 16.7%, 릴라드 14.1% [45] 르브론의 10대 시절은 프로레슬링 역사에서 월요일 밤의 시청률 전쟁과 이후의 루스리스 어그레션 시대와 일치한다. 당시 레슬링의 인기와 위상은 현재와 비교도 안 될만큼 높았고 당시 레슬링을 즐겨보던 르브론에게도 이는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었을 것이다. [46] 원문은 photographic memory인데, 사실 이는 직관기억력 (eidetic memory)를 지칭하는 데도 쓰이지만 구어체에선 "마지 사진처럼 엄청나게 기억력이 좋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영화 배트맨 비긴즈의 메이킹 필름을 보면 스태프들이 크리스천 베일의 기억력을 칭찬하면서 "He has photographic memory"라고 언급한다. 창작물의 영향인지 완전기억능력이나 직관기억력 등과 연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 단어를 쓸 때는 그냥 "말도 안 되게 기억력이 좋다"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애초에 직관력은 과거에 잠깐 본 시각적 이미지를 아주 세세하게 기억하는, 보고된 사례는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과학적으로 실존한다고 100% 증명은 아직 되지 않은 능력이다. 그런데 후술되는 대로 누가 언제 드래프트되고 이런 거는 시각적 이미지와는 큰 상관이 없다. 베일이나 르브론이나 그냥 일반 사람들보다 훨씬 기억력이 좋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47] 캐롤 감독은 곧바로 '르브론'이라고 적힌 유니폼을 제작하기까지 했다. [48] 당시 르브론은 206cm에 120kg이 넘는 몸으로 최전성기의 운동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49] 2018 파이널까지의 과정은 어빙의 이적 후 사실상 르브론 개인의 힘으로 올라간 시리즈였기 때문에 더 이상 뭘 어떻게 해도 골든스테이트를 이길 수 없다는 것이 클리블랜드 사람들의 반응이었다. [50] 현재는 안 타고 다니는 듯하다. [51] 왜 추정이냐면,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는 본인이 직접 밝히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이 물어보지는 않는 편이기 때문. 무례까지는 아닌데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불쾌하게 생각할 수 있다고 여겨 이런 문제를 직접적으로 물어보지를 않는게 대부분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미국 미디어들도 르브론 제임스에게 이름의 유래를 직접적으로 물어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듯하다. [52] 그래서 그런지 이름 앞부분인 Le- 부분과 관련된 밈을 현지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볼수 있다. 예를 들면 르브론이 컨테스트 3점을 넣으면 LeFuckYou3(...), 르브론이 무언가를 제대로 예측하면 LeProphet, 르브론이 어이없는 플랍을 시전하면 LeFlop, 르브론의 야투감각이 형편없으면 LeBrick과 같이 르브론이 어이없는 행동/발언을 할 때 마다 꾸준히 소환된다 [53] 다만 실제로 르브론의 데뷔 경기인 2003년 10월 29일 경기 기록지를 보면 자바리 시니어가 경기 내내 벤치에 앉아 있었다. [54] 화요일이 아닌 날이라도 할때가 있는데, 이때는 세계 어딘가에는 화요일이겠지 같은 드립을 친다. [55] 원래는 psych로 써야 한다. 쉽게 말해 뻥이야! 정도? 물론 밝은 분위기로 나온다면 생략한다. [56] 브로니나 브라이스, 주리같은 아이들은 잘 받아주는데, 유독 아내인 사반나는 잘 안 받아준다. 이불을 뒤집어 쓰고 있다든지, 짧게 타코? 정도만 해준다. [57] 이날은 110점을 넣었기 때문에 진짜 타코 튜스데이였다. [58] 2020 올스타전 이후에 한것으로 추정. [59] 네이마르는 코비의 헬기 사고 소식을 듣고 골 세레머니로 코비를 추모하기도 했고 휴식기에 NBA를 보러오는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60] 르브론이 외치는것 기준이고 벅스는 이 앞에 화요일인것을 빼먹지 않는다. 정확한 대사는 벅스: '화요일 타코먹는 날까지 있어도 될까?' 르브론: '타코 먹는~날! 좋지!' [61] 이 어두운 사진은 Evil Lebron이라고 불린다. 약간 두 자아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가진 밈이라고 보면 된다. [62] 글레이징 또한 밈 단어로 일정한 사람이나 단체를 (그리고 이 의도에서는 르브론 제임스를) 마치 신 처럼 숭배하듯이 인터넷에서 그 인물이나 단체를 과도하게 사랑하고 비판이나 논란이 될만한 걸 실드 쳐 주는 그런 단어이다. 일종의 정신승리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63] 카메오 출연이지만 웬만한 조연만큼의 비중이다. 부자면서도 돈문제에 관해서 상당히 쪼잔한 면이 있으면서(친구 왈 "니가 지금 차고 있는 시계가 내가 사는 아파트보다 더 비싼데 나보고 점심을 사라고?") 친구 일에는 또 오지랖 넓게 간섭하는 역할로 나오는데, 연기력이 상당하다. [64]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65] 해당 광고는 <파천일검> 작가 아신(김영헌)에 의해 만화화되어 전국 나이키 매장에 배포되었다. 영어 및 중국어판으로도 번역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