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군청(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교통 시설 | ||
도로 | 분류 | 자동차전용도로(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 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 지하도 · 지하차도) | |
등급 |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
시설물 | 교차로( 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 ||
기타 |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 ||
철도 | 분류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 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 |
형태 | 지하철 · 고가철도 | ||
시설물 | 역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 ||
항만 | 항구( 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 ||
공항 |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 ||
기타 | 운하, 갑문 | ||
공간 시설 |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 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 |||
유통·공급 시설 | |||
유통·생산 | 공장 · 물류 터미널 | ||
공급 | 수도 |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 |
전기 |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 ||
방송·통신 |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 ||
시장 | 재래시장( 도매시장) · 쇼핑몰( 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 ||
유류 | 주유소 | ||
공공·문화 체육 시설 | |||
공공 기관 | 중앙관청 및 지방관청( 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 ||
교육 | 유치원 · 학교 · 학원 | ||
문화 |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 ||
체육 | 운동장( 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 ||
복지 |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노치원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 ||
방재 시설 | |||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보 · 댐 · 빗물펌프장 · 저류지 | |||
보건 위생 시설 | |||
의료 | 병원( 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 ||
결혼 | 결혼식장 | ||
장례 |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 ||
기타 | 도축장 | ||
환경 기초 시설 | |||
하수도 | 하수 처리장 · 정화조 | ||
폐기물 처리 | 매립지 · 소각장 | ||
기타 | 폐차장 | }}}}}}}}} |
위 사진은 경기도 양평군청[1] |
1. 개요
郡 廳, County Office고을의 청사 중 하나로, 대한민국에서 군의 행정을 관할하는 관청. 군의 단체장은 시장, 구청장처럼 군장이나 군청장이 아닌 군수라고 부른다.
옛날 도농분리 체제 시절에는 새로 시 승격된 지역 안에 군청을 두는 경우가 빈번했다. 시 승격된 곳이 그 군의 중심지였으므로... 사례로는 청사의 소재지가 불일치하는 행정구역 문서로.
군 중에 군청 소재지의 명칭이 군의 명칭과 동일한 경우(예컨대 울릉군 울릉읍)가 있는데, 이는 박정희 정부 때 지방자치법이 개정되어 읍 승격 요건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군청 소재지에 한해서는 읍으로 승격을 해 줄 수 있는 길을 특별히 열어준 덕분에 그때 읍으로 승격한 사례이다. 위 울릉읍의 경우, 승격 이전엔 남면이었고, 울릉읍 승격 전까지는 울릉군엔 읍 자체가 없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군청소재지가 군의 이름과 동일한 읍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군 청사들은 거의 학교 건물과 유사하며, 대개 5층 이하인 경우가 많다. 물론 몇몇 시들도 이러한 경우가 있다. 간혹 군이 시로 승격할 때 기존 군 청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시가 팽창하여 대도시가 되었음에도 아직 지역에 돈이 없다든가, 이전 예정지로 인해 말이 많던가 아직은 그럴 만한 자격이 안 된다든가 등등의 이유들로 기존 군 청사를 그대로 쓰는 경우(대표적으로 고양시)도 있다.
어찌되었든 업무 공간 부족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편+청사를 방문하는 민원인들의 불편 등의 이유로 청사를 조금이라도 리모델링하거나 별관을 늘리거나 아예 새로 짓는 경우도 있다.
2. 대한민국의 군청 소재지
2.1. 광역시 산하의 군
부산, 대구(2곳), 인천(2곳), 울산에 있다.2.1.1. 부산광역시
2.1.2. 대구광역시
2.1.3. 인천광역시
2.1.4. 울산광역시
2.2. 도 산하의 군
2.2.1. 경기도
2.2.2. 강원특별자치도
2.2.3. 충청남도
- 금산군청 - 금산군 금산읍 군청길 13
2.2.4. 충청북도
- 괴산군청 -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90
2.2.5. 전라남도
- 강진군청 - 강진군 강진읍 탐진로 111
- 고흥군청 - 고흥군 고흥읍 고흥군청로 1
- 구례군청 -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
- 영광군청 -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 203
- 완도군청 -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남로 51
- 장성군청 - 장성군 장성읍 영천로 200
- 장흥군청 - 장흥군 장흥읍 장흥로 21
- 진도군청 - 진도군 진도읍 철마길 25
2.2.6. 전북특별자치도
- 무주군청 - 무주군 무주읍 주계로 97
-
완주군청 -
완주군 용진읍 지암로 61
본래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2가에 있다가 2012년 용진면으로 이전했다. 용진면은 2015년 읍으로 승격.
- 임실군청 -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30
- 진안군청 - 진안군 진안읍 중앙로 67
2.2.7. 경상남도
2.2.8. 경상북도
- 봉화군청 - 봉화군 봉화읍 봉화로 1111 (내성리)
-
예천군청 -
예천군 예천읍 충효로 111 (대심리)
본래 '예천읍 군청길 33(노상리)'에 있다가 2018년 이전[4]했다. 마치 청와대나 경상북도청를 흉내낸 듯한 신 청사 건물로 인해 여러모로 비난을 받았었다.
- 울진군청 - 울진군 울진읍 울진중앙로 121 (읍내리)
- 의성군청 - 의성군 의성읍 군청길 31 (후죽리)
2.3. 군청소재지와 군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청소재지를 읍으로 승격하는 정책이 통과된 이후 대부분의 군청은 군과 이름이 같은 읍내(대체로 군의 전통적 중심지)에 있게 되었으나, 특정 지자체의 교외 지역을 모아 놓았다거나, 교통이 너무 불편하다거나 한 이유로 여전히 그렇지 않은 군들이 몇 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미추홀구 용현동): 인천 소속의 외딴섬들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군으로, 각 섬들로 통하는 배가 모이는 지점 근처에 군청이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구 현풍군 지역에 대구의 교외 지역을 붙여 만들어진 군으로, 출범 후부터 대구광역시의 교외 지역이라는 성격이 강했다. 현재 군청은 구 현풍군 관내이지만 역사적 중심지는 아닌 논공읍에 자리한다.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이곳 역시 옛 울산의 교외 지역을 모아서 만들어진 군이다.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고성읍이 존재하긴 하나 현재는 북한 땅이다. 고성역 역시 북한에 있으며, 현재는 삼일포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한국전쟁 이후 철원읍 관내로 휴전선이 통과하게 되면서 철원읍 시가지가 통째로 갈말읍, 동송읍과 철원읍 사이로 이사했다.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옛 무안군 소속 외딴섬들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군으로, 이름도 새로운 무안(新安)이라는 뜻이다. 군청이 목포시에서 압해읍으로 이전해 오면서 압해읍을 신안읍으로 개칭하려 하였으나, 신안보다 압해라는 지명이 역사성이 더 깊다는 이유로 압해읍 주민들이 반발하여 그대로 유지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용진읍): 완주군의 이름은 전주시의 옛 이름인 완산주에서 따 왔다. 옛 전주의 교외 지역과 옛 고산군 지역 일부를 붙여서 만들어졌으며, 군의 중심지도 전주시내이고 버스도 2021년까지 전주시 시내버스가 다녔다. 현재는 관내인 용진읍으로 군청이 이전해 왔으나, 여전히 중심지는 전주시이고 완주군 내에서 가장 번화한 곳은 봉동읍이다.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때부터 전주와의 통합이 거론되어 왔으나 전주시에서 애매하게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 옛 고산 지역에서 대대적으로 반발하여 통합이 지지부진하다.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전통적인 중심지는 함안면이었으나, 경전선 함안역이 지형상의 이유로 가야읍에 개설된 뒤로 가야읍이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는 경전선 이설로 함안역이 함안면으로 옮겨갔으나, 여전히 가야읍에서도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원래는 고령읍이었으나, 이곳이 역사적으로 반파국(대가야)의 도읍지였으며 신라에 복속된 이후로도 한동안 대가야군으로 존속한 점을 들어 2015년 대가야읍으로 지역명을 변경하였다.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원래는 화양읍이 청도군의 중심지였으나, 경부선 청도역이 현재의 청도읍 지역을 지나가면서 이곳이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청도읍과 화양읍의 경계로 군청을 이전하였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칠곡군의 전통적 중심지인 옛 칠곡읍은 현재는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어 칠곡지구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칠곡읍 편입 이후 왜관읍이 칠곡군 잔여 지역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올라 현재에 이른다.
[1]
양평군은
대한민국에서 도 산하
군 단위
행정구역 중 인구가 가장 많은 군이다.
[천연기념물]
해남군과 장수군은 기존 청사가 노후화된데다가 청사 앞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천연기념물]
[4]
기존 군청 청사는 리모델링 후 보건소로, 군의회 청사는 예전읍 행정복지센터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