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교통 시설 | ||
도로 | 분류 | 자동차전용도로(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 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 지하도 · 지하차도) | |
등급 |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
시설물 | 교차로( 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 ||
기타 |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 ||
철도 | 분류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 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 |
형태 | 지하철 · 고가철도 | ||
시설물 | 역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 ||
항만 | 항구( 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 ||
공항 |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 ||
기타 | 운하, 갑문 | ||
공간 시설 |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 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 |||
유통·공급 시설 | |||
유통·생산 | 공장 · 물류 터미널 | ||
공급 | 수도 |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 |
전기 |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 ||
방송·통신 |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 ||
시장 | 재래시장( 도매시장) · 쇼핑몰( 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 ||
유류 | 주유소 | ||
공공·문화 체육 시설 | |||
공공 기관 | 중앙관청 및 지방관청( 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 ||
교육 | 유치원 · 학교 · 학원 | ||
문화 |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 ||
체육 | 운동장( 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 ||
복지 |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 ||
방재 시설 | |||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보 · 댐 · 빗물펌프장 · 저류지 | |||
보건 위생 시설 | |||
의료 | 병원( 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 ||
결혼 | 결혼식장 | ||
장례 |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 ||
기타 | 도축장 | ||
환경 기초 시설 | |||
하수도 | 하수 처리장 · 정화조 | ||
폐기물 처리 | 매립지 · 소각장 | ||
기타 | 폐차장 | }}}}}}}}} |
1. 개요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청 |
|
대한민국 경기도청 |
관할구역이 특정 지방 행정구역에 한정되어 있는 행정관청. 국가행정조직을 구성하여 국가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앙관청[1]에 반대되는 말이다. 지방자치제도를 시행하고 있을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을 가리킨다.
2. 역사
지방관청은 국가의 성립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국가가 성립하려면 그 국가가 지방을 통제하여야 하고, 지방을 통치하기 위한 기관이 필요하다. 이 기관이 바로 지방관청이다. 그러다가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지방관청은 국가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서서히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주민들과의 연계를 위해 자치적으로 업무를 시행할 수 있게끔 변화하였다. 물론 국가 지방관청이던 시절의 잔재는 여전히 남아서, 국가 중앙관청에 구속되는 지방관청이나 업무도 있다.3. 대한민국의 지방관청
보통지방관청과 특별지방관청으로 갈린다. 보통지방관청은 지방자치단체장이 국가의 위임사무를 처리하기도 하고, 그 지역 주민들을 자치적으로 통치하는 행정기관으로써의 이중적인 역할을 갖는다. 흔히 말하는 시청, 구청, 군청, 도청, 주민센터 등이 이런 보통지방관청이다. 특별지방관청은 특정한 법률에 의해 중앙관청에 직속된 지방관청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각 지방의 병무청과 지방 국세청, 지방 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이다. 근무하는 공무원도 보통지방관청은 지방공무원이 근무하고, 특별지방관청은 국가공무원이 근무한다.3.1.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서울특별시청 | 부산광역시청 | 대구광역시청 | 인천광역시청 | 광주광역시청 | |
대전광역시청 | 울산광역시청 | 세종특별자치시청 |
경기도청 북부청사 |
강원특별자치도청 | |
충청북도청 | 충청남도청 | 전북특별자치도청 | 전라남도청 | 경상북도청 | |
경상남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청 | 이북5도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서울특별시의회 | 부산광역시의회 | 대구광역시의회 | 인천광역시의회 | 광주광역시의회 | |
대전광역시의회 | 울산광역시의회 | 세종특별자치시의회 | 경기도의회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 |
충청북도의회 | 충청남도의회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 전라남도의회 | 경상북도의회 | |
경상남도의회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0.5px -11px" |
시 교육청 | |||
도 교육청 | ||||
}}}}}}}}} |
-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4. 지방관청의 종류
- 특별시 - 특별시청, 광역시 - 광역시청,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시청, 도 - 도청, 특별자치도 - 특별자치도청
- 시 - 시청, 군 - 군청, 구 - 구청
- 읍, 면, 동 - 주민센터
- 출장소
- 특별지방행정기관 - 위에서 언급한 중앙관청 소속의 지방관청
[1]
중앙관청이라도
특별법 등으로 규정될 경우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행정력을 행사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대표적인 예시. 물론 이
기관은 중앙관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