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영암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cd00>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양시 |
나주시 |
목포시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F47420 21%, #F47420); font-size: 1em" ]]
순천시
|
여수시 |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구례군 |
담양군 |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89c50 21%, #089c50); font-size: 1em" ]]
무안군
|
보성군 |
신안군 |
영광군 |
영암군 |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해남군 |
화순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3b54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3b54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cd6> 읍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군청
영암읍
|
삼호읍 | }}} | |||
면 | 군서면 | 금정면 | 덕진면 | |||||
도포면 | 미암면 | 서호면 | ||||||
시종면 | 신북면 | 학산면 |
1. 읍
1.1. 영암읍
영암읍 (영암) | |
면적 | 59.8㎢ |
인구 | 7,739명[A] |
하위 행정구역 | 16리(42행정리 117반)[2] |
행정복지센터 | 영암읍 낭주로 133 |
링크 | 영암읍사무소 |
삼호읍이 목포 생활권이라면, 영암읍은 광주와 나주 생활권이다. 예전부터 13번 국도가 읍 남북으로 지나면서 광주와 나주로 왕래하였으며, 오히려 광주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13번 국도 타고 영암읍에서 나주 시내까지 30분도 안 걸리며, 광주까지 1시간도 안 걸리고 진입이 가능하다.[3] 그렇다고 삼호읍과 목포시로 가는 교통도 그리 불편하진 않은게 101번 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독천터미널을 거쳐 목포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기 때문이다. 광주행 시외버스는 하루에 47편이나 있다.[4]
바로 남쪽에 월출산을 끼고 있기 때문에,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수치상의 해발 고도도 비교적 높은데[5] 거의 해수면에 근접한 곳에서 등반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6] 체감상으로는 훨씬 높게 느껴지며, 절벽이 많은 바위산으로 낙석 위험이 높아 등반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7]
영암군청, 영암경찰서, 전라남도영암교육지원청, 영암종합운동장[8], 영암 향교, 월출산기찬랜드가 있다. 학교는 영암초, 영암중, 영암여중, 영암고, 영암여고가 있다. 읍 동쪽의 활성산 때문에 한대리는 영암읍의 다른 마을로 통하는 길이 인도밖에 없어서 실질월경지나 다름없으며 영산강 유역이 아닌 탐진강 유역이다.
13번 국도로 풀치터널을 통해서 강진군 성전면과 835번 지방도로 돈밧재를 넘으면 강진군 옴천면과 접한다.
1.2. 삼호읍
자세한 내용은 삼호읍 문서 참고하십시오.삼호읍 (영암) | |
면적 | 97.0㎢ |
인구 | 21,781명(中 서부출장소 6,423명)[A] |
하위 행정구역 | 10리(68행정리 149반)[10] |
행정복지센터 | 삼호읍 중앙촌길 32 |
링크 | 삼호읍사무소 |
영암읍을 중심으로 한 군내 다른 지역은 나주와 교류를 많이 하고 병원 등 일을 보기 위해서는 광주로 가지만, 삼호읍과 학산, 미암, 서호는 목포권이다. 단순히 목포권이라는 게 아니라 마치 목포시계 내인 것처럼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목포 버스 300, 목포 버스 500, 목포 버스 900은 목포시 버스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삼호읍 주민 공식 시내버스가 된 지 오래다. 영암군의 농어촌버스가 잘 안 다니는 곳이고 목포시 노선들이 영암군 농어촌 버스보다도 훨씬 많이 굴러다닌다.
영암방조제로 해남군 산이면[11], 영산강하굿둑과 신항교( 목포대교)로 목포시와 연결된다. 이 지역의 특산물은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된 무화과.
HD현대삼호가 입주한 목포항 대불산업단지과 대한민국 해군의 제3함대사령부와 목포공항, 영암소방서, 세한대학교, 전라남도농업박물관 등이 위치해 있다. 국내 최초의 F1 개최 서킷도 이 곳에 자리잡고 있다. 학교는 대불초, 삼호중앙초, 서창초, 용당초, 삼호중, 삼호서중, 삼호고와 특수학교인 은광학교가 있다.
2. 면
2.1. 금정면
금정면 (영암) |
면 남북으로 23번 국도가 지나며, 23번 국도를 통해 북쪽으로 나주시 세지면, 남쪽으로 덤재를 넘어서 장흥군 유치면과 접한다.[14] 행정구역 상 영암군인데 영암읍보다 광주, 나주(영산포)와 장흥으로 진출하기가 더 편하다. 819번 지방도로 통해 영암읍과 가깝기는 하지만 중간에 산이 있어서 고갯길 여운재를 넘어야 했지만, 여운재터널을 뚫어 예전보다 영암 읍내로 가기가 편해졌다. 영암군 중에서 평지보단 산지가 많다. 이 때문에 서광목장이 여기에 있으며 도로를 지나다 보면 목장에 위치한 거대한 풍차들이 보인다. 물놀이 테마파크인 뱅뱅이골 기찬랜드도 여기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금정초, 영암금정중이 있다.
여담으로, 부산광역시 금정구와는 한자가 ' 金 井'으로 동일하다.
2.2. 군서면
군서면 (영암) |
면소재지인 월곡리보다는 오히려 동구림리, 서구림리 일대가 더 중심지로 보인다. 월출산을 동쪽에 끼고 있다. 왕인박사 유적지, 구림마을, 도갑사에서 월출산을 등반할 수 있다. 영암읍 천황사에서 등반하는 것 보다는 좀더 완만하고 편한 등반이 가능하다. 819번 지방도가 면 남북으로 지나면서 이 지방도로 통해 13번 국도와 2번 국도를 연결해주고 있어서 광주와 목포로 나가기가 편한 곳 이다. 학교는 구림초, 구림중, 구림공고가 있다.
최근에는 백제의 왕인을 기리기 위해 군서면에서 왕인면으로 개칭을 추진하고 있다. #
2.3. 덕진면
덕진면 (영암) |
삼국시대 및 남북국시대에 대표적인 무역항인 덕진이 있어 중국 남부 및 일본과 교류했는데, 해당 지역이 영산강 수계에 속한 데다, 지금과 달리 해수면이 높아 황해와 접했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영산강 하류 퇴적 및 간척이 지속되면서 내륙이 되었다.
교과서에도 실렸던 덕진다리 전설로 유명하다. 영보리에 영보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13번 국도가 면의 남북으로 지난다. 학교는 덕진초가 있다.
영암읍과 연계성이 강한 지역으로, 읍면 경계 표지판이 없어 어디가 영암읍이고 어디가 덕진면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이다.
2.4. 도포면
도포면 (영암) |
13번 국도가 면 동쪽으로 스치듯 지나가며, 13번 국도로 신북면을 지나다 보면 이정표에 도포란 지명이 계속 붙어있다. 접근성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 왕복 2차로여서 주변에 민가들이 위치해 있어 조심해야 한다.
또한 시종면과 영암읍을 이어주는 821번 지방도인 마한로가 남부 지역을 동서로 관통한다. 한편 서리등로가 중부 지역을 동서로 이어주며 호산로가 남북으로 이웃하는 지역과 연결하지만 언급된 도로 대부분이 왕복 2차로라 고속 주행은 바람직하지 않기에 서행이 필요하다.
도포원예마을이 있다. 학교는 도포초, 영암도포중이 있다.
2.5. 시종면
시종면 (영암) |
면소재지에서 801번 지방도와 821번 지방도가 갈라지는데 801번 지방도로 가면 나주시 공산면으로 향하고 821번 지방도로 가면 나주시 반남면으로 향한다. 영산강하굿둑 건설로 형성된 넓은 간척지를 끼고 있다. 최희섭의 고향이다. 김완 장군 묘소 및 신도비, 마한문화공원, 옥야리 고분군, 신연리 고분군 등이 있다. 신금대교가 건설되어 서호면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학교는 시종초, 시종중이 있다.
여담으로, 한자가 진짜로 '처음과 끝'을 뜻하는 그 始終이다(...). 물론 이 낱말에서 유래한 건 아니고, 부군면 통폐합 때 영암의 북이시면(北二始面), 나주의 종남면(終南面), 진도의 월경지인 명산면을 합치면서 이 이름들에서 따서 지은 것이다. 바로 이 시종면에 마한 거수국이 있었고, 근초고왕 당시에는 해남 북일면 신월리 세력과 함께 침미다례를 주도하고 있었으나 근초고왕 때부터 백제국의 마한 종주권을 인정한 바 있었다. 하지만 백제가 바로 건너편 나주 반남면 세력을 지원하면서 영암 일대는 점차 쇠퇴하게 된다. 사실 고대에는 나주와 한 생활권이었던 만큼, 나주 반남면 일대가 영암 시종면 일대의 분가 세력이었던 건 그다지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 때문에 2023년 마한면으로 개명 추진을 하는데, 나주시 측이 마한 명칭을 독점해선 안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
2.6. 신북면
신북면 (영암) |
나주(영산포)와 영암읍의 중간에 위치하며, 영암군 북부의 소중심지. 광주, 나주, 해남, 강진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탈 수 있는 신북터미널이 있고, 나주나 영암까지 군내버스도 다닌다. 전남방직 영암공장이 있다. 13번 국도를 통해 나주시 세지면과 접한다. 이 곳은 영암읍처럼 광주와 목포가 겹치는 것도 없고 그냥 광주권이다. 학교는 신북초, 신북중, 전남에너지고가 있다.
양계리, 학동리 일대에는 820번 지방도가 지나는데, 이 길이 나주 시내와 나주시 반남면을 잇는 최단경로이다. 즉, 나주시 입장에서는 같은 나주시 지역을 왕래하는 데 영암군 땅을 밟는 셈이 된다. 또한 이러한 입지 때문에 양계리, 학동리 일대는 나주 시내 및 반남면 생활권에 좀 더 가까우며, 흔히 나주시 세지면 송제리와 묶어서 군계라 불리는 갈곡리 동부와 금수리 북부 역시 나주 시내 및 세지면 생활권에 좀 더 가깝다.
2.7. 서호면
서호면 (영암) |
신금대교가 건설되어 시종면 등지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엄길리 지석묘, 장천리 선사주거지가 있다. 남해고속도로 서호학산IC가 있다. 학교는 장천초, 영암서호중이 있다.
학산천이 서호면을 가로질러 목포시 방면으로 흐르고 있고 장천리 선사 주거지, 언수 김완 장군 유적지 등이 위치해 있다.
2.8. 학산면
학산면 (영암) |
과거에는 여기와 미암면에도 갯벌이 있어서 세발낙지가 유명했지만 방조제 건설로 끝. 물론 지금도 낙지가게는 많다. 면의 모양이 동서로 길어서 무영대교 남단 근처부터 밤재터널 근처까지가 학산면에 속하는데, 이러한 형태로부터 예전에는 독천까지 바다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면소재지인 독천 일대는 서호면과 미암면 사이에 잘록하게 끼어 있다. 2번 국도를 통해 밤재를 넘으면 강진군 성전면과 접한다.
삼호읍처럼 생활권이 목포이며 2번 국도를 타고 학산면에서 목포 시내까지 30분도 안 걸린다. 독천터미널에서 목포로 가는 시외버스, 좌석버스와 농어촌버스가 다니며, 목포 버스 500번(좌석버스)의 종점이면서 동시에 목포-영암간 농어촌버스의 중간 경유지로 두 노선 모두 20 ~ 30분 간격이라 영암읍과 목포까지의 대중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부산, 순천, 해남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이 있어서 타지역으로 나가기가 편하다. 반면에 여기서 광주로 가는 버스는 없어서 영암읍까지 농어촌버스를 타고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가야한다.
학계리 지석묘군, 김완 장군 유적지, 동아보건대학교, 남해고속도로 서영암 나들목이 있다.[29] 2025년 영암월출역이 개통할 예정인데 문제는 소재지가 삼호와 독천과도 가깝지 않은 깡촌인 은곡리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독천초, 학산초, 영암낭주중, 영암낭주고가 있다. 독천시외버스터미널은 독천 바로 옆인 미암면 채지리에 위치한다.
2.9. 미암면
미암면 (영암) |
819번 지방도를 통해 해남군 계곡면과 접한다.[32] 채지리 일부 지역은 독천 시가지와 일체화 되어있으며 2번 국도 채지교차로로 통해 목포시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독천시외버스터미널도 학산면 독천리가 아닌 미암면 채지리에 위치한다. 학교는 미암초, 영암미암중이 있다.
흑석산 자연휴양림이 속해 있는 해남군 흑석산과 맞닿아 있는데 두억리, 미암리, 남산리 등 3개 리가 해당 지역이 된다.
[A]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2]
개신리·교동리·남풍리·농덕리·대신리·동무리·망호리·서남리·송평리·역리·용흥리·장암리·춘양리·학송리·한대리·회문리
[3]
수도권으로 갈 때도 삼호읍처럼
서해안고속도로보다는
13번 국도로 통해서
광주에서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가는게 더 편할 정도다.
[4]
해남,
강진에서 오는
직행버스들이
영암읍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대신
해남,
강진에서 광주직통 차량은 안 들리고 바로
광주로 향한다.
[5]
해발 810m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높이이다. 참고로 인천광역시 최고봉인
마니산의 해발고도가 472.1m로 월출산보다 340m나 더 낮다.
[6]
영암읍내 평균 고도가 고작 40m로 생각보다 낮은 편이다.
[7]
등반객들이 월출산을 보고 악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바위가 많다는 뜻과 난이도가 있는 산이라는 뜻을 모두 담고 있다.
[8]
운동장 자리에 조선시대에 있었던
역참인 영보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A]
[10]
나불리·난전리·동호리·망산리·산호리·삼포리·서창리·서호리·용당리·용앙리
[11]
해남군 마산면과 접하긴 하나 육로로 갈 수 없고 산이면을 거쳐서 가야한다.
[12]
남송리·세류리·쌍효리·아천리·안노리·연보리·연소리·와운리·용흥리·월평리·청용리
[A]
[14]
참고로 북쪽으로
화순군 도암면이 접하긴 하나 육로로 갈 수 없고
나주를 거쳐야 한다.
[15]
도갑리·도장리·동구림리·동호리·마산리·모정리·서구림리·성양리·양장리·월곡리·해창리
[A]
[17]
금강리·노송리·덕진리·백계리·영등리·영보리·용산리·운암리·장선리
[A]
[19]
구학리·덕화리·도포리·봉호리·성산리·수산리·영호리·원항리
[A]
[21]
구산리·금지리·내동리·만수리·봉소리·신연리·신학리·신흥리·옥야리·와우리·월롱리·월송리·월악리·태간리
[A]
[23]
금수리·길곡리·명동리·모산리·양계리·용산리·월지리·월평리·유곡리·이천리·장산리·학동리·행정리
[A]
[25]
금강리·몽해리·성재리·소산리·쌍풍리·임길리·장천리·청용리·태백리·화송리
[A]
[27]
금계리·독천리·매월리·묵동리·상월리·신덕리·용산리·용소리·은곡리·학계리
[A]
[29]
정작
서호학산 나들목의 실제 위치는 서호면 청용리에 있다.
[30]
남산리·두억리·미암리·선황리·신포리·신한리·채지리·춘동리·호포리
[A]
[32]
해남군 마산면과 접하긴 하나 육로로 갈 수 없고 계곡면을 거쳐서 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