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27:47

정선(화가)

겸재 정선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파일:external/www.cha.go.kr/2031708.jpg
정선이 1751년에 그린 인왕제색도.
성명 정선(鄭敾)
본관 광주 정씨(光州 鄭氏)[1]
원백(元伯)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
출생 1676년( 숙종 2) 1월 3일
한성부 북부 순화방 유란동[2]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사망 1759년( 영조 35) (향년 83세)
한성부 북부 준수방 인왕동 인곡정사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3]
부모 부친 - 정시익(鄭時翊)
모친 - 밀양 박씨(密陽 朴氏)

1. 개요2. 생애3. 작품 목록4.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화가.

2. 생애

1676년(숙종 2) 1월 3일 한성부 북부 순화방 유란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서 아버지 정시익(鄭時翊, 1638. 8. 13 ~ 1689. 1. 3)과 어머니 밀양 박씨(1644. 10. 11 ~ 1735. 5. 16)[4]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정선의 선조들은 본래 고려 말부터 전라도 광주목 나주목에 세거하던 사족(士族) 집안이었는데 그 뒤 경기도 광주부를 거쳐 정선의 고조부 정연(鄭演, 1541. 11. 21 ~ 1621. 4. 19) 대에 이르러 상경하여 한성부 북부 순화방에 정착하면서 여러 명문가와 교류하고 혼맥을 맺어 노론계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증조부 대부터 한미해져 정선이 태어났을 때에는 집안이 이미 몰락해 있었고 정선이 14세 되던 1689년에는 아버지 또한 사망했으며 그 해 일어난 기사환국으로 노론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하면서 집안이 완전히 몰락하여 홀어머니와 어린 동생의 생계를 책임져야 할 처지에 놓였다. 외가인 밀양 박씨 집안의 도움으로 서울에 머무를 수 있었지만 하루하루 먹고 살기에 급급하던 형편에 학업에 전념하기 어려웠던 정선은 일찍이 화가로서의 삶을 모색하였다.

그래도 양반 집안이어서 어릴 적 김창흡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동네에서 만난 것이 먼저인지, 김창흡 문하에서 만난 것인지는 후대에 알 수는 없으나 평생지기 이병연[5]도 함께 김창흡의 제자였다. 이 둘의 브로맨스도 유명하며 '시의 사천', '그림의 겸재'라고 일컬어졌다. 평생 우정을 나누었으며 노년에 이병연의 쾌유를 빌며 그린 그림이 바로 인왕제색도이다. 한국 고유의 진경 산수화[6] 화풍을 창시했고 뛰어난 진경 산수화가로서 명성을 날렸는데 물론 이전 세대에 한반도를 소재로 한 그림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정선의 그림처럼 주류로 내세워지지 못했으며 정선은 하나의 화단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정선의 진경 산수화는 '우리 강산, 우리 것도 충분히 그 이상으로 아름답다.'라는 자긍심을 심어주기 충분했다. 특징으로 실제와 똑같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보다 풍경을 실감나게 과장시킨다는 점에서 감각적으로 그려냈다.

그 뒤 김창집[7]의 도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위수(衛率: 왕세자를 따라 호위하는 직책)라는 벼슬을 비롯하여, 1729년에 한성부주부, 1734년 청하현감을 지냈다. 또 자인현감, 하양현감을 거쳐 1740년경에는 훈련도감낭청(訓練都監郎廳), 1740년 12월부터 1745년 1월까지는 양천현령을 지냈다.

그 뒤 약 10년 동안은 활동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1754년에 사도시첨정(司䆃寺僉正), 1755년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그리고 1756년에는 화가로서는 파격적인 가선대부 지중추부사(嘉善大夫知中樞府事)라는 종2품에 제수되기까지 하였다.

3. 작품 목록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완백공종(完伯公宗)-응교공파(應敎公派) 14세 攵변 항렬. [2] # [3] # [4] 박자진(朴自振)의 딸이다. 박자진은 1652년 증광시 생원시 진사시에 각각 2등 19위, 2등 20위로 입격하였다. 정선에게는 큰 외삼촌이 되는 장남 박현성(朴見聖)도 1675년 증광시 진사시에 2등 14위로 입격하고 현감(縣監:종6품)에 올랐다. [5] 영조 시기 유명한 시인이었다. [6] 실제 경치를 그대로 그리는것(실경산수화)이 아니라 경치를 실제로 본 뒤에 생략할 것은 생략하고 축소할 것은 축소하고 부각할 것은 부각하며 그림속에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생각과 철학을 담아내어 그리는것이다. 서양화로 비교하여 보았을때 인상주의라고 볼 수 있다 . 이전의 산수화는 전통적으로 중국과 사대 관계 영향으로 대개 중국적 도상, 중국 고사에 나오는 인물, 장소, 실제 중국 명승지 등을 상상해서 그렸는데 상상해서 그린 이유는 단순히 가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과거 시험이나 장사 등의 이유로 이동하려고 해도 당시 조선은 공권력이 미약했기에 맹수 도적들을 쉽사리 볼 수 있었던 데다가 당시에는 비행기, 자동차, 철도 등 고속 교통 수단이 당연히 없던 때였고 말과 마차를 타면 그나마 빨리 이동을 할 수 있기는 했지만 말 값이 싸지 않았기 때문에 대다수가 이용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컸다. 이렇게 국내 여행도 만만한 일이 아니었는데 하물며 외국으로 나갔다 오면 아무리 필담을 할 수 있다해도 문맹률이 높던 시절인지라 아무나 필담으로 소통하지는 못했던 데다가 비용은 비용대로 시간은 시간대로 들었으니 위험성은 훨씬 컸다. [7] 스승 김창흡의 큰 형 [8] 그것도 그냥 관계가 있는 정도가 아니고,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에서 한국으로 파견한 베네딕토회 수사들이 세운 수도원의 후신이 바로 왜관수도원이다. [9] 정선은 관직 생활을 음직으로 시작했기 때문인데, 음직으로 관직에 올라온 자는 과거 시험을 통과한 자들에 비해 올라갈 수 있는 품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음서 과거 제도 항목을 참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