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0년 | |||||
7월 김정희 |
8월 장영실 |
9월 김소월 |
10월 세종대왕 |
11월 김홍도 |
12월 신재효 |
|
1991년 | ||||||
1월 나운규 |
2월 정철 |
3월 한용운 |
4월 김정호 |
5월 방정환 |
6월 정약용 |
|
7월 문익점 |
8월 안익태 |
9월 허준 |
10월 주시경 |
11월 윤선도 |
12월 이해랑 |
|
1992년 | ||||||
1월 이황 |
2월 정선 |
3월 박지원 |
4월 우장춘 |
5월 신사임당 |
6월 류성룡 |
|
7월 일연 |
8월 홍난파 |
9월 고유섭 |
10월 이윤재 |
11월 안창호 |
12월 윤동주 |
|
1993년 | ||||||
1월 이이 |
2월 이인문 |
3월 장보고 |
4월 이천 |
5월 윤극영 |
6월 원효 |
|
7월 지석영 |
8월 안중근 |
9월 박연 |
10월 최현배 |
11월 장지연 |
12월 윤백남 |
|
1994년 | ||||||
1월 우륵 |
2월 황희 |
3월 김유정 |
4월 홍대용 |
5월 강소천 |
6월 이상백 |
|
7월 안견 |
8월 박은식 |
9월 박승희 |
10월 이희승 |
11월 정도전 |
12월 신채호 |
|
1995년 | ||||||
1월 강세황 |
2월 조식 |
3월 월터 정 |
4월 최무선 |
5월 이원수 |
6월 김병로 |
|
7월 이육사 |
8월 김구 |
9월 채동선 |
10월 김윤경 |
11월 이수광 |
12월 곽재우 |
|
1996년 | ||||||
1월 김만중 |
2월 최치원 |
3월 이순지 |
4월 서재필 |
5월 김명국 |
6월 유일한 |
|
7월 도선 |
8월 심훈 |
9월 왕산악 |
10월 정인승 |
11월 전형필 |
12월 이제마 |
|
1997년 | ||||||
1월 송석하 |
2월 성현 |
3월 최윤덕 |
4월 이중환 |
5월 초의 (의순) |
6월 한호 |
|
7월 이세보 |
8월 박제가 |
9월 박진 |
10월 장지영 |
11월 왕인 |
12월 송진우 |
|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 ||||||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 |
강세황의 자화상으로 알려진 그림(좌)과 이명기가 그린 강세황 초상(우) | |
성명 | 강세황(姜世晃) |
본관 | 진주 강씨[1] |
호 | 표암(豹菴) |
종교 | 유교 |
출생 |
1713년
7월 13일 조선 한성부 남산 남소동[2] |
사망 |
1791년
2월 25일 (향년 77세) 조선 한성부 남산 |
부모 | 부친 - 강현(姜鋧, 1650 ~ 1733) |
형제자매 | 3남 6녀 중 막내 |
부인 |
진주 류씨 류뇌(柳耒)의 딸 나주 나씨 |
자녀 |
장남 - 강인(姜 亻+寅) 류씨 소생 차남 - 강완(姜俒) 류씨 소생 3남 - 강관(姜倌) 류씨 소생 4남 - 강빈(姜儐) 류씨 소생 5남 - 강신(姜信) 나씨 소생 |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화가.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표암(豹菴). 저서로는 <표암집>이 있다.많은 사람들이 김홍도의 스승이자 조선 시대의 뛰어난 화가로만 알지만 예조판서까지 지낸 문인이다.
2. 생애
아버지 문안공 강현의 3남 6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776년에 기로정시에서 갑과 1등(장원)에 급제하고 기로사에 뽑힌 뒤에는 예조판서까지 올랐다. 정조 때에는 천추부사로 북경에 갔을 때 많은 청나라 사람들이 강세황의 그림을 구하려 할 정도로 중국에까지 소문이 났다 한다.강세황은 정선의 화풍을 이었고 다른 화가들을 후원하기도 했으며 주로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사람의 그림을 평가하는 역할을 했다. 문인 출신이지만 글씨와 서화에 능해 한국화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모두 강세황이 유행시켰고 조선에 서양식 화법을 들여오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기도 하였으니 조선의 그림을 바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그림
주로 문인화, 인물화, 글씨 중에서도 전서와 예서, 산수화와 사군자 등을 위주로 그렸는데 장르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다 잘 그렸다.-
송도기행첩 중 영통동구도(일명 영통골 입구도)
이 그림은 지금까지의 동양화와 다르게 서양화 기법인 명암법이 사용된 그림이다.
-
강세황의 자화상
문서 상단 좌측에 있는 그림인데, 이 그림 사실 김홍도가 그린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동천 중국 랴오닝성 박물관 특빙연구원의 글.
-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강세황은 이 그림의 소나무 부분만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