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1:24:35

장르


1. 개요2. 각 계열별 설명
2.1. 게임2.2. 문학2.3.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 영상매체2.4. 음악
2.4.1. 설명 및 한계2.4.2. 역사에 따른 장르 확장2.4.3. 지역 문화 언어에 따른 구분2.4.4. 장르 활용 및 표기 예2.4.5. 장르 수정
2.5. 성인물
3. 그 외의 장르 구분4. 참조하면 좋은 문서들5. 동인계의 은어6. 기타

1. 개요

Genre

프랑스어로 종류나 유형(type)을 하는 .

현대에는 문학이나 음악 등 예술작품의 양식을 분류하는 말로 쓰인다.[1]

즉 문학,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이야기나 예술작품이 가진 성격을 커다란 카테고리로 묶어 대략적인 작품의 내용을 정의하거나 분류하는 말이다.

사실 어디까지가 장르인지 확실히 정해져 있지 않다. 일단 주제를 알면 장르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장이 있으면 논설문[2], 개인의 경험이 들어가면 수필인데 이 둘도 어떻게 보자면 장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작품의 스타일, 시대적 혹은 산업적 기반, 형태, 창작자의 의지, 어른의 사정(!) 등 다양한 이유에 따라 얼마든지 붙을 수 있으며 같은 장르도 서로 다르게 이해하는 경우가 잦아 장르 논쟁의 소용돌이 속에 말려들어가기도 한다. 사실 이건 장르 자체가 유동적이라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일, 실제로 대분류에선 변동이 없지만 세 분류로 가면 살짝 비트는 것만으로도 장르 하나가 뚝딱 나올 정도로 끝이 없다.

2. 각 계열별 설명

2.1.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임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초기엔 액션 게임, 슈팅 게임, RPG 등의 개략적인 구분밖에 없었으나, 시간이 흐르며 대전 격투 게임 등 세부장르가 추가되고, 이것들이 다시 메인 장르로 올라가는 등 변동이 많다. 다른 장르들도 그랬듯 게임도 세분류에선 많이 복잡해졌으며, 어떤 게임은 퍼즐에 액션을 도입하는 등 다른 장르끼리 섞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 로맨틱 굴리기 액션'등 분류로서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유니크한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유니크한 장르의 극단적인 예로 게임 이름이 장르 이름으로 굳어버린 테트리스가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장르간의 경계가 희박해지고 있어서 장르를 딱 정해서 분류하기 힘든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가령 과거에는 RPG의 전유물이었던 레벨업 개념도 각종 FPS에서 퍽(Perk) 등으로 도입되기도 하고 인디 게임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뭐라고 분류해야 할지 알 수 없는 독특한 게임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오히려 순수 장르 게임들은 매니악해져 대세에서 밀려나는 추세가 강하다.

2.2. 문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예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 영상매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장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악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1. 설명 및 한계

객관적으로는 소리의 형식, 주관적으로는 청자의 관습이나 음악의 역사에 따라 다양한 음악을 나눈 일종의 범주.
악기, 박자, 리듬 등의 소리의 물리적인 특성에 따라 음악을 나눌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비슷한 부류의 음악과 다른 음악과의 차별점을 구분짓기 위한 주관적인 기준이 개입되어 같은 음악을 사람마다 다른 장르로 분류하기도, 장르 논쟁으로 다투기도 한다. 장르에 대해 어느 정도 기준은 있지만 통일되어 있지는 않기에 상위 범주로 뭉뜽그려 정의하는 경향이 많지만, 이에 따라 엄밀히 다른 부류의 음악이 같은 장르로 묶이기도 한다.

장르 그 자체는 그저 특정 음악들의 특징을 묶어놓아 수식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지나치게 얽매일 필요도 없으며 굳이 무시하려 할 필요도 없다. 장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편하라고 있는 것이므로, 장르에 속박되는 시각을 가지지 않는 것이 좋다.

2.4.2. 역사에 따른 장르 확장

백인 위주의 음악에서 흑인의 가스펠 음악이 유행을 타고, 기존과의 음악을 클래식이라 부르며 선을 그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음악이 태동하자 그에 따른 양식이 발전하면서 또다른 이름의 장르가 분화되는 등 장르는 시대에 따라 필요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장르가 가지고 있는 특정 음악적 부분을 강조하거나 그것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장르, 하위장르(또는 서브장르)가 생겨나고 있으며, 탈장르적인 음악도 증가하고 있다.[3] 서브장르와 서브장르가 만나 그 교집합적인 또다른 서브장르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장르 자체를 편견이라 치부하며 자신의 장르를 말하지 않는 음악인도 있다. 대중가요는 유행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어떤 장르의 특징에 얽매이지 않고 듣기 편한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편의상 어떤 장르라고 붙이기도 하고, 이런 음악들을 이지리스닝이라는 장르로 묶기도 한다. 이런 경향에서 장르를 강조하는 아티스트는 듣기 불편한 요소를 강조하면서 자신만의 음악 영역을 구축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새로 생겨나는 장르는 "아티스트"의 명성에 좌우되는 경향도 있다. 선구자가 되고픈 욕심이기도 하고, 이 장르에 뼈를 묻겠다! 라고 할 정도로 한 장르에 집착하는 뮤지션 때문이기도 하다. 여러 가지를 실험하면서 다양하게 건드려 보는 뮤지션도 있다. 그리고 장르도 시대의 흐름을 타면서 명멸하거나 짧거나 혹은 길게 소비되기도 한다. 음악의 발전사이며 취향이고 존중하자.

2.4.3. 지역 문화 언어에 따른 구분

미국과 유럽에서 음악이 발전하고 장르에 관해 갑론을박이 펼쳐지는 동안, 우리나라는 전쟁중이었다(...) 음악의 역사에 따라 분화된 그 당시의 장르와 그 의의는 우리에게는 큰 의미로 다가오지 않는다는 의미다. 되려 최신 유행하는 음악부터 수입하여 받아들이는 탓에 상위장르(흑인음악>힙합)와 하위장르(힙합>흑인음악)가 뒤섞여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역과 민족에 따라 선호하고 유행하는 음악이 다르고 음악을 구분짓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가 애써 발라드, 힙합, 락, 메탈, 하드코어라고 음악을 나누어도 영미 기준으로 보면 그냥 k-pop 장르가 되어버린다. 그리고 그 중 세계에 유행하는 음악이 세계 시장에서 k-pop 장르를 정의하게 될 수도 있다. 한국에 아이돌 음악만 있는건 아니지만, K-POP은 강남스타일 BTS 음악이라 불리게 되는 것이다.

장르가 언어에 따라 달리 불리거나, 그 역으로 언어에 따라 장르가 달라지기도 한다. Funk Punk 펑크로 똑같이 생각하는 경우는 차치하더라도, Power Ballad의 경우 발라드에 파워가 어울리는가 의아하겠지만,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록발라드란 장르로 유명한 그 장르다. 록발라드가 발라드로 인정받지 않고, 록으로도 인정받지 않는다는건 해당 문서 참고(...)
Adult Contemporary Music같은 경우, 성인 취향의 소프트록을 지칭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직역하여 "성인가요" 장르라 통칭하던 때도 있었다. 소프트 록 음악과 뽕짝( 트로트)이 같은 장르로 묶인 셈(...)

그러니까, 장르라는건 포기하면 편해

2.4.4. 장르 활용 및 표기 예

Rate Your Music에서는 장르가 몇개인지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고, 아직까지도 새로운 장르가 생기고 있다. 하위장르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음악의 특징을 모두 담으려면 어쩔 수 없다. 직접 한번 보자. #

MP3의 메타데이터 " ID3" 첫번째 버전에서는 80개의 장르를 정의하고 있다. 현재는 장르를 장르명의 텍스트필드에 자유롭게 입력하지만, 그 당시에는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 번호로 장르를 기록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잘 보면 장르 같지 않은 장르도 있고, 미국식 기준으로 장르명을 붙인 것을 느낄 수 있다. 일단 Techno까지가 ABC 1순환이고, 유럽 음악은 Euro 접두어가 붙거나, American에 Native가 붙어 전통음악(...)을 칭하는 등.
 [0] Blues ( 블루스)  [1] Classic Rock  [2] Country( 컨트리 뮤직)  [3] Dance( 댄스)  [4] Disco( 디스코)
 [5] Funk( 펑키)  [6] Grunge( 그런지)  [7] Hip-Hop( 힙합)  [8] Jazz( 재즈)  [9] Metal( 메탈(음악))
 [10] New Age( 뉴에이지)  [11] Oldies( 뽕짝)  [12] Other( 기타)  [13] Pop( 대중음악)  [14] R&B(알앤비)
 [15] Rap(랩)  [16] Reggae( 레게)  [17] Rock( 록 음악)  [18] Techno( 테크노)  [19] Industrial
 [20] Alternative( 얼터너티브 R&B)  [21] Ska  [22] Death Metal  [23] Pranks  [24] Soundtrack
 [25] Euro-Techno  [26] Ambient( 앰비언트 뮤직)  [27] Trip-Hop  [28] Vocal  [29] Jazz+Funk
 [30] Fusion  [31] Trance( 트랜스(음악))  [32] Classical  [33] Instrumental  [34] Acid
 [35] House( 하우스(음악))  [36] Game  [37] Sound Clip  [38] Gospel( 가스펠)  [39] Noise( 소음)
 [40] AlternRock  [41] Bass  [42] Soul()  [43] Punk( 펑크)  [44] Space( 뉴에이지+ 앰비언트 뮤직)
 [45] Meditative  [46] Instrumental Pop  [47] Instrumental Rock  [48] Ethnic  [49] Gothic
 [50] Darkwave  [51] Techno-Industrial  [52] Electronic  [53] Pop-Folk  [54] Eurodance
 [55] Dream( 드림 팝)  [56] Southern Rock  [57] Comedy  [58] Cult  [59] Gangsta
 [60] Top 40( 인기가요)  [61] Christian Rap  [62] Pop/Funk  [63] Jungle  [64] Native American
 [65] Cabaret  [66] New Wave  [67] Psychadelic  [68] Rave  [69] Showtunes
 [70] Trailer  [71] Lo-Fi  [72] Tribal  [73] Acid Punk  [74] Acid Jazz
 [75] Polka  [76] Retro  [77] Musical  [78] Rock & Roll  [79] Hard Rock

윈앰프는 상위 ID3 장르에 몇개를 더 확장하여 126가지 장르를 정의한다.
 [80] Folk( 포크 음악)  [81] Folk-Rock  [82] National Folk  [83] Swing  [84] Fast Fusion
 [85] Bebob  [86] Latin  [87] Revival  [88] Celtic  [89] Bluegrass
 [90] Avantgarde  [91] Gothic Rock  [92] Progressive Rock  [93] Psychedelic Rock  [94] Symphonic Rock
 [95] Slow Rock  [96] Big Band  [97] Chorus  [98] Easy Listening  [99] Acoustic
 [100] Humour  [101] Speech  [102] Chanson  [103] Opera  [104] Chamber Music
 [105] Sonata  [106] Symphony  [107] Booty Bass  [108] Primus [109] Porn Groove( 도쿄 핫)
 [110] Satire  [111] Slow Jam  [112] Club  [113] Tango  [114] Samba
 [115] Folklore [116] Ballad( 발라드)  [117] Power Ballad( 파워 록발라드)  [118] Rhythmic Soul  [119] Freestyle
 [120] Duet [121] Punk Rock  [122] Drum Solo( 유플래시)  [123] A capella  [124] Euro-House  [125] Dance Hall

멜론(음원 서비스)을 비롯한 스트리밍 업체에서는 6~10개의 음악장르를 주로 사용한다. 장르를 세세하게 나누지 않고 유사하지 않은 음악을 배제한다는 느낌으로 활용한다.
댄스 발라드 / 힙합 R&B/Soul 인디음악 / 메탈 트로트 포크/ 블루스

리듬 게임의 악곡의 장르는 일반적인 음악의 장르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대개는 수식어 + 일반 장르명의 형태도 많이 사용하며, 심지어는 일반 장르명과는 전혀 상관없는 장르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비트매니아 IIDX의 악곡인 의 장르명인 HUMAN SEQUENCER가 있다. 이것이 극단적으로 나타난 팝픈뮤직을 필두로, 비트매니아 IIDX도 11 IIDX RED 이후로 희한한 장르명이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따라서 리듬게임 악곡의 장르는 맹신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장르 표기가 아니라 곡의 부제를 표기한다고 봐도 좋은 수준.

최근 유비트를 필두로 한 차세대 리듬게임의 경우 게임 내에서 장르명을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DJMAX 시리즈, 특히 DJMAX TECHNIKA 시리즈는 예외.

2.4.5. 장르 수정

음원을 갖고 있다면, 음악 파일에서 장르 정보는 파일의 " 태그"나 " 메타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미디어 파일의 "컨테이너[4]"에 따라 태그 기록방식이 달라지는데[5] 기술적인 지식을 다 알 필요는 없고, itunes나 mp3tag 같은 태그 수정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마음에 들지 않는 장르를 수정하거나 Top 40같이 자기만의 장르를 만들 수 있다. Dance와 댄스를 통일할 수도 있다. [6]

미디어 플레이어가 복합장르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청자의 니즈와 다르게 "취향에 따른 서브장르"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재생목록"에 의존하여 음악을 구분지을 수밖에 없다. 팁을 남기자면 .m3u나 .m3u8 파일의 재생목록을 만들어 음악파일과 같이 두면 대다수의 앱에서 재생목록을 인식해준다. m3u파일은 메모장으로 열고 수정할 수 있다.

2.5. 성인물

3. 그 외의 장르 구분

4. 참조하면 좋은 문서들

5. 동인계의 은어

장르라는 말을 '카테고리'의 의미가 아닌 2차 창작물의 원작명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원피스(만화)는 소년 만화라는 '장르'에 속하는 '작품' 이름이지 원피스(만화)는 장르의 이름이 아닌데도 이를 장르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비슷한 계열의 표현으로는 'コンテンツ(콘텐츠)', '界隈(그 주위)', 'クラスタ(클러스터)' 등이 있다.

어째서 이런 커뮤니티 등지에서 '작품명'을 '장르명'이라고 부르게 되었는지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1987년 여름 코믹 마켓 C32부터 세인트 세이야, 캡틴 츠바사, 타카하시 루미코의 분류를 위해 독자적인 '장르 코드'를 부여한 것이 그 시초로 여겨지고 있다. 즉 특정 작품들에 대한 2차 창작 규모가 커져 그것을 하나의 큰 분류로서 구분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에 '장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 어찌 보면 태그 분류법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경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어, 코믹 마켓에서는 작품명 이외에도 작가명, 시리즈명, 게임 회사명 등 다양한 형태에 장르 코드를 부여하고 있음을 코미케100 사이트의 장르코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목록을 참고하면 창작이나 코스프레 등 '작품명'이 아닌 분류로서의 용어 '장르'도 혼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간이 변함에 따라 특정 작품에 대한 장르 코드가 생성되기도, 사라지기도 한다. 멜론북스 토라노아나 등 동인샵에서도 원작명을 비롯한 모든 카테고리의 표현을 '장르(ジャンル)'로 퉁쳐서 표기하고 있다.

일본 동인계에서 등장한 용법이 한국에 전파되며 여초 동인계에서 이와 같은 표현을 흡수하였고 트위터 등지에서 장르 = 내가 좋아하는 작품(원작)이라는 의미의 용법이 퍼지며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초 동인 팬덤의 용법: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소개할 때) "제 본진 장르입니다! 정말 재밌어요!"
올바른 용법: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소개할 때)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정말 재밌어요!"

이와 같은 식으로 작품을 논할 때 작품명을 바로 지칭하기 보다는 '우리 장르' '타 장르' 같은 식으로 돌려 말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에서는 ' 自ジャンル'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듯하다.

다만 작품 각각을 장르로 지칭하는 이러한 용법은 한국에서는 사실상 여성층에서만 통용되며 남성층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남성층과 여성층의 소비 방법이 크게 다르다는 점과 남성향-여성향 간의 갈등이 심화된 이래 트위터를 비롯한 여초 커뮤니티와 그 문화, 주로 쓰이는 어휘 등에 대한 반감과 배척도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

6. 기타


[1] 참고로 영어권에서는 샨러(어두에서 무성음으로 내는 경우)/잔러(ʒɑːnrə)라는 식으로 발음한다. 겐레가 아니다. [2] 어떤 문제에 대한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글. [3] 흔히 말하는 프로그레시브 뮤직도 의도는 이쪽 범주로 볼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러한 프로그레시브 뮤직이 시대에 맞춰서 받아들여지는 경우, '장르'로 정착된 경우가 많다. [4] mp4, ogg, mkv 같은 [5] ID3, APE, ISO(mp4), vorbis comment 등 [6] 단 자동차 카오디오 등 오래된 mp3 플레이어 같은 경우, 태그가 없는 구버전(순수한) mp3만 재생가능한 경우가 있으니 알아보고 수정하는게 좋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