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2:09:33

페드로 알모도바르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FE0E416-C7B3-4938-9B42-350CBEBDE048.png
아스투리아스 공상 예술부문 수상자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7px;margin-top:-3px;margin-bottom:-3px"
{{{#000,#ddd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헤수스 로페스 코보스
(지휘자)
파블로 세라노
(조각가)
에우제비오 샘페레
(조각가)
오르페온 도노스티아라
(합창단)
안토니오 로페즈 가르시아
(화가)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루이스 가르시아 베를랑가
(영화 감독)
에두아르도 칠리다
(조각가)
호르헤 오테이사
(조각가)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건축가)
안토니 타피에스
(화가)
1991년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소프라노)
테레사 베르간자
(소프라노)
몽셰라 카바예
(소프라노)
호세 카레라스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
(테너)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알프레도 크라우스
(테너)
필라르 로렌가르
(소프라노)
로베르토 마타
(화가)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사엔스 데 오이사
(건축가)
알리시아 데 라로차
(피아니스트)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배우)
호아킨 로드리고
(작곡가)
비토리오 가스만
(배우)
세바스티오 살가도
(사진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건축가)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바바라 헨드릭스
(소프라노)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작곡가)
우디 앨런
(영화 감독)
미쿠엘 바르셀로
(화가)
파코 데 루시아
(기타리스트)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마이야 플리세츠카야, 타마라 로조
(발레리나)
페드로 알모도바르
(영화 감독)
밥 딜런
(싱어송라이터)
엘 시스테마
(육성재단)
노먼 포스터
(건축가)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리처드 세라
(건축가)
리카르도 무티
(지휘자)
라파엘 모네오
(건축가)
미카엘 하네케
(영화 감독)
프랭크 게리
(건축가)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영화 감독)
누리아 에스페르트
(배우)
윌리엄 켄트리지
(화가)
마틴 스코세이지
(영화 감독)
피터 브룩
(연극 연출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엔니오 모리코네, 존 윌리엄스
(영화 음악가, 공동 수상)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0년 1971년 1972년
오슨 웰스 잉마르 베리만 마르셀 카르네 존 포드 찰리 채플린
1972년 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 빌리 와일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 루이스 부뉴엘 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 장뤽 고다르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알렉산더 클루게 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 1983년
마이클 파웰 사티야지트 레이 킹 비더 세자르 자바티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 1986년 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존 휴스턴 페데리코 펠리니 타비아니 형제 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요리스 이벤스 로베르 브레송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얀초 미클로시 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 1992년 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 잔느 모로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파올로 빌라조 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 1994년
로버트 드 니로 로만 폴란스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알 파치노 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 1995년
켄 로치 우디 앨런 모니카 비티 마틴 스코세이지 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 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 주세페 드 산티스 조프레도 롬바르도 알랭 레네 로버트 올트먼
1996년 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 더스틴 호프먼 미셸 모르강 제라르 드파르디유 스탠리 큐브릭
1997년 1998년 1999년
알리다 발리 워렌 비티 소피아 로렌 안제이 바이다 제리 루이스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에릭 로메르 디노 리시 디노 드 로렌티스 오마 샤리프
2004년 2005년 2006년
스탠리 도넌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미야자키 하야오 스테파니아 산드렐리 데이비드 린치
2007년 2008년 2009년
팀 버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에르만노 올미 존 라세터 브래드 버드
2009년 2010년 2011년
피트 닥터 앤드루 스탠튼 리 언크리치 오우삼 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 윌리엄 프리드킨 델마 스쿤메이커 프레더릭 와이즈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 2017년 2018년
장폴 벨몽도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제인 폰다 로버트 레드포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 2019년 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줄리 앤드류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허안화 틸다 스윈튼
2021년 2022년 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 제이미 리 커티스 카트린 드뇌브 폴 슈레이더 양조위
2023년 2024년 2025년
릴리아나 카바니 피터 위어 시고니 위버
}}}}}}}}} ||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6년 1977년 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 다이애나 로스 앙리 랑글루아 자크 타티 로버트 도프만
1978년 1979년 1980년
르네 고시니 마르셀 카르네 샤를 바넬 월트 디즈니 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 1981년 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 커크 더글러스 마르셀 파뇰 알랭 레네 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 1983년 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 장 네니 안제이 바이다 Raimu 르네 클레망
1984년 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 에드위지 푸이에르 크리스티앙 자크 다니엘 다리외 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 1986년
알렝 프와레 모리스 자르 베티 데이비스 장 들라누아 René Ferracci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클로드 란츠만 장뤽 고다르 세르지 실버만 베르나르 블리에 폴 그리모
1990년 1991년 1992년
제라르 필리프 장 피에르 오몽 소피아 로렌 미셸 모르강 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 1994년 1995년
장 마레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제라드 우리 장 카르메 잔느 모로
1995년 1997년 1997년
그레고리 펙 스티븐 스필버그 로렌 바콜 앙리 베르누이 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 1998년 1999년
앤디 맥도웰 마이클 더글러스 클린트 이스트우드 장뤽 고다르 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 2000년
조니 뎁 장 로슈포르 조지안 발라스코 조르주 크라벤느 장피에르 레오
2000년 2001년 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 데리 코울 샬럿 램플링 아녜스 바르다 아누크 에메
2002년 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 찰리 리치 베르나데트 라퐁 스파이크 리 메릴 스트립
2004년 2005년 2006년
미셸린 프레슬 자크 뒤트롱 윌 스미스 휴 그랜트 피에르 리차르
2007년 2008년
마를렌 조베르 주드 로 잔느 모로 로베르토 베니니 로미 슈나이더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더스틴 호프먼 해리슨 포드 쿠엔틴 타란티노 케이트 윈슬렛 케빈 코스트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스칼렛 요한슨 숀 펜 마이클 더글러스 조지 클루니 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 없음* 케이트 블란쳇 데이비드 핀처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크리스토퍼 놀란 아네스 자우이
* 내정자( 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스페인의 방송국 안테나3가 스페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스페인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후안 카를로스 1세 미겔 데 세르반테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아돌포 수아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펠리페 6세 파블로 피카소 예수의 테레사 펠리페 곤살레스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이사벨 1세 세베로 오초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호세 사파테로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살바도르 달리 안토니오 가우디 엘 시드 알폰소 10세 페르난도 알론소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프란시스코 데 고야 프란시스코 프랑코 안토니오 마차도 미겔 인두리안 미카엘 세르베투스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로라 플로레스 펠리페 2세 카를로스 1세 로시오 주라도 그레고리오 마라뇬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사벨 판토하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미겔 데 우나무노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비센테 페레르 카밀로 호세 셀라 페드로 두케 다니 페드로사 파우 가솔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다비드 비스발 라파엘 나달 카마롱 데 라 이슬라 아스투리아스의 펠라기우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산티아고 카리요 안토니오 반데라스 이냐시오 데 로욜라 페드로 알모도바르 후안 세바스티안 데 엘카노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미겔 에르난데스 후안 마누엘 세라 로페 데 베가 엘 그레코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아구스티나 데 아라곤 호아킨 사비나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앙헬 니에토 마누엘 아사냐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조르디 푸졸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알레한드로 산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에르난 코르테스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카를로스 사인츠 파퀴리 텔모 사라 몽세라 카바예 마누엘 데 파야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이삭 페랄 플라시도 도밍고 미겔 길라 루이스 부뉴엘 엘 코르도베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프란시스코 피사로 마리아노 바울바시드 라울 곤살레스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오초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아만시오 오르테가 마놀레테 에두아르도 칠리다 페란 아드리아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호아킨 로드리고 에밀리오 보틴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프란시스코 헨토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세바 바예스테레스 이삭 알베니스 페데리코 바하몬테스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카르멘 아마야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 마누엘 산타나 알리시아 코플로비츠 안토니오 루이스 솔러 자코네로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
파일:goldenlion.png
황금사자상
제80회
( 2023년)
제81회
( 2024년)
제82회
( 2025년)
요르고스 란티모스
( 가여운 것들)
페드로 알모도바르
( 룸 넥스트 도어)
미정
골든오셀라상(각본상)
제44회
( 1987년)
제45회
( 1988년)
제46회
( 1989년)
데이비드 마멧
(위험한 도박)
페드로 알모도바르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줄스 파이퍼
(집에 가고 싶어)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감독상
제51회
( 1998년)
제52회
( 1999년)
제53회
( 2000년)
존 부어만
( 제네럴)
페드로 알모도바르
( 내 어머니의 모든 것)
에드워드 양
( 하나 그리고 둘)
각본상
제58회
( 2005년)
제59회
( 2006년)
제60회
( 2007년)
기예르모 아리아가
( 쓰리 베리얼)
페드로 알모도바르
( 귀향)
피터 아킨
( 천국의 가장자리)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각본상
제74회
( 2002년)
제75회
( 2003년)
제76회
( 2004년)
줄리언 펠로스
( 고스포드 파크)
페드로 알모도바르
( 그녀에게)
소피아 코폴라
(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
Pedro Almodóvar Caballero
파일:페드로알모도바르.jpg
이름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
(Pedro Almodóvar Caballero)
국적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출생 1949년 9월 25일, 라만차
신체 177cm
직업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영화 제작자
활동 1974년 – 현재
데뷔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평범한 소녀들

1. 개요2. 생애3. 영화적 특징4. 필모그래피5. 기타

[clearfix]

1. 개요

스페인의 영화감독. 본명은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Pedro Almodóvar Caballero). ‘카를로스 사우라’와 함께 오늘날 스페인 영화를 대표하는 거장이다.

2. 생애

1949년 9월 25일 스페인 카스티야 라 만차에 있는 시우다드레알 주 칼사다 데 칼라트라바(Calzada de Calatrava)에서 태어났다. 8살이 되던 해 가족과 에스트레마두라로 이주하였다. 이사한 이후 그는 어린 시절을 수도원에서 보냈으나, 억압적인 수도원 생활과 어울리지 않았다. 수도원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탈은 영화관에 가는 것이었다. 이 때 영화에 빠진 그는 16살 때 마드리드로 상경한다.

하지만 1970년대는 프랑코 정권으로 인하여 문화가 억압받던 시기였다. 마드리드의 영화학교가 문을 닫았다는 것을 상경해서야 알게 된 그는, 크게 실망한다. 이후 마드리드에 정착하여 노동자로 일하면서 돈을 조금씩 모아 혼자 단편영화를 찍는다.

1980년, 스페인이 민주화되고 ' 라 모비다 마드릴레냐' 운동이[1] 일어나자 그는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라는 작품을 상영한다. 이듬해 '정열의 미로'라는 작품을 통해, 컬트적인 인기를 얻는다. 이후 '나쁜 습관(1984)', '욕망의 법칙(1987)'이 대표작.

1988년 발표한 초기 대표작인 블랙 코미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는 베니스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에 후보에 올랐다. 1990년 <욕망의 낮과 밤>[2], 1991년 <하이 힐>(Tacones lejanos),1993년 <키카>(Kika)로 이어지는 평판작들을 연달아 발표했다. 이들 영화에서 알모도바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욕망을 주제로 다루면서 강간과 납치, 살인, 폭력을 적극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여성의 영화’라는 명명을 얻었다.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출연한 <욕망의 낮과 밤>은 사랑하는 여자를 납치하여 소유하고자 하는 기이한 도착 심리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정작 페미니즘 비평가들로부터는 원색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1995년 알모도바르 영화 세계는 펄프 로맨스 작가인 마리사 파레데스(Marisa Paredes)를 기용한 <비밀의 꽃>(La flor de mi secreto)을 계기로 조금씩 변화를 보인다. 분노와 치기, 도발이 교차되었던 이전 영화들에 비해, 1990년대 중반 이후 알모도바르는 인간과 삶에 대한 성숙한 시선이 돋보이는 심리 드라마들을 발표를 한다.그해, 카예 뒤 시네마 올해의 영화 6위로 선정되었고, 국제적으로도 비평적으로 크게 평가 받았다.

3. 영화적 특징

페드로 알모도바르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사랑이다. 당장 그의 대표작 중 한 편인 내 어머니의 모든 것에선 사랑하는 아들을 사고로 잃은 주인공 어머니가 아들의 소원이었던 부재한 아버지에게 자신의 인사를 전하는 것을 이루어주기 위해 고향인 바르셀로나로 내려가 과거 숨기고 싶었던 친구들인 트렌스젠더인 '아그라도'를 만나고 그 인연으로 창녀촌에서 봉사하며 고아들을 골봐주는 '니나'와 절친이 되다 못 해 병으로 죽어가는 그녀의 아이를 자신의 아들의 이름과 동일하게 붙이고 키운다. 심지어, 그의 영화에서 가장 충격적인 영화 중 한 편인 욕망의 법칙에선 성에만 관심있는 영화감독에게 사랑을 주장하는 남성과의 순수하긴 하지만 어찌 보면 황당하고 뒤틀린 사랑의 치정극 형식 블랙코미디, 스릴러 영화를 연출하는 등. 여러모로 성소수자와 여성에 이어 더 나아가 환자[3], 범죄자[4]마저도 거침없이 묘사하며 포용성과 다양성에 대한 질문과 범위의 확장을 표현하는 감독이다.

그의 영화하면 바로 미장센이다. 스페인의 이국적인 배경과 알록달록한 의상과 소품 등을 배치하며 화려하고 독창적인 이미지를 구현해내는 감독이다. 실제로 예전 작품들보다 잔잔해진 룸 넥스트 도어에서도 '마사'의 집 안에서 '잉그리드'와 '마사'가 대화하는 장면을 보면 그들의 옷과 과일 그릇 등 독특하고 다채로운 소품과 의상 등 다채롭고 아름다운 색감들로 가득하다. 감독은 자신에게 색은 영화의 장르이자 긴장감을 관통한다고 설명한다. 이를 두고, 히치콕이 사건 시작 전, 극 중 인물들의 사전 설명을 통해 관객에게 긴장감을 불어넣는다면, 알모도바르는 색으로 영화의 감정선과 긴장감을 표현해낸다고 한다.

즉, 독특하고 선명한 색채, 파격적인 성적 접근과 개성이 넘치거나 일반적인 인물들의 문제적 사건구성으로 그의 영화를 볼 수 있다. 뒤틀린 사랑마저도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내는 것이 그의 영화가 지닌 파격적인 논쟁이기도 하다.
순위 제목 감독
1 의식 클로드 샤브롤
2 르 가르슈 모리스 피알라
3 시간 술레이만 시세
4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클린트 이스트우드
5 나를 잊어줘 노에미 르보브스키
6 비밀의 꽃 페드로 알모도바르
7 소나티네 기타노 다케시
8 에드 우드 팀 버튼
9 올리브 나무 사이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10 매드니스 존 카펜터

1997년 <라이브 플래쉬>로 50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었으며 페넬로페 크루즈와는 첫 작품이다.이후로 감독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게 되어, 많은 작품을 함께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부산 국제 영화제 월드 시네마 부문에서 처음 상영되었다.

1999년 대중적으로도 알려진 작품이자, 한층 깊어진 연출력의 <내 어머니의 모든 것>가 52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어,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부산 국제 영화제에도 초청되어, 좋은 반응을 얻은 1990년대 대표작으로 페넬로페 크루즈가 수녀역으로 출연했다.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은 죽은 아들의 아버지를 찾아가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이 영화는 자매애와 가족의 힘이라는 익숙한 주제를 반복하면서 미학적으로 성숙해가는 작가 세계의 진화를 입증하였다. 베티 데이비스(Bette Davis), 로미 슈나이더(Romy Schneider), 지나 롤랜즈(Gena Rowlands) 같은 여배우들에게 헌정된 이 영화는, 아카데미 시상식,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석권했다. 토론토 영화제 선정 세계 100대 영화에 97위로 선정 되기도 하였다.

2002년에 그녀에게(Hable con Ella) 역시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되었으며, 75회 아카데미 시상식와 56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각본상, 6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28회 LA 비평가협회 감독상을 수상하였다.가수 윤상이 이 영화를 보고, 감동 받아서 작곡한 곡의 뮤직 비디오로도 사용하면서, 대중적으로도 더 알려지게 되었다.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 28위, 타임지 선정 100대 영화, 필름 코멘트 선정 2000년대 영화 베스트 100 25위에 선정된, 감독의 대표작중 하나이다.
순위 제목 감독
1 남자들이 모르는 은밀한 것들 장 클로드 브리소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3 친애하는 당신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4 국경 저편에서 샹탈 아케르만
5 불확정성의 원리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6 종교의 시간 마르코 벨로키오
7 그녀에게 페드로 알모도바르
8 스파이더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미야자키 하야오
10 24 -
제리 거스 밴 샌트

2004년 수도원에서 보낸 자신의 유년기 체험에 기초한 <나쁜 교육>을 칸 영화제에서 발표했다.

2006년 살인 미스터리와 유령적 존재를 모티프로 모성적 세계로의 귀의를 선언한 < 귀향>(Volver)을 발표했다. <귀향>은 칸 영화제 각본상과 페르소나인 페넬로페 크루즈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46위, 필름 코멘트 선정 2006년 베스트 9위[5]에 선정되는등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9년 페넬로페 크루즈와는 네번째 작업인 <브로큰 임브레이스>(Los abrazos rotos)는 감독이 다시 한 번 섹슈얼리티와 욕망의 누선을 자극하는 스토리, 알프레드 히치콕적인 서스펜스를 자유자재로 혼합했다.

2011년 < 내가 사는 피부>는 다중 정체성과 신체 변이, 관계의 교환이라는 그의 작품 1980년대적 주제로 회귀한 이야기로 오랜만에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출연했다. 초강력 인공피부를 완성하기 위해 생체실험을 감행하는 의학박사 로버트가 실험대상인 베라의 신체에 집착하면서 과거를 둘러싼 비밀이 밝혀지는 이야기였다. 플래시백 구조를 통해 표층 아래 놓인 충격적 과거를 누설하는 이 영화에서 서스펜스와 호러, 멜로드라마, SF로까지 영역을 확장한 장르의 교배는 점입가경이라는 평가이다.

2013년작 <아임 소 익사이티드>(Los amantes pasajeros)는 비행기를 무대로 펼쳐지는 소품 코미디로 페넬로페 크루즈 안토니오 반데라스, 파즈 베가 등 스페인을 대표하는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2016년작 <줄리에타>(Julieta)는 2016년 칸 영화제 경쟁작으로 중년 여성 줄리에타가 18세 때 갑자기 자신을 떠난 딸의 친구와 우연히 마주친 후 과거의 상실감을 떠올리며 딸의 흔적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카예 뒤 시네마 올해의 영화 6위로 선정되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
순위 제목 감독
1 토니 에드만 마렌 아데
2 엘르 폴 버호벤
3 네온 데몬 니콜라스 빈딩 레픈
4 아쿠아리우스 클레버 멘돈사 필류
5 슬랙 베이 브루노 뒤몽
6 줄리에타 페드로 알모도바르
7 스테잉 버티컬 알랭 기로디
8 정글의 법칙 안토닌 페레자코
9 캐롤 토드 헤인즈
10 숲으로 이룬 꿈 클레르 시몽

2019년< 페인 앤 글로리>로 칸 영화제에 진출하여, 감독의 페르소나인 안토니오 반데라스 칸 영화제/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6]

2021년 < 패러렐 마더스>로 오랜만에 칸 영화제가 아닌,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받았다. 또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제4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초청을 통해 감독으로써 알려졌고, 제7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평생공로상까지 수상한 터라, 감회가 새로울 것으로 보인다. 페넬로페 크루즈가 출연하며,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들의 연대와 사랑을 보여주었다.


4. 필모그래피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1980 산 정상의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사람들 로고.png 파일:1982 정열의 미로 로고.png 파일:1983 나쁜 버릇 로고.png
파일:1984 내가 뭘 잘못 했길래 로고.png 파일:1986 마타도르 로고.png 파일:1987 욕망의 법칙 로고.png
파일:1988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로고.png 파일:1989 욕망의 낮과 밤 로고.png 파일:1991 하이 힐 로고.png
파일:1993 키카 로고.png 파일:1995 비밀의 꽃 로고.png 파일:1997 라이브 플래쉬 로고.png
파일:1999 내 어머니의 모든 것 로고.png 파일:2002 그녀에게 로고.png 파일:2004 나쁜 교육 로고.png
파일:2006 귀향 로고.png 파일:2009 브로큰 임브레이스 로고.png 파일:2011 내가 사는 피부 로고.png
파일:2013 아임 소 익사이티드 로고.png 파일:2016 줄리에타 로고.png 파일:2019 페인 앤 글로리 로고.png
파일:2021 페러렐 마더스 로고.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연출 각본 제작 기타
1980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평범한 소녀들 Pepi, Luci, Bom y otras chicas del montón O O 조연
1982 정열의 미로 Laberinto de pasiones O O O 미술, 조연
1983 나쁜 버릇 Entre tinieblas O O 조연
1984 내가 뭘 잘못 했길래 ¿Qué he hecho yo para merecer esto? O O 단역
1986 마타도르 Matador O O
1987 욕망의 법칙 La ley del deseo O O
1988 신경 쇠약 직전의 여자 Mujeres al borde de un ataque de nervios O O O
1990 욕망의 낮과 밤 ¡Átame! O O
1991 하이 힐 Tacones lejanos O O
1993 키카 Kika O O
1995 비밀의 꽃 La flor de mi secreto O O
1997 라이브 플래쉬 Carne trémula O O
1999 내 어머니의 모든 것 Todo sobre mi madre O O
2002 그녀에게 Hable con ella O O
2004 나쁜 교육 La mala educación O O O
2006 귀향 Volver O O
2009 브로큰 임브레이스 Los abrazos rotos O O O
2011 내가 사는 피부 La piel que habito O O O
2013 아임 소 익사이티드 Los amantes pasajeros O O
2016 줄리에타 Julieta O O O
2019 페인 앤 글로리 Dolor y gloria O O
2021 패러렐 마더스 Madres Paralelas O O [7]
2023 이상한 삶의 방식 Strange Way of Life O O [8]
2024 룸 넥스트 도어 La habitación de al lado O O [9]

5. 기타



[1] 독재시절 검열과 통제에 대한 반작용으로, 민주화 이후 불어닥친 문화적 자유화 분위기 전반을 일컫는 말. [2] 안토니오 반데라스 주연으로 원제목은 '날 묶어줘!' 한국 개봉제목이 저것인데 음악이 바로 엔니오 모리코네다! [3] 룸 넥스트 도어, 페러럴 마더스 [4] 나쁜 교육, 내가 사는 피부 [5] 필름 코멘트/연도별 베스트 [6]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 [7]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개막작 [8] 단편, 제76회 칸 영화제 개막작 [9] 첫 영어 장편 영화 [10] 이에 서명한 나탈리 포트만, 자비에 돌란은 대중에게 사과를 전하며 "바보같은 행동과 사상"이었다며 반성을 보였지만, 동시에 서명한 웨스 앤더슨, 틸다 스윈튼, 마틴 스콜세지, 기예르모 델 토로, 알폰소 쿠아론, 루이 가렐 등은 서명 후, 폴란스키의 재범죄 가능성이 대두되었던 해에도 침묵을 해 서구 사회를 비롯해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워낙에 불호가 많은호불호가 갈리는 사항이라 여전히 팬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되고 있다. 비슷한 수상과 위상을 지닌데다 논란도 유사한 김기덕 감독의 사례에 대입하면 좋다. [11] 안야 테일러조이도 스페인어가 유창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