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21:31:22

오르골

자명금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머라이어 캐리의 앨범에 대한 내용은 Music Bo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7인조 보이그룹 NCT DREAM의 곡에 대한 내용은 Hello Future 문서
4.3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아시아의 체명악기
동아시아 목어 · 목탁 ·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동남아시아 떠릉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유럽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아프리카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아메리카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지역 공통
셰이커 · 주즈하프
막명​악기 아시아의 막명악기
동아시아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중앙아시아 도이라
남아시아 타블라 · 바얀
서아시아 다르부카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유럽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아프리카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쿠이카 · 랄리 · 티파
타현악기
양금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기명악기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nopad> 파일:attachment/musicbox.jpg
언어별 명칭
<colbgcolor=#ccc,#333> 한국어 오르골
영어 Orgel, Music box
일본어 オルゴール
독일어 Spieldose
네덜란드어 Speeldoos
1. 개요2. 상세3. 건반(키, 밸브, 톤) 개수에 따른 분류
3.1. 제작 사례
4. 대중매체에서5. 여담6. 업체7.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 오르골로 연주한 냥캣 브금[1] Portal의 〈 Still Alive[2][3]
자동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기계장치이기도 하고, 수동으로 손잡이를 돌려 연주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조그만 상자 속에서 쇠막대기 바늘이나 천공 카드가 회전하며 음계판과 접촉하여 소리를 낸다. 여러 매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보석함 등을 열었을 때 맑은 소리가 울린다면 바로 그게 오르골이다.

자동 연주가 가능한 배럴오르간 # 등을 작게 만든 버전이다. 서부극 등에서는 player piano라는 피아노 롤을 돌려서 연주하는 모델이 있고, 이 피아노 롤 시스템을 작게 줄인 music box arrangement라는 것도 있다. 또한 여러 악단 악기를 엮어서 오르간 시스템에 연결한 호화찬란한 물건도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일본인들이 Orgel( 오르간을 의미하는 독일어, 네덜란드어)에서 따와 만든 オルゴール를 그대로 업어와서 오르골이라고 부르고 표기한다. 일본에는 자명금([ruby(自, ruby=じ)][ruby(鳴, ruby=めい)][ruby(琴, ruby=きん)]: 직역하면 스스로 우는 거문고)이라는 호칭도 있지만 사용 빈도는 적은 편이다. 영어로는 뮤직 박스(music box)라고 한다.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는 각각 Spieldose 및 Speeldoos라 부르는데, 직역하면 '연주통'이라서 뮤직 박스와 뜻이 비슷하다.

2. 상세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고, 가시같은 바늘을 촘촘히 붙인 원통( 실린더) 또는 원판( 디스크)이나 펀치 롤, 또는 천공 카드를 접하게 부착하여 태엽의 힘으로 원통을 돌리면 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내어 소리를 낸다.

보통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고, 닫는 힘으로 태엽이 감기고 뚜껑을 열면 태엽이 풀리며 내부의 금속판을 튕겨 소리를 낸다. 음의 템포, 음계 등을 일일이 맞추려면 가시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렵다.[4]

1770년 유럽 귀족 사이에서 유행, 인형 상자 콤팩트, 심지어 담배 케이스에다가 오르골을 장치하기도 했다. 실용적으로는 자명종의 시끄러운 소리 대신 이걸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 레코드 턴테이블, CD 플레이어의 조상격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초창기의 실린더 레코드는 오르골의 원리를 거의 그대로 적용하다시피 했다. 한편 오르골도 실린더가 아닌 디스크 형태의 물건이 있다.

그리고 각종 인기 음악을 오르골 버전으로 리메이크하여 녹음 음반을 팔기도 한다. 물론 진짜 오르골 소리를 녹음한 것이 아니라 오르골 소리를 내는 전자 악기로 연주한 것이고 다른 악기 효과음도 많이 들어간다. 들어보면 원곡과는 또다른 색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정식 발매된 음반이라서 그런지 위의 오르골 전시관 뿐 아니라 일본 전역에서 찾을 수 있으며 화원에서 이 음악을 틀어놓고 식물에게 들려주면 좋다며 같이 파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산쿄에서도 오르골화한 음원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3. 건반(키, 밸브, 톤) 개수에 따른 분류

오르골 업체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건반 개수가 표준화 되어있는 편이다. 다음의 예시는 NIDEC SANKYO 실린더 무브먼트의 기본 가격 기준. 곡의 갯수는 2021년 3월 31일 기준. 참고로 곡의 개수는 지원하는 음악의 개수만을 표시하며 다곡 실린더[5]와 상관없이 음악의 개수만 따진다.
50노트 건반을 사용한 일반 오르골
50노트 건반 2개 사용한 Sublime Harmony 오르골
72노트 건반 2개 사용한 Sublime Harmony 오르골

곡은 ' 파헬벨의 카논'. 두번째, 세번째 영상을 잘 보면 각각 50개와 72개의 건반을 나란히 붙여놓았는데, 100개와 144개 제품은 이렇게 2개의 건반을 배치한 형태이다. 이는 Sublime Harmony 효과를 노린 것으로 최고급 오르골에만 탑재되는 장치이다. 서브 건반이 메인 건반과 음이 -16센트 차이가 있으며 두 개의 건반이 동시에 연주되며 기존의 울림판을 때리는 듯한 소리를 청아한 고급진 음색으로 만들어낸다. 즉, 화음을 위해 서브 건반이 추가 된 것이며 사실상 화음을 내는 50개, 72개 건반으로 연주하는 것과 동일하다. 당연히 완벽한 타이밍에 2개의 건반을 동시에 때려야하도록 만들어야해서 가격이 확 뛰어오른다.
3바퀴를 돌려야 한 곡[6]이 연주되는 오르골 예시

참고로 하나의 실린더에 2~3개의 곡의 들어간 것을 다곡 실린더라고 하는데, 이쯤되면 재생시간이 길어 진지하게 노래하는 기계가 된다. 보통 30초를 넘어가거나 다곡 실린더의 경우 하나의 실린더로 긴 시간을 연주할 수 없으므로 한 바퀴 돌면 실린더가 약간 옆으로 치우쳐져 연주를 이어지게 만들며 숫자 다이얼로 현재 실린더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기도 하다. 다만, 위의 영상은 여러 개의 곡 대신 하나의 긴 음악을 넣었다.

중국 Ninbo Yunsheng도 18톤(5만원)을 기본으로, 22, 30(200USD), 36, 37, 50(300USD), 78(400USD), 156(78x2)[7](4000USD)를 라인업에 배치하고 있다. 50, 78 키는 2멜로디까지 지원한다.

3.1. 제작 사례

72개의 건반을 사용한 오르골
뮤지컬로 유명한 ' 노트르담 드 파리(Notredame de Paris)'의 3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곡은 '대성당들의 시대(Le Temps des Cathédrales)', 두번째 곡은 '아름답다(Belle)', 세번째 곡은 '마리아(Ave Maria Paien)'이다. 유일하게 전통방식으로 오르골을 제작하고 있는 스위스 루즈(Reuge)사 제품으로 탁월한 저음과 청명한 고음처리 등 수 십년 장인의 수작업으로 제작되고 있다.
Spot Hyundai - "Mega Orgel" 2011
현대자동차가 슬로건을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 로 교체할 때 등장시킨 광고에서 길이 87미터, 폭 102미터의 메가 오르골(Mega Orgel)이라는 구조물이 등장한다. 연주를 위해 차량[8]을 이용하는 특성상 태엽과 원판을 이용하는 오르골의 기본 구조와는 조금 다르다. 그래도 연주를 기계화하려는 시도라는 점은 오르골의 사상에 부합한다.
마틴 몰린이 만든 마블머신
마틴 몰린(Martin Molin)이라는 스웨덴 출신 아티스트 설계/제작한 대형 오르골. 구슬 비브라폰에 떨어뜨려 연주를 한다. 대중적인 오르골과는 많이 벗어난 형상이지만 연주용 막대기가 구슬로 대체되었을 뿐 오르골의 원리와 구조는 동일하다. 실제로 해당 악기는 오르골 박물관 전시되기도 했었다. 다만, 박물관 전시 후 파손되어 더 이상 연주가 불가능하여 현재 또다른 마블머신을 제작하고 있다.
유튜버 Brick Technology가 사운드모듈 레고를 이용하여 제작한 드럼머신 오르골
유튜버 mitxela가 제작한 MIDI 오르골
종이를 사용하는 오르골의 음계 하나마다 서보모터를 달아서 종이 대신 MIDI 신호를 받아 연주하도록 개조했다. 위의 수동 오르골을 전동화 시켜 프로그램적으로 오르골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도는 꽤 많이 있다. 위의 사례는 키보드나 MIDI 악기를 연결해서 실시간 연주가 가능하다.
프리모톤(Primotone) 전동 오르골
세계 최초로 시판 된 커스텀 전동 오르골. 공식 홈페이지에서 음악을 다운받아 SD 카드에 넣으면 오르골이 원하는 음악을 연주하는 방식이며 단순 음악 제생 정지 뿐만 아니라 음정도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한 제품이다. 건반 수는 40개. 기존에는 수 십개의 서보모터를 이용해 직접 개별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방식[9]을 사용하여 부피가 너무 커서 상용화가 불가능했지만 프리모톤은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단 하나만 사용하고 개별 실린더 사이에 전기신호로 제어되는 도체판을 삽입하여 동력 전달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혁신적인 구조를 선보였다. 가격은 약 600만원. 그러나 유저가 직접적으로 악보를 커스텀해서 연주시키는 기능은 없다.
자동 오르골 Muro Box
세계 최초로 유저 커스텀이 가능한 전동 오르골 Muro Box. 그동안 컴퓨터 제어로 커스텀 연주까지 가능한 자동 오르골을 만들고자하는 움직임은 많았으나 개인 제작에 그쳤지 양산까지는 못했었다. Muro Box는 최초로 양산 시판에 성공한 컴퓨터 작동 커스텀 자동 오르골이며 한화 53,000원에 미리 제작된 40곡을 다운받거나 을 통해 개인 곡을 작곡해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건반 수는 20개. 앱을 이용한 작곡이나 일반 PC의 MIDI를 지원하며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USB로 작동시킬 수 있다. 놀라운 점은 디지털 악기와 연동하여 연주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 퀄리티답게 무려 6년의 개발 기간이 들었으며 2022년에 최초 시판되었다. 이후에도 꾸준히 개선판이 출시되고 있으며, 20노트 개선판, 20노트 배터리 장착형, 40노트, 40노트 -16센트 버전[10]이 출시되고 있다. 오르골의 기계적 구조는 프리모톤과 차이가 있으나 근본적인 구조는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보아 개발할 때 참고한 것으로 보이며 프리모톤과 비교하면 극단적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소형화 되었다. 다만, 프리모톤과 달리 오르골에서 기계적인 소음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내에서도 공식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판매가는 79만 5천원. 다만, N40 모델은 KC 인증 중이라 N20 개선 모델만 판매하고 있다. 한국 스토어 링크 5만원에 음원제작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국내에 시판되지 않은 N40 모델도 음원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4. 대중매체에서

특유의 맑은 소리 때문에 환하고 조용한 상황에서는 추억이나 애틋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히로인 부모 친구에게 선물 받은 것으로 자주 등장한다. 특히 죽은 사람과 관련 있으면 슬픈 사연이 추가되며 죽은 이에게 받은 유품으로 취급된다.

위기 절망에 빠진 상황에서 오르골이 작동되며 주인공이나 주연급 인물들을 구하는 개체로 많이 쓰인다. 특히 적이 된 아군 보정, 흑화(or 폭주)된 동료가 주인공을 죽이려 하다가 이 노래를 듣고 멈추거나, 추억을 떠올리며 갱생되기도 한다. 또는 주인공이나 주요 인물이 죽을 때가 다가오기 전에 오르골 노랫소리가 천천히 들리며 비극적인 상황을 연출하기도 한다. 이때는 작품 내에서 가장 슬픈 장면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뭔가 텅 빈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어둡고 조용할 때 틀면 공포분위기 조성에 좋은 도구로 그려진다. 예를 들면 블러드본에서 오르골 소녀 이벤트와 메르고의 유모 OST 등 둘 다 게임 속에서 음산한 느낌을 주며 일본 공포 영화 착신아리 오르골 벨소리가 제일 잘 알려져 있다.[11] 그래서인지 공포 영화에서도 분위기 조성용으로 자주 나오며 주로 어두운 곳에서 오르골 노랫소리 잘 쓰인다. 구슬픈 노래 뿐만 아니라 경쾌한 노래도 공포 전개 중 하나로, 주연이 안심하거나 긴장하고 있을 때 이런 경쾌한 오르골이 들리면 무언가가 온다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5. 여담

6. 업체

7. 같이보기


[1] 느리게 편곡해 분위기가 크게 다르다. 텅 빈 듯 아련하면서도 따뜻한 소리가 난다. [2] 이연주를 위해서는 먼저 긴 종이에 구멍을 뚫어서 음정을 표시해 주어야 한다. [3] 연주되는 곡은 Portal의 " Still Alive", 작곡가는 Jonathan Coulton. # [4] 1980년대 초에 일본 Sankyo의 제품을 국내업체가 Pankyo라는 상표로 판매한 적이 있다. 일본 산쿄 사는 2020년 현재에도 회사 단체 로고 송 등의 기념품 대량 주문, OEM 생산을 하고 있다. [5] 실린더 하나에 2개 이상의 곡이 들어있다. 하나의 곡이 재생되면 실린더가 옆으로 조금 이동해 다른 곡을 연주하는 방식. [6] 44~45초에 기계장치 소리가 들리며 실린더가 왼쪽으로 크게 이동하며, 1분 29~30초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7] NIDEC SANKYO의 144개를 넘은, 현재까지 시판된 오르골 중에서는 건반 수가 가장 많다. [8] 지붕 뒤쪽에 금속 봉을 붙인 YF쏘나타 여러 대를 동원하였다. [9] 정확히는 구조의 개선 없이 종이 오르골의 개별 실린더 회전 매커니즘을 그대로 두고 연주 기능을 서보모터로 대신했기 때문이다. [10] 동일한 멜로디에 -16센트(1센트=100반음)이 추가 된 버전으로 최고급 오르골에만 있는 'Sublime Harmony'라는 독특한 효과가 추가된 버전이다. 때문에 음판이 총 80개이며, 가격은 228만원이나 한다. 참고로 Muro Box에서는 Sublime Harmony 효과를 위해 음판을 뒤집어 반대쪽에 붙인다는 단순하면서 획기적인 방법으로 2개의 음판을 동기화시켰다. [11] 사실 이런 것의 원조는 마이크 올드필드가 작곡한 1973년작 연주곡 튜블라 벨즈( Tubular Bells)(두께나 길이를 달리 해서 다른 음을 내게 한 금속 파이프를 져서 소리 내는 서양 악기의 이름이기도 하다. 국악기인 편종, 편경의 파이프 버전이다.)인데, 그 유명한 공포 영화 엑소시스트의 주제곡으로 사용되었다. [12] 회전하는 통(배럴)을 이용하여 연주하는 오르간이기 때문에 배럴 오르간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