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e2dcd6,#6c5244><colcolor=#000,#fff> 찰현악기 |
동양:
호금 ·
호치르 ·
얼후 ·
싼후 ·
쓰후 ·
해금 ·
소해금 ·
마두금 ·
이킬 ·
코비즈 ·
아쟁 ·
코큐 ·
비잔치 ·
대마두금 ·
기작 ·
카마이차 ·
레밥 ·
카만체 서양: 피들 · 바이올린 · 일렉트릭 바이올린 · 비올라 · 첼로 · 콘트라베이스 · 옥토베이스 · 요우힉코 · 니켈하르파 · 아르페지오네 · 비올라 다 감바 · 파르드쉬 드 비올 · 비올라 다모레 · 바리톤 · 구슬레 |
발현악기 |
동양:
시타르 ·
금 ·
쟁 ·
월금 ·
슬 ·
대쟁 ·
단 보우 ·
거문고 ·
가야금 ·
비파(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고토 ·
싼시엔 ·
샤미센 ·
산신 ·
샨즈 ·
공후(
수공후) ·
우드 ·
돔브라 ·
라바브 ·
야특 ·
알타이 야특 ·
단짜인 ·
텁쇼르 ·
미 갸웅 ·
사산도 ·
철현금 ·
이치겐킨 ·
한아고 서양: 티체스트 베이스 · 류트 · 테오르보 · 기타( 클래식 기타 / 어쿠스틱 기타 / 일렉트릭 기타 / 베이스 기타 / 일렉트릭 베이스 / 바리톤 기타) · 하프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우쿨렐레 · 밴조 · 차랑고 · 칸텔레 · 리라 · 하프시코드 · 코라 · 바을라마 · 부주키 · 아이리시 부주키 · 반두라 |
|
타현악기 |
동양:
양금 서양: 덜시머( 침발롬) · 베림바우 · 클라비코드 · 피아노( 그랜드 피아노 · 업라이트 피아노) |
|
미분류 | 드렐라이어( 허디 거디) | }}}}}}}}} |
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동양:
목어(
목탁) ·
떠릉 ·
징 ·
탐탐/
공 ·
꽹과리(
소금) ·
대금 ·
편경 ·
편종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서양: 글라스 하모니카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스틸팬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마림바 · 비브라폰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음비라(칼림바)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클라베스 · 구이로 · 루테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셰이커 · 카우벨 · 아고고벨 · 클래퍼(슬랩스틱/채찍) · 시스트럼 · 카바사 · 카시롤라 · 카쉬카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공통: 주즈하프 |
막명악기 |
동양: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영도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다르부카 ·
타블라 ·
바얀 서양: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봉고 · 콩가 · 쿠이카 · 젬베 · 토킹 드럼 · 팀파니 |
|
현명악기 |
동양:
양금 서양: 덜시머( 침발롬) · 베림바우 · 클라비코드 · 하프시코드 · 피아노( 그랜드 피아노 · 업라이트 피아노) |
|
기명악기 | 휘슬 · 경적 · 오르간( 파이프오르간 · 풍금) · 윈드 머신 | }}}}}}}}} |
|
|
뵈젠도르퍼의 그랜드 피아노[1] | |
|
|
스타인웨이의 그랜드 피아노[2] | 야마하의 그랜드 피아노[3] |
세계 3대 피아노로 불리우는 야마하[4], 뵈젠도르퍼[5], 스타인웨이[6]의 그랜드 피아노의 음색 비교. 놀랍게도 음색이 셋 다 전부 확연하게 다르다![7] |
[clearfix]
1. 개요
공연장, 문화회관(시민회관), 강당, 콘서트홀, 음대 피아노전공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큰 피아노이며 피아니스트들의 공연 영상이나 직접 보러간다면 봤을 법한 피아노이다.[8][9] 가정용이나 보급용으로 쓰이는 업라이트 피아노와 다르게 크기가 매우 크다.그랜드 피아노는 눕힌 꼴의 피아노라고 할 수 있는데, 업라이트 피아노와 구분하기 위해 말한다.[10] 해머액션과 현을 그대로 눕혀놓았으며 뚜껑을 완전히 열 수 있기고 울림통의 크기를 크게 만들기 때문에 업라이트 피아노보다 훨씬 웅장한 소리가 난다.
대신 규모가 규모인지라 일반 가정집에 들여놓기가 매우 까다로우며[11][12] 소리가 너무 웅장하여 일반 가정집에서 구비하고 연주하려면 방음시설은 필수로 갖춰야 하며 방음재나 방음부스로 방음을 해결해야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방음 시설을 갖추지 않으면 야간에는 사실상 연주를 못 한다고 보면 된다. 업라이트와 달리 가운데 페달이 소리를 죽이는 역할을 하지 못하기에 방음이 전혀 안 된다. 아래층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방음매트와 방음키퍼는 깔아놓아야 한다.
다만 그랜드 피아노에도 여러 사이즈 구분이 있는데, 흔히 '베이비 그랜드'라 해서 가정집에 들여놓을만한 작은 사이즈부터, 크게는 말 그대로 콘서트장에서 볼 수 있는 풀사이즈의 '콘서트 그랜드' 사이즈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실제로 판매되는 것은 베이비 사이즈 쪽이 압도적으로 인기가 많다.
일반적으로 끝판왕으로 불리는 스타인웨이 D모델의 경우, 2022년 기준 3억 원 이상. 커스텀 모델은 거의 2억 5천 이상 나가며, 거기다가 직수입할 시 관세까지 붙으므로 돈이 어마어마하게 든다. 야마하의 플래그십 그랜드 피아노인 CFX도 약 2억 6천만원은 나간다.[13][14] 물론, 삼익악기, HDC영창 같은 저렴한 곳에서 만든 것은 최소 1,000만 원대부터 시작하며 많게는 3,000만 원대를 호가하는 모델들도 있다.[15]
2. 여담
-
대중매체에서는 유독 무기나 개그요소로 많이 사용하는 듯 하다.... 주로
깝치는 남주 머리위로떨어져서 박살나는 경우가 많은데 무대 같은 곳에서 사람 위에 떨어뜨리거나, 괴력으로 던지는 데 쓰인다.애초에 할수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실제로 저렇게 하면물어줘야 하며깔리는 사람은 요단강 익스프레스 직행이니 절대로 따라하면 안 된다.던질 수 있는게 부럽다스타인웨이 D-274 한 대만 해도 무려 500kg이다! 대중매체에서는 무기로써 들어올리는 연출이 있지만, 저 육중한 그랜드 피아노는 절대로 한 사람이 들 수 없다. 이 때문에 악기를 이동시킬 때를 대비하여 다리에 바퀴가 달려 있다. - MIT에서는 수업 과목을 재신청하는 일명 "Drop day"에 기숙사 옥상에서 피아노를 떨어뜨리는 전통이 존재한다.
[1]
Concert Grand 290 Imperial
[2]
위 사진은
콘서트용 그랜드모델 D인데, 가격은 최소 1억 5천만원 이상으로 웬만한 수입 대형차와 맞먹는 가격을 자랑한다. 커스텀 맞추면 2억까지 금방(...). A부터 등급이 있는데 A의 경우 웅장한 소리를 위해 현을 늘려놓아서 길이가 더욱 길다.
[3]
플래그쉽 CF 시리즈. CFX의 소매가는 약 2억 6000만원.
[4]
해당 모델은 1억 2천만원 쯤 나간다.
[5]
해당 모델은 1억 3천만원 쯤 나간다.
[6]
해당 모델은
커스텀 모델으로서 2억 3천만원이 나간다.
[7]
야마하의 경우 소리 하나하나가 또렷하고, 뵈젠도르퍼는 울림이 크며 스타인웨이는 육중하다.
[8]
그랜드 피아노 중에서도 크기가 천차만별인데 웅장한 소리와 뛰어난 타건감을 위해 현을 꼬지 않고 최대한 늘려서 피아노의 길이를 더욱 키운 연주회용 그랜드 피아노도 있다. 다만 전장이 2m 50cm가 넘어가는 크기로 매우 크기에 일반적인 장소에서는 구비하지 못하며 콘서트홀이나
공연장,
강당 등에서나 볼 수 있다.
[9]
드물게
음대 연습실이나 레슨실, 일반 피아노 학원에서도 볼 수도 있으나 극히 드물다. 반대로말하면 자신이 재학중인 음대에 연주회용 그랜드 피아노가 있다면 한 실력 하는 음대란 얘기다.
[10]
업라이트 피아노는 세운 꼴의 피아노이다.
[11]
원룸이나 투룸,
아파트나
빌라같은
연립주택같은 곳에서는 들어놓는 것 자체가 절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원룸에 놓고 어디서 살게?
방음 문제는 둘째치더라도 일단 운반을 해야 하는데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겁기에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없으면
사다리차를 통해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 가정용에서 쓰이는 베이비 그랜드피아노나 소형의 경우 충분히 사다리차를 통해서 운반 가능하다.
[12]
또한 현관 입구가 사람 2명이 겨우 지나다닐 정도로 너무 좁거나 해서 그랜드 피아노가 들어가지도 못하며(무게도 무거운지라 옆으로 눕혀서 운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아파트의 경우 베이비나 소형 그랜드 피아노 모델이 아닌한 베란다 창문을 모두 떼고
사다리차를 이용해 베란다 창문으로 밀어넣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실제로 아파트 창문을 전부 떼면서까지 그랜드 피아노를 거실로 밀어넣은 경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연식이 오래된 아파트는 절대로 불가능하고 집 평수가 제법 넓은데다
타워펠리스같은 초고층 아파트에 별도로 방음시설을 구비해놓은
펜트하우스,
타운하우스의 경우가 많다.
[13]
그 정도면
BMW 7시리즈의 최상급 모델인 BMW M760Li나 BMW 750Ld 기본 모델에 튜닝 커스텀 모델도 거뜬히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이다.
[14]
웬만한 콘서트홀에서는 거의 다 이 모델을 쓴다. 사실상 피아노계의 표준.
[15]
중고일지라도 450~500은 나가며 이는 국산 신형 업라이트 피아노와 가격이 거의 비슷하다. 당연히
야마하나
카와이 악기 제작소같은 수입의 경우는 중고라도
업라이트 피아노는 가격이 이것보다 훨씬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