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67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
<rowcolor=#670000>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
<rowcolor=#670000>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덕종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
<rowcolor=#670000>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
<rowcolor=#670000>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
<rowcolor=#6700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
<rowcolor=#6700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
<rowcolor=#670000>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
<rowcolor=#670000> 제33대 | 제34대 | |||
창왕 | 공양왕 | |||
}}}}}}}}}}}} |
경종 관련 틀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제5대 대왕
경종 | 景宗 |
|||
영릉 전경. | |||
출생 |
955년
11월 14일[1] (음력 광종 6년 윤9월 22일) |
||
고려
황도 개주 (現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 |
|||
즉위 |
975년
7월 9일[B] (음력 광종 26년 5월 23일) |
||
고려
황도 개주
정궁 (現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 |
|||
사망 |
981년
8월 18일[3] (향년 25세) (음력 성종 즉위년 7월 11일) |
||
고려
황도 개주
정궁 정전[4] (現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 |
|||
능묘 | 영릉(榮陵) | ||
재위기간 | 고려의 정윤[5] | ||
965년 음력
2월 ~
975년
7월 9일[A] (음력 광종 16년 2월 ~ 광종 26년 5월 23일) |
|||
고려 제5대 대왕 | |||
975년
7월 9일[A] ~
981년
8월 16일[8][9] (음력 광종 26년 5월 23일 ~ 경종 6년 7월 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개성 왕씨 | |
휘 | 주(伷) | ||
부모 |
부왕
광종 모후 대목왕후 |
||
형제자매 | 2남 3녀 중 장남 | ||
배우자 | 헌숙왕후, 헌의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 | ||
후궁 | 대명궁부인 | ||
정윤 | 왕치 | ||
자녀 | 1남 | ||
종교 | 불교 | ||
자 | 장민(長民) | ||
묘호 | 경종(景宗) | ||
시호 |
|
||
|
|||
연호 | 태평(太平, 976년 ~ 981년)[10][11][12] | }}}}}}}}} |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제5대 대왕.묘호는 경종(景宗), 시호는 헌화대왕(獻和大王). 휘는 주(伷), 자는 장민(長民), 연호는 태평(太平, 976년 ~ 981년)인데 독자적인 연호인지는 논란이 있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 이후 태어난 첫 번째 군주로 20살에 즉위해 26살에 요절한 청년 군주였다. 마음이 굳세지 못했고 음주가무를 좋아했다. 하지만 정종, 광종의 대숙청으로 인해 공포와 두려움 속에 빠진 조정을 안정화시키고, 전시과[13]를 시행하는 등의 치적을 남겼다. 경종은 부황 광종의 숙청 기간과 사촌동생인 성종의 발전 기간 사이에 있는 과도기였다고 볼 수 있고, 이 기간 동안 경종은 무난하게 정치를 펼치며 성종에게 바통을 넘겨주었다.
2. 묘호와 시호, 별칭
후계자 성종이 올린 공식 묘호는 경종(景宗)이다.경종의 시호는 여러 고려 군주들이 그렇듯 두 버전이 있다.
- 《고려사》 <경종 세가> -총서- 기준:
- 지인성목명혜헌화대왕(至仁成穆明惠獻和大王)
- 《고려사》 <경종 세가> 마지막 조 기준:
-
공의정효순희명혜성목헌화대왕(恭懿靖孝順熙明惠成穆獻和大王)
후계자 성종이 '헌화'를, 아들 목종이 '성목'을, 사촌동생 현종이 '명혜'와 '순희'를, 문종이 '정효'를, 고종이 '공의'를 추가로 올렸다.
경종의 긴 시호 중 중요한 부분은 정윤 성종이 올린 대표시호 '헌화대왕'(獻和大王)이다.
시호 '헌화'(獻和) 중 '헌'(獻) 자를 돌림으로, 경종의 네 왕후는 모두 '헌' 자 시호를 받았다. 헌숙, 헌의, 헌애, 헌정왕후.
경종 재위 7년차에 만들어진 '지곡사진관선사비'엔 경종이 '영주'(英主), 고려는 '대방'(大邦)으로 등장한다.
|
개성시[14]에 있는 고려 경종과
헌숙왕후가 안장된
영릉 북한 치하의 고려왕릉들 중에서는 보존 상태가 그나마 나은 축에 속한다. |
3. 연호
태평(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근거는 금석문을 통해 알 수 있는데 경기도 하남시 선법사에 있는 보물 제981호 마애약사여래불의 명문(銘文)에 아래와 같은 문구가 쓰여 있다. 하지만 경종의 독자적인 연호인지 여부에는 다소 논란이 있는데 당시에 고려는 송나라와 긴밀한 외교 관계를 맺고서 연호도 갖다 썼으며 당시 송나라 황제인 송 태종의 연호가 태평흥국(太平興國)이었기 때문에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 송 태종의 태평흥국 연호는 976년 12월부터 썼기 때문에 977년은 태평흥국 2년이다.[ruby(太, ruby=태)][ruby(平, ruby=평)][ruby(二, ruby=이)][ruby(年, ruby=년)][ruby(丁, ruby=정)][ruby(丑, ruby=축)][ruby(七, ruby=칠)][ruby(月, ruby=월)][ruby(二, ruby=이)][ruby(十, ruby=십)][ruby(九, ruby=구)][ruby(日, ruby=일)][ruby(古, ruby=고)][ruby(石, ruby=석)][ruby(佛, ruby=불)][ruby(在, ruby=재)][ruby(如, ruby=여)][ruby(賜, ruby=사)][ruby(乙, ruby=을)][ruby(重, ruby=중)][ruby(脩, ruby=수)][ruby(爲, ruby=위)][ruby(今, ruby=금)][ruby(上, ruby=상)][ruby(皇, ruby=황)][ruby(帝, ruby=제)][ruby(萬, ruby=만)][ruby(歲, ruby=세)][ruby(願, ruby=원)]。
태평 2년(977년) 정축년 7월 29일 옛 석불이 있던 것을 금상이신 황제를 위해 중수하오니 만세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선법사 <마애약사여래불 명문>(銘文).
태평 2년(977년) 정축년 7월 29일 옛 석불이 있던 것을 금상이신 황제를 위해 중수하오니 만세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선법사 <마애약사여래불 명문>(銘文).
4. 생애
4.1. 즉위 이전
경종의 등극 이전 관작 | ||
작위 | 황태자(皇太子) - 정윤(正胤) | 전통적 후계자의 작위 태자에 고려 고유의 작위 정윤을 겸했다. |
직위 | 내사제군사(內史諸軍事) - 내의령(內議令) |
내사제군사가 정확히 어떤 직위인지는 미상이다. 그러나 제군사가 고려 군대 지휘관의 직함인 것을 감안하면 '내사성의 군대 지휘관'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 겸한 내의령은 명예직으로 명목상 내의성 장관이다. |
아버지 광종의 호족 숙청 작업으로 인해 차기 후계자라는 신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우한 유년기를 보냈다고 한다. 그 이유는 호족들이 태자를 등에 업고 반란을 일으킬까봐 광종이 두려워한 탓에 항상 태자를 의심하고 경계하여 야단을 쳤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숙청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경종이 광종의 살아있는 유일한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차남 효화태자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경종의 동복동생이라는 것과 시호만 남아 있어 일찍 요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어머니인 대목왕후 덕분으로도 볼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최승로는 < 시무 28조>에서
"경종께서는 깊은
궁궐에서 태어나 아녀자의 손에서 자라서 궁궐 문 밖의 일에 대해서는 일찍이 알지 못하였으나 다만 타고난 성품이 총명하였기 때문에 후회와 과실을 면하고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다. 아녀자의 손에 자랐다는 것은 아버지와는 교류가 어려웠고, 철저히 어머니나 외가 쪽 세력의 보호 아래서 자랐음을 의미한다. 광종과 관계가 가깝거나 적어도 나쁘지만 않았어도 정통성을 의식해 부자 관계를 실제보다 잘 포장해 적었을 것이기 때문.대목황후가 광종이 실시한 노비안검법에 대해 간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런 것으로 보아 대목황후가 자신의 친정인 황주 황보씨를 포함한 호족 세력들의 대변자였음을 알 수 있으며, 아무래도 이 역시 광종이 모후 혹은 외가의 교육을 받았던 태자 시절의 경종을 경계했던 이유 중 하나로 추정된다. "경종은 천성이 총명하였으므로 후회와 과실을 면했다"는 부분은, 아버지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고 무사히 왕위를 계승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4.2. 즉위와 치적
975년 광종이 향년 51세의 보령에 붕어함으로써 왕위를 이어받았다. 선황이 피를 너무 많이 묻혔고 자신 역시 늘 위협에 시달리며 살아왔던 탓에 공포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 또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목숨을 잃은 혼란상 때문에 사회 전체가 그야말로 원한이 판을 쳤던 탓인지 몰라도 경종이 임금이 되자마자 한 일은 사회 분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가장 먼저 호족과의 화합 정책을 펼치는 것이었다. 호족 출신의 왕선을 집정( 재상)으로 채용하고, 흉흉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효자 표창도 많이 하는 등 백성들에게 부모에 대한 효도를 강조하였다. 여기까지는 아주 괜찮았다. 광종 시대의 극한 긴장상태를 창출한 공포 정치의 분위기를 풀어주면서, 동시의 유교적 이념을 강조하는 왕도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문제는 왕선이 건의한 법안[15]인 복수법을 통과시키면서 사달이 났다. 경종이 이 법안을 통과시킨 이유에 대해서는 사실 현대 역사학계에서도 자세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일단 경종이 효도를 강조했던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보건데 진짜 복수법이 옳다 생각하고 이 법을 승인했을 여지도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광종 시절 득세했던 세력들이 모조리 버로우하게 되었던 것으로 볼 때 이 목적도 있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나중에 가면 왕선과 호족 세력이 이를 악용하는 문제가 생겼고, 이 와중에 경종의 삼촌들[16]이 이 법에 얽혀 살해당하는 촌극까지 벌어지게 된다. 최승로는 이라고 까면서도 두 왕자에 대해서만은
"광종도 연좌시켜 처벌하지 않고 관용한 사람들이었다며 살아있었다면 족히
왕실의 웃어른 노릇을 할 수 있었을 것"
이라고 자뭇 아쉬워하는 반응을 보였다.[18]이렇게 복수법의 폐단이 우후죽순 번지자 이를 묵과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종에 의해 입안자인 왕선은 파직된 뒤 지방으로 쫓겨났다. 이 때 경종은 본래 한 사람만 담당하던 집정(재상)을 좌집정과 우집정으로 나누어 권력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두 집정들끼리 서로 견제하게 만들었다. 이는 이후 조선 시대에도 좌의정과 우의정으로 이름만 바뀌어서 계속 이어진다. 이후 사적인 복수를 행한 사람들을 모두 처벌하는 동시에 복수법을 없애버렸다. 이 정책으로 인해 다음 왕인 성종 시대에 등장한 최승로가 쓴 <시무 28조>에서 까이게 된다.
경종은 이후에 전시과(일명 시정 전시과)를 실행하여 관료들의 급여 체제를 확립시켰는데 이는 조선 시대까지 쓰이게 될 정도로 합리적이었다. 그러면서 광종 시절에 자리잡은 과거를 통해 인재를 선발하면서 안정적인 정치를 펼쳐나갔다.
하지만 말년에는 주색과 바둑에만 몰두하며 정사를 돌보는 것을 소홀히 했다. 이에 대해 역사학계에서는 광종 시절의 공포 정치와 그 이후로 끊임없이 반복된 호족들 사이의 정쟁 및 복수법의 참상으로 인해 정치에 환멸을 느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19]
4.3. 붕어와 유조
과인(寡人)은 4조(四朝)[20]의 위대함을 이어
삼한(三韓)의 패도(霸圖)를 이어받으니 산천토전(山川土田)을 지키게 되었다.
종묘사직(宗廟社稷)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매일 걱정하며 사니 7년의 시간이 지났다. 근로(勤勞)로 인해 질병(疾疹)에 걸리니 부담을 놓아 정신을 편하게 하고, 거룩함을 전해 아름다운 자에게 넘기고자 한다.
정윤(正胤) 개령군(開寧君) 치(治)는 나라의 현명한 친척이며 내(予)가 아끼는 자다. 그는 반드시 조종(祖宗)의 대업(大業)을 받들고 국가(國家)의 창기(昌基)[21]를 보호할 것이다.
아! 너희(爾) 공경재신(公卿宰臣)들아, 내 개제(介弟)[22]를 존경하고 보호하라. 우리(我) 대방(大邦)[23]을 영원히 빛나게 하라.
과인(寡人)이 늘 예경(禮經)을 보니 '남자는 부인(婦人)의 손을 잡고 죽지 않는다'라 했으니 늘 이를 보고 감탄하였다. 그리하여 금일(今日) 좌우빈(左右嬪)을 물러가게 했으니 혹시나 대기를 맞이하더라도 한스럽게 여길게 뭐가 있겠는가?
제사의 일정은 한제(漢制)에 맞춰 1일을 1달로 계산하라. 원릉(園陵)의 제도(制度)는 검약(儉約)하게 하라.
서경(西京), 안남(安南)[24],등주(登州) 등(等) 제도(諸道)는 진수(鎭守)해야 할 임무(任)가 있으니 궐(闕)로 달려 오지 말고 각지에서 애도하라. 3일 안에 상복을 벗게 하고 나머진 사군(嗣君)[25]이 알아서 하라.
《 고려사절요》 제2권 <경종 헌화대왕> 중. 서기 981년 7월에 유조(遺詔)를 전하며.
종묘사직(宗廟社稷)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매일 걱정하며 사니 7년의 시간이 지났다. 근로(勤勞)로 인해 질병(疾疹)에 걸리니 부담을 놓아 정신을 편하게 하고, 거룩함을 전해 아름다운 자에게 넘기고자 한다.
정윤(正胤) 개령군(開寧君) 치(治)는 나라의 현명한 친척이며 내(予)가 아끼는 자다. 그는 반드시 조종(祖宗)의 대업(大業)을 받들고 국가(國家)의 창기(昌基)[21]를 보호할 것이다.
아! 너희(爾) 공경재신(公卿宰臣)들아, 내 개제(介弟)[22]를 존경하고 보호하라. 우리(我) 대방(大邦)[23]을 영원히 빛나게 하라.
과인(寡人)이 늘 예경(禮經)을 보니 '남자는 부인(婦人)의 손을 잡고 죽지 않는다'라 했으니 늘 이를 보고 감탄하였다. 그리하여 금일(今日) 좌우빈(左右嬪)을 물러가게 했으니 혹시나 대기를 맞이하더라도 한스럽게 여길게 뭐가 있겠는가?
제사의 일정은 한제(漢制)에 맞춰 1일을 1달로 계산하라. 원릉(園陵)의 제도(制度)는 검약(儉約)하게 하라.
서경(西京), 안남(安南)[24],등주(登州) 등(等) 제도(諸道)는 진수(鎭守)해야 할 임무(任)가 있으니 궐(闕)로 달려 오지 말고 각지에서 애도하라. 3일 안에 상복을 벗게 하고 나머진 사군(嗣君)[25]이 알아서 하라.
《 고려사절요》 제2권 <경종 헌화대왕> 중. 서기 981년 7월에 유조(遺詔)를 전하며.
붕어 1개월 전인 981년 6월에 병이 들었고, 981년 7월에 도학군자로 이름이 높았던 사촌동생 정윤 개령군 왕치에게 "나의 뒤를 이으라"는 유조를 남긴 뒤 26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붕어했다.
5. 가족관계
왕후들의 관계가 그야말로 족내혼의 극치를 달린다. 왕후 넷 후궁 모두 사촌관계이며, 왕후 두 명은 자매 사이다. 심지어 제1비인 헌숙왕후를 빼면 부모들이 모두 이복남매 관계이다.[26] 그 덕에 경종의 유일한 아들 목종의 증조부모와 조부모, 부모가 모두 왕과 왕후이며, 목종도 족내혼을 하여 처가까지 모두 태조 왕건의 후손이다.-
제1비:
헌숙왕후 김씨
고모 낙랑공주와 경순왕 김부의 딸로서 경종과는 고종사촌 지간이다.[27] -
제2비:
헌의왕후 류씨
숙부인 문원대왕과 문혜왕후 류씨[28]의 딸로서 경종과는 친사촌 겸 고종사촌이다. -
제3비:
헌애왕후 황보씨
제4비인 헌정왕후와 같이 외삼촌이자 숙부인 대종[29]과 선의왕후 류씨[30]의 딸들[31]로 경종과는 친사촌 겸 외사촌 겸 고종사촌 지간이다. 헌애왕후보다는 천추태후라는 호칭으로 더 유명하며, 경종의 유일한 아들 목종을 낳은 여인이다. 목종은 성종 이후 유일한 왕위 계승자가 되어 보위를 이었지만, 아이를 낳지 못하고 강조의 정변 이후 목종이 시해당하면서 경종의 후사는 끊기게 된다. -
제4비:
헌정왕후 황보씨
앞에 나온 헌애왕후의 여동생으로 마찬가지로 친사촌 겸 외사촌 겸 고종사촌이다. 경종 재위 시기에는 별다른 기록이 없지만 경종이 승하한 이후 숙부인 왕욱[32]과 사통하여, 사생아를 낳는 희대의 스캔들을 일으키면서 역사에 기록되었다. 남편인 경종이 빨리 승하한 탓인지 자매지간인 헌애왕후와 헌정왕후는 경종 사후 남자 문제로 여러가지 물의를 빚었다. -
후궁:
대명궁부인 류씨
숙부 원장태자와 친고모 흥방궁주의 딸로 친사촌 겸 고종사촌이다.
6. 평가
王溫良仁惠, 不好遊戲. 末年, 厭倦萬機, 日事娛樂, 沈溺聲色. 且好圍碁, 昵近小人, 踈遠君子, 由是, 政敎衰替.
왕은 성품이 따뜻하고 어질었으며 놀이 따위를 즐기지 않았다. 그러나 말년에는 정치에 염증을 내어 매일 오락을 일삼고 주색에 탐닉했다. 또 바둑을 좋아하며 소인들을 가까이 하고 군자들을 멀리하니 이에 정치와 교화가 점점 쇠퇴해졌다.
《 고려사》
왕은 성품이 따뜻하고 어질었으며 놀이 따위를 즐기지 않았다. 그러나 말년에는 정치에 염증을 내어 매일 오락을 일삼고 주색에 탐닉했다. 또 바둑을 좋아하며 소인들을 가까이 하고 군자들을 멀리하니 이에 정치와 교화가 점점 쇠퇴해졌다.
《 고려사》
분명 복수법이라는 실책을 저질렀고, 말년에는 정사를 멀리하며 주색에 탐닉하는 등 놀고 먹기만 했지만 그럼에도 후대의 평가가 생각보다 괜찮은 편이며 불우한 유년기로 인해 그를 동정하는 여론도 꽤 많다. 전시과라는 훌륭한 제도를 성립시켰다는 점을 볼 때 꽤 유능한 군주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며 경종의 뒤를 이은 성종 대부터 고려는 본격적으로 안정된 왕조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목종 때의 일을 예견했는지는 몰라도 자신에게 후계자가 버젓이 있었음에도 나이가 어려서 왕위 계승 분쟁을 우려한 것인지 사촌이자 매부인 성종에게 왕위를 넘겨줬는데 성종은 지방 제도와 여러 업적을 남기고 결과야 어찌되었든 고려 행정 체계의 기초를 닦고 유학 중심의 정치 체제 확립에 노력을 기울이는 등 경종의 안목이 틀리지 않았음을 스스로 증명해보였다.
7. 기타
그의 재위기인 978년에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승하하였다.8. 대중매체
- 2002년 KBS 드라마 《 제국의 아침》에서는 대목왕후의 외가에서 보살핌을 받다가 평주 호족들의 반란에 어린 아이임에도 억울하게 엮여 누명을 쓰고 광종이 사약을 내린다고 했다. 하지만 일단 궁에 유폐만 된 상태에서, 신료들의 간곡한 요청과 대목왕후의 자결 위협으로 나중에 사면되고 막판에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되었다.
-
2009년
KBS 드라마 《
천추태후》에서는 배우
최철호가 연기했다. 2002년
SBS 드라마 《
야인시대》에서 맡은
신마적 역의 광기어린 모습과는 상반되게 아들에 대한 절절한 부성애 연기를 선보이며 호평을 받았다. 작중에서 경종의 광적인 행동이 강한 인상을 남기며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이 광증(狂症)은 실제 역사에 비해 매우 과장된 것이다.
왜 이리 풍악 소리가 작은 게냐? 오늘은 즐거운 날이 아니더냐? 근심 걱정 다 떨치고, 마시고 취하는 날이란 말이다!
풍악! 풍악! 풍악! 풍악을 더 크게 울려라! 풍악! 풍악...! 하하하... 풍악!
- 2023년 KBS 대하드라마 《 고려 거란 전쟁》에서는 작중 시점에서 이미 고인이라 등장하진 않고 밤에 김치양의 목을 조르며 선을 넘지 말라고 협박을 하는 목종에 의해 잠깐 언급된다.
9.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권 | 3권 | 4·5권 |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
<rowcolor=#670000,#fedc89> 6권 | 7·8·9권 | 10권 |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 15·16·17·18·19·20권 | 21권 |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 25·26·27권 | 28·29·30·31·32권 | ||||
고종 | 원종 | 충렬왕 | ||||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 36권 | 37권 |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 133·134·135·136·137권열전 | 45·46권 |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
[ 표(表) ] | ||||||
86·87권 「연표(年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
||||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 「공주(公主)」 |
||||||
태조 | ||||||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 ||||||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 성무부인 소생 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혜종 | 정종 | 광종 | |||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 ||||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 경춘원군 · ( 문성왕후 소생 공주) |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 ||||
경종 | 성종 | 목종 | ||||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
-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 }}} | |||
현종 |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 ||||||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 ||||||
덕종 | 정종 | |||||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 |||||
상회공주 · ( 유씨 소생 공주) |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 |||||
문종 | ||||||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 ||||||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 ||||||
순종 | 선종 | |||||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
-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 |||||
숙종 | 예종 | |||||
명의태후 유씨 |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 |||||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승덕공주 · 흥경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인종 | 의종 | 명종 | |||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 광정태후 김씨 | ||||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 | |||
신종 | 희종 | |||||
선정태후 김씨 | 성평왕후 임씨 | |||||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종 | 고종 | 원종 | |||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 안혜태후 유씨 |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 ||||
수령궁주 |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 ||||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 세자 왕감 · 덕흥군 | 용산원자 | ||||
충혜왕 | 공민왕 | 공양왕 | ||||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 휘의 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 순비 노씨 | ||||
석기 · 장녕공주 | -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92권 | |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 ||||||
93권 | ||||||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 ||||||
94권 | ||||||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 ||||||
95권 | ||||||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 ||||||
96권 | ||||||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 ||||||
97권 | ||||||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 ||||||
98권 | ||||||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 ||||||
99권 | ||||||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 ||||||
100권 | ||||||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 ||||||
101권 | ||||||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 ||||||
102권 | ||||||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 ||||||
<rowcolor=#670000,#fedc89> 103권 | 104권 | |||||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 |||||
105권 | ||||||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 ||||||
106권 | ||||||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 ||||||
<rowcolor=#670000,#fedc89> 107권 | 108권 | |||||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 |||||
109권 | ||||||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 ||||||
<rowcolor=#670000,#fedc89> 110권 | 111권 | |||||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 |||||
112권 | ||||||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 ||||||
113권 | ||||||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 ||||||
114권 | ||||||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15권 | 116권 | 117권 | |||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 ||||
<rowcolor=#670000,#fedc89> 118권 | 119권 | 120권 | ||||
조준 | 정도전 |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 | |||
121권 | ||||||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 「충의(忠義)」 | |||||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 |||||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 「열녀(烈女)」 | |||||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 |||||
122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 「환자(宦者)」 | 「혹리(酷吏)」 | |||
김위제 · 이녕 (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 송길유 · 심우경 | }}} | |||
123권 「폐행1(嬖幸一)」 | ||||||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 ||||||
124권 「폐행2(嬖幸二)」 | ||||||
윤수 윤길보 (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 ||||||
125권 「간신1(姦臣一)」 | ||||||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 ||||||
126권 「간신2(姦臣二)」 | ||||||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 128권 「반역2(叛逆二)」 | 129권 「반역3(叛逆三)」 | |||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 정지상) |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 |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 131권 「반역5(叛逆五)」 | |||||
한순 다지 · 홍복원 (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 |||||
132권 「반역6(叛逆六)」 | ||||||
신돈 | ||||||
133·134·135·136·137권 | ||||||
신우(우왕) ( 신창(창왕)) | }}}}}}}}}}}} |
[1]
율리우스력
11월 9일
[B]
율리우스력
7월 4일
[3]
율리우스력
8월 13일
[4]
당시 만월대의 정전은 천덕전(天德殿)이므로 천덕전에서 붕어한 것으로 보인다.
[5]
경종은 황태자-정윤(皇太子-正胤)이였다.
[A]
[A]
[8]
율리우스력
8월 11일
[9]
경종 6년(981년) 7월 갑진(9일)에 성종이 경종한테 내선을 받아 즉위했다는
기록이 있다.
[10]
당시 북송 태종의 연호인 '태평흥국'에서 뒤 2글자인 '흥국'만을 제외하고 사용하였다. 이런 경우 독자적 연호로 보기는 어려우며, 때문에 이후 고려 인종 대의 윤언이나 조선 세종 대의 고려사 편찬자들 또한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고려의 군주는 태조와 광종 2명으로 국한하였다.
[11]
북송 태종이 태평흥국 연호를 사용한 기간이 고려 경종의 재위기간과 완벽히 겹쳐 이런 혼동이 생긴 듯하다. 물론 고려 측에서 내부적으로는 '흥국' 자를 제외하고 독자적인 연호처럼, 외부적으로는 송나라의 연호를 받아 쓰는 것처럼 이중적으로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12]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도, 고려는 상국의 연호에 포함된 한자가 선대왕들의 이름에 포함된 한자와 겹칠 시 해당 한자를 피휘하여 개조한 연호를 내부적으로 사용하고는 했다. 아울러 중원의 왕조가 혼란스럽거나, 그들 나름대로 자주성을 추구해야 할 경우가 있었을 시에는 상국의 연호를 사용 중지하고 60갑자라는 독자적 기년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예종, 고종, 공민왕이다.
[13]
고려를 대표하는 토지 제도인 관계로 이것 외에는 치적이 없다시피한 경종이
한국사 관련 시험에서 종종 나온다.
[14]
구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눌목리. 참고로 북한에서는 개성시를 2019년부터 황해북도를 포함한 어느 도에도 속하지 않게 행정구역을 개편했다.
[15]
호족들에게
합법적으로 보복할 수 있는 법안
[16]
천안부원낭군(천안낭군, 사후 효성태자로 추존)과 진천낭군(진주낭군, 사후 원녕태자로 추존).
[17]
왕에 영합한
간신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광종 대에 등용된 신진 세력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18]
광종이 이들의 목숨을 빼앗지 않은 것은 이들의 뒷배경이었던
천안시와
진천군이 광종의 외가였던
충주시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광종과 가까운 사이였기 때문이라고 보는 설도 있다.(출처 : 김창현 《광종의 제국》) 어쨌거나 두 왕자는 경종 시대와 성종 시대까지 살아 있었으면 궁정 암투를 중재할만한 능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
똑같이 정치에 환멸을 느껴서
노는 소년이 된 명나라
만력제와도 얼추 비슷하다.
[20]
경종의 전 4대
임금.
태조,
혜종,
정종,
광종을 가리킴.
[21]
국가의 창성한 기틀, 기반.
[22]
큰동생, 성종을 의미.
[23]
고려는 자국을
대국,
천조로 칭하는데에 거리낌이 없었다.
[24]
현 전라북도 정읍시 지역에 설치됐던 안남
도호부를 말한다.
[25]
다음 군주, 역시 성종을 의미.
[26]
아래에 서술된 가족관계를 보면
태조 왕건의 아들들은 대부분 이복누이와 혼인한 것을 알 수 있다.
[27]
경순왕의 첫 부인
죽방부인의 딸이라는 말도 있다.
[28]
태조 왕건과 제6비
정덕왕후 류씨의 딸. 즉, 문원대왕과 문혜왕후는 이복남매지간
[29]
아버지
광종의 이복형제이자 어머니
대목왕후의 친형제. 이복남매인 광종과 대목왕후가 혼인하면서 관계가 이렇게 꼬였다.
[30]
태조 왕건과 제6비
정덕왕후 류씨의 딸. 대종도 문원대왕처럼 자신의 이복누이와 혼인한 것이다.
[31]
즉, 헌애왕후와 헌정왕후는 경종의 후임인 6대
성종의 누이들이다.
[32]
태조 왕건과
신성왕태후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