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1:33:09

슈게이즈

슈게이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슈게이저는 이 문서로 연결 됩니다. 슈게이저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팝픈 뮤직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chilblai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록 음악의 역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 팀 버클리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 아이언 버터플라이 · 팀 버클리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보어덤스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 팀 버클리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레드 제플린 · 크림 · 야드버즈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 재니스 조플린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딥 퍼플 · AC/DC · 에어로스미스 · · 키스 · 밴 헤일런 · 스콜피온즈 · 건즈 앤 로지스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 보스턴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소프트 록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닐 영 · 폴 사이먼
팝 록 비틀즈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필 콜린스 · 피터 가브리엘 · 로드 스튜어트 · 조지 마이클 ·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 오지 오스본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유럽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키스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슬레이어 · 앤스랙스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 엠페러 · 임모탈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 오비츄어리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둠 메탈 캔들메스 · 커씨드럴
프로그레시브 메탈 러시 · 제쓰로 툴 · 크림슨 글로리 · Vanden Plas · 퀸즈라이크 · 드림 시어터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 · 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 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심포닉 메탈 나이트위시 · 다크무어 · 세리온 · 크레이들 오브 필스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 드라우닝 풀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유투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 페어 우부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티어스 포 피어스 · 엘비스 코스텔로 · 블론디 · 더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댄스 록 데이비드 보위 · 듀란 듀란 · 토킹 헤즈 · 뉴 오더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뉴 오더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버즈콕스 · 그린 데이 · 에이브릴 라빈 · Sum 41 · 오프스프링 · 블링크-182 · 머신 건 켈리 · 뉴 파운드 글로리 · 심플 플랜
이모 Sunny Day Real Estate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폴 아웃 보이 · 파라모어 · 지미 잇 월드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하이퍼 록 100 gecs · They Are Gutting a Body of Water
데스코어 화이트채플 ·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 본 오브 오시리스 · 로나 쇼어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알이엠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즈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 쓰리 데이즈 그레이스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 버브
포스트 브릿팝 라디오헤드 ·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알이엠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 더 디스멤버먼트 플랜 ·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토터즈 · 시규어 로스 · 톡 톡 · 바크 사이코시스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스토너 록 · 아레나 록 · 일렉트로닉 록 · 라가 록 · 아트 록 · 일본 록 · 매스 록 · 스페이스 록 · 슬로코어 }}}}}}}}}
슈게이즈의 대표곡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hen you sleep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 (1991)
Vapour Trail
라이드 (1991)
Alison
슬로우다이브 (1993)
Mayonaise
스매싱 펌킨스 (1993)
Slide Away
버브 (1993)
Chocolate Matter
스윗 트립 (2003)
아름다운 세상
파란노을 (2021)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
브로큰티스 (2022)
}}}}}}}}} ||
슈게이즈
Shoegaze
<colbgcolor=#f5007a><colcolor=#fff> 기원 장르 인디 록, 인디 팝, 얼터너티브 록, 노이즈 팝, 드림 팝, 네오 사이키델리아, 포스트 펑크, 스페이스 록, 개러지 록
지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등장 시기 1980년대 후기
파생 장르 뉴 게이즈, 칠웨이브, 하이퍼 록
퓨전 장르 블랙게이즈
관련 장르 앰비언트, 노이즈 록, 포스트 록

1. 개요2. 특징3. 대표적인 밴드
3.1. 외국
3.1.1. 슈게이즈에 영향을 준 '프로토-슈게이즈'3.1.2. 정통 슈게이즈3.1.3. 슈게이즈 씬 이후에 나온 '뉴-게이즈' 또는 그와 관련되는 음악을 한 밴드들3.1.4. 블랙게이즈
3.2. 한국
4. 일본의 서브컬쳐와 슈게이즈5. 관련 문서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까지 영국의 인디 씬에서 유행했던 장르.

장르명인 Shoegaze는 신발(Shoe) + 뚫어지게 보다(Gaze)의 합성어로서, 이 음악을 하는 밴드들의 무대매너에서 파생된 단어다. 관객과 소통하려는 의지가 전혀 없이 죽어라 자기 발만 내려다보면서 연주하는 무대 매너 때문에 발만 보는 놈들이라는 이름이 붙는다.[1] 동명사형인 슈게이징(Shoegazing)으로 부르는 경우도 가끔 있다.[2] 일본에서는 슈게이저(シューゲイザー, Shoegazer)라고 칭하기도 한다.

장르명의 유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혀 관객과의 소통을 원하지 않는 듯한 강한 인디 정신이 특징인데, 그래서 결국 관객에게서 빠른 속도로 멀어져 갔다. 장르의 전성기는 1990년대 초반이었고[3] 그 이후로는 침잠해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 하지만 계속해서 매니아층을 낳고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전성기 이후로는 슈게이즈 자체를 메인으로 구사하는 밴드는 거의 없지만 여러 뮤지션들이 슈게이즈를 자신들의 음악의 재료로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영국에서 포스트 록의 탄생을 낳게 되었다.[4] 이후 2010년대 중반에는 빅3가 모두 새 앨범을 발표하는 등 나름대로 가늘게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긴 하다.

그러나 2021년, 한국의 1인 슈게이즈 음악가 파란노을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을 기점으로 씬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 각종 평론가들의 호평과 Rate Your Music을 필두로 한 힙스터들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입소문을 타며 인디음악 신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결국 파란노을은 해외 음악 커뮤니티에서 Post-Shoegaze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 앨범의 등장으로 슈게이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에서는 아시안 글로우, 브로큰티스, Della Zyr 등의 아티스트들이 한국의 인디음악 커뮤니티 포락갤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sonhos tomam conta, Weatherday[5] 등의 아티스트들이 주목받고 있다.

2. 특징

이펙터를 총동원해서 노이즈가 강하면서 신경질적인, 거의 소음에 가까운 기타 소리[6]와 함께 가느다랗고 여린 보컬이 들릴듯 말듯 깔리고, 그 보컬을 중심으로 몽환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멜로디 가락이 따라가는 게 장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기타의 종류는 주로 Jaguar, Jazzmaster등의 매니악한 기타를 쓰는 것도 특징이다. 슈게이즈의 정형을 확립한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경우를 보면 케빈 쉴즈가 재즈마스터 같은 기타를 쓰는 이유는 플로팅 트레몰로 브릿지 때문이다. 트레몰로 암을 잡고 동시에 스트로크를 해서 울렁이는 사운드를 만들기 때문에 케빈 쉴즈 본인에게는 이 브릿지가 달린 기타를 쓰는 게 필수. 이런 이유가 아니라면 개중의 대부분은 오프셋 기타들이 인디 음악계에서 가지는 아이코닉한 위상 때문에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자극적인 사운드와는 정반대로 지독히도 자기 안으로 침전하는 것 같은 무기력한 태도가 특징적이다. 때문에 슈게이즈 밴드의 라이브는 꽤나 무뚝뚝하고 서먹한, 동시에 밀교적인 분위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은 잦은 튜닝과 높은 볼륨, 멋대로 연주 끊고 다시 하기로 악명 높으며, 지저스 앤 메리 체인 역시 폭동까지 일어날 정도로 날 서고 무뚝뚝한 무대로 악명 높았다. 슬로우다이브의 경우 날선 무대는 아니지만 공연 내내 'Thank you' 외에는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 콕토 트윈즈 스페이스맨 3, 스피리추얼라이즈드도 비슷하다. 다만 위의 밴드들이 장르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 이들이라 이미지도 이렇게 박혔을 뿐, 현재의 슈게이즈 밴드들은 여타 록밴드들과 다르지 않게 열정적으로 관객들과 소통하며 공연하는 경우가 많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에서 시작하여 소닉 유스에 이르는 미국의 '노이즈'를 구사하는 밴드들은 보통 슈게이즈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넓은 의미에서는 속한다고 할 수도 있지만.

계보를 따져보면 의외로 펑크 록이 시조이다. 펑크 록 - 포스트 펑크 - 고딕 록 - 드림 팝 및 슈게이즈의 단계를 거쳐 발전하였기 때문. 직접적인 시조로는 지저스 앤 메리 체인 스페이스맨 3, 콕토 트윈즈가 자주 언급되며[7]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으로 꽃피웠다고 평가받는다.

많은 장르가 그렇지만 녹음된 음원과 실제 라이브 간의 차이가 큰 장르이기도 하다. 음원에서는 잔잔하고 몽환적이지만 라이브는 엄청나게 시끄럽다. 슈게이즈 특유의 사운드는 이펙터를 왕창 건 기타 노이즈가 층층이 쌓여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를 공연에서 재현하려면 기타 앰프로 탑을 쌓고 출력을 한계까지 높여야 한다. 그래서 노이즈 성향이 강한 밴드들은 라이브 전에 미리 음량에 대해 경고하고 청력 보호용 귀마개를 나눠주기도 한다. 현장에서 느껴지는 체감으로는 거의 웬만한 비행기 이륙시의 굉음과 맞먹는다. 2018년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서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이 내한했을 때, 대표곡 몇 곡만 샘플로 듣고 조용조용한 밴드겠거니 하고 왔다가 막상 공연이 시작되자 무지막지한 음량에 기겁하고 달아나는 사람들이 여럿 목격되기도 했다(...).

종종 드림 팝의 동의어로 쓰이기도 하지만 구분되는 장르이다. 슈게이즈가 드림 팝의 일부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이키델릭 록을 기원으로 하고, 몽환적인 사운드를 구사한다는 점에서 드림 팝과 공통점이 많고 실제로 굉장히 많은 밴드의 음반들이 두 장르로 동시에 분류되긴 하지만, 드림 팝은 슈게이즈의 핵심인 기타 노이즈가 필수요소는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대표적인 밴드

3.1. 외국

3.1.1. 슈게이즈에 영향을 준 '프로토-슈게이즈'[8]

3.1.2. 정통 슈게이즈

3.1.3. 슈게이즈 씬 이후에 나온 '뉴-게이즈' 또는 그와 관련되는 음악을 한 밴드들

3.1.4. 블랙게이즈

3.2. 한국

4. 일본의 서브컬쳐와 슈게이즈

의외로 일본에서 인기가 좋은 편이다. 실제로 영미권을 제외하면 슈게이즈 씬이 제일 발달한 곳이기도 하고. 일본 슈게이즈 밴드로는 초기 슈퍼카, Luminous Orange, 스파이럴 라이프, 도쿄 슈게이저, Coaltar of the Deepers[15], 죽은 내 여자친구(死んだ僕の彼女), 17歳とベルリンの壁, 초기 키노코 테이코쿠, 신세이 카맛테쨩, geek sleep sheep, Plastic Tree, yuragi 등이 있다.

팝픈뮤직에서는 16번째 작품인 파티에서 chilblain이라는 수록곡으로 리듬게임에 슈게이즈를 소개했다. 정작 곡 자체는 노이즈가 강화된 기타 리프를 빼면 슈게이즈와는 거리가 좀 있다. 그래서인지 장르명도 슈게이'징'이 아니라 슈게이'저'라고 써놨다.

히나비타 시모츠키 린이 이 장르의 팬이다.

TCG 듀얼마스터즈 신성기 슈게이저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보컬로이드 팬들에게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하츠네 미쿠를 보컬로 쓴 mikgazer vol.1라는 컴필레이션 앨범이 있다. 발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해외의 슈게이즈 리스너들이 발굴한 뒤 알음알음 알려져서 지금은 일본의 슈게이즈를 소개할때 한번쯤 언급되는 앨범이 되었다. mu(4chan)의 일본 음반 추천 리스트에도 올라왔다. #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1] 사실 이는 장르 특성상 기타 이펙터를 엄청나게 써먹어야 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페달을 밟아야 해서 그렇기도 하다. [2] 원래 장르 이름이 슈게이징이었다가 슈게이즈가 더 쓰이는 식으로 바뀌었다. 허프포스트의 앤디 로스(Andy Ross)란 기자가 1991년 9월 챕터하우스(Chapterhouse), 슬로우다이브, 무스(Moose) 등의 음악을 듣고 Shoegazing이라 칭한 게 시초라는 얘기가 있다. [3] 사실 전성기에도 마이너 히트에 가까웠던 편이다. 짧게 명멸하고 이후 등장한 브릿팝에 흡수되었다는 평이 대다수. [4] 포스트 록 밴드들을 소개할 때 슈게이즈라는 단어가 대부분 따라다니는데, 태생적으로 슈게이즈가 포스트 록의 기원 중 하나이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물론 토터즈처럼 슈게이즈와 무관한 포스트 록 밴드들도 상당히 많다. 한국의 경우는 로로스가 대표적. [5] 엄밀히 말하자면 노이즈 팝이다. [6] 기타로 벽을 쌓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7] 뒤의 두 밴드는 드림 팝 뮤지션으로 분류되기도 했었다.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은 뒤의 두 밴드와는 다소 다르게 슈게이즈의 '노이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8] 즉 슈게이즈 밴드들은 아니다. [9]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100. ISBN 1-904994-10-5. [10] 초기 한정. 7~8집은 슈게이즈와는 거리가 먼 앨범이였으나 9집에서는 어느정도 돌아왔다. [11] 1, 2집 당시에는 뉴 메탈 밴드였으나, 이후 3집 <White Pony>부터 슈게이즈가 어느 정도 융합된 분위기 있는 얼터너티브 메탈로 변신을 시도하였다. [12] 다만 정규 1집에선 슈게이즈의 색채가 확연히 약해졌다. [13] 사랑으로 음반이 해당 [14] 정규 2집 한정 [15] 돌아가는 펭귄드럼의 엔딩곡 Dear Future로도 알려져있다. [16] 슈게이즈 3대장(MBV, 슬로우다이브, 라이드)이라고 불리는 밴드들이 모두 이 레이블 출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