間 사이 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門,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ン, ケン
|
||||||
일본어 훈독
|
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
しず-か, はざま, ひそ-かに |
||||||
间
|
|||||||
표준 중국어
|
jiān, ji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間은 '사이 간'이라는 한자로, ' 사이', ' 틈', ' 때'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사이 | |
음 | 간 | ||
중국어 | 표준어 | jiān | <colbgcolor=#fff,#1f2023>jiàn |
광동어 | gaan1 | gaan3 | |
객가어 | kiên | kam | |
민북어 | gáing | ga̿ing | |
민동어 | găng | gáng | |
민남어 | kan[文] / keng[白] | kàn | |
오어 | ji (T1)[文] / ke (T1)[白] | ji (T2) | |
일본어 | 음독 | カン, ケン | |
훈독 |
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しず-か, はざま, ひそ-かに |
||
베트남어 | gian | gián |
유니코드에는 U+959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弓日(ANA)로 입력한다.
間, 閒, 閑의 관계에 대한 설명[5]
회의자로, 원래 이 글자는 閒(한가할 한)의 속자였다. 閒은 門(문 문)과 月(달 월)이 합쳐진 글자로, '문(門) 사이로 들어오는 달빛(月)'에서 '틈', '사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 月이 日(날 일)로 대체된 것이 바로 間이다. 그래서 의외로 강희자전을 포함하여 전근대의 한자사전에서는 間을 閒의 속자로 취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거나 아예 등재하지 않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취급과는 별개로, 間은 일찍이 閒에 비해 훨씬 널리 쓰이고 있었는데, 결국 현대에 와서는 間 역시 표준자형으로 인정되면서 間이 오히려 閒을 완전히 대체했다. 한편 閒이 '틈', '한가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閑(한가할 한)을 가차하여 사용하기도 했는데, 현대에는 오히려 閒이 閑의 이체자로 취급되는 판이어서 閒의 처지가 굉장히 궁색해졌다(...).
단어 뒤에 붙거나 단독적으로 쓰여서 '~하는 동안', '~기간 동안'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로, '사이', '중간', '방'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틈', '사이를 두다', '이간질하다', '틈을 보다', '간간히', '번갈다'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간(間)
- 간격(間 隔)
- 간도(間 島)
- 간식(間 食)
- 간접(間 接)
- 간접경험(間 接 經 驗)
- 간접광고(間 接 廣 告)
- 간접기관(間 接 機 關)
- 간접대리(間 接 代 理)
- 간접목적어(間 接 目 的 語)
- 간접무역(間 接 貿 易)
- 간접민주주의(間 接 民 主 主 義)
- 간접발생(間 接 發 生)
- 간접범(間 接 犯)
- 간접분석(間 接 分 析)
- 간접비(間 接 費)
- 간접 선거(間 接 選 擧)
- 간접세(間 接 稅)
- 간접시(間 接 視)
- 간접적(間 接 的)
- 간접정범(間 接 正 犯)
- 간접조사(間 接 調 査)
- 간접조준(間 接 照 準)
- 간접증거(間 接 證 據)
- 간접추리(間 接 推 理)
- 간접측량(間 接 測 量)
- 간접침략(間 接 侵 略)
- 간접화법(間 接 話 法)
- 간접환(間 接[換)
- 간접효용(間 接 效 用)
- 간접흡연(間 接 吸 煙)
- 사회간접자본( 社 會間 接 資 本)
- 간첩(間 諜)
- 간헐(間 歇)
- 간주(間 奏)
- 고간( 股間)
- 곳간( 庫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고간'. 참고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공간( 空間)
- 공수간( 供 需間)
- 구간( 區間)
- 기간( 期間)
- 마구간( 馬 廏間)
- 민간( 民間)
- 산간( 山間)
- 성간물질( 星間 物 質)
- 순간( 瞬間)
- 시간( 時間)
- 야간( 夜間)
- 인간( 人間)
- 식물인간( 植 物 人間)
- 인간관( 人間 觀)
- 인간관계( 人間 關 係)
- 인간문화재( 人間 文 化 財)
- 인간성( 人間 性)
- 인조인간( 人 造 人間)
- 투명인간( 透 明 人間)
- 홍익인간( 弘 益 人間)
- 입담간( 立 談間)
- 정간보( 井間 譜)
- 정주간( 鼎 廚間)
- 주간( 晝間/ 週間)
- 중간( 中間)
- 찻간( 車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차간'. 역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툇간( 退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퇴간'. 역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3.2. 고사성어/ 숙어
- 간어제초(間 於 齊 楚)
- 견원지간( 犬 猿 之間)
- 백중지간( 伯 仲 之間)
- 빙탄지간( 氷 炭 之間)
- 사제지간( 師 弟 之間)
- 지호지간( 指 呼 之間)
- 초가삼간( 草 家 三間)
- 홍익인간( 弘 益 人間)
3.3. 인명
- 규마 후미오( 久間 章 生)
- 마고로비 엠마( 真 行 路 日 縁間)
- 마카미 보로(間 紙 ボロ)
- 마토 카리야(間 桐 雁 夜)
- 모노마 네이토( 物間 寧 人)
- 미즈마 토모미( 水間 友 美)
- 아이가미 시오리(閒 神 栞)
- 오쿠마 타누키치( 奧間 狸 吉)
- 카자마 토오루( 風間 トオル)
- 코마 엔지( 古間 円 児)
- 한마 슈지( 半間 修 二)
- 히루마 슌야( 比 留間 俊 哉)
3.4. 지명
3.5. 창작물
- 夜間行
- 断罪は遍く人間の元に
- ダンジョンに出会いを求めるのは間違っているだろうか(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間違いじゃない 泣いたりしない / スキップ・スキップ・スキップ / 君と僕の絆 feat.KIKI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閣(집 각)
- 簡(대쪽 간)
- 閘(수문 갑)
- 開(열 개)
- 閭(마을 려)
- 聞(들을 문)
- 問(물을 문)
- 悶(답답할 민)
- 閔(위문할 민)
- 閥(문벌 벌)
- 闢(열 벽)
- 閃(빛날 섬, 번쩍일 섬)
- 閼(가로막을 알)
- 闇(어두울 암)
- 閱(볼 열, 검열할 열)
- 閻(마을 염)
- 闡(열 천)
- 閉(닫을 폐)
- 閑(한가할 한)
- 閤(쪽문 합)
- 闔(문짝 합)
- 闊(넓을 활)
- 𨶠(문지방 얼, 성씨 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