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인 관련 틀 | ||||||||||||||||||||||||||||||||||||||||||||||||||||||||||||||||||||||||||||||||||||||||||||||||||||||||||||||||||||||||||||||||||||||||||||||||||||||||||||||||||||||||||||||||||||||||||||||||||||||||||||||||||||||||||||||||||||||||||||||||||||||||||||||||||||
|
1. 개요
마카오 영주권자를 말한다.마카오인들은 대부분은 중국계 마카오인( 중국 국적의 마카오 영주권자)들이다. 대만 국적의 마카오 영주권자도 있다. 그리고 포르투갈령 마카오 시절의 영향으로 포르투갈 국적 또는 필리핀 국적을 가진 마카오 영주권자들도 같은 마카오인이다. 원래부터 마카오에서 살았던 '마카이엔사'라는 마카오 원주민들도 있다.
95%가 광둥성과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푸젠성 출신의 중국계이고 2%는 포르투갈계 백인이거나 그 혼혈이며 필리핀계 이주민들도 조금 있다. 중국계의 경우는 80% 이상이 중국 대륙에서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문화대혁명 등 광풍을 피해 마카오로 이주한 피난민 출신들로 중국 국적을 갖고 있다. 비록 과거에는 포르투갈 땅이었다 해도 80% 이상의 사람들은 그냥 중국 이름 쓰는 중국사람이라 겉보기엔 별 차이는 없다. 그리고 중국계 중에는 원래 마카오에서 살던 '마카이엔사'라는 마카오 원주민이자 광동인인 그룹도 있다. 이들은 광동어와 포르투갈어가 섞인 특유의 피진 마카오어를 사용한다. 듣다 보면 포르투갈어 같기도 하고 중국어 같기도 하고 좀 어지럽다. 마카이엔사는 마카오 인구의 1% 안팎으로 대단히 적다.[1] 포르투갈은 반환 전 마카이엔사들에게 포르투갈 국적과 포르투갈 여권을 부여했다.
사실 이 마카오인들 중에도 중국 이주민과 섞인 경우도 제법 있다. 섞인 사람들까지 빼면 순수 조상이 19세기부터 살아 온 마카오인은 5% 정도로 쪼그라든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포르투갈인과 혼혈도 많다. 중국 이주민의 경우도 마카오로 온 후 포르투갈화되어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포르투갈식 이름을 쓰는 경우도 충분히 많다.
마카오는 출생 국가와 상관없이 부모의 국적에 따라 국적이 정해진다. 해외에서 태어나도 부모가 마카오인이면 마카오 영주권을 받는다. 포르투갈 국적을 받은 마카오인들은 자녀 세대 역시 똑같이 포르투갈 국적이다. 영국이 해외령 여권이라는 꼼수를 써서 홍콩 및 식민지 주민들의 영국 이민을 막은 것과 달리 이 포르투갈 여권은 본토와 같은 혜택을 누리므로 유럽연합 회원국 지위에 따라 솅겐조약이 적용되어 유럽 내 이동이 자유롭고, 포르투갈 대사관에 도움을 청할 수 있으며, 포르투갈 공무원도 될 수 있고,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도 합류 가능하다.
혼합인까지 포함한 90% 이상의 대륙 출신과 10% 정도의 마카오인들의 경우 같은 지붕 아래 다른 가족이라 할 정도로 서로 다르다. 종교부터 마카오인들은 포르투갈어로 된 세례명 이름을 쓰고 가톨릭을 믿는다. 반면 중국 이주민들의 대부분은 도교 및 불교를 믿고 중국식 이름을 그대로 쓴다. 중국 이주민 중 현지 마카오인에 동화되어 가톨릭으로 개종한 경우는 똑같이 포르투갈어 세례명을 이름으로 쓴다. 중국의 인구가 워낙 많은 탓에 도교나 불교 비중이 높긴 하지만 마카오화된 중국인들의 존재로 가톨릭이 15% 이상 상당수는 차지하며 미사 참례도도 높다. 그리고 젊은 세대는 가톨릭은 물론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도 늘고 있고 무종교 내진 무신론자도 30%에 달한다. 참고로 여기 불상 중 관음상은 뭔가 성모상이랑 비슷한 느낌이 들며 한국의 관음상과는 매우 다르다. 반대로 성모상도 뭔가 불교 영향으로 관음보살 틱 해져 포르투갈이나 스페인, 남아메리카 등의 성모상과는 다르다. 서로 문화 교류를 주고 받은 대표적인 예이다. 우리는 흔히 중국인이 자기 민족 문화를 지키는 힘이 강하다고 말하는데, 사실상 반은 틀린 말이다. 외국과 교류가 잦은 남방은 일찍이 외래 문화 수용에 적극적이었고, 최근에 외국과 교류가 잦았던 하얼빈도 외래 문화 수용에 적극적인 편이었다.
마카오 반환 이전까지 마카오에서 태어났거나 마카오에서 거주하던 중국계 및 포르투갈계 주민들은 대부분 마카오 영주권을 받았다. 현재는 마카오 영주권을 취득하기 어렵다. 현재의 취득 조건은 마카오에서 비자를 받아 5년 이상 거주하고 범죄 기록이 없으며 경제적 자립 능력이 있어야 하고 정기적으로 세금을 납부했어야 하며 마카오 언어 및 역사 문화에 대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2. 문화
포르투갈의 라틴 문화와 중국 광동성의 문화가 섞여있으며, 홍콩처럼 서양과 중국의 만남의 지점이다. 음식 문화 역시 섞여 있다.3. 언어
주로 광동어, 포르투갈어, 피진인 마카오어를 쓴다. 피진인 마카오어는 광동어와 포르투갈어가 섞인 언어로 마카오 원주민들이 주로 쓰고 중국계 이주민은 광동어를 주로 쓴다. 마카오의 첫번째 공용어는 당연히 두 그룹이 모두 쓰는 광동어이며 중간에 포르투갈어 단어가 섞여있다. 숫자 등을 포루투갈어로 세는 등의 식이며, 마치 홍콩이 광동어에 영어를 섞어 쓰는 현상과 비슷하다.그리고 중국 반환 후 표준 중국어와 영어도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특히 관광업이 발달하고 미국 자본이 투자한 타이파 섬과 코타이에선 영어가 잘 통한다. 물론 마카오 반도 쪽으로 넘어가면 아직까지 영어가 안 통하고 표준중국어를 알아듣기는 하는데 제대로 할 줄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젊은 세대는 비교적 표준중국어, 미국식 영어를 잘하는 편이다. 마카오인들은 과거 유학지로 포르투갈을 골랐으나 현재는 영어권 교육을 원한다면 영국으로, 중화권교육을 원한다면 대만을 고르는 편이다. 일반적으로는 영국식 영어의 영향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