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1:13:49

ITX-새마을/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TX-새마을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TX-새마을/차량/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현황 보기
( 편성번호 · 열차번호 · 차량번호 · 여섯자리 차량번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a]
광역전철
도입 예정
[[HSEMU-370|{{{#ffffff EMU-370}}}]]
  차번 미정
개번 전 차량번호   2030호대(1993~2011)
  5000호대(1996~2011) ·  6000호대(2006~2008)
전량 퇴역
  1000호대( 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a]: 8호기 한정 관광열차 운행중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KORAIL 210000 Series EMU
}}}
파일:ITX-새마을.jpg
차량 정보
<colcolor=#c30e2f> 열차 형식 일반철도 입선용 간선형 전기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량수 6량 1편성[1]
생산량수 138량
운행계통 서울 착발
경부선 서울↔동대구/부산
경부선 서울↔신해운대[해운대]
경전선 서울↔진주[진주]
용산 착발
호남선 용산↔목포
호남선 용산↔광주
전라선 용산↔여수엑스포
청량리 착발
중앙선 청량리↔안동[완행]
도입년도 2013 ~ 2014년
제작사 현대로템
소유기관 한국철도공사
운영기관
편성번호 2B1001 ~ 2B1023[5]
차량배속 서울차량사업소
부산차량사업소
차량정비 중정비: 이문차량사업소
경정비: 서울, 부산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c30e2f> 전장 23,500㎜
전폭 3,150㎜
전고 3,850㎜
시트피치 980㎜
열차장 145,000㎜
궤간 1,435㎜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신호장비 ATP(안살도)[6], ATS[7]
제어방식 도시바 VVVF- IGBT[12CM]
동력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기어비 19:94(1:4.947)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50㎞/h
설계 165㎞/h
가속도 65㎞/h까지 2.5㎞/h/s 이상
감속도 상용 3.0㎞/h/s 이상
비상 4.0㎞/h/s 이상[9]
MT 비 3M 3T (Tc-M'-M-T-M'-Tc) }}}}}}}}}
1. 개요2. 편성3. 특징4. 내부 모습5. 도입6. 기타

[clearfix]

1. 개요

2013년 퇴역한 새마을호 DHC 디젤동차와 2018년 퇴역한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형 전기동차이다. 차량번호는 21##XX, 편성번호는 2B10##의 형식이다.

2. 편성

편성 구성은 다음과 같다. 특실이 있던 새마을호와 달리 누리로 전동차 ITX-청춘 전동차, ITX-마음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특실 없이 전 호차가 일반실이다.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조성
상행 ( 서울· 용산· 청량리[완행] 방면)
<rowcolor=white> 차량번호 차종 호차 좌석 비고
<colcolor=#c30e2f> 21##09 TC2 1 58석 [A][B]
21##55 M'2 2 74석 [A][B]
21##04 T 3 50석 [A][16]
21##53 M 4 62석 [A][B]
21##52 M'1 5 74석 [A][B][21]
21##01 TC1 6 58석 [A][B][24]
하행 ( 동대구· 부산· 진주[진주]· 신해운대[해운대]· 광주· 목포· 여수· 안동[완행] 방면)

3. 특징

운행 모습 사진
파일:잉마을운행중.jpg
3호기

지금까지 한국철도에 사용된 동차에 적용된 기술이 모두 녹아 있다.

차내는 누리로 ITX-청춘을, 외부는 KTX-산천을, 방송용 LCD 모니터와 출입문 차임벨[29] 광역전철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후부의 팬터 1기만을 올린 채 주행하는 것과 상부로 전력 공급 케이블이 지나가는 것은 누리로 KTX에서 물려받은 부분이다.[30] 이로서 한국형 간선 전기동차의 컨셉이 확립됐다고 볼 수 있다.

철도청 시절에는 편성 유동성과 유지보수의 어려움, 전차선 미비 등의 문제로 동차를 기피했다. 그런데 KTX 누리로의 도입과 경부선의 전구간 전철화 완료 이후로는 신규 여객열차를 모두 동차로 도입중이다.[31]
파일:잉마을링크암대차.jpg
링크암 대차
대차 누리로 전동차 ITX-청춘 전동차에 사용된 볼스터리스 링크암 대차이며, 고속 주행을 위해 요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기 덮개는 수동으로 떼어서 따로 보관하는 방식인데 ITX-새마을 자체가 중련운행을 해야할 정도의 고수요 노선을 달리지는 않기 때문에[32] 아직까지는 DHC 디젤동차처럼 덮개를 떼고 다니는 경우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신호장비는 점제어식 ATS-S1, 속도조사식 ATS-S2, ERTMS Lv.1(Ansaldo) 장착.

출입문이 열릴 때 차내에서 "삐-삐-삐-삐" 경고음이 울리고 밖에서는 코레일 소속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의 차량에서 나는 부저음이 나온다. 닫힐 때에는 삐삐거리는 경고음이 울리며 공기소리 또한 난다.[33]그리고 인버터는 ITX-청춘과 동일한 도시바제를 사용한다.

철도 동호인과 새마을호 열차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한동안 이 열차의 전신인 DHC 디젤동차,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와의 비교를 많이 당해왔다. 하지만, ITX-새마을 이후 도입된 새마을호 등급 열차의 나쁜 평가[34]와, ITX-새마을의 작은 개선 하나하나 덕분에 도입 10년 만인 2023년 기준으로 명차로 재평가 받고 있다.

ITX-새마을 10호기의 1호차 전면부를 보면 빨간색 얼룩자국이 보인다, 이는 밀양역 작업자 사상사고와 관련한 흔적이며 페인트로 땜빵쳐놓은 얼룩자국이다.[35]

ITX-새마을 20호기의 외부에는 다양한 검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은 KTX 036호기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에 투입되는 312B00편성 두 편성과 마찬가지로 검측전용 편성으로서 운행하고 있다. 검측장치 점검을 위해 창원 로템공장에 다녀온 영상이다.

4. 내부 모습

파일:잉마을내부.jpg
내부 모습
좌석간격은 980mm로 기존 새마을호보다는 좁고 KTX, 무궁화호보다는 넓다. 새마을호에 있던 레그레스트가 사라졌고 시트 테이블은 가운데 팔걸이에 접이식으로 있다. 다만 기존 새마을호는 개발 당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그니처급 열차로 제작됐으나, 이 차량은 급행열차 등급으로 제작됐다는 차이는 감안해야 한다. 대신 기존 새마을호나 KTX에도 없던 목베개가 있고, ITX-청춘에는 없는 발받침대가 있는 등 시트가 ITX-청춘보다 조금 더 고급스럽게 제작되어 새마을호의 위상을 어느정도는 유지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4년부터 코레일톡 앱에 VR열차 미리보기 기능이 추가되었다. VR을 통하여 해당 차량의 좌석배치 및 내부시설을 확인할 수 있다. ITX-새마을은 열한 번째 편성인 11호기[36]의 내부시설이 촬영되었다.

5. 도입

원래 한국철도공사는 180km/h급 전동차를 도입하려 했다. 그러나 감사원기존선에서 180km/h로 달릴 구간이 없다고 지적하여 150km/h로 하향 조정됐다.[37]

현재 상황으로 보면 오히려 호남선 광주송정 ~ 고막원 구간, 전라선 전 구간, 중앙선 덕소 ~ 안동, 영천 ~ 경주 구간, 동해선 태화강 ~ 영덕 구간 등 차량이 선로 스펙과 안맞아서 애물단지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 선로 스펙이 좋다면, 물리적으로 180km/h라는 성능을 내는 자체에는 아무 이상이 없지만 180km/h는 최상급 포지션의 열차로 다니기엔 느려 별도의 상급열차 운행을 요하는 스펙이며, 그럼 하급열차는 상급열차의 운행 및 성능 발휘에 지장이 되지않도록 운용해야 한다. 또한 정차역 간 간격도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밖에 없으니 최고 속력 180km/h라는 성능을 다 발휘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준고속선, 기존선용 준고속차량 KTX-이음을 따로 제작하게 된다.

동력차 4량과 무동력차 2량 4M2T 조합으로 양산하려 했으나, EMU-180이 아닌 EMU-150으로 도입됨에 따라 큰 출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서인지 3M3T 조합으로 출고됐다.[38]

2013년 9월 처음 출고되어 2014년까지 양산했다.

2013년 9월 25일 밤, 초도편성 1호기가 디젤기관차의 견인을 받아 갑종회송(갑종철도차량 수송) 형태로 대전조차장으로 올라갔다. 시안보다는 뭉뚝하지만 디자인은 잘 된 편이라는 의견이 많다.

2014년 4월 말까지 시운전을 하다가 5월 12일 일부 구간에서 운행개시했다. 참고 1 참고 2

6. 기타


파일:탄자니아 새마을 페이스리프트.jpg 파일:ITX새마을호 코마게 제거.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같은 동력분산식 6량 1편성 전동차일지라도, 운행에 따른 출력 차이를 고려하여 MT비 또는 배치가 다르다.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1~8차분): Tc-M-M'-T-M'-Tc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Tc-M'-T-M-M'-Tc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Tc-M'-M-M-M'-Tc
[해운대] 부전역을 기준으로 신해운대역은 북쪽에 있다. 하지만 동해선이 아닌 경부선 계열의 열차이기 때문에, 부전역 기준으로 하행열차이다. 이 열차는 부전역이 착발을 담당하지 않고 순수하게 정차만 하는 유일한 열차이다. [진주] KTX와 다르게 마산역 시발/종착 열차가 없다. [완행] 청량리부터 안동까지 모든 무궁화호 정차역에 정차한다. 물론 광역전철 전용역이나 여객취급 중지역, 그리고 KTX-이음과 ITX-청춘만 정차하는 상봉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5] 2B1001 = ITX-새마을 01호기
2: 간선형
B1: ITX-새마을
001: 1편성
[6] ERTMS Lv.1 [7] 점제어식 S1, 속도조사식 S2 [12CM] 1C2M 제어 방식 [9] 비상제동거리: 150㎞/h에서 900m 이내 [완행] [A] 수하물선반 [B] 단독창 좌석
각 편성별로 단독창 다섯 좌석이 존재한다.
1호차 15A, 2호차 1D, 4호차 2A, 5호차 1D, 6호차 1D
[A] 수하물선반 [B] [A] [16] 휠체어석 [A] [B] [A] [B] [21] 유아동반석 [A] [B] [24] 일부 열차에 한해서 자유석 운영 [진주] [해운대] [완행] [28] KTX-1, KTX-산천, SRT 전동차는 통로에 위치에 있다. [29] 단, 광역전철은 출입문이 닫힐때만 나오지만 ITX-새마을은 출입문이 열릴때만 나온다. 톤도 ITX-새마을 쪽이 높다. [30] 최초의 EMU 간선형 전동차인 EEC 전동차는 수도권 1, 2호선의 저항제어 전동차의 영향을 그대로 받았기 때문에, 모든 M' 칸의 팬터그래프를 올려서 운행했다. [31] 기존에 운행하던 특대형 디젤기관차 전차대를 활용하며 돌려야 하나, 동차는 그런 과정이 필요없다. [32] 사실 구간수요만 따지면 고수요 구간이 없는 건 아니다. 그러나 극히 일부 구간만을 위해 중련운행을 하는 것은 대단히 비효율적이라 그냥 해당 구간도 미어터지는 상태로 다니고 있다. [33] 다른 ITX 열차인 청춘과 마음은 전기식 출입문이여서 공기소리가 안 나며, 출입문 경고음은 KTX-이음, KTX-청룡과 비슷하다. [34]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에 중앙 팔걸이와 테이블, 콘센트만 설치하고 새마을호 요금을 받는 개조 새마을호, 개통 초기의 결함과 고장이 잦은 ITX-마음. [35] 파일:20240331-IMG_7210.jpg ITX-새마을 10호기 사진 [36] 211101호 객실 ~ 211109호 객실 [37] 대신 180km/h급 열차의 계획은 저 멀리 경춘선에서만 운행중인 2층짜리 특급열차로 넘어갔다. [38] 결론적으로 4M2T의 출력은 2019년에 최초 제작된 KTX-이음이 갖고 가게 되었다. [39] 스마트폰까지 상용화된 시점인 2013년에 나온 차량이 왜 이렇게 설계를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아직 스마트폰 시대의 초창기였기에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당시는 KTX-산천도 전 좌석 콘센트가 아니었던 시절. 오히려 처음에는 콘센트를 많이 도입한 것으로 찬사를 받기도 했었다. [40] 열차가 터널 안에 들어가면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다. [41] 만에 하나 열차 고장 등으로 인해 수험생이 피해를 입었을 때 집단소송을 당할 위험이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42] ITX-새마을보다 빠른 시속 160km/h까지 달릴 수 있고, 6량 1편성인 itx와는 달리 8량 1편성이다. 그리고 주황색 계열의 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43] 스토리웨이에서 판매하고 가격은 KTX-산천 조립블록과 동일하게 48,000원이다. 코레일에서는 청춘 전동차의 조립블럭도 출시를 했었다. [44] ITX-새마을의 연결기는 기관차나 객차에 장착된 AAR형 연결기가 아닌, 누리로 ITX-마음 등에 장착된 시바타형 복합 자동연결기가 장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