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9 02:17:36

카루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웹 게임에 대한 내용은 카루스(웹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카루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201년 202년 202년 보결 203년 204년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무렌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아리우스 무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레갈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라비우스 리보
204년 보결 205년 206년 206년 보결 207년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리베랄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마르수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막시무스
ignotus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페트로니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파우스티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아페르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스페르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퀸투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플라우티우스 아비투스 아울루스 트리아리우스 루피누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밀리우스 아스페르
212년 보결 213년 214년 215년 216년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퀸투스 마이키우스 라이투스 푸블리우스 카티우스 사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데키무스 카일리우스 칼비누스 발비누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케리알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217년 218년 218년 보결 219년 22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세베루스 마크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메시우스 엑스트리카투스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드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221년 222년 223년 224년 225년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사비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페르페투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티베리우스 마닐리우스 푸스쿠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비텔리우스 셀레우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알렉산데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226년 227년 228년 229년 23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라일리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이키우스 프로부스 카시우스 디오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231년 232년 233년 234년 235년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일리그니아누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파테르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우르바누스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
236년 237년 238년 239년 24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우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피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펠릭스 코르넬리아누스 폰티우스 프로쿨루스 폰티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베누스투스
241년 242년 243년 244년 24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아티쿠스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아리아누스 티베리우스 폴리에누스 아르메니우스 페레그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클로디우스 폼페이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레피두스 프라이텍스타투스 가이우스 케르보니우스 파푸스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시우스 티티아누스
246년 247년 248년 249년 25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알리우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나이비우스 아퀼리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51년 252년 253년 254년 25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메시우스 데키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발비누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256년 257년 258년 259년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투스쿠스 (눔미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덱스테르)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뭄미우스 바수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260년 261년 262년 26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사이쿨라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도나투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눔미우스 파우스티아누스 덱스테르 (막시무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퀴에투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라티아누스
264년 265년 266년 26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오비니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퀼리우스 파테르누스
사투르니누스 루킬루스 사비닐루스 아르케실라우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268년 269년 270년 271년
아스파시우스 파테르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에그나티우스 마리니아누스 파테르누스 비리우스 오르피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산크투스
272년 273년 274년 27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 아울루스 카이키나 타키투스 또는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벨둠니아누스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카피톨리누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켈리누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276년 277년 278년 279년 28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노니우스 파테르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81년 282년 283년 284년 28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루키우스 카이소니우스 오비니우스 루피누스 마닐리우스 바수스 Ⅱ)
285년 286년 287년 28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베티우스 아퀼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288년 보결 289년 289년 보결 289년 보결
… a 마르쿠스 마그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케이오니우스 프로쿨루스
… ivianus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코엘리아누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89년 보결 290년 291년 292년
플라비우스 데키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ninius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카시우스 디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93년 294년 295년 296년 29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눔미우스 투스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안니우스 아눌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298년 299년 300년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갈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41대 황제
카루스
CARVS
파일:Carusinc2955obverse.pn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마르쿠스 누메리아누스 카루스
(Marcus Numerius Carus)
출생 222년
로마 제국 갈리아 나르보
사망 283년 7월 (향년 61세)
사산 제국 티그리스 강 너머
재위 기간 로마 황제
282년 9월 ~ 283년 7월 (10개월)
전임자 프로부스
후임자 누메리아누스
자녀 카리누스, 누메리아누스, 아우렐리아 폴리나
종교 로마 다신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2.2. 황제 즉위2.3. 갑작스러운 사망
3. 평가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제41대 황제. 즉위 전 본명은 마르쿠스 누메리아누스 카루스(Marcus Numerius Carus), 황제 즉위 후 취한 풀네임은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aesar Marcus Aurelius Carus Augustus)이다.

원로원 의원으로 프로부스 황제의 근위대장을 맡던 중, 페르시아 원정 중인 병사 중 일부가 프로부스 황제를 282년 8월에 시해하자 변란을 수습하고 황제로 옹립됐다. 즉위 직후, 전임자 프로부스가 추진 중인 페르시아 정벌에 착수해 승승장구했으나 283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

카루스는 222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짐작되지만 그가 어디서 태어났는지는 불분명하다.

카루스와 그 일가를 폄하해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그 동료들의 정통성을 높이려고 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카리누스의 아버지인 카루스가 어쩌면 로마인이 아닐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믿을 수 없는 기록에 따르면, 카루스는 일리리쿰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일리리아인으로 로마에서 일찍이 이주했다는 말도 있고, 판노니아인 부모를 뒀거나 아예 옛 카르타고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돈다고 한다. 아울러 카루스의 고향이 밀라노라는 이야기도 도는데, 당사자가 워낙 고향을 중구난방으로 소개해 어디에서 굴러 먹다가 왔는지 혈통도 알기 어렵다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이 믿을 수 없는 사서에 따르면, 카루스는 로마인이 아니지만 로마인인 척 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책의 주장이 워낙 뒤죽박죽이고, 이 책 안에 실린 카루스가 킬리키아 총독 시절 보낸 서한은 조작된 흔적이 가득하다. 가령, 카루스의 풀네임부터 제호에서 임페라토르 카아사르를 빼놓고 총독 시절 쓴 양 편집해놓고 자기 혼자 떠드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카루스가 보낸 서한에 따르면, 그는 옛 유니우스 가문의 후예이며 부모가 아주 오래 전부터 아주 오래된 로마인이라고 고백한 내용도 적혀 있다. 그런데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자세히 알기는 어렵다.

현대 학계에서는 같은 시기에 저술된 믿을 수 없는 또 다른 사서《황제의 전형(에피토메 데 카이사리부스)》속의 카루스 기록을 주목 중이다. 이 저서는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찬양하기 위해 조작한 위서로 유명한데, 일부 주장은 사실이라서 거를 수는 없는 사료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이 책에 따르면, 카루스는 나르보에서 태어난 로마귀족이라고 한다. 그래서 현대 학자들은 카루스가 갈리아의 도시 중 하나인 나르보[1]에서 태어났다고 보고 있고, 그가 훌륭한 원로원 귀족 가문 출신이 분명하다고 추정 중이다.

애당초 '카루스=일리리쿰 출신'이라는 가설은 조제프 쥐스트 스칼리제르[2], 에드워드 기번이 고대 기록 문구를 그대로 수용해 확정한 주장인데다, 이들이 만든 소위 일리리아 황제 이론[3] 자체는 2000년대 이르러 이탈리아 로마와 티볼리,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터키, 그리스 일대에서 수많은 로마 시대 비문 발굴과 금석문 해석으로 반박된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4] 따라서 최근에는 확정적으로 카루스가 나르보 태생의 갈리아 출신 로마인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가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공적을 쌓았으며 출세 과정은 어땠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다만 확실한 사실은 그가 즉위 전까지 일반병졸로 입대해 군경력을 쌓고 즉위한 케이스가 아닌, 상류층 자제 내지 부유한 기사계급 출신의 출세가도를 밞았고, 대부분의 삶은 로마에서 보냈다는 기록이다. 카루스는 일찍이 가족들과 함께 로마로 이주해, 아주 어릴 적부터 로마에서 고대 상류층들이 받은 문학, 법률, 철학, 예술 등을 배웠고, 당시 뛰어나다고 평가받은 역사가에게도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이를 통해, 학자들은 그가 생각 이상으로 대단했던 원로원 세습의원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 그렇지만 장남 카리누스가 기록말살형에 처해질 때, 카루스에 대한 기록이 많이 유실돼 알기는 어렵다.

즉위 전까지 원로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민간과 군대 모두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다양한 직책을 두루 거치면서 서방의 게르만족들을 상대로 전투도 치른 듯 하다. 허나 카루스가 어떤 공을 세웠는지는 기록이 미미해 알 수 없다. 다만, 카루스가 40여 년 동안 원로원 의원을 지내면서 민간과 군대를 포함한 여러 직책을 수행해, 능력이 뛰어났던 것은 분명하다고 한다. 이런 까닭에 그는 원로원 의원으로 오래 활동하면서도 순수군인 출신 황제들과 관계가 원만했고, 그들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두루 민간, 군대에서 경력을 쌓았다. 이를 증명하듯, 프로부스 피살 소식과 카루스 옹립 소식이 원로원에 전달될 당시 그는 원로원과 로마시민들에게 엄격하고 공정하며 절제력이 있다고 평가받았다고 한다. 이는 그 일가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술한《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도 비슷하다. 아마도 콘스탄티누스 1세때 참여해 보완한 저자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때 지어내거나 폄하한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 따르면 프로부스 황제는 원로원에게 이렇게 서한을 보내 카루스를 극찬했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가 가장 헌신적인 원로원 여러분께 인사를 드립니다. 카루스처럼 공공사업에 힘쓴 이가 더 많았더라면 우리 공화국은 참으로 행복할 겁니다. 그러므로 여러분께서 기쁜 마음으로 이 고풍스러운 인물에게 투표를 하여, 공적 비용으로 기마 동상과 그를 위한 집을 대리석으로 지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282년 프로부스 황제에게 신임을 받아 원로원 의원임에도 근위대장에 임명되었다. 이때 카루스는 여러 외적과 전투를 치르면서 내치에도 최선을 다한 황제를 보필하며, 로마 제국 재건과 각종 원정에서 두루 공을 세웠다고 한다. 그래서 사산 왕조 페르시아 원정에도 참전해 시르미움으로 동행했다.

2.2. 황제 즉위

282년 8월, 프로부스가 시르미움 근교에서 진행된 토목 공사에 불만을 품은 병사들의 폭동에 휘말려 참혹하게 살해됐다. 이후 근위대와 원정군은 시르미움에 머물던 근위대장 카루스를 추대해 황제로 선포했다.

새 황제 카루스는 즉위하자 마자 프로부스를 살해한 병사들을 처형하고 프로부스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다. 그런데 그의 즉위는 본인이 제위를 노리고 음모를 꾸며 벌어진 일도 아니고, 간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진짜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다.

즉위 당시 카루스는 전임자보다 6살 많았는데, 순수 군인 출신 황제들인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아우렐리아누스, 프로부스와 달리 무려 40여 년간 원로원 의원 생활을 했고 근위대장에 올라있었다고 한다. 그런데도 카루스는 즉위 후 자신이 황위에 오른 사실을 원로원에 통보하면서도 로마에 돌아가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프로부스가 미처 추진하지 못했던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벌이기로 마음 먹었다.[5]

카루스는 페르시아 원정에 착수하기 전 두 아들 카리누스 누메리아누스에게 카이사르의 칭호를 줬다. 그리고 카리누스에게 갈리아 지방에서 벌어진 반란을 진압하고 로마로 돌아가서 내정을 정비하게 했다. 반면에 작은 아들 누메리아누스는 원정에 동참시켰다. 이후 카루스는 사르마티아족을 정벌해 일리리아의 안전을 확보했다. 약 1만 6천 명의 사르마티아족이 죽었고 2만 명은 포로로 붙잡혔다.

283년 페르시아와 로마 간의 변경 지대에 도착한 카루스는 페르시아에게 선전포고했다. 이에 페르시아의 왕중왕 바흐람 2세는 평화 협상을 제의하기 위해 사신을 보냈다. 왕중왕이 보낸 사절단이 로마군 진영에 도착하여 황제를 만나보고 싶다고 하자, 병사들은 풀밭 위에 앉아 있던 한 군인에게 안내했다. 그 군인은 말라 비틀어진 베이컨과 딱딱한 콩으로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남루한 보라색 외투만이 그가 황제라는 걸 알려줬다.

카루스는 대머리를 감추기 위해 쓰고 있던 모자를 벗으면서 페르시아 왕이 로마 제국의 우월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페르시아는 이 대머리처럼 아무것도 남는 게 없을 거라고 말했다. 사절단은 공포로 몸을 떨며 물러갔고, 카루스는 곧바로 자신의 위협을 실천에 옮겼다. 그가 이끄는 로마군은 메소포타미아를 파괴하고 셀레우키아와 크테시폰을 함락시켰다. 카루스는 여세를 몰아 티그리스 강까지 진군했고 곧 강을 건너 페르시아를 정복하기로 했다. 당시 페르시아는 내분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해졌고 군대의 대부분은 인도 접경 지대에 붙들려 있어서 로마군의 침략에 대항할 수 없었다. 그러나 얼마 후, 카루스는 뜻밖의 최후를 맞이한다.

2.3. 갑작스러운 사망

283년 중순, 카루스는 티그리스 강을 도하해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완전 정복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그러던 중 돌연 병에 걸린 그는 침상에 누워 있었다. 그런데 얼마 후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병영에 심한 폭풍우가 몰려오고 천둥과 번개가 쉴 새 없이 쳐서 병사들이 혼란에 빠진 와중에, 갑자기 엄청나게 큰 천둥소리가 들려오더니 황제의 천막이 번개에 직격되어 화염에 휩싸였다. 화재는 곧 진압되었으나 황제의 천막은 이미 불태워졌고 카루스는 사망한 뒤였다. 그의 사인은 낙뢰사로 기록되었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음모가들이 폭풍우가 심한 틈을 타서 황제를 살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 평가

짧은 재위 기간동안 대단한 군사적 능력을 보여줬고, 인품이 나쁘지 않았음에도, 아들 카리누스로 인해 평가가 박한 황제다. 카루스는 일생동안 엄격하고, 도덕적이었으며 예의가 있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프로부스 사후 즉위하는 과정에서 원로원에게 로마 귀환 대신 원정을 계속하겠다는 것을 드러낸 부분, 아들 카리누스 부부가 워낙 평이 안 좋은 까닭에 원로원에게 즉위 직후 오만하고 탄압적 행동을 보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또 타키투스와 프로부스 시대 동안 두 황제가 취한 원로원에 대한 호의적 태도, 원로원 권위 보호조치와 반대로 반대파에 대한 강경한 행동 탓에 프로부스 암살의 배후가 아니냐는 오해도 샀다고 한다. 물론 이 오해 중 일부는 장남이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내전 중 암살되고 몰락한 이유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평이다. 어쨌든 아들 카리누스가 폭군인데다 기록말살형에 처해진 까닭에, 또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그 측근들의 정치적 명분 때문에 사후 후대 로마인들에게는 폭군이라는 오명까지 들었다.
[1] 오늘날의 프랑스 나르본 [2] 유실 직전인 에우세비우스 연대기를 번역하고 로마, 페르시아 시대의 고서 번역과 연구에도 큰 업적을 세웠다. [3] 군인황제시대 황제들 대부분은 일리리아 출신이나 하층민이라는 주장으로,《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기록이 100% 맞다는 전제 아래 펼쳐진 주장이다. 일리리아의 모든 황제들은 하층민이나 훈련을 받고 유능한 군인들이었으며, 갈리아와 동부 속주 일대가 이들 손에 안정을 찾아 4,5세기까지 발칸 출신들이 황제가 되고 테오도시우스 왕조 이래 제국이 유지됐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속에서 그동안 발칸 반도 출신으로만 알려진 데키우스, 아우렐리아누스의 경우, 이들이 일리리아와 연관있어도 실은 이탈리아 혈통이라는 주장이 점점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데키우스, 프로부스의 경우, 데키우스는 원로원 의원이며 프로부스는 순수 군인임에도 여러 정황과 증거상 최소 기사계급 이상의 상류층 자제일 확률이 높아 일리리아 황제 이론의 주요 주장 중 몇가지는 유적 발굴 전부터 의문을 낳았다. 더욱이 푸피에누스로 유명한 막시무스나 믿을 수 없는 고대기록 덕분에 오현제 후손으로 알려진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2세, 고르디아누스 3세 가계 역시 터키와 이탈리아에서 발굴된 이들의 묘비, 개인비석으로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5] 카루스의 결정은 황제 본인의 뜻도 있었고, 그를 옹립한 원정군 수뇌부들의 요구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로원 입장에선 옛 동료였던 카루스가 일방적으로 “지금부터 내가 황제가 됐고, 원정은 계속 할 테니까 서방을 담당할 장남에게 협력이나 잘해라” 식으로 통보한 태도에 화를 냈고, 이는 전임자 프로부스가 항상 원로원을 배려한 행동과 달라서 카루스의 평가가 나빠질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