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1:34:41

율리우스 네포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61대 황제
율리우스 네포스
IVLIVS NEPOS
파일:Solidus_of_Julius_Nepos.pn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네포스 아우구스투스
(Flavius Julius Nepos Augustus)
출생 미상
서로마 제국 달마티아
사망 480년 5월 9일
서로마 제국 사보나
재위 기간 로마 황제
473년 ~ 475년 (1년)[1]
전임자 글리케리우스
후임자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부모 아버지: 네포티아누스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의 61대 황제이자 분할 통치인 서로마의 11대 황제.

2. 생애

동로마 제국의 황제 레오 1세에 의해서 이탈리아를 통치하기 위해 파견됐고 오스티아 근교의 포르투스(Portus) 항에 상륙 후 서로마의 10대 황제인 글리케리우스가 저항 없이 항복함에 따라 즉위했다.[2]

쇠약한 서로마의 특성상 동로마 및 타 세력의 지원이 절실했고 실제로 본인 외에 동로마 황제인 제노와 레오 2세의 모습을 담은 주화도 발행하여 동로마에 대한 감사와 유대를 드러냈다. 또한 그의 치세 때 갈리아 최후의 로마 세력인 수아송 왕국 시아그리우스 역시 그의 모습을 담은 주화를 발행하여 그의 즉위를 인정했다.

475년 동로마의 제노가 바실리스쿠스의 반란으로 쫓겨나자 네포스의 입지는 약화됐다. 그리고 서고트족이 갈리아로 침공하자 옛 서로마 황제 아비투스의 아들인 에크디우스를 마기스테르 밀리툼으로 삼아 아를을 지겨냈지만 중과부적으로 서고트족에게 오베르뉴를 주고 독립을 승인했다.
또한 반달족의 해적 행위가 잦자 이미 빼앗긴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일부, 코르시카, 사르데냐, 발레아레스 제도를 반달의 영토임을 인정하여 평화협정을 맺었다.

같은 해 에크디우스 대신하여 등용한 오레스테스가 반란을 일으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옹립하자 달마티아로 도주하였다. 그는 살로나에 머물며 서로마가 오도아케르에 의해 멸망한 이후에도 서로마 황제를 자칭했으며 제노 역시 군사적, 금전적 지원은 하지 않았지만 그를 서로마 황제로 인정했고 오도아케르 역시 제노의 뜻에 따라 네포스의 이탈리아 입성은 막을지언정 그를 황제로 인정했다.

끈질기게 이탈리아 입성 및 오도아케르 타도를 노리던 그는 480년에 살로나의 궁전 근처에서 자신의 휘하 코메스인 오비다와 비아토르에 의해 살해 당했다. 이는 이전에 그에게 폐위 당해 원한이 있고 마침 살로나의 주교가 된 글리케리우스의 사주 또는 근거지 달마티아를 떠나 싸우는 것에 반감을 품은 부하들의 독단으로 추정된다.

대립했을지언정 그를 황제로 인정하던 오도아케르는 네포스 살해를 빌미로 481년 또는 482년에 달마티아를 침공해 오비다를 죽이고 별다른 저항 없이 달마티아를 점령했다.

당시의 동로마 황제 제노는 그를 정통으로 인정하였으며, 역사학자에 따라서 그를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보기도 한다.


[1] 475년부터 480년까지는 제위 계승권을 유지했다. [2] 네포스는 800년에 샤를마뉴가 로마에서 로마 제위를 계승하기 전까지 마지막으로 로마에서 즉위한 황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