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15:48:22

빌리 파울 헤롤트

빌리 헤롤트에서 넘어옴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스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나치독일 피해자 만들기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헤롤트.jpg
이름 Willy Paul "Willi" Herold
빌리 파울 '빌리' 헤롤트
출생 1925년 9월 11일
바이마르 공화국 작센 룬체나우
사망 1946년 11월 14일
연합군 점령하 독일 볼펜뷔텔
복무 독일 국방군 공군 (1943년 ~ 1945년)
최종계급 공군 공수 일병
주요 참전 이탈리아 전선
몬테카시노 전투
서부전선
주요 서훈 1급 철십자장
1. 개요2. 생애
2.1. 성장기2.2. 군 복무2.3. 장교 사칭 및 범죄 행각2.4. 체포 및 처형
3. 의의4.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clearfix]

1. 개요

나치 독일의 군인이다.

2. 생애

2.1. 성장기

1925년 9월 11일 작센의 룬체나우(Lunzenau)에서 태어났으며 청소년기에는 굴뚝 청소부 교육을 받기도 했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그도 히틀러유겐트에 가입했는데 이후 몇 가지 필수 과정의 이수를 거부하여 1936년에 제적되었고 대신 국가노동봉사단에 배치되었다.

2.2. 군 복무

1943년 9월 30일 18세가 된 그는 입대를 해야 했으며 이를 위해 루프트바페 팔시름예거(Fallschirmjäger, 공수부대)에 지원했다. 그가가 배치된 공수 연대 제1강하사단 예하로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됐고 그는 몬테카시노 전투와 살레르노 전투를 겪으며 영국 육군 전차 2대를 격파하는 등 용맹하게 싸워 1급 철십자장 신분으로 받는 등 나름대로 모범적인 군생활을 하고 있었다.

1945년 3월 서부전선으로 재배치된 그의 부대는 연합군의 공격에 계속 후퇴했고 한 달 뒤인 4월 초에 일병이었던 그는 부대가 혼란에 빠진 틈을 타 탈영하였다. 도망다니던 와중에 그로나우와 바드 벤트하임 근처에서 그는 1대의 유기된 공군 승용차를 발견했는데 여기에서 공군 공수 특기 대위 계급장과 각종 훈장(1급 철십자장, 공수부대휘장, 나르비크 전투 크레타 전투 참전장 등)이 달린 군복 한 세트를 입수한다. 이 때부터 그는 자신이 입고 있던 공군 비행복[1]을 벗어 버리고 대위의 근무복 정모, 코트를 착용하고 다니며 장교 행세를 하기 시작했다. 이미 공군에서 1년 반 가량을, 그것도 제복의 주인과 같은 공군 공수부대원으로 근무해 봤던 그로선 장교 흉내를 내는 것이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2.3. 장교 사칭 및 범죄 행각

단순히 장교임을 사칭하면서 여기저기 도망다니거나 하는 정도였다면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그는 대위 행세를 하면서 주변에 돌아다니던 다른 공군 탈영병들 및 낙오병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이 때부터 점점 걷잡을 수 없는 길로 가기 시작했다. 당시엔 탈영뿐 아니라 단순 낙오 등도 헌병(Feldjäggerkommando)들이 탈영으로 간주해 즉결처분하는 게 일상적이었기 때문에 장교를 사칭하는 그의 곁에 있으면 안전이 보장될 것이라 여긴 그들은 두말않고 그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자신이 모은 병력으로 자칭 아돌프 히틀러 총통으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는 특수 임무부대 "헤롤트 특임대"를 사칭하던 그는 4월 11일에 아셴도르퍼모어(Aschendorfermoor) 범죄자 수용소에 도착했다. 이 수용소의 수감자들은 대부분 독일 육군의 탈영병 등이었고 그는 여기서 처음으로 전쟁범죄를 질렀는데 바로 90명의 수감자를 총통의 특명을 사칭하여 살해한 것이다.

얼마 뒤 연합군의 공습으로 수용소가 파괴되어 수감자와 헤롤트 특임대원들 일부는 사망하거나 도주했다. 그는 이 공습에서 멀쩡하게 살아남았고 남아 있던 부하들을 모음과 동시에 일부 수감자도 자기 권한으로 석방해 자기 부하로 편입시켜 수용소를 버리고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몇몇 마을을 돌아다니며 백기를 걸었다는 이유로 농부 교수형에 처하고 다섯 명의 네덜란드인을 스파이라는 이유로 처형하는 등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그러다가 결국 정체가 들통나 아우리히(Aurich)의 현지 육군 지휘관에게 체포되었고 그가 장교를 사칭했음을 자백하여 관할 지역인 노르덴의 해군 군사법원으로 압송되었지만 종전을 앞둔 와중의 혼란 덕에 어이없게도 석방되었다.[2]

2.4. 체포 및 처형

그는 항구 도시이자 해군 주둔지인 빌헬름스하펜으로 향했고 입대 전 생업으로 삼기 위해 교육 받았던 굴뚝 청소부 일을 하면서 살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5월 23일 을 훔치던 중 군정을 실시하기 위해 주둔 중이던 영국 해군 체포되었고 수사 과정에서 그가 앞서 언급한 학살극을 지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육군 헌병에 인계된 그는 1946년 2월 1일 12명의 부하 탈영병들과 함께 자신이 최초로 학살을 저질렀던 아셴도르퍼모어 수용소 부지로 이송되어 그 곳에서 학살한 이들의 유해를 도로 파내는 작업에 동원됐는데 이 과정에서 195구의 유해가 발굴되었고 올덴부르크로 다시 이송된 그와 부하들은 H. 브라운 영국 육군 대령에게 재판을 받았다.

8월 29일 최종적으로 기소된 그와 6명의 부하들(카를 하게발트(Karl Hagewald), 베른하르트 마이어(Bernhard Meyer), 카를 쉬테(Karl Schütte), 요제프 오일러(Josef Euler), 헤르만 브란트(Hermann Brandt), 오토 파엘러(Otto Paeller)) 중 1명을 제외한 헤롤트 외 5명은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그 해 11월 29일 볼펜뷔텔(Wolfenbüttel) 교도소에서 단두대 참수형에 처해졌는데 처형 당시 불과 21세였다.

3. 의의

범죄 역사상 유사한 사례를 찾기 힘든 상당히 황당하면서 특이한 범죄 이력을 갖고 있다. 헤롤트 본인은 어려서부터 사고를 치거나 전과가 있는 몸도 아니었고 공군에 입대해서는 병 신분으로 받기 힘든 1급 철십자장을 받는 등 꽤 모범적으로 군생활을 했다는 점[3]에서 평범한 인물이 "제복 효과"로 인해 얼마나 망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전쟁의 광기와 결합되면 얼마나 큰 비극을 낳는지를 보여주는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다.

4.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1] 당시 독일 공군은 비행복으로 고안된 이 피복을 일반 전투복으로도 지급했다. [2] 영화 더 캡틴에서는 해군 군법무관들이 국방군에 해를 끼치지 않았으며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오히려 군 기강을 확립하였다는 등의 이유로 호의적으로 보다가 아예 대놓고 알아서 도망가라는 듯 허술하게 감시되는 감방에 수감해 뒀다. [3] 전쟁 말기에 1급 철십자장은 마구 뿌려진 훈장이라 모범적인 군생활의 척도가 될 수 없다는 주장도 있으나 그렇게 뿌려진 1급 철십자장도 수훈자의 수가 수십만으로, 전쟁 내내 천만명에 근접한 병력을 운용한 독일 국방군 인원 중엔 정말 소수에 해당하는 나름대로 받기 힘든 훈장이다. 게다가 헤롤트는 복무년수가 꽤 되는 하사관이나 직업병사인 Gefreiter(상병~병장급)도 아닌 파릇파릇한 일병 신분으로 이걸 받았으며 아무리 공로가 높아도 군 복무 태도가 불량하단 이유로 서훈이 반려 혹은 강등되는 일이 흔한 것이 독일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