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8:58:47

러시아 흑인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

아프리카의 민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단·남수단·차드
누비아인 수단 아랍인 베쟈족 바까라족 푸르족
딩카족 누에르족 사라족 투부족 카누리족
누바족 이집트인 베두인 부두마족
아프리카의 뿔
암하라인 오로모인 아파르족 소말리인 티그라이인
티그리냐인 티그레인 무르시족 수르마족 베타 이스라엘
동아프리카
루오족 마사이족 스와힐리족 말라가시인 후투족
투치족 코모로인 세이셸인 모리셔스인 투르카나족
키쿠유족 간다족 차고스인 체와족 야오족
키가족 통가족(말라위)
서아프리카·서부 사헬 지대
투아레그족 모리타니 아랍인 월로프족 풀라족 하우사족
요루바 소닝케족 아샨티족 만딩카족 밤바라인
아칸족 에웨족 모시족 이그보족 퐁족
도곤족 세레르족 송가이족 카보베르데인 무어인
자르마족 만자크족 발란타족 로마족(서아프리카) 수수족
크루족
남아프리카
코이산족 나마족 줄루족 소토족 보어인
인도계 남아공인 케이프 컬러드 케이프 말레이인 츠와나족 헤레로족
코사족 !쿵족 스와티족 로베두족 은데벨레족
친디언 포르투갈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독일계 나미비아인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총가족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몽고족(아프리카) 응구니족 푸티족 통가족(잠비아와 짐바브웨)
중앙아프리카
팡족 반다족 쇼나족 콩고족 부비족
음부티족 상투메 프린시페인 암분두족 바야족 라리족
벵가족 아잔데족 바야카족 오빔분두족 테케족
베티족 룬다족 루바족 트와족 렌두족
헤마족 페르난디노족 코토코족 앙골라인
기타
러시아 흑인 아랍 흑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역사3. 기타4. 출신 인물

1. 개요

러시아 흑인 러시아 아프리카 각지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민족이다. 인구는 5만에서 10만여 명 사이로 추정되며 대부분 소련/러시아에 유학이나 외교 목적으로 체류하던 흑인 러시아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다.

2. 역사

러시아 흑인의 역사는 러시아 제국 시절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조상인 아브람 간니발로부터 시작되었다. 아브람 페트로비치 간니발은 푸시킨의 조상이었고 러시아 제국의 귀족이 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1] 아브람 페트로비치 간니발의 혈통을 이어받은 푸시킨은 자신의 아프리카 혈통을 자랑스러워했다. 17세기 오스만 제국이 사 온 흑인 노예들이 캅카스 지역의 압하지야로 일꾼으로 보내졌다가 러시아 제국이 압하지야를 정복하면서 그 후손들이 러시아 흑인이 된 경우도 있으며 러시아 제국 말기에는 흑인들이 재즈 연주자 등으로 초청받아 러시아로 왔다가 러시아 혁명이 터지던 와중에 고향으로 가는 배편을 못 구해서 소련에 눌러 살게 된 경우도 있었다.

소련 건국 후 1960~80년대에 소련이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산 정권 및 공산주의 반군들을 지지, 지원하면서[2] 오늘날 아프리카계 러시아인들이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이 대영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포르투갈 식민제국에서 독립할 때부터 소련과 매우 가까운 사이였고 특히 1960년대에 소련으로 많은 아프리카 및 쿠바 유학생들이 왔다.[3] 당시 소련은 서방 관광객들에게는 무뚝뚝한 사람들의 표정과 귀찮게 구는 공무원이라는 안 좋은 인상이 딱 박히기 좋았던 나라였지만 아프리카 흑인 유학생들에게는 비교적 잘 대우해 주었기 때문에 소련에 대해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는 엘리트층이 적지 않았다.
어렸을 때 공식적으로 소련에서는 인종주의가 없다고 말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소련 내에서의 인종주의를 굉장히 심각하게 느낀 경험이 있다. 어려서 학교 다닐 때 남자친구가 에티오피아 출신이었는데 이 친구랑 길거리를 다니면 특히 나이 많은 사람들이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하기도 했다. 당시 경찰에 신고를 해야 했지만 너무 당황해서 못했다.
이리나 말렌코(노동운동가)

다만 마냥 좋은 면만 있지는 않았는데 황인과 달리 소련에서 영 드물었던 흑인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시선이 없진 않았고 현 러시아에서도 없다고 보긴 힘들다.

당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카리브해 지역 흑인 남성과 소련인 여성 사이에 상당히 많은 아이들이 태어났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아버지가 유학이 끝나고 모국으로 돌아가면서 사실상 홀어머니 밑에서 커야만 했다. 물론 앙골라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처럼 아버지가 부패한 독재자로 등극해서 상당한 재산을 물려받는 경우도 있었다.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방문객들과 러시아인 여성 사이에 혼혈 아동이 상당수 태어났을 때도 남성 보호자들의 보호를 받지 못해 사회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적어도 유학생 아버지를 둔 경우는 생부와 연락이라도 닿았으나 올림픽 당시 태어난 아이들은 생부와 연락이 닿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4]

3. 기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여러 러시아 흑인들을 인터뷰한 기사

위 기사에는 쿠바인 생부가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다가 쿠바에 다시 혁명하러 가서 평생 딱 한 번만 본 경우, 러시아 혁명 당시 백군 난민이 된 엘리트 출신 어머니와 영국 흑인 아버지를 둔 경우, 어머니가 주소련 나이지리아 대사관에서 요리사로 일하다가 강간 등으로 인해 임신한 경우 등등의 사례가 나온다.

아프리카가 아닌 오세아니아 남태평양 군도의 오스트레일리아 인종에게서 태어난 오세아니아계 러시아인들도 극소수 존재한다.

러시아에 아프리카계 및 카리브 흑인들이 많다 보니 소수지만 흑백혼혈인 아프리카계 러시아인들도 꽤 있는 편인데 이들 중에는 농구 선수로 활약하는 경우도 많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러시아가 흑인에 대한 차별이 영 심한 듯하다고 불만을 가지는 사람이 많고 소련 붕괴 후 타 인종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배타주의가 심해지면서 네오나치, 스킨헤드에 의해 린치를 받거나 살해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4. 출신 인물



[1] 아브람 페트로비치 간니발은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출신으로 알려졌으나 근래에는 카메룬 인근 출신이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2] 그러나 나중에는 노선 분쟁 때문에 중국이 지원한 반군과 싸우기도 하였다. [3] 대표적으로 세네갈 감독인 우스만 셈벤이 이 시기에 소련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돌아왔다. 지금도 러시아에는 러시아어를 배우기 위해 유학하러 오는 아프리카 및 쿠바 흑인들이 많은 편이다. [4] 당시는 휴대폰이라는 것이 대중화되기 훨씬 전이었고 아프리카 대다수 국가들의 우체국 사정은 매우 열악하기 그지 없었으니 외국으로 나가서 모른 척한다면 그걸로 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