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2:23:10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

최형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데스티니 가디언즈
파일:데스티니 시리즈 아이콘.png
데스티니 시리즈
{{{#!wiki style="word-break: keep-normal;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본편 확장팩
파일:Destiny_icon_Black.png 데스티니
Destiny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the-dark-below_icon.png
도사리는 어둠
파일:house-of-wolves_icon.png
늑대의 가문
파일:the-taken-king_icon.png
굴복자의 왕
파일:rise-of-iron_icon.png
강철의 봉기
}}}||
}}}
||<|8><tablewidth=100%><width=10%><bgcolor=#ffffff,#191919><:> 파일:Destiny2_icon_Black.png
데스티니
가디언즈

Destiny 2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redwar_icon_f.png
붉은 전쟁
1시즌
파일:curse_of_osiris_icon_f.png
오시리스의 저주
2시즌
파일:warmind_icon_f.png
전쟁지능
3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forsaken_icon_f.png
포세이큰
무법자 시즌
4시즌
파일:forge_icon.png
검은 무기고
대장간 시즌
5시즌
파일:opulence_icon.png
조커스 와일드
방랑자 시즌
6시즌
파일:opulence_icon_f.png
어둠의 그림자
풍요의 시즌
7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shadowkeep_icon.png
섀도우킵
파일:undying_icon_f.png
불멸의 시즌
8시즌
파일:dawn_icon.png
서광의 시즌
9시즌
파일:worthy_icon_f.png
자격의 시즌
10시즌
파일:arrivals_icon_f.png
출현의 시즌
11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beyondlight_icon.png
빛의 저편
파일:hunt_icon_f.png
사냥
시즌
12시즌
파일:chosen_icon_f.png
선택받은 자 시즌
13시즌
파일:splicer_icon_f.png
융합의 시즌
14시즌
파일:lost_icon_f.png
잃어버린 자 시즌
15시즌
파일:30th_icon.png
번지 30주년 팩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witchqueen_icon_f.png
마녀 여왕
파일:risen_icon_f.png
되살아난 자 시즌
16시즌
파일:haunted_icon_f.png
망령의 시즌
17시즌
파일:plunder_icon_f.png
우주 해적 시즌
18시즌
파일:seraph_icon_f.png
세라프 시즌
19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lightfall_icon_f.png
빛의 추락
파일:defiance_icon_f.png
대항의 시즌
20시즌
파일:deep_icon_f.png
심해의 시즌
21시즌
파일:witch_icon_f.png
마녀의 시즌
22시즌
파일:wish_icon_f.png
소원의 시즌
23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final_shape_icon_f.png
최후의 형체
파일:echoes_icon_f.png
메아리
에피소드 I
파일:Destiny_icon_Black.png
망령
에피소드 II
파일:Destiny_icon_Black.png
이단
에피소드 III
}}}||
파일:Destiny_icon_Black.png
코드네임: 프런티어
}}}}}} ||
데스티니 가디언즈: 최후의 형체
Destiny 2: The Final Shape
파일:-11111.png
북미 커버아트 ▼
파일:Destiny-2-Final-Shape-Ann_08-22-23.jpg
<colbgcolor=#12171c><colcolor=#ffffff> 개발 번지
유통
플랫폼 PlayStation 4[1] | Xbox One[2]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Steam
장르 MMORPG, FPS
출시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6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6월 5일
한국어 지원 자막, 음성 한국어화

1. 개요2. 스토리3. 구매 가이드4. 발매 전 정보5. 업데이트 내역
5.1. 추가 활동
6. 평가
6.1. 긍정적 평가
6.1.1. 스토리
6.1.1.1. 인물 배치
6.1.2. 구원의 경계6.1.3. 척결
6.2. 부정적 평가
6.2.1. 길잡이6.2.2. 전투력 잠수함 패치
6.3. 중립적 평가
7. 오마주8. 사건사고
8.1. 발매일 관련 논란8.2. PS5 유출 사태8.3. 출시 초기 서버 불안정 이슈
9. OST10. 기타

[clearfix]

1. 개요

타이틀 화면: 최후의 형체[3]
Title Screen: The Final Shape
BECOME LEGEND
전설이 되세요
우리는 고통의 종식을 추구했다. 왜 저항하는 거지...?
최후의 형체 사전 다운로드 후 서버 오픈 전 접속시 나오는 문구

2021년 8월 25일, 마녀 여왕 쇼케이스에서 빛의 추락과 함께 최초로 언급된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7년차이자, 8번째 확장팩이다.

2. 스토리

파일:2023_Final_Shape_Reveal_CG_Trailer_PressKit_Compressed_033.jpg
<colbgcolor=#fff,#1c1d1f>
망각과의 대면
최후의 형체가 다가옵니다. 목격자의 뒤틀린 설계에 맞추어 현실이 악몽처럼 경화된 형체입니다. 여행자의 중심부로 향하는 위험한 여정에 착수하고, 선봉대를 결집하여, 빛과 어둠의 전쟁을 끝내세요.

3. 구매 가이드

최후의 형체
스탠다드 에디션
+ 연간 패스
디럭스 에디션
소장판
컬렉터즈 에디션
파일:WARP_Showcase_Box_Art_Standard.jpg
파일:WARP_Showcase_Box_Art_AP.jpg
파일:WARP_Showcase_Box_Art_CE.jpg
₩55,500원 ₩109,500원 175$ | 275$[4]
최후의 형체 최후의 형체 디럭스 에디션
우주선, 문양, 고스트 의체[예약] 우주선, 문양, 고스트 의체[예약] 디지털 사운드트랙
새로운 레이드 새로운 레이드 데스티니 1 탑 모형
에피소드: 메아리 에피소드: 메아리 미니어쳐 자발라
아이코라, 케이드 피규어
에피소드: 망령 소개장
에피소드: 이단 사인북
던전 열쇠 캐릭터 사진
테셀레이션 경이 융합 소총[예약] 라면 가게 티켓
테셀레이션 장식 및 촉매제 임무 패치
비밀 보관함 3개 (에피소드당 1개) 지식 모음집
경이 감정표현[예약] 소장판 특별 문양
경이 참새

4.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트레일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트레일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업데이트 내역

5.1. 추가 활동

파일:tfs-activities-img2-1920x1080.jpg }}} ||
구원의 경계
수호자, 모두 집결하세요. 목격자를 상대할 시간이 됐습니다.
파일:tfs-activities-img3-1920x1080.jpg }}} ||

6.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C
메타크리틱 MUST-PLAY
[ 펼치기 · 접기 ]
순위. 점수 - 제목 ⠀·⠀ 메타크리틱 현황 2024.06.18. 기준
1. 96 - 하프라이프 2
  1. 96 - Grand Theft Auto V
  2. 96 - 발더스 게이트 3
  3. 96 - 오렌지 박스
  4. 96 - 하프라이프
  5. 96 - 바이오쇼크
  6. 95 - 발더스 게이트 2 앰의 그림자
  7. 95 - 포탈 2
  8. 94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9. 94 - 매스 이펙트 2
  10. 94 - Grand Theft Auto: Vice City
  11. 94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12. 94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13. 94 - 엘든 링
  14. 94 - 그림 판당고
  15. 94 - 문명 4
  16. 93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17. 93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18. 93 - 하프라이프: 알릭스
  19. 93 -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
  20. 93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21. 93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22. 93 - 갓 오브 워
  23. 93 - 마인크래프트
  24. 93 - 레드 데드 리뎀션 2
  25. 93 - Grand Theft Auto III
  26. 93 - 홈월드
  27. 93 - Hades
  28. 93 -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29. 9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30. 93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31. 92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32. 92 - 워크래프트 3: 레인 오브 카오스
  33. 92 - 심즈
  34. 92 - 스트리트 파이터 6
  35. 92 - 팀 포트리스 2
  36. 92 - 시스템 쇼크 2
  37. 92 - 스플린터 셀: 혼돈 이론
  38. 92 - 로마: 토탈 워
  39. 92 - 언더테일
  40. 92 - 시프: 더 다크 프로젝트
  41. 92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42. 92 - 언리얼 토너먼트
  43. 92 -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44. 92 - Galactic Civilizations II
  45. 92 - 파이널 판타지 14: 효월의 종언
  46. 92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블러드 앤 와인
  47. 91 - Against the Storm
  48. 91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49. 91 - 디스아너드
  50. 91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2020)
  51.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
1.#54 91 - 발더스 게이트
  1. 91 - 오버워치
  2. 91 - 철권 8
  3. 91 - 프리스페이스 2
  4. 91 - 스플린터 셀
  5. 91 - 포르자 호라이즌 5
  6. 91 - 크라이시스
  7.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
  8. 91 - 더 롱기스트 저니
  9. 91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2
  10. 91 - 타이거 우즈 PGA 투어 2005
  11. 91 -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12. 91 - Galactic Civilizations II: Dark Avatar
  13. 91 - The Operative: 노 원 리브스 포에버
  14. 91 - 크루세이더 킹즈 3
  15. 91 - 배틀필드 2
  16. 91 - 스트리트 파이터 4
  17. 91 - 폴아웃 3
  18. 91 - 배트맨: 아캄 시티
  19. 91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20. 91 - 네버윈터 나이츠
  21. 91 - Animal Well
  22. 91 - 바이오하자드 4
  23. 91 - 노 원 리브스 포에버 2: A Spy in H.A.R.M.'s Way
  24. 91 - 드래곤 에이지: 오리진
  25. 91 - Disco Elysium
  26. 91 - 다크 소울 2
  27. 91 - Spelunky 2
  28. 91 - 콜 오브 듀티
  29. 90 - 심즈 2
  30. 90 - 파이널 판타지 14: 칠흑의 반역자
  31. 90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
  32. 90 - 월드 오브 구
  33. 90 - Balatro
  34. 90 - 블랙 앤 화이트
  35. 90 - 포탈
  36. 90 - NHL 2001
  37. 90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3
  38. 90 - 데이어스 엑스
  39. 90 -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2
  40. 90 - 슬레이 더 프린세스
  41. 90 - 더 크로니클즈 오브 리딕: 이스케이프 프롬 부쳐 베이
  42. 90 - 문명 3
  43. 90 - Hi-Fi Rush
  44. 90 - 사일런트 헌터 3
  45. 90 - 베요네타
  46. 90 - 데이브 더 다이버
  47. 90 -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
  48. 90 - 문명 5
  49. 90 - The Stanley Parable: Ultra Deluxe
  50. 90 -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51. 90 - 도타 2
  52. 90 - 길드워 2
  53. 90 - Freedom Force
  54. 90 - Into the Breach
  55. 90 - GTR 2
  56. 90 - Grand Theft Auto IV
  57. 90 - 토탈 워: 쇼군2
  58. 90 - 토탈 워: 엠파이어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layStation 5
메타크리틱 MUST-PLAY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c/destiny-2-the-final-shape|
90
]]


[[https://www.metacritic.com/game/pc/destiny-2-the-final-shape/user-reviews|
7.8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destiny-2-the-final-shape|
93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destiny-2-/user-reviews|
8.6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destiny-2-the-final-shape|
89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destiny-2-the-final-shape/user-reviews|
8.1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33,#555><table bgcolor=#fff,#1c1d1f><bgcolor=#333>
기준일:
2024-06-15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
[[https://opencritic.com/game/16054/destiny-2-the-final-shape| '''평론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https://opencritic.com/game/16054/destiny-2-the-final-shape| '''평론가 추천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4-06-15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3688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3688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파일:GQHbrluWEAARauV.jpg
This is as close to perfect as a Destiny expansion can get. If my biggest complaint is “I don’t love the new shader icons” and “the Ritual Pathfinder system should be tweaked,” I think we’re doing well. Instead, The Final Shape represents a stunning finale for a plot arc a decade long that’s not just a huge event for Destiny itself, but the entire industry, as I simply do not think that has another comparison point in the history of gaming, provided you’ve been on this ride for this long.

최후의 형체는 데스티니 확장팩이 선보일 수 있는 완벽에 가까운 확장팩입니다. 저의 가장 큰 불만이 "새로운 안료 아이콘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와 "의식 활동(공갬시)의 길잡이 시스템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라면[9], 저는 번지가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최후의 형체는 10년 동안 스토리 아크[10]의 놀라운 피날레를 나타내며, 이는 데스티니 자체뿐만 아니라 게임 역사상 또 다른 비교 대상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Forbes의 리뷰, 100/100점
I liked to tell myself that I didn't believe in perfect 10/10 games. To me a perfect game is something everyone, unanimously, can say has no issues. No shortcomings. However, Destiny 2: The Final Shape is perfect. Everything that Bungie has done these past nine years has come together in a video game version of Avengers: Endgame. The stakes, the action, the quality of storytelling, and of course the emotion has all merged into the best expansion, no, game I have ever played. If you have ever in the last decade been interested in or cared about Destiny, The Final Shape is a must play. Period.

저는 완벽한 10/10 게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저에게 완벽한 게임은 모든 사람들이 만장일치로 문제가 없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하며 단점 따위는 없어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데스티니 2: 최후의 형체는 완벽합니다. 번지가 지난 9년 동안 해온 모든 것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비디오 게임 버전으로 합쳐졌습니다. 판돈, 액션, 스토리텔링의 질, 그리고 물론 그 감정은 모두 제가 지금까지 해본 것 중 최고의 확장팩, 아니 게임으로 합쳐졌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데스티니에 관심을 가지거나 관심을 보인 적이 있다면 최후의 형체는 반드시 플레이해야 할 게임입니다.
Playstation Universe의 리뷰, 100/100점

10년 동안 이어진 빛과 어둠의 장대한 대서사시를 완벽하게 마무리 지은, 피날레에 걸맞는 작품.

그간 시리즈에서 가장 큰 호평을 받았던 확장팩인 포세이큰, 마녀 여왕과 대등하거나 그 이상이라는 평이 대다수다.

빛의 추락의 절망적인 실적으로 인해 걱정하는 여론이 컸으나, 정식 출시 이후 그동안의 수많은 염려와 구설수를 일시에 잠재우는데 성공했고 역대 가장 성공한 확장팩들과 견주어봐도 극찬이 전혀 아깝지 않다는 평을 들을만큼 매우 뛰어난 결과물을 유저들에게 보여주었다. 특히 장장 10년간 이어졌던 빛과 어둠의 이야기에 종지부를 찍는 캠페인은 그야말로 호평일색으로, 이전 확장팩부터 끊임없이 제기된 개발진의 역량 논란을 한순간에 종식시켰다. 또한 주요 평론가들로부터 출시 1주만에 메타스코어 최대 94점, 오픈크리틱 94점 스코어로 마녀여왕의 최대 종전 점수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또한 프랜차이즈 최초로 메타크리틱 MUST-PLAY 칭호를 얻어냈다.

6.1. 긍정적 평가

6.1.1. 스토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시리즈를 사랑해왔던 팬들의 감동 포인트를 자극하기에 필요한 연출을 필요한 만큼 영리하게 사용하여 게임 전반에 걸쳐 소위 '뽕 차오르는 장면'을 가득 채워냈다.
=====# 케이드-6 #=====
케이드가 처음으로 얼굴을 비춘 티저 트레일러의 출시 시기가 게임적 운영으로 가장 암울한 빛의 추락 심해의 시즌이라 "게임 다망해가니까 치트키로 인기 캐릭터를 억지로 되살리는거 아니냐?" 라며 "나오는건 확실하냐? 진짜 어그로만 끌고 끝 아니냐?" 등등 국내외를 막론하고 확실히 화제성은 끌었으니까 됐다, 혹은 우주 해적 시즌의 "오시리스와 세인트-14의 사례때문에 까마귀와의 두창 이야기가 나올까봐 두렵다." 같이 불안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직접적으로 등장한 이후에는 꽤나 좋은 반응을 이뤄냈다.

단순히 인기 캐릭터가 복귀한 것이 아니라 최후의 형체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는건 고스트서사 부분이라 케이드의 어두운 이면, 남들에게 말하지 못했던 속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등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부분이 직접적으로 보여져 꽤나 좋은 평가를 받았다.[12]

케이드는 죽음으로 서사가 완성된 캐릭터였기에 개발진이 무리한 시도를 하는게 아닐까 하는 불안해 하는 반응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다시한번 죽음이 아닌 후임에게 세대교체를 하면서 작품적으로 퇴장했기에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까마귀 #=====
각종 시즌에서 주역으로 다뤄지며 비중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자캐딸 아니냐, 너무 밀어주는거 아니냐" 등등 각종 회의적인 시선이 많았지만 이번 확장팩에서 정립된 까마귀의 포지션은 "세계관 내에서 수호자란 어떤 의미인가"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각성자 왕자였던 그가 수호자의 자격에 맞아 여행자에 의해 부활한 후 그가 전생에서 행했던 악행들이 본인에게 되돌아오고 그로 인해 까마귀란 인물이 성장한뒤, 수호자 등급에서 나름 정점이라 할수 있는 선봉대장 직책을 선임 선봉대장에게 넘겨 받는다.

작중 분량으로는 급조한 느낌이 들 수 있지만 지식에서는 까마귀가 먼저 포탈을 넘어간 뒤 케이드와 꽤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서로에게 영향력을 줬고 케이드 본인은 지긋지긋한 서류업무가 질려서 선봉대장을 넘겨줬다고 말했지만 당연히 케이드 특유의 농담섞인 묘사이며 그가 자격이 있고 이전과는 아예 다른 인물이 됐음을 알려주는 장치이다.
6.1.1.1. 인물 배치
해당 확장팩에서 신규 등장인물로는 군체 마법사 루자쿠(Luzaku)와 엑소 수호자 미카-10(Micah-10)이 있는데 신규 인물이라기보단 각각 마녀 여왕, 데스티니1 부터 지식에서 언급됐던 캐릭터들이 인게임에 직접적으로 등장한 사례다.

상술했던 "세계관의 스토리를 더욱 이해하고 알고 싶다면 지식을 읽어라"는 단점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지식에서만 언급됐던 캐릭터들이 직접적으로 게임에 등장했으며 기존 확장팩의 스토리에 관여하지않고 후일담 형식인 행성 수집물 해금 퀘스트와 추가 프리즘 조각을 얻는 모험등등에 등장해 서사를 다루는 주요 인물들은 확장팩 스토리에 배치하고 기존의 확장팩의 틀은 해치지 않고 사이드 스토리로 세계관을 확장시키는 방식이라 꽤나 호평을 받고 있다.

6.1.2. 구원의 경계

빛과 어둠의 전쟁의 대미를 장식하는 레이드답게 역대 최고의 난이도를 자랑했던 마지막 소원의 난이도와 세계 최초 클리어 시간을 갈아치웠으며, 수 많은 콘테스트 도전 화력팀들도 "너무 어렵지만 해당 레이드가 상징하는 바가 있기에 이해가 되는 난이도다." 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빛과 어둠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하고 최종 네임드인 목격자를 상대하는 네임드를 제외하고 1~4네임드의 기믹 구성이 수호자의 신조인 헌신 - 용기 - 희생 - 죽음으로 연결되기에 꽤나 의미가 깊음을 알 수 있다.[13]

많은 유저들이 예상했던 4네임드 체제가 아닌 5네임드 체제로서 그 상징성에 걸맞는 특수성을 가지고 출시되었다. 이는 번지가 액티비전의 지원을 받지 않는 섀도우킵 이후로는 "안타깝지만 더 이상 마지막 소원급 레이드를 우리는 만들수도, 기대하지 않는것이 좋다." 는 인터뷰때문에 고점에 한계가 생겼지만 정말 이를 갈고 총력을 동원해 만든 퀄리티가 돋보인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받았다.

6.1.3. 척결

수호자 자신의 운명을 결정합니다.
( 유리 금고)

수호자 자신의 운명을 결정합니다.
(척결 임무)
목격자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기 전 출력되는 문구[14]
유리 금고의 최종보스인 벡스 상위체 아테온은 오라클을 이용해 여섯 명의 화력팀을 각각 미래, 현재, 과거에 고립시키며 그들의 존재를 지워버리려 했지만 수호자들은 이를 파훼하여 현실 시간대 한 곳에 모여 아테온을 저지하며 수호자는 자신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방식으로 해당 문구가 사용됐지만 최후의 형체에서는 수호자가 온 우주의 운명(Destiny)을 짊어지고 전쟁의 결말을 직접 결정하며 스토리의 끝을 장식했다.

6.2. 부정적 평가

6.2.1. 길잡이

파일:능력증명_티끌반납.gif
두 번째 목표는 플레이어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현재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현상금 시스템은,
수호자가 일반적으로 매일 초기화되는 여러 고정 현상금 중에서 선택하여 참여하고, (중략)
2024년 5월 23일, 주간 데스티니 소식 중.
의식 활동 반복 현상금을 없애고 새로 대체해 만든 시스템으로 유저들이 기존의 8번 현상금을 완료하는 것보다 더 짧은 최소 5회의 목표를 달성하여 주간 보상을 얻을 수 있고, 일일 현상금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완료할 수 있다는 의의가 존재하였으나, 반대로 큰 불편함을 가져오기도 했다.

데스티니 가디언즈는 엄연히 PvP도 메인 콘텐츠 지만 컨텐츠 난이도의 고점이 확실한 PvE와는 다르게 PvP는 플레이어마다 난이도가 달라서 아예 손을 대지도 않고 이를 기피하는 유저층이 존재하기에 새로 추가된 길잡이 시스템은 이런 PVE 위주로 플레이하는 유저에게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기존의 최고급 보상을 얻기 위해 PvP를 하지 않아도 되었던 것과는 달리, 최고급 보상을 얻기 위한 경로 혹은 최종 목표 2개 중 하나에 무조건 시련의 장과 갬빗이 배치되어 있어 강제로 둘 중 하나를 플레이해야 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론 완료하기 어려운 능력 약화 효과를 부여하여 처치하거나, 티끌을 100회나 넣어야 하는 도전 과제[15]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원성을 얻고 있다.

이에 목표 리롤 기능을 추가해달라는 의견이나 이건 PvP 강요가 아니냐는 의견이 오가고 있으며, 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이 오히려 유저들의 활동을 강제하여 자율성을 빼앗아간 최후의 형체의 첫 결점이 되었다.

이후 8.0.0.5 패치에서 일부 갬빗 노드를 일반 노드로 변경함으로써 PvE만으로 최종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패치되었다.

6.2.2. 전투력 잠수함 패치

공격전과 레이드, 던전에서도 "-5"라 불리는 최대 전투력 개념이 적용되는데, 이게 컨테스트 모드도 아니고 항시 적용된다. 해당 주간에 활성화된 쇄도 옵션을 적용하면 패치 이전과 비슷한 딜을 넣을 수 있지만 당연히 반대로 말하자면 그렇게 해야하만 딜이 들어간다는 소리다. 플레이리스트 공격전에서는 몹들의 배치가 해당 활동의 황혼전 배열로 바뀌었고[16] 모든 몹들의 호전성이 증가하였기에[17] 비판이 이어지고있다.

기존 유저 입장에서도 이는 다양한 빌드를 시험하지 못하게 하는 패치지만[18] 그에 더불어 아예 전투력이 1945 이 안 되는 뉴비/복귀 유저는 캠페인을 완료하여 전투력을 1945 이상으로 올린 뒤에야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결국 3주차 주간 데스티니 소식에서 이를 다뤘으며 4주차 부터 다시 이전 시즌처럼 전투력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이지만 전투원의 배치 배열에 대한 언급은 일절 없었는데, 4주차 패치에선 배치 배열이 안 바뀌었다.

6.3. 중립적 평가

7. 오마주

거기 계셨군요!
(최후의 형체 & 데스티니1 인트로)

거기 있었군요.
(최후의 형체 엔딩)
고스트

8. 사건사고

8.1. 발매일 관련 논란

이에 커뮤니티에선 빛의 추락처럼 발매일에 맞춰 미완성으로 낼 생각이거나, 연기해도 되니 마녀 여왕처럼 잘만 만들라는 의견이 오갔다.
이번 주, 저희 스튜디오는 우리가 존경하고 함께했던 사람들을 떠나보내고 정말 힘든 시간을 겪고 있습니다. 저희는 스튜디오에 남은 사람들과, 더 이상 함께 하지 못하게 된 친구들과 동료들을 도우며 이번 주를 보냈습니다.
2023년 11월 2일, 우리가 나아갈 길 중.

8.2. PS5 유출 사태

5월 30일, 한국 기준 14시 이후부터 일부 지역에서 데스티니 가디언즈 최후의 형체 버전이 PS5를 통해 배포되어 게임을 업데이트한 뒤에 접속하면 최후의 형체 DLC를 플레이 가능한 현상이 발생되어[22] 창백한 심장 무기를 비롯해 에피소드: 메아리의 시즌 무기 및 시즌 경이, 던전, 레이드의 이름과 장비, 시네마틱, OST, 아직 정보가 풀리지 않은 경이 등등, 수집품 탭에서 확인 가능한 정보는 거의 전부 공개 되었고 상당 분량의 아이템들의 성능과 최후의 형체 캠페인의 최종 미션을 제외한 모든 스토리가 유출되었다.[23]

결국 5월 31일, 21시 이후 PS5서버와 유튜브에 업로드된 시나메틱 자료 대부분이 내려갔으며 개발진에서는 스포일러를 멈춰달라는 내용과 매체에 업로드 하지말아달라고 당부했다.[24]

다만 추가되는 무기나 퍽 등의 변경점들이 많았고, 해당 확장팩 자체가 시리즈의 끝을 장식하고 최대의 기대치가 끌어올려진 만큼 오히려 이번 사태가 역으로 최후의 형체를 기대하게 만드는 역효과가 나고 말았다.

8.3. 출시 초기 서버 불안정 이슈

출시 직후 다른 DLC와 비교하여 압도적으로 서버가 불안정하였다.

메인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조차 어려웠으며, 여러 활동을 완료하거나 진행 중 오류가 뜨며 튕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사운드가 출력되지 않는 오류,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API를 활용하는 여러 사이트가 오작동하여 인게임 내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타 확장팩이 출시 약 6시간 내로 서버가 안정화되는 반면, 최후의 형체는 첫날 내내 서버가 불안정했다. 이 문제는 다음날까지 지속되다가 점검에 들어가 패치한 이후로 크게 안정화되었다.

다행히 레이드 컨테스트 모드 진행기간에는 서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고, 목격자 격파 이후 이용 가능한 12인 활동의 경우 엄청난 인기와 참여도를 자랑하는지라 오픈되었을때 넷코드부터 해서 자잘한 서버문제가 지속되었다.

9. O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티니 시리즈/OST 문서
2.8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파일:Destiny_2_2023_Showcase_31_81_20.png }}} ||
파일:d2_TFS_logo_LOC_vertical_en-EN.png
파일:d2_TFS_logo_LOC_vertical_ko-KR.png
원문 현지화

[1] PS4 Pro Enhanced [2] Xbox One X Enhanced Xbox Smart Delivery [3] 최후의 형체 확장팩에서만 해당 타이틀 화면이 사용되었다. [4] 디럭스 에디션 포함 가격. [예약] 구매시 즉시 이용 가능. [예약] [예약] [예약] [9] = 이런 사소한 불만이 제일 큰 불만일 정도로 불만이 없다. [10] 스토리 아크, 장대하게 이어지는 하나의 이야기를 뜻한다. [11] 캠페인 진행 정도에 따라 창백한 심장의 빠른 이동 노드가 변경되는데 갈 수 있는 노드가 꽤 많음에도 캠페인을 완료하면 갈 수 없는 구간이 존재하는것에 아쉬움이 있다. [12] 케이드는 늘상 농담따먹기를 좋아하고 무슨일이 있던 유쾌한 캐릭터로, 그에게 고난이 있다는건 끽해야 포세이큰 확장팩에서 그가 퇴장하기 전에 비춰지는데 지식을 통해 케이드의 과거를 모르는 유저들은 꽤나 극적인 퇴장으로 비춰지지 않았기에 기존의 데스티니 시리즈의 단점인 "세계관의 스토리를 더욱 이해하고 알고 싶다면 지식을 읽어라"는 단점이 해소됐다. [13] 2네임드는 맵 중앙에 결투장이 생성되며 용기를 내 목격자의 전령을 상대하며 자신을 희생해야 하고 4네임드에서는 기믹적으로 죽음을 겪는 장치가 마련되어있다. [14] 원문은 둘다 "Guardians make their own fate." [15] 이 목표는 티끌을 가장 많이 넣고 승리하는 것으로 즉시 완료할 수 있긴 하지만 8명중 가장 많이 넣고 승리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16] 대표적으로 그림자 호수 공격전이 있다. 황혼전 노드를 실행했을때만 중간 저수지 구간에서 등장하는 박해자가 공격전 플레이리스트로 입장해도 등장한다. [17] 단순히 전투력이 아니라 활동에서 정해진 난이도에 따라 몹들의 호전성이 증가하며 엔드컨텐츠인 황혼전 그랜드마스터에서는 일부 저격병은 몹 주제 끌어치기까지 사용한다! [18] 이 말은 즉 기존의 공격전이 "실전"의 최소 컷트라인이였다는 소리다. [19] 진짜 동일인물은 아니고 여행자가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수호자, 혹은 인류의 모습. [20] 구도가 같으나, 본인의 배경이던 도심을 앞에 둔 공터가 아닌 케이드가 연설을 하던 바위 산맥에서 한다. [21] 최후의 형체 인트로에서도 고스트가 발사기지에서 수호자를 찾는 장면을 다시한번 추가했다. 차이점이라면 1편에서는 겨울이였지만 2편에서는 이라는점. [22] 정확히는 일부 유튜버나 커뮤니티 내에서 인지도가 있는 파트너 게이머들이 선행 이용 가능한 개발자 서버가 아예 배포된 것이다. [23] 해당 DLC에서 레이드 콘테스트 모드가 완료 된 이후 스토리의 최종 미션이 해금되기에 이는 방지할 수 있었다. [24] 서버가 다운되는 시간이 모든 유저에게 동일하지 않았기에 여전히 게임에 남아있던 몇몇 유저들은 아예 생방송으로 캠페인을 진행하려 시도한 경우도 있었다. [25] 마녀 여왕 인터뷰에서 밝힌 신규 레이드, 던전, 복각 레이드의 순환구조는 최후의 형체에서도 유지되며, 에피소드: 메아리 이후부터 던전, 레이드, 던전 순으로 추가된다. [26] 일반적인 산세리프 스타일 폰트를 세로 길이만 늘려놔서 디자인적으로도 불편하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