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20:12:27

일본 한자음

당음에서 넘어옴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종류
2.1. 고음(古音)2.2. 오음(呉音)
2.2.1. 특징
2.3. 한음(漢音)
2.3.1. 오음과 차이
2.4. 당음(唐音)2.5. 특수 케이스
3. 특징
3.1. 개음절화 및 입성의 혼동3.2. /h/, /ɦ/3.3. 합요음의 직음화3.4. 순음퇴화3.5. 요츠가나3.6. 어두의 /ŋ/ 발음 변화
4.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 한자의 음을 읽는 소리다. 중국어의 한자음 발음에서 유래하여 고음(古音), 오음(呉音), 한음(漢音), 당음(唐音)의 네 종류가 있다. 고음이 제일 먼저 일본에 도래했고, 한음이 일본에서 제일 많이 쓰이며, 당음이 제일 늦게 일본에 도래했다.

반절을 활용해서 몇 글자를 제외하고 한 글자에 한 가지 음으로 통일시킨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당대 중국어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한자 하나에 여러 음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밝을 명()' 자는 반절이 '武兵(무병)'이므로 앞글자 자음과 뒷글자 모음을 따서 한국에서 '명'이라고만 읽지만, 일본에서 ミヤウ( 역사적 가나 표기법)/みょう(현대 가나 표기법), 현재 발음은 묘(myō), メイ(mei, 메이), ミン(min, 밍)이라는 세 가지로 읽을 수 있다.

이런 현상이 생긴 원인은 아마도 한일 양국이 중국으로부터 한자를 들여오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여기서 예로 든 明의 경우 한국에서는 '武兵切'(ㅜ+ㅂㅕㅇ)이라는 반절을 들여와 '명'이라는 원래 음을 복원하였으나, 일본에서는 당대 중국에서 쓰이던 明의 음을 듣고 그대로 들여왔다. 이 때문에 단어마다 해당 한자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일일이 외워야 한다.

이 개념은 상술한 오음, 한음, 당음과 같이 중국에서 전래된 음을 따라 읽는 방식인 음독에만 해당되고 훈독에 해당되지 않는다.

2. 종류

2.1. 고음(古音)

현대 일본에서 많이 쓰이는 오음보다 먼저 단편적으로 전래된 한자음으로, 만요가나나 일부 초기 기록, 숙자훈으로만 남은 경우가 많다. 상고음이나 초기 백제 한자음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수는 많지 않다. 고음의 사례로 意(お), 止(と), 支(き)[1], 売(め), 明(ま), 宜(が)등이 있다.

2.2. 오음(呉音)

널리 쓰이는 한자음 가운데 가장 먼저 들어온 한자음이다. 5~6세기 중국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양쯔강 하류 오(呉)의 발음이 한반도 백제를 통하여 들어왔다고 추정된다. '오'는 지역의 이름으로, 장강 하류 지역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백제의 한자음에는 종성 /-t/[2]이 유지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日은 한국어에서는 '일'이라 읽고 일본에서는 오음으로 'ニチ(니치)'라 읽는다. 참고로 광동어에서는 jat(얏) 이라 읽는다.

오음이 들어온 경로를 이와 같이 추정하는 것은 왜5왕이 남북조 시대 때 남조에 사신을 보낸 시기라서 중국 일본 간의 교류가 많았고, 중국 본토와 한반도로부터 불교 유교가 유입되던 시기라는 역사를 토대로 한 이유 때문이다. 다만 이것은 추측일 뿐, 오음이 정말 남방 계통의 발음인가를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사료는 없다. 오음은 백제에서 쓰이던 한자 발음을 통해 일본어로 수입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참고로 현대 한국어에서의 한자 발음 중 ㅂ이나 ㅇ의 종성을 가진 음은 일본 한자음 중 오음, 한음에서 장음으로 발음된다.

오음, 한음, 당음 중에 가장 먼저 들어왔기 때문에 오음밖에 존재하지 않던 시기에는 '와온(和音, 또는 야마토고에)'라고 불리다가,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에 '오음'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또한 중국 본토에서도 당나라 때, 수도 장안에서는 그 지역의 발음을 '진음(秦音)'이라고 부르고, 변두리 지방인 장강 이남의 발음을 '오음'이라고 하였다. 긴메이 덴노 때 백제에서 쓰시마 섬을 거쳐 오음을 통해 유마경(維摩經)을 읽어서 불교를 전승했기 때문에, '쓰시마온(対馬音)', 또는 '구다라온(百済音)'이라도 불렀다.

일본에 불교가 전래되던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일본 불교 용어에 오음이 많다. 예를 들어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 建立(건립)은 보통 けんりつ(켄리츠)라고 읽지만 불교 용어로 사용되면 こんりゅう(콘류)라고 읽는다. 다만, 모든 불교 용어를 오음으로 읽지는 않는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불교 용어지만 한음으로 읽는 것들'이 따로 설명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불교 용어였으나 의미가 확장되어 일상적으로 쓰이는 오음들도 있다. 無限(무한)을 일상적으로 むげん(무겐)이라 읽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원래는 불교에서 무한을 다루는 단어였지만 일상적으로 쓰이게 됐다.

오음은 중고한어의 특성에 따라 무성/유성의 대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데, 한음으로 와서는 일부 음이 무성음화하는 모습도 보인다. 무성/유성 구별이 없어 모든 음이 무성음화하거나 비슷한 발음으로 바뀐 현대 한국한자음과는 대조된다. 그래서 오음도 한국어· 베트남어 처럼(각기 방법, 시대 등에 차이가 있지만) 고대 중국어 발음을 잘 보존하고 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2.2.1. 특징

오음은 한음에 비해서 비교적 불규칙적이나, 대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중고음 → 오음) 꼴로 표기한다. 가나 표기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이다.

2.3. 한음(漢音)

이름과 다르게 한나라가 아닌 7~9세기 당나라 때 전해진 한자음이다. 가장 체계성을 갖춰서 도입된 한자음이자 현재 일본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발음이라 할 수 있다.

이 무렵에 당조 수도 장안 지역은 남북조시대 이래 끊임없이 이어진 북방 민족이 유입해 언어에 영향을 주어 한자음 역시 과거와 꽤 달라져 있었는데, 가령 기존 차탁음(비음, nasal sound)의 경우, 비음이 선행된(prenasalized) 전탁음(유성장애음, voiced obstruent)으로의 변화([m]이 [mb]로, [ȵ]이 [ȵʑ]로 변하는 등)가 이루어졌고[7], 기존의 전탁음은 전청음으로 바뀌는 과정을 거쳤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음을 수정 및 도입할 필요가 있었고, 이렇게 들어온 발음을 일컬어 한음이라 불렀다.

2.3.1. 오음과 차이

(오음 → 한음) 꼴로 표기한다 자주 쓰는 한자들에서 오음과 한음이 어떻게 다른지는 일본어 위키백과 오음 문서에 잘 나와있으니 참조하자.

2.4. 당음(唐音)

역시 이름과는 다르게 당나라가 아닌 송나라 이래 전해진 한자음으로 당송음(唐宋音)이라고도 한다. 여기서의 '당'은 당나라의 당이 아니라 중국 본토를 뜻하는 당토(唐土)의 당이다. 세분화하면 가마쿠라 시대 유입된 송-원대 한자음(즉, 중고한어 끄트머리)과 에도 시대에 유입된 명-청대 한자음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 중세당음(中世唐音)과 근세당음(近世唐音)이라 부른다.[9] 당음은 오음, 한음과 달리 모든 한자에 일관된 규칙대로 음운이 부여된 독음 체계가 아니라 단편적으로 유입된 단어들의 발음들에 불과하기에 몇몇 사례만 추려서 적을 수 있을 정도이다. 그 중 行을 アン으로 읽는 것이 제일 대표적이며 이외에 당음을 쓰는 익숙한 단어들은 아래와 같다. 불교 종파 중 황벽종(黄檗宗)은 아직도 당음으로 불경을 읽는다.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한음에서는 운미의 [ŋ](ㅇ 받침)이 사라지고 대신 모음의 장음으로 바뀌는 게 원칙이다. ん으로 끝나는 건 원음이 [n](ㄴ 받침), [m](ㅁ 받침)인 경우이다. 그러나 당음은 중근세 중국음의 직접적 음차이기에, 그에 앞서 유입되어 변화해 온 독음들보다 중국음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2.5. 특수 케이스

오음, 한음, 당음 외의 다른 곳에서 유래한 음독법도 있다. 이런 것들은 일본어 내에 체계적인 한자음이 있다기보다는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 개념에 좀 더 가깝다.

3. 특징

3.1. 개음절화 및 입성의 혼동

입성음(-p, -t, -k)을 フ, チ, ツ, キ, ク로 옮기면서 개음절이 되었다. [ruby(立, ruby=リツ)] 등 일부 입성음이 ツ()로 바뀌게 되었다.

3.2. /h/, /ɦ/

당시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았던 음소. 일부 당음을 제외하고는 あ행, か행, が행, わ행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 음소들은 훗날 후술할 순음퇴화로 등장하게 되었다.

3.3. 합요음의 직음화

성모가 /k/, /g/를 포함한 경우를 제외한 합운은 합요음이 아닌 직음으로 수입했으며, 이후 음운변화로 모든 합요음이 직음화되었다.

3.4. 순음퇴화

문서 참고.

3.5. 요츠가나

문서 참고

3.6. 어두의 /ŋ/ 발음 변화

어두의 /ŋ/ 발음은 일본에서 /g/로 받아들였으며 민남어도 같은 특징을 가졌다.

한편 한국어와 보통화(표준 중국어)에서는 발음이 소실되었고, 베트남어와 광동어에서는 발음이 보존되어 있다.

그 흔적으로 魚, 五, 銀, 玉을 현대 한국어로 각각 '어, 오, 은, 옥'이라 하는데 일본어에서는 비탁음에서 비롯 된 ギョ, ゴ, ギン, ギョク라고 한다. 이 네 글자 역시 과거 중고 시대의 중국어 발음이 /ŋ/이었음이 반영되어 있다.[10]

4. 관련 문서



[1] 여기서 상고음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止와 支는 상고음에서 tə와 ke였던 것이 중고음에서 /j/의 발생으로 구개음화되어 tɕjə와 tɕje가 되었기 때문이다. [2] 현재 한국 한자음에서는 모두 /-l/로 음가가 바뀌었다. [3] 단, ン이 없을 시절에는 に(ni)로 읽었을 것이다. # [4] イ단 뒤에서, 한음의 경우 エ단 [5] 다만 오음이 チ꼴인 형태가 많다. [6] 한음에선 모두 ア단이 된다. [7] 예컨대 당대 중국의 산스크리트어 단어집인 "범어잡명"에서 가라gara(집)는 娥羅(중고음: /ŋɑ lɑ/), 바즈라vajra(금강석)는 縛日羅(중고음: /buɑ̀ ȵiɪt̚ lɑ/)/로 음차표기가 되어있다. 즉 실제로는 娥가 /ŋgɑ/ 日가 /ȵʑiɪt̚/처럼 발음되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8] 엄밀한 표음주의로는 장음이므로 ょお로 적어야 했겠지만 그렇게까지는 하지 않았다. [9] 또는 당음이라는 표현을 후자한테만 쓰고, 전자는 송음(宋音)이라는 명칭으로 구분해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10] 일제강점기 초기의 일어교육을 부분적으로 다룬 김동인 김연실전에서 が행을 어두인데도 [응아\]행으로 발음한다는 내용이 제법 자세하게 나온다. 학교를 ガクコウ[응아구고우]라고 쓰고 ガッコー[응악꼬ː]라고 읽는다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