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00:43:23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1000f> 상징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국시 · 갈리아 · 마리안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프랑스 왕국( 왕정복고 · 7월 왕정) · 프랑스 혁명(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 ·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 · 프랑스 2월 혁명 · 프랑스 제국( 보나파르트 왕조 · 프랑스 제1제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스 식민제국) ·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2공화국 · 프랑스 제3공화국( 1934년 프랑스 폭동) · 비시 프랑스 · 자유 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 제5공화국
사회 인구 · 행정구역( 일드프랑스)
교통 철도 환경( SNCF · 트랑지리엥 · RER · TGV · TGV 리리아 · OUIGO · 유로스타 · Thalys · 파리 지하철) · 공항 목록(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 · 파리 오를리 공항) · 오토루트 · 미요교 · 채널 터널 · 몽마르트 케이블카
정치 정치 전반 · 헌법 · 민법 · 행정구역 · 정부 · 행정조직 · 의회( 상원 · 국민의회) · 대통령 · 총리 · 엘리제 궁전 · 뤽상부르 궁전 · 국사원 · 대외안보총국 · 국내안보총국 · 라이시테 · 쇼비니즘
선거 대통령 선거 · 상원의원 선거 · 국민의회 선거 · 지방선거 · 레지옹 선거 · 데파르트망 선거 · 유럽의회 선거
정당 앙 마르슈! · 공화당 · 사회당 · 국민연합
외교 외교 전반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냉전 · 신냉전 · 한국-프랑스 관계 · 영국-프랑스 관계 · 불일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친불
경제 경제 전반 · 영광의 30년 · 프랑스 프랑(폐지) · 유로 · 에어버스
교육 교육 전반 · 바칼로레아 · 그랑제콜
국방 프랑스군 · 역사( 대육군) · 프랑스 육군 · 프랑스 해군 · 프랑스 항공우주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군/계급 · 징병제(폐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프랑스군/무기개발사 · 프랑스의 핵개발 · 유로사토리 · 연합합동원정군
문화 문화 전반 · 프랑스 영화 · 프랑스-벨기에 만화( 아스테릭스) · 프랑스 요리( 지리적 표시제) · 샹송 · 세계유산 · 르몽드 · 프랑스인 캐릭터
지리 라 망슈 해협( 칼레 해협) · 알프스산맥( 몽블랑 · 샤모니몽블랑 · 에비앙레뱅 · 레만호) · 피레네 산맥
언어 프랑스어 · 지방 언어( 가스코뉴어 · 노르만어 · 룩셈부르크어 · 리구리아어 · 바스크어 · 브르타뉴어 · 오일어 · 오크어 · 왈롱어 · 카탈루냐어 · 코르시카어) · 프랑코포니 · 라틴 연합 · DELF/DALF · 불어불문학과
스포츠 프랑스 올림픽 대표팀 · 프랑스 축구 연맹 · 리그 1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미셸 플라티니 · 지네딘 지단) · 프랑스 럭비 연맹 · TOP 14 · 프랑스 럭비 국가대표팀
관광 관광 전반 · 그랑드 아르슈 · 노트르담 대성당 · 루브르 · 몽마르트르 · 몽생미셸 · 베르사유 궁전 · 샹젤리제 · 앵발리드 · 에투알 개선문 · 에펠 탑 · 오르세 미술관 · 팡테옹 · 프랑스 국립도서관
치안·사법 사법 전반 · 프랑스 국가경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 헌법위원회 · 라상테 교도소 · 프랑스 파기원
기타 프랑스인( 아랍계 · 유대계 · 인도계 · 흑인 · 러시아계 · 폴란드계 · 아르메니아계 · 이란계 · 베트남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우크라이나계 · 한국계 · 아일랜드계 · 벨라루스계) · 공휴일 · 파리 신드롬 · 유럽의 짱깨
프랑스계 프랑스계 캐나다인 · 프랑스계 미국인 · 피에 누아르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영국인 · 프랑스계 러시아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 프랑스계 칠레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74acd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아르헨티나 연합국 · 포클랜드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국방 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럭비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 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에르난 크레스포 · 리오넬 메시 · 세르히오 아구에로 · 앙헬 디 마리아
지리 부에노스아이레스 · 코르도바 · 로사리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 아르헨티나인( 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 마푸체
}}}}}}}}} ||

파일: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jpg

1. 개요2. 이민사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들은 아르헨티나에 거주하는 프랑스 출신 후손들을 의미한다.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은 이탈리아계, 스페인계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아르헨티나 인구의 17%가 프랑스계로 추산된다.

2. 이민사

통계 자료
연도 이민 인구
1857–1860 578
1861–1870 4,292
1871–1880 10,706
1881–1890 69,363
1891–1900 11,395
1901–1910 11,862
1911–1920 -1,352[1]
1921–1930 739
1931–1940 626
1941–1950 5,538
1951–1960 934
1961–1970 1,266
1971–1976 85
합계 116,032
19세기 아르헨티나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 바로 다음으로 프랑스인들이 많이 이민가는 나라이기도 했다. 1857~1920년 사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유럽인 중 4.22%에 해당하는 221,074명이 프랑스 출신이었다. 1857년부터 1946년까지 239,503명의 프랑스인들이 아르헨티나로 입국하였고 이중 133,966명이 프랑스로 귀환하였다. 프랑스로 귀환하지 않은 105,537명은 아르헨티나나 여타 아메리카 국가에 잔류하였다. 특히 아르헨티나 서부 멘도사 지방으로 이민 온 유럽계 인구의 1/4이 프랑스계였다고 한다.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들 중에서 프랑스 국적을 지녔던 바스크인들이 많았는데, 주로 당시 프랑스령 바스크(Pays basque français)인들은 프랑스 정부의 동화 정책에 반대하던 상황이기도 했다. 1850년대 당시 바스크인들은 프랑스 전체 인구의 1%에 불과했으나 징집병 중 탈영병의 절반이 바스크인이었을 정도로 프랑스화 정책에 반감이 심했다. 이들에게 아르헨티나는 일종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미 아르헨티나 인구 중 스페인령 바스크에서 이민한 인구도 적지 않은 상황이기도 했다.

독립 이전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에서 관심을 덜 가지던 지역이었고 이에 따라 스페인 문화에 대한 애착도 덜한 편이었다. 19세기 후반 아르헨티나는 스페인 문화를 ‘앞으로 아르헨티나가 극복해야 할’ 2류 국가의 진부한 문화 정도로 평가하고 대신 프랑스 문화 유입에 적극적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프랑스와 스페인의 중간 지대 바스크와 카탈루냐 출신 이주민들 적지 않은 수가 자신의 이민 정체성을 스페인 대신 프랑스에서 찾았다. 한 편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프랑스의 마르세유 항구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 항구를 오가는 배편 운임이 엄청나게 저렴했는데, 심지어 이탈리아에서 독일로 이동하는 기차표보다 더 저렴했을 정도였다.

그럼에도 전반적으로 보자면, 프랑스 농촌 지역에서 19세기부터 저출산 풍조가 이어졌고 주변국들과 다르게 농촌 빈곤/인구 과밀 문제가 덜했기 때문에 이웃 국가들에 비해 남미로 이민하는 인구가 적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프랑스와 이웃한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프로이센에서 브라질/아르헨티나/우루과이로 빈농들의 대량 이민이 이루어졌다면 프랑스계 이민자들 중에는 농장 노동자보다는 전문직 기술자들이 많아서 굳이 새로 농장을 개척하는 남부로 이민 갈 이유가 적은 것도 있었다. 다만 아르헨티나의 프랑스계 주민들의 출산율이 프랑스 본토 출산율보다는 훨씬 높았기 때문에 아르헨티나의 프랑스계 주민들의 수가 상당한 것이다.

1960년대에는 알제리 전쟁으로 알제리가 독립하면서 피난한 피에 누아르 수천여 명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하기도 하였다.

3. 관련 문서



[1]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위해 상당수의 프랑스인 남성들이 프랑스로 귀국했던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