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1:00:03

호세 데 산 마르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아르헨티나의 방송국 텔레페가 아르헨티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아르헨티나인 100명'을 선정했다.
TOP 10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호세 데 산 마르틴 레네 파발로로 후안 마누엘 판지오 알베르토 올메도 체 게바라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디에고 마라도나 에바 페론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마누엘 벨그라노 로베르토 폰타나로사
11위~100위
<rowcolor=#fff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알폰시나 스토르니 알프레도 알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rowcolor=#fff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알프레도 팔라시오스 알리시아 모로 드 후스토 앙헬 비센테 페냘로사 안토니오 베르니 아르투로 프론디시
<rowcolor=#fff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 아스토르 피아졸라 아타우알파 유판키 바르톨로메 미트레 베니토 킨켈라 마르틴
<rowcolor=#fff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베르나르도 우사이 칼푸쿠라 카를로스 빌라르도 카를로스 가르델
<rowcolor=#fff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카를로스 메넴 카를로스 몬존 카를로스 무기카 카를로스 레우테만 찰리 가르시아
<rowcolor=#fff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세사르 밀스테인 다니엘 파사레야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엔리케 앙젤렐리
<rowcolor=#fff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엔리케 산토스 디세폴로 에르네스토 사바토 에스테반 에체베리아 에스텔라 데 카를로토 파쿤도 키로가
<rowcolor=#fff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플로렌티노 아메히노 프란시스코 모레노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기예르모 빌라스
<rowcolor=#fff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구스타보 산타올랄라 헤베 데 보나피니 이폴리토 이리고옌 우고 포르타 호르헤 뉴베리
<rowcolor=#fff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호세 에르난데스 호세 마리아 가티카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 후안 호세 카스텔리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rowcolor=#fff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후안 페론 후아나 아수르두이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훌리오 보카 훌리오 코르타사르
<rowcolor=#fff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레안드로 알렘 레온 히에코 리산드로 데 라 토레 롤라 모라
<rowcolor=#fff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루시아나 아이마르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루이스 산드리니 마누 지노빌리 마누엘 도레고
<rowcolor=#fff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마리아노 모레노 마리아노 모레스 마리오 켐페스 마리기타 산체스 마르틴 미겔 데 구에메스
<rowcolor=#fff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마리아 엘레나 월시 메르세데스 소사 니콜리노 로체 니니 마르샬 노르마 알레안드로
<rowcolor=#fff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네스토르 카를로스 키르치네르 오스카 보나베나 끼노 라몬 카리요 라울 알폰신
<rowcolor=#fff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리카르도 발빈 로베르토 알트 로베르토 비센조 로돌포 월시 로케 사엔스 페냐
<rowcolor=#fff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살바도르 마사 산드로 데 아메리카 타토 보레스 티타 메레요 술 솔라르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75aadb><colcolor=#fff>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삼두정 일원
호세 데 산마르틴
José de San Martín
파일:산 마르틴.jpg
본명 José Francisco de San Martín Matorras
호세 프란시스코 데산 마르틴 마토라스[1]
출생 1778년 2월 25일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사망 1850년 8월 17일 (향년 72세)
프랑스 제2공화국 불로뉴
정당 애국당
경력 페루의 보호자[2]
(1821년 7월 28일 ~ 1822년 9월 22일)
병역 스페인(~1812)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파트리아 누에바
페루 보호국
별명 El Libertador(해방자)
1. 개요2. 생애
2.1. 독립운동 이전2.2. 독립운동2.3. 과야킬 회담2.4. 은퇴 및 최후
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남아메리카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스페인에 맞서서 남아메리카의 독립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생애

2.1. 독립운동 이전

1778년 아르헨티나(당시 스페인 라플라타 부왕령) 코리안테스 주 야페유에서 태어나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성장한 이후 스페인 군대에 입대하여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싸우고, 영국군의 포로가 되어 1년 이상 수감 생활을 하기도 했다. 이후에는 나폴레옹 프랑스 군대와 싸우면서 군사적 경험을 쌓았는데, 이때 남아메리카의 독립 운동가들과 접촉한 것으로 보인다.

2.2. 독립운동

1812년 라플라타 부왕령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했고 베르나르도 오이긴스(Bernardo O'Higgins), 마누엘 벨그라노(Manuel Belgrano) 등의 인물과 '북부군', '안데스군' 을 지휘했다. 산마르틴은 상(上) 페루(현재의 볼리비아)를 통해 진군하는 기존의 공격 방식이 별 효과를 얻지 못할 거라고 여기고, 안데스산맥을 넘어 칠레를 공격하고 거기서 다시 육군과 해군이 합동으로 진격해 페루를 독립시킨다는 계획을 세운다. 산 마르틴은 국경 도시 쿠요의 행정관으로 부임하여 1817년 초 안데스 산맥을 넘었고, 샤카부코 전투(1817년 2월 12일)에서 스페인 왕당파군을 공격해 승리했다. 칸샤 레야다 전투(1818년 3월 19일)에서 일시적으로 패배를 맛보고 후퇴하지만 이어서 마이푸(1818년 4월 5일) 전투에서 승리하여 칠레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의 시민들은 산 마르틴을 해방자로서 환영하고 칠레 정부의 수반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산 마르틴은 정부수반직을 베르나르도 오이긴스에게 양보하고 이후 영국 백작 토마스 코크런을 해군 지휘관으로 초빙하여 자신이 계획했던 육해군 합동 작전을 실행시키고, 1821년 7월 28일에 리마에서 페루의 해방을 선포하고 '페루의 보호자(Protector Of Peru)'라는 호칭을 얻어 페루의 국가원수자리에 앉는다. 그러나 산 마르틴의 페루 해방은 불완전한 것이었으며, 페루 내 각 세력들의 다툼으로 혼란이 극에 달한 상태였다.

2.3. 과야킬 회담

이후 페루의 완전한 독립을 논의하기 위해 에콰도르의 과야킬에서 시몬 볼리바르와 회담을 진행했다. 이 회담의 공식 기록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작은 밀실에서 볼리바르와 산 마르틴 두 명만 남고 이외에 아무도 들어가지 않은 채 회담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두 명은 서로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존경하는 사이였지만, 의견 차이가 굉장히 갈렸던 것으로 보인다. 산 마르틴은 자신의 지휘권을 포기하고 볼리바르 군대와 합류하는 것까지 제안했지만, 볼리바르는 거부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것은 식민지 독립 이후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정치 체제에 대해 산 마르틴은 유럽의 왕족을 초빙하여 군주가 통치하는 군주제를 주장하고,[3] 볼리바르는 공화정에 입각한 독립국가 건설을 주장하며 언쟁을 벌였다는 이야기 정도다. 또한 볼리바르는 페루의 완전한 해방 및 독립을 자신이 실행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산 마르틴은 특별한 소득 없이 볼리바르와의 만남을 끝마친다.

2.4. 은퇴 및 최후

파일:산마르틴 사진.jpg
그란 콜롬비아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았던 볼리바르와는 달리 산 마르틴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로부터 더 이상의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입장이었다. 결국 산 마르틴은 자신의 모든 정치적 입지를 포기하고 은퇴하여 유럽으로 건너간다. 그는 프랑스에 입국하려 했지만 거절당하고 영국 런던 벨기에 브뤼셀을 떠돌며 쓸쓸하게 중년을 보낸다. 도중에 몇 번 귀국을 시도했지만 대부분 그 당시 아르헨티나 정치 지도자들과 의견이 맞지 않아 끝내 실행되지 못했다. 1830년 벨기에 네덜란드 독립 전쟁 때 혁명군 지도자로 참가할 것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프랑스 파리로 이주한다. 이후 1848년 다시 불로뉴쉬르메르로 간 다음 2년 후에 사망했다.

시신은 사후 1880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3. 여담

시몬 볼리바르 못지않게 훌륭한 독립운동가로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세 나라의 독립에 공헌했고 그 자신의 이름을 딴 훈장은 아르헨티나의 최고 훈장이며 아르헨티나 어딜 가도 동상을 볼 수 있는 인물이다.

과야킬 회담 당시 겨우 44세였고, 은퇴 이후에도 25년 이상을 더 살았던 것을 보면 만일 이 사람이 아르헨티나에 더 머물렀다면 분명히 그란 콜롬비아 공화국의 시몬 볼리바르나 칠레의 베르나르도 오이긴스처럼 오랫동안 정치지도자로 남았을 인물. 하지만 포르투갈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남미 각국의 행보를 볼 때 산마르틴이 유럽으로 안 가고 모국인 아르헨티나에 남아 아르헨티나 독립 후 국가원수의 자리에 올랐었다고 해도 대콜롬비아 공화국, 칠레 독립 이후 각각 모국들의 초대 대통령이 된 시몬 볼리바르처럼 독재정치를 펼치며 반대파 세력들과 대립하며 실권하거나, 오이긴스처럼 반대파 세력들의 압력으로 축출당했을 가능성도 높아보인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산마르틴은 볼리바르나 오이긴스에 비하면 박수칠 때 잘 떠난 것인지도 모른다.

파일:attachment/아르헨티나 페소/peson501.jpg
아르헨티나 1000페소 지폐의 인물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74acd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아르헨티나 연합국 · 포클랜드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국방 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럭비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 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에르난 크레스포 · 리오넬 메시 · 세르히오 아구에로 · 앙헬 디 마리아
지리 부에노스아이레스 · 코르도바 · 로사리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 아르헨티나인( 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 마푸체
}}}}}}}}} ||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2] 사실상 초대 대통령이다. [3] 멀리 갈 것도 없이 포르투갈의 식민지배를 받다가 브라질에 있던 포르투갈 왕가들의 주도로 군주국으로 독립한 브라질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