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900><tablebgcolor=#900>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11
키시 타카유키 · 13
코디 폰스 · 14
노리모토 타카히로 · 17
코쟈 타츠키 · 18
다나카 마사히로 · 19
쇼지 코세이 · 20
닉 털리 21 하야카와 타카히사 · 22 코마고 류지 · 28 사카이 토모히토 · 29 타카타 코이치 · 31 와타나베 쇼타 · 38 유게 하야토 · 40 사쿠라이 슈토 41 이토 마오 · 43 쑹자하오 · 45 마츠이 토모타카 · 46 후지히라 쇼마 · 47 후지이 마사루 · 49 니시가키 마사야 · 52 츠루사키 타이세이 53 사카이 하루토 · 54 히나타 나오키 · 56 스즈키 소라 · 57 타키나카 료타 · 58 카라시마 와타루 · 59 타이 카츠토시 · 61 마츠다 타쿠마 64 하야시 유키 · 67 오오우치 세이야 · 69 우치 세이류 · 71 요시카와 카즈키 · 72 미야모리 사토시 · 79 세이미야 코타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키시 타카유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8 |
2019 WBSC 프리미어 12 {{{#c7bc69 우승반지}}} |
2019
|
나카무라 노리히로 ( 주니치 드래곤즈) |
→ |
키시 타카유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아베 신노스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4년 퍼시픽리그 최고 승률 |
||||
2013년 타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000 |
→ |
키시 타카유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765 |
→ |
2015년 오타니 쇼헤이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0.750 |
2018년 퍼시픽리그 최우수 방어율 |
||||
2017년 키쿠치 유세이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97 |
→ |
키시 타카유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72 |
→ |
2019년 야마모토 요시노부 ( 오릭스 버팔로스) 1.95 |
2018년 퍼시픽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
||||
2017년 키쿠치 유세이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키시 타카유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2019년 센가 코다이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1번}}} | ||||
모리 신지 (2003~2005) |
→ |
키시 타카유키 (2007~2016) |
→ |
이마이 타츠야 (2017~2022) |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1번}}} | ||||
시오미 타카히로 (2011~2016) |
→ |
키시 타카유키 (2017~) |
→ | 현역 |
}}} ||
|
|
<colbgcolor=#900><colcolor=#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No.11 | |
키시 타카유키 岸孝之 / Takayuki Kishi |
|
생년월일 | 1984년 12월 4일 ([age(1984-12-04)]세)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출신지 | 미야기 현 센다이시 타이하쿠구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체격 | 180cm 77kg |
학력 |
미야기현 나토리키타고등학교(宮城県名取北高等学校) 토호쿠가쿠인대학(東北学院大学) |
프로입단 | 2006년 희망 입단 |
소속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07~2016)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7~) |
후원사 | 미즈노[1] |
연봉 | 2024 / ¥210,000,000 |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의 우완 투수로, 현재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선발 투수다.2. 선수 경력
2.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희망 입단 프레임으로 입단[2], 와쿠이 히데아키와 함께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맡았다. 2007년 퍼시픽 리그 우수신인상을 수상했고 팀의 2008년 일본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대학 진학 거쳐 다소 적잖은 나이에 프로에 데뷔했음에도 누적 스탯 증가 속도가 빠르다. 꾸준함의 대명사로 2013년에는 통산 1,000 투구이닝, 2014년에는 통산 1,000 탈삼진, 2016년에는 통산 100승 및 통산 1,500 투구이닝 고지를 밟았다.
2014년에는 QVC 마린 필드에서 치바 롯데 마린즈를 상대로 NPB 역대 78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2016년 6월 27일, 부상 후 복귀 첫 경기에서 타나베 노리오감독이 6.2이닝 동안 무려 140구를 던지게 했고 결국 7대 3으로 리드하던 게임을 역전패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의 나쁜 기억이 FA 행사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3]
2.2. 라쿠텐 이글스 시절
2.2.1. 2017년 시즌
2016시즌 종료 후 FA권리를 행사하여 고향팀의 유니폼으로 갈아 입었다. 초반에 연승행진을 거두면서 에이스 노리모토 다카히로와 함께 팀을 선두로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러나 여름 이후 급격하게 페이스가 무너지면서 8연패의 수렁에 빠졌고 팀도 본인의 부진과 함께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8월 초순까지 위태위태하게 선두를 유지하던 팀은 4년만에 시즌 3위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한 것에 만족해야 했고 본인도 시즌 10승에 실패하고 8승 10패로 정규시즌을 마감했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에서는 에이스 노리모토가 1차전에 세이부 타선에 두들겨 맞으면서 경기를 내준 절체절명의 상황에 선발로 등판하게 되었다. 예전 홈 팬들의 야유 속에서 4대1 승리를 이끌면서 시리즈 전적 1승1패로 균형을 맞추고 업셋승리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소프트뱅크와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4차전에 선발등판했으나 초반에 투구수가 늘어나면서 5이닝 투구에 그쳤다. 3대2로 앞선 상황에서 승리투수의 요건을 갖추고 내려왔으나 구원으로 등판한 쑹자하오가 우치카와 세이이치에게 동점홈런 나카무라 아키라에게 역전홈런을 허용하면서 본인과 팀의 승리가 동시에 날아갔다. 본인은 팀이 리드한 상황에 내려오기는 했지만 이닝수 소화에 실패하면서 조기 불펜투입을 불가피하게 만든 점에서 실망스러운 마지막 등판이 됐다.2.2.2. 2018년 시즌
2018시즌에는 2017년과는 달리 시즌 내내 안정된 투구를 선보였다. 그러나 팀은 에이스 노리모토의 부진 및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투수진의 폭망, 전년도 시즌보다 더 악화된 물방망이 등의 요인으로 시즌 초반부터 최하위로 쳐졌다. 시즌이 진행될수록 승패차이는 점점 벌어지기만 했고 6월 중순에는 나시다 마사타카 감독이 사임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히라이시 요스케 대행 체제 하에서 어느정도 팀은 안정됐지만 초반에 패한 경기가 워낙 많아서 결국 한번도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한 채 시즌을 마감했다. 다만 본인은 이러한 팀 사정 속에서도 꾸준함을 유지하면서 11승으로 4년만에 두자리수 승수에 복귀했으며 2.72의 평균자책점으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수상했고 처음으로 골든글러브(NPB)를 수상했다. 팀으로서는 2013년 다나카 마사히로 이후 5년만에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 홀더를 배출했으며 비록 팀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FA 이적 이후 2년간의 퍼포먼스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모습이었다.2.2.3. 2019년 시즌
개막전 선발로 등판했지만 이 경기에서부터 허벅지의 통증을 호소하며 5회에 강판되었고 1달 반 가량을 결장했다. 5월에 다시 1군에 복귀해 호투했지만 7월에 편도선염으로 이탈하는 등 제대로 시즌을 치르지 못했다. 최종적으로 15경기(15선발)에 등판하여 93.2이닝을 던졌고 3승 5패 퀄리티스타트 9회 방어율 3.56 86탈삼진을 기록했다.2019 WBSC 프리미어 12에 참가하는 사무라이 재팬에 합류했다. 첫 한일전/야구에 선발투수로 등판 예정 되어 한국의 신예 투수 이승호와 맞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일본의 타선이 2이닝동안 이승호와 이용찬을 상대로 7점을 먼저 뽑아내며 여유롭게 승을 가져가는 듯 했으나 4회 대한민국의 타선이 폭발하면서 본인도 3회에 황재균에게 맞은 솔로홈런까지 포함 6실점을 하고 강판되었다.
2.2.4. 2020년 시즌
11경기에 모두 선발로 등판하여 67.1이닝 7승 무패 방어율 3.21 70탈삼진을 기록했다.2.2.5. 2021년 시즌
10월 4일 기준 22경기에 모두 선발로 등판하여 129이닝 8승 9패 방어율 3.56 118탈삼진을 기록중이다.2.2.6. 2022년 시즌
시즌 최종 성적은 22경기 141이닝 방어율 3.17 118탈삼진으로 노쇠화가 뚜렷한 다나카를 대신해서 사실상 팀의 1선발 스탯을 기록했다. 다만 피홈런이 지나치게 많은(18피홈런으로 리그 2위) 것이 흠.2.2.7. 2023년 시즌
시즌 초에 계속 억까당한 끝에 5월 2일 8이닝 1실점 호투로 통산 150승을 달성했다.8월 11일 오릭스 버팔로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로 나섰는데, 장비를 실은 트럭이 교통정체로 인해 늦어져 경기도 두시간 가까이 늦게 시작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0 완봉승(108구, 5피안타, 1볼넷, 6탈삼진)으로 경기를 끝냈다.
3. 플레이 스타일
아름다운 궤적을 그리는 특유의 커브 (vs 야디어 몰리나) |
2009~2024년 구속 & 투구 구사표 |
최대 150km[4]의 패스트볼과 낙차 큰 12-6 커브, 서드 피치로 체인지업과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정통파 우완 오버핸드 투수.[5] 이중키킹 폼을 바탕으로 한 디셉션이 아주 뛰어나며, 덕분에 패스트볼은 평균보다 느린 구속에도 불구하고 결정구로 쓰일 정도로 위력적이다.
4. 여담
2007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등번호 11번을 달고 있다. 라쿠텐으로 이적해서도 본인의 등번호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세이부 시절엔 호리호리한 체격에 훈남이었으나 세월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지 나이 든 티가 난다.
호시노 센이치 라쿠텐 GM 시절 생에 마지막 FA 영입을 한 선수이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게 매우 약하여(8패), 아직 전구단상대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2022년 6월 9일, 카프와의 경기에서 7이닝 무실점 승리하여 역대 19번째 전구단 상대 승리를 가지게 된 투수가 되었다.
2022년 기준 세이부 최후의 일본시리즈 MVP이다. 이 이후로 세이부는 일본시리즈 우승은 커녕 일본시리즈 진출을 단 한번도 못했기 때문이다.
5. 연도별 성적
키시 타카유키의 NPB 통산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WAR | |
2007 |
西 武 |
24 | 156⅓ | 11 | 7 | 0 | 0 | .611 | 3.40 | 131 | 16 | 55 | 142 | 1.19 | 1.9 | |
2008 | 26 | 168⅓ | 12 | 4 | 0 | 0 | .750 | 3.42 | 151 | 12 | 48 | 138 | 1.18 | 3.5 | ||
2009 | 26 | 179⅔ | 13 | 5 | 0 | 0 | .722 | 3.26 | 168 | 25 | 53 | 138 | 1.23 | 1.7 | ||
2010 | 19 | 113⅔ | 10 | 6 | 1 | 0 | .625 | 3.25 | 100 | 9 | 26 | 110 | 1.11 | 2.7 | ||
2011 | 21 | 135 | 8 | 9 | 0 | 0 | .471 | 3.80 | 131 | 12 | 39 | 106 | 1.26 | 1.2 | ||
2012 | 26 | 187⅔ | 11 | 12 | 0 | 0 | .478 | 2.45 | 141 | 9 | 40 | 150 | 0.96 | 4.2 | ||
2013 | 26 | 178⅓ | 11 | 5 | 0 | 0 | .688 | 3.08 | 155 | 17 | 31 | 138 | 1.04 | 3.3 | ||
2014 | 23 | 161⅓ | 13 | 4 | 0 | 0 | .765 | 2.51 | 126 | 16 | 36 | 126 | 1.00 | 4.3 | ||
2015 | 16 | 110⅓ | 5 | 6 | 0 | 0 | .455 | 3.02 | 75 | 6 | 25 | 91 | 0.91 | 4.0 | ||
2016 | 19 | 130⅓ | 9 | 7 | 0 | 0 | .563 | 2.49 | 123 | 8 | 36 | 104 | 1.22 | 3.7 | ||
<rowcolor=#ffcc00> 연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WAR | |
2017 | 楽天 | 26 | 176⅓ | 8 | 10 | 0 | 0 | .444 | 2.76 | 141 | 19 | 38 | 189 | 1.02 | 5.7 | |
2018 | 23 | 159 | 11 | 4 | 0 | 0 | .733 | 2.72 | 127 | 21 | 29 | 159 | 0.98 | 4.6 | ||
2019 | 15 | 93⅔ | 3 | 5 | 0 | 3 | .375 | 3.56 | 80 | 12 | 25 | 86 | 1.12 | 2.1 | ||
2020 | 11 | 67⅓ | 7 | 0 | 0 | 0 | 1.000 | 3.21 | 48 | 5 | 20 | 70 | 1.01 | 2.3 | ||
2021 | 25 | 149 | 9 | 10 | 0 | 0 | .474 | 3.44 | 149 | 17 | 34 | 131 | 1.23 | 3.5 | ||
2022 | 22 | 141 | 8 | 10 | 0 | 0 | .444 | 3.19 | 116 | 18 | 28 | 118 | 1.02 | 2.9 | ||
2023 | 20 | 120⅓ | 9 | 5 | 0 | 0 | .643 | 3.07 | 123 | 10 | 20 | 76 | 1.19 | 1.8 | ||
NPB 통산 (17시즌) |
368 | 2427⅔ | 158 | 109 | 1 | 0 | .592 | 3.07 | 2085 | 232 | 583 | 2072 | 1.10 | 53.4 |
- 볼드체는 리그 1위.
[1]
미즈노 재팬 후원
[2]
참고로 세이부 외에 라쿠텐과 요미우리도 계약을 제시했으나 키시는 동경하던 니시구치 후미야가 있던 세이부를 골랐다. 이후 라쿠텐은
키무라 유타,
모리후쿠 마사히코에게 입단 제시를 했으나 키무라는 롯데가 아니면 안 간다고(...) 거부, 모리후쿠도 어떤 이유에서 계약 합의에 실패하면서 희망 입단으로 아무도 영입하지 못했다. 요미우리는 카네토 노리히토와 계약했는데 카네토도 선발, 불펜을 오가며 핵심은 아녀도 나름 1군 물은 먹었으나 큰 인지도는 못 가진 채로 라쿠텐으로 트레이드되어 2017년 33세로 은퇴한다.
[3]
이적 요약을 하자면
롯데 자이언츠에서
두산 베어스로 이적한
장원준 이적건 생각하면 오히려 이해하기 쉽다.
[4]
전성기였던 2014 ~ 2018년 기준. 40줄을 넘어간 2024년 최고구속은 146km.
[5]
프로 초창기엔 슈트와 포크도 던지긴 했었으나 구사율이 1~2% 정도였고, 2010년 이후로는 봉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