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5:19:59

캄보디아/관광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캄보디아
🧳 나라별 관광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min-width:25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32ea1 10%, #e00025 10%, #e00025 90%, #032ea1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00025> 역사 역사 전반 · 크메르 왕국 · 크메르 제국 · 프랑스령 캄보디아 · 캄보디아 제1왕국 · 크메르 공화국 · 민주 캄푸치아,( 킬링필드 · 캄푸치아 구국인민동맹임시정부), · UNTAC · 캄보디아국
상징 국장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프랑코포니
정치 노로돔 시아모니 · 훈 센 · 훈 마넷 · 역대 총리
경제 경제 전반 · 캄보디아 리엘
국방 캄보디아군
문화 관광 · 앙코르 와트 · 앙코르 유적 · 프레아 비헤아르 사원 · 바이욘 · 캄보디아 요리 ·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 크메르어 · 크메르 문자 · 트로
지리 인도차이나 반도 · 해호
민족 크메르인 · 참족
}}}}}}}}} ||}}}
외교부 여행경보
파일:캄보디아 여행 경보.jpg
여행유의 오더 민체이와 프레아 비히어를 제외한 전 지역
여행자제 오더 민체이, 프레아 비히어
출국권고 -
여행금지 -
특별여행주의보 -
특별여행경보 -

1. 개요2. 가는 법3. 교통수단4. 물가, 환전5. 치안, 위생6. 기타7. 관광지

[clearfix]

1. 개요

동남아시아 국가인 캄보디아 여행에 대한 문서.

2. 가는 법

인천에서 씨엠립이나 프놈펜까지 직항으로 갈 수 있으며 베트남 등지를 경유하여 갈 수도 있다. 직항의 경우 한국인이 특히 많이 가는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필리핀에 비하면 훨씬 적어 의외로 항공권을 구하기 쉽진 않은 편.

동남아 국가 중 한국인에게 비자를 요구하는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다. 대사관에서 사전비자를 미리 받아가도 되고, 전자비자, 도착비자 발급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여행자들이 받는 1달짜리 관광비자(Type T)의 경우 30달러의 비용이 들며, 전자비자 발급 시 20%인 6달러가 추가로 붙는다. 또한 딱 한번 연장이 가능하다(1개월).

태국 방콕이나 베트남 호치민에서 버스로 갈 수도 있다. 비행기로 가는 것보다 더 저렴하지만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리고 입국 과정도 더 번거롭다. 참고로 태국에서 캄보디아로 육로 입국할 시 캄보디아 입국사무소 측에서 뒷돈(1달러) 정도를 요구하며 이에 불응할 시 들여보내주지 않고 억류시키는 경우가 꽤 있으며 호치민에서 갈 경우 대부분 씨엠립으로 바로 가지 않고 무조건 프놈펜을 거쳐야 한다.

3. 교통수단

경제 사정이 워낙 열악하다보니 지하철을 비롯한 도시철도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 버스도 있긴 하지만 애초에 동남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내버스는 외국인 관광객이 탈만한 교통수단은 아닌지라...따라서 프놈펜이든 씨엠립이든 대부분 택시나 뚝뚝을 이용하게 된다. 요새는 그랩을 이용하면 바가지를 쓸 걱정도 없다. 뚝뚝은 태국과 마찬가지로 흥정이 필수다.

4. 물가, 환전

한국에서는 동남아 국가들의 화폐를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캄보디아의 화폐인 리엘은 구하기 힘들다. 대부분의 사설환전소에서는 동남아 최빈국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의 화폐를 취급하지 않으며, 은행에서도 환전이 매우 힘들다. 고로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달러를 가져가 현지에서 환전하거나, 아니면 달러를 그대로 쓴다. 어차피 캄보디아 비자, 앙코르 패스 등은 무조건 달러로만 결제가 가능한데다 리엘의 가치가 워낙 심하게 낮다보니 관광객들뿐만 아니라 현지인들도 달러를 많이 쓴다. 특히 관광도시인 씨엠립은 리엘보다 달러를 압도적으로 많이 쓰게 될 것이다. 참고로 2024년 기준 1달러당 4100리엘 정도다.

물가 자체는 동남아 국가인데다 동남아에서도 가장 못사는 축에 속하다보니 매우 싸다. 앙코르와트를 비롯한 유적지 입장료나 각종 액티비티 활동에 드는 비용, 일부 고급 레스토랑에서의 식비 정도를 제외하면 그 태국이나 베트남조차 물가가 비싸보일 정도로 저렴하고, 숙소도 괜찮은 데에서 1박에 몇천원이라는 말도 안되는 비용으로 묵을 수 있다.

5. 치안, 위생

관광도시인 씨엠립은 소매치기, 날치기 정도만 조심하면 될 정도에 밤에 돌아다녀도 될 정도로 매우 좋다. 다만 수도인 프놈펜은 치안이 씨엠립보단 다소 불안한 편. 전체적으로 옆동네인 태국, 베트남보단 좋지 못하다. 그래도 필리핀처럼 치안이 심각하게 나쁘진 않으니 심각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참고로 크메르 루주 시절과 캄보디아 내전을 겪으며 전국 곳곳에 지뢰가 매우 많이 묻혀있으므로 이 점은 유의. 어디 이상한데, 인적 드문 곳에 함부로 들어가지 말자. 절대로.

또한 덥고 습한 날씨+열악한 경제 사정으로 인해 위생이 꽤 불량하여 병에 걸릴 수 있으며 거기다 크메르 루주 시절 후유증으로 인해 의료 체계도 매우 부실하므로[2][3] 최대한 다치거나 병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된다. 길거리 음식이나 얼음이 담긴 음료수도 어지간해선 피하고, 출국 전 한국에서 미리 예방접종을 맞고 약을 가져가는 것이 좋다.

2023년부터 많은 한국인들 사이에서 치안과 위생이 나쁜 나라라는 이미지가 크게 굳어져버렸다. BJ아영 사망 사건, 서세원 문서 참고.

6. 기타

당연하지만 탈북자 출신은 절대 가면 안되는 나라 중 하나다. 여전히 북한,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인데다 북한 보위원들이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므로 다시 북으로 끌려가서 개죽음당하기 싫다면 캄보디아 여행은 아쉽지만 포기해야 한다.[4]

7. 관광지

7.1. 프놈펜

7.2. 씨엠립

이 외에도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데, 앙코르톰과 프놈바켕 근처에서 코끼리를 타볼 수도 있고, 집라인이나 ATV(사륜 오토바이) 체험도 좀 비싸긴 하지만 해볼 수 있다.


[1] 2024년 현재 동남아시아는 최빈국 라인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동티모르와 소국이자 관광객이 사실상 없는거나 마찬가지인 브루나이를 제외하면 전부 도시철도를 보유하고 있다. 그나마 캄보디아는 저 중에서 유일하게 도시철도 건설을 계획 중이다. 사실 미얀마도 도시철도를 계획 중이긴 하나 지금 엉망인 나라 상태를 보면... [2] 애초에 캄보디아가 지금까지도 동남아 최빈국 라인에 속할 정도로 가난한 이유가 바로 크메르 루주 때문이다. 그 정도로 폴 포트와 크메르 루주는 캄보디아라는 나라의 모든 것을 철저하게 망가뜨리고 박살내놨다. [3] 당연한 소리지만 캄보디아보다 훨씬 잘 사는 태국, 베트남의 병원도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 국민들은 어지간해선 안 간다. 하물며 캄보디아면 뭐... [4] 애초에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 탈북자 출신도 안심하고 갈 수 있는 나라는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정도가 전부다. 필리핀은 북송 걱정은 없으나 북송보다 목숨이 더 위험하다. 마이너한 곳까지 가면 브루나이 동티모르 역시 탈북자가 안심하고 방문 가능하긴 하다. [5] 왓 프라깨우에 있는 앙코르와트 모형의 경우 원래 태국 측에서 앙코르와트를 통째로 뜯어서(...) 태국까지 옮겨오려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실패하고 그 대신 앙코르와트를 그대로 본떠 만든 모형을 만들어 사원 한복판에 놓아둔 것이다. 당연히 캄보디아 측에서 지금까지도 반발, 항의하지만 태국에서는 약소국인 캄보디아의 반발과 항의를 개짖는 소리 취급하며 보기좋게 씹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