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21:58:10

차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1. 슬라브어권의 군주
1.1. 차르 칭호를 사용한 국가들1.2. 차르가 별명인 인물들1.3. 차르가 별명인 물건들
2. 미국의 인디 록 밴드3. 게임
3.1. 동명의 RTS3.2. GIPF 프로젝트의 보드 게임
4. 대중매체

1. 슬라브어권의 군주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0201, #a00201 20%, #a00201 80%, #800201)"{{{#!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0201><tablebgcolor=#a00201> 파일:카이사르 투명.svg CAIVS IVLIV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대중매체
가족관계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b0000>가족 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어머니 아우렐리아 코타 · 고모부 가이우스 마리우스 · 첫째 아내 코르넬리아 킨나 · 둘째 아내 폼페이아 술라 · 셋째 아내 칼푸르니아 · 딸 율리아 · 양아들 옥타비아누스 · 사생아 카이사리온
전투
<colbgcolor=#fff,#1f2023> 일레르다 전투 · 디라키움 공방전 · 파르살루스 전투 · 알렉산드리아 전쟁 · 젤라 전투 · 탑수스 전투 · 문다 전투 · 코르도바 공방전
대외 전쟁 갈리아 전쟁
휘하 군단 3군단 갈리카 · 4군단 마케도니카 · 5군단 알라우다에 · 6군단 페라타 · 7군단 클라우디아 · 8군단 갈리카 · 9군단 히스파나 · 10군단 에퀴스트리스 · 11군단 클라우디아 · 12군단 빅트리스 · 13군단 게미나 · 14군단 게미나
관련 기록 갈리아 전기 · 내전기
기타
정책 삼두정치,( 로마 공화정의 삼두정치), · 독재관
사건 · 사고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
기타 율리우스력 · 카이사르(칭호),( 차르 · 카이저),
}}}}}}}}} ||


군주의 호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4px"
<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마하라자디라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별도의 틀 참고) }}} }}}}}}}}}


러시아어 : Царь(Carʹ)

불가리아어 : Цар(Car)

세르보크로아트어 : Цар / Car

영어 :Tsar

슬라브어권에서 군주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짜르'라고도 한다.[1][2] 여성형은 차리차(Царица)이며 이는 '군주 배우자'를 의미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됐다. 영어 표기로는 Czar·Tsar·Tzar라고 하며 여성형은 Tsaritsa(차리차)라고 한다. 어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슬라브조어 '체사리(*cěsařь)'다.[3] 가장 잘 알려진 경우는 루스 차르국 혹은 러시아 제국의 군주들이지만 시초는 불가리아 제1제국 시메온 1세 동로마 제국 로마노스 1세로부터 바실레우스의 칭호를 수여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제국 스테판 두샨이 차르를 자칭했으며 러시아는 3번째다. 차르의 후계자는 러시아어권에서 '차레비치(Царевич)·차레브나(Царевна)'라고 했다. 이후 1762년 표트르 3세의 황태자였던 파벨 페트로비치에게 '체사레비치(Цесаревич)'라는 칭호가 붙으면서 '황태자·녀'를 의미하는 표현으로서 '체사레비치(Цесаревич)·체사레브나(Цесаревна)'가 사용됐다.

러시아는 표트르 대제가 국호를 루스 차르국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바꾸면서 1721년에 공식적으로 '차르·차리차'의 칭호도 서구식인 ' 임페라토르(Император, '황제')·임페라트리차(Императрица, '여제' 또는 '황후')'로 대체됐다. 다만 후대 러시아 황제들은 관습적으로 '차르·차리차'로 불리기도 했다. 근현대 불가리아 왕국의 군주도 차르라고 불렸지만 이쪽은 황제가 아니라 왕으로 번역되었다. 실제 차르 칭호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은 아직 살아 있다. 바로 1946년 폐위된 불가리아의 차르 시메온 2세(1937년생)인데 그는 가장 마지막으로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한 군주이기도 하다. 러시아어의 차르와 같은 어원을 지니는 세르보크로아트어의 차르(Цар / Car) 같은 단어들은 여전히 '황제'를 뜻하는 단어다.

반면 러시아어의 차르는 황제가 되기도 하고 이 되기도 하는 애매모호한 직위인데 한국어 임금과 마찬가지로 한 독립국가를 통치하는 군주를 지칭하는 의미로 보는 게 이해하기 쉽다. '공국→ 차르국→ 제국'으로 이어지는 흐름 상 차르가 왕에 대응하는 것 같긴 한데 러시아어에서 왕을 뜻하는 표현으로는 '코롤(Король)·코롤레바(Королева)'가 따로 있다. 러시아 제국에서도 차르를 라틴어로 번역할 때는 렉스(Rex, 왕)로 옮기긴 했지만 로마 제국 황제 개념과 동일하게 '그리스도인의 보호자·군주'라는 상징성을 지녔었다. 그들에게 맞는 예법으로는 오체투지하여 그의 발에 입을 맞추는 것일 정도였다. 러시아의 군주 칭호로서 국내외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이반 뇌제(雷帝)'라 불리는 이반 4세 때부터다.

이러한 차르의 정의의 모호함은 결국 로마 제국의 정치적 부침에 기인한 것이다. 원래 카이사르 자체는 황제가 아니라 황위계승자의 칭호였고 황제는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였는데 나중에 외적의 침입이 잦아지면서 카이사르는 부황제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그러니까 동로마 제국이 건재하던 시절의 차르는 정(正)황제 밑의 부(副)황제 내지는 아웃소싱된 번왕 같은 개념이었던 것이다.

정치나 경제, 스포츠나 문화예술의 특정 분야에서 절대적 영향력과 권력을 휘두르는 사람을 '차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비공식적 권력을 휘두르는 정치적 비선실세나 암흑가의 음지에서 권력자 등 음성적인 권력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대규모 기업집단의 수장이나 언론·정보·경제정책 관련 등 중요 권력기관의 책임자처럼 막강한 권력자도 이렇게 부른다. 꼭 부정적인 의미는 아니고 미국 등에서 마약 퇴치 대책을 총괄하는 정부의 총책임자를 drug tzar라고 부르듯 전권을 부여받은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다.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장(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을 spymaster 또는 intelligence tzar라 부른다. 전염병이나 빈곤 문제 대책 등 특정 현안 해결을 위해 대통령이 임명하는 전권을 가진 고위 권력자를 '○○ 차르' 식으로 통칭한다.

1.1. 차르 칭호를 사용한 국가들

1.2. 차르가 별명인 인물들

당연하겠지만 러시아인에게 이 별명이 주로 붙는다.

1.3. 차르가 별명인 물건들

마치 우리가 무언가 큰 것에 '왕'자를 붙이듯이 보통 크고 아름다운 것들에 이런 이름이 붙는다. 근데 웃기게도 (그나마 이름값을 좀 하고 있는 차르 열차[5]를 제외하면) 다들 명성과는 달리 전부 하나같이 큰 하자가 있는 비실용적인 물건들 뿐이다(…).

2. 미국의 인디 록 밴드

미국의 드림 팝 밴드. 컨트리 음악을 베이스로 해 특유의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스타일이다.

1994년에 덴버에서 결성되었다. 이것이 밴드의 특색을 만들었다는 평가도 적잖은데 덴버가 음악의 불모지라고 자타공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1995년 Moodswing[6]을 시작으로, 1997년 The La Brea Tar Pits of Routine이 벨라 유니언[7]에 주목을 받아 이후 벨라 유니언 소속으로 음악 활동을 하게 된다.
2000년에 벨라 유니언 소속으로 첫 앨범 Before… But Longer[8] 이후 2001년에 낸 The Ugly People vs. The Beautiful People이 인기를 끌었다. 다만 이것은 밴드의 역사를 따라가는 문제로 미국 밖에서 인기를 끌었다. 미국 내에서는 주목을 잘 받지 못 했고 덤으로 벨라 유니언의 자금 사정도 나빠지고 있었다. 2004년 Goodbye는 평론과 여론의 호평을 동시에 받았지만 이때 벨라 유니언의 열악한 자금 사정으로 인해 팬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대출로 앨범을 내야 했으며 Goodbye를 마지막으로 John Grant를 제외한 모든 멤버가 탈퇴해 해체했다. 해체 이후에는 The Czars의 곡들 중에서 몇 개를 엄선한 베스트 앨범 Best Of(2014)이 나와 이것이 정말로 마지막이 되어 그 뒤에는 프론트맨 John Grant가 솔로로 활동하고 있다. 특이사항이라면 특이사항으로 존 그랜트의 전공은 언어학이며 러시아어를 곡에서 구사하는 경우가 있다. 특유의 바리톤적인 발성법이 짜르의 우울하고 몽환적인 음악적 컨셉의 중심을 잘 잡아주었다. 길고 크게 기른 수염이 인상적.

2000년대 초중반 한국 인디 록 팬덤에서 꽤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 예로 마지막 앨범인 Goodbye의 경우 파스텔 뮤직에서 계약해 유일하게 한국에서 2CD 체제로(앨범 1CD, 커버곡 1CD) 발매되기도 했다. izm에서도 현재는 볼 수 없는 The La Brea Tar Pits of Routine에 대한 평론을 제외하면 나머지 세 앨범 Before…But Longer, The Ugly People vs. The Beautiful People, Goodbye는 모두 호평.
전체적인 평가는 당시 음악 주류였던 슈게이징을 모토로 하지만, 말 그대로 신발 끝만 바라보던 다른 밴드들에 비해 '고원의 소리'를 낸 독특한 밴드였다는 것이다.

ABBA의 곡 Angel Eyes를 커버한 버전[9]은 ABBA 커버 곡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명곡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징이라면 원곡에 비해 상당히 느린 진행을 한다는 것과 곡의 내용은 거의 그대로인데 Young girl 대신 Young boy라는 것. 이는 보컬 존 그랜트의 성적 지향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3. 게임

3.1. 동명의 RTS

Tzar: The Burden of the Crown 문서 참고.

3.2. GIPF 프로젝트의 보드 게임

기프 프로젝트 문서 참고. 정발명은 짜르(TZAAR)이다.

4. 대중매체

4.1. 길드워 시리즈의 야수 종족

파일:GW2Warrior02-800x600.jpg
길드워/차르 문서 참고.

4.2. 스타크래프트 행성 Char

스타크래프트 시절에는 차르로 읽었지만 스타크래프트 2 발매와 함께 한글화되면서 로 번역되었다. 해당 문서 참조 바람.

4.3.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의 등장 인물

짜르(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문서 참고.


[1] 널리 쓰이기는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잘못된 표현이다. 외래어 표기법의 규정 가운데, 된소리(ㄲ·ㄸ·ㅃ·ㅆ·ㅉ 등)는 쓰지 않고 거센소리(ㅋ·ㅌ·ㅍ·ㅊ 등)를 쓴다는 것이 있기 때문. '까페'가 아니라 '카페', '빠리(Paris)'가 아니라 '파리'로 써야 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즉 이 경우도 '차르'가 규정상 맞으며 국립국어원 러시아어 표기법에 따르면 Царь에 쓰인 연음부호 ь는 '-ㅣ'로 표기하므로 '차리'가 타당한 표기이다.(물론 이런 언어들은 기식이 없기 때문에 실제 발음은 된소리에 가깝지만, 외래어 표기법의 목적은 원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표기를 통일하는 것이다.) 다만 해당 표현에 대해서 오랫동안 영어식 표기와 발음을 따랐기 때문에 ' 차르'가 규정용례다. [2] 과거 일본어의 잔재가 남아 있고 철의 장막 때문에 러시아에 무지하던 일제강점기~70년대 문헌을 보면 일본어 ツァー 를 그대로 옮겨 "쯔아"(...)라고 해놨는데 이게 차르를 가리키는 거다. [3] 똑같은 유래를 가진 단어로는 카이저가 있다. [4] 독소전쟁 초반에 인민들의 애국심과 충성심을 끌어올릴 존재가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한 말. 러시아 제국 시절 차르가 국민들에게 어떤 존재였는지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그 니콜라이 2세 제1차 세계 대전 초반에는 구심점 역할을 했다.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에도 시위 군중은 차르 만세를 외치면서 행진했다. 사실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였지만 러시아 제국의 후계자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이해가 될 만한 발언이다. [5] 정확히는 열차로 만든 군사용 장벽이다. [6] 데모 앨범이라서 구하는 것 자체가 힘들다 [7] 콕토 트윈즈가 세운 레이블 [8] 한 클럽에서 만난 우크라이나 출신의 귀머거리에 벙어리(라고 아는)인 사람이 필담이라고 적은 메모가 그럴싸해서 그대로 앨범 제목으로 붙였다고 한다. [9] 해외에서는 Sorry I made you Cry, 한국에서는 위에서 이야기한 파스텔 뮤직 2CD 특별판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