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0:24:41

역(동음이의어)

유니코드 C5ED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ㅇ+ㅕ+ㄱ
두벌식 QWERTY dur
세벌식 최종–QWERTY jex

1. 1자 한자어
1.1. (), 철도 시설1.2. 역(), 논리학 개념1.3. 역(), 생물 분류 단계
2. 한자

1. 1자 한자어

1.1. (), 철도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열차가 정차하는 정거장을 뜻한다. 본래 을 교환하는 역참 시설을 의미했으나 근대에 철도의 등장으로 의미가 변모하였다.

역명은 주로 단어 뒤에 '○○역' 식으로 붙인다. 대개 지명 뒤에 붙이나, '통일', ' 청년' 등의 추상명사 단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 한편 북한 평양지하철도 역 중 통일역은 2024년 북한의 통일 기조 폐지에 따라 ' 통일'을 삭제하여 그냥 ''이라는 묘한 이름의 역이 되었다.

1.2. 역(), 논리학 개념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 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 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 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 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 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 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 튜플) · 서수( 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 선택공리) · 기수( 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 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 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파일:명제_역_이_대우.svg

원명제(p → q)의 가정과 결론의 순서를 뒤바꾼 명제(q → p)가 바로 역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역은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역은 참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q가 p를 포괄하지만 p가 q를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에 p → q는 성립되어도 q → p는 성립되지 못하고, 반대로 p → q는 성립되지 못해도 q → p는 성립된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짝수는 항상 4의 배수이다'는 거짓이 된다. 한편, 이 결론의 부정을 이용한 ~q → ~p는 원명제 p → q의 대우라고 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이라면, p = q이다. 즉, p와 q가 같지 않다면, 어떤 명제가 참이면 그 역은 반드시 거짓이다.[1] 수학적인 논증을 할 때 굉장히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며, 따라서 공식이나 정리 등을 보면 "a, b 등의 조건이 있을 때 p->q이이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언급이 많이 나온다. 사실 역의 대우가 이이므로 역 대신 이를 써도 결국 똑같은 의미이지만, 사람들이 이보다는 역과 더 친숙하므로(...) 거의 쓰지 않는다.[2]

1.3. 역(), 생물 분류 단계

domain

생물 분류 단계의 최상위 단계. 1990년 칼 워즈에 의해서 제안된 생물 분류 단계로, 5계 분류 체계에서의 원핵생물에서 고균 집단이 분리되면서 제안되었다. 즉, 보다 상위의 생물 분류 단계가 제안된 셈. 세균역(진정세균역), 고균역(고세균역), 진핵생물역으로 나뉘며, 3역 6계 체제가 확립되었다. 원핵생물계가 세균계(세균역)과 고균계(고균역)으로 나뉜 셈.

비교적 최근에 제안된 개념이기 때문에 1980~1990년대생은 생물 시간에 이 단계를 전혀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3]

바이러스는 그 어떤 역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특성을 가지지만 무생물의 특성도 가지므로 완전한 생명체로 보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2. 한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로 '역'이라 읽는 글자는 아래 8자이다.


[1] 반대로 어떤 명제가 거짓이면, q가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일 때만 참이고, 그렇지 않다면 거짓이다. [2] 참고로 '이'라는 표현은 2009년 이후에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빠졌고, 대신 '부정'이라는 표현을 쓴다. [3] 80~90년대에 흔히 배우던 5계(동물계, 식물계, 균계, 원생생물계, 원핵생물계)는 1969년 휘태커식 체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