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20:52:14

힐베르트의 호텔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 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 증명보조기 ·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 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 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 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 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 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 튜플) · 서수( 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 선택공리) · 기수( 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 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 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TED의 영상
Veritasium의 영상

1. 개요2. 특성

1. 개요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가 제기한 역설. 힐베르트의 무한 호텔 역설(Hilbert's Paradox of the Grand Hotel)으로도 불린다. 무한대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다. 힐베르트가 직접 출판하진 않았지만 1924년 1월 괴팅겐에서 강의를 통해 이 역설을 언급했다.[1] 이후 1948년 조지 가모프의 책 '1, 2, 3 그리고 무한'에 등장한 것을 계기로 수학이나 물리학을 소재로 한 글에서 무한의 성질을 나타내는 예시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2. 특성

힐베르트는 ''객실 수가 무한한 호텔이 있으며 이 호텔의 모든 객실은 차 있어서 빈 방이 없다'고 가정했다. 일반적인 호텔이라면 객실이 가득 차 있을 경우 새로운 손님이 왔을 때 빈 방을 마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힐베르트의 호텔은 객실 수가 무한하므로, 즉 '끝 방'이라는 게 없으므로, 1번 방의 손님을 2번 방으로, 2번 방의 손님을 3번 방으로, [math(n)]번 방의 손님을 [math((n+1))]번 방으로 옮기는 식으로 모든 투숙객을 원래 있던 방의 바로 옆 방으로 옮기도록 하여, 언제나 빈 방을 마련할 수 있다.

여러 명, 즉 [math(m)]명의 손님이 온 경우에도 간단히 모든 투숙객을 [math(+m)]번 방으로 옮기면 된다. 즉, [math(n)]번 방의 손님을 [math((n+m))]번 방으로 옮기면 된다.

힐베르트의 호텔에 무한히 많은 손님을 태운 버스가 와서 빈 방을 마련해야 할 때에는, 1번 방의 손님을 2번 방으로, 2번 방의 손님을 4번 방으로 보내는 식으로 모든 투숙객에게 객실 번호의 두 배가 되는 방으로 옮기도록 지시하면 무한한 홀수의 빈 방을 마련할 수 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호텔의 [math(n)]번 방의 손님을 [math(2n)]번 방으로 옮긴다. 그리고 버스의 승객들에게 번호표를 주고, [math(m)]번 번호표를 가진 승객을 호텔의 [math((2m-1))]번 방에 묵게 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무한히 많은 손님을 태운 버스가 무한히 많이 와서 그 손님들의 빈방을 마련해야 할 때는 좌표평면의 격자점을 이용하면 된다. 일단 투숙객들에게 빨간색 번호표와 파란색 번호표를 준다. 빨간 번호표에는 1이 쓰여 있고 파란 번호표에는 자기가 묵었던 방 번호가 쓰여 있다. 그 다음, 버스를 차례로 2호차, 3호차, 4호차, ..., [math(x)]호차, ...라고 부르고(1호차는 없다.), 각 호차 버스 안의 승객들에게 호차 번호가 적힌 빨간 번호표를 준다. 그리고 각 호차 버스 내의 승객들에게 각각 자기 승차번호가 적힌 파란 번호표를 준다.[2] 모든 번호표를 다 줬다면, 빨간색 [math(x)]번 파란색 [math(y)]번 번호표를 가진 사람[3]을 호텔의 [math(\dfrac{(x+y)(x+y-1)}2+1-x)]번 방에 묵게 하면 된다.

그 외에 다양한 패턴의 손님들이 들어와도 계속 방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위 영상에도 언급되지만 이 경우는 작은 범위의 무한만을 생각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위의 상황에서 다룬 경우는 어디까지나 자연수의 무한에만 해당되는 것이다. 자연수의 집합을 제외한 실수 범위까지 포함하게 되면 위와 같은 일반적인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게 된다.[4]


[1] Helge Kragh, The True (?) Story of Hilbert's Infinite Hotel [2] 예를 들어서 2호차 안에 파란색 10번 번호표를 가진 승객이 있고, 3호차 안에 파란색 10번 번호표를 가진 승객이 있다. 어차피 다른 호차 버스에 탄 승객이면 빨간색 번호표의 번호가 다르므로, 모든 버스의 모든 승객을 한데 모아도 각각 전부 다른 조합의 번호표를 갖게 된다. [3] [math(x=1)]이라면 기존 호텔 투숙객이다. [4] 대각선 논법에 의해 실수 범위의 무한은 자연수의 무한보다 크기 때문에 힐베르트 호텔에 수용할 수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