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1:00:14

소녀전선2: 망명/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녀전선2: 망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소녀전선/등장인물
,
,
,
,
,

파일:GF2_logo.png
소녀전선2: 망명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 0 0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클래스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불워크
[[그로자(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그로자_프로필.png
★★
그로자
]][[사브리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사브리나_프로필.png
★★★
사브리나
]]
뱅가드
[[캐롤릭|
파일:GF2_캐롤릭_프로필.png
★★
캐롤릭
]][[베프리|
파일:GF2_베프리_프로필.png
★★★
베프리
]][[대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대연_프로필.png
★★★
대연
]][[울리드|
파일:GF2_울리드_프로필.png
★★★
울리드
]]
서포트
[[치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치타_프로필.png
★★
치타
]][[콜펜|
파일:GF2_콜펜_프로필.png
★★
콜펜
]][[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나강_프로필.png
★★
나강
]][[크세니아(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크세니아_프로필.png
★★
크세니아
]][[센타우레이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센타우레이시_프로필.png
★★★
센타우레이시
]][[레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레나_프로필.png
★★★
레나
]][[수오미(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수오미_프로필.png
★★★
수오미
]]
센티넬
[[네메시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네메시스_프로필.png
★★
네메시스
]][[샤크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샤크리_프로필.png
★★
샤크리
]][[리타라|
파일:GF2_리타라_프로필.png
★★
리타라
]][[로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로타_프로필.png
★★
로타
]][[페리티아|
파일:GF2_페리티아_프로필.png
★★★
페리티아
]][[경구(소녀전선2: 망명)|]][[토로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토로로_프로필.png
★★★
토로로
]][[모신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모신나강_프로필.png
★★★
모신나강
]][[강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강우_프로필.png
★★★
강우
]][[마키아토(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마키아토_프로필.png
★★★
마키아토
]]

}}}}}}}}}}}}
[ 무기별 ]
## HG 행
HG
[[콜펜|
파일:GF2_콜펜_프로필.png
★★
콜펜
]][[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나강_프로필.png
★★
나강
]][[크세니아(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크세니아_프로필.png
★★
크세니아
]]
SMG
[[치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치타_프로필.png
★★
치타
]][[레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레나_프로필.png
★★★
레나
]][[수오미(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수오미_프로필.png
★★★
수오미
]]
RF
[[네메시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네메시스_프로필.png
★★
네메시스
]][[모신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모신나강_프로필.png
★★★
모신나강
]][[마키아토(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마키아토_프로필.png
★★★
마키아토
]]
AR
[[그로자(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그로자_프로필.png
★★
그로자
]][[샤크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샤크리_프로필.png
★★
샤크리
]][[경구(소녀전선2: 망명)|]][[토로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토로로_프로필.png
★★★
토로로
]][[대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대연_프로필.png
★★★
대연
]][[센타우레이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센타우레이시_프로필.png
★★★
센타우레이시
]][[강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강우_프로필.png
★★★
강우
]]
MG
[[리타라|
파일:GF2_리타라_프로필.png
★★
리타라
]][[페리티아|
파일:GF2_페리티아_프로필.png
★★★
페리티아
]]
SG
[[로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로타_프로필.png
★★
로타
]][[베프리|
파일:GF2_베프리_프로필.png
★★★
베프리
]][[사브리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사브리나_프로필.png
★★★
사브리나
]]
BLD
[[캐롤릭|
파일:GF2_캐롤릭_프로필.png
★★
캐롤릭
]][[울리드|
파일:GF2_울리드_프로필.png
★★★
울리드
]]
}}} ||

1. 개요2. 루크사트주의 합중국 연맹
2.1. 엘모호2.2. 카페 디 주케로2.3. 카르도 레스토랑2.4. POL-03 치안 관리 부서2.5. 인형공동체2.6. 비군사 역량 관리국2.7. 바랴그단2.8. 지라드 그룹2.9. B.R.I.E.F.
3. 그리폰&크루거4. 철혈공조5. 패러데우스6. 무소속7. 기타 인물8. 등장이 확정된 전작 출신의 전술인형9. 문서로 언급되는 전작 출신의 전술인형

[clearfix]

1. 개요

주의: 본 문서에서는 아직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출시되지 않은 게임을 다루므로 임시로 소녀전선 커뮤니티에서 통칭되는 번역을 따르며, 차후 정식 용어가 발표되면 수정될 예정입니다.

2. 루크사트주의 합중국 연맹

2.1. 엘모호

"칼날을 쥐고 여명을 밝힌다"
파일:GF2_amos.png


그리폰&크루거 해체 후, 현상금 사냥꾼이 된 지휘관이 독립하여 차린 용병단. 그리폰 시절 휘하에서 활동했던 전술인형들과 새로 영입한 전술인형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성원이 자주 바뀌는 편이라고 한다. 전투 복장은 저마다 다르지만 숙소에서 입는 평상복은 통일되어 있다. 트레일러 차량 'MCV 엘모'를 기지로 운용하고 있다.
하늘색 머리카락에 트윈테일을 한 전술인형. 소체 모델은 SSD-62D에, 각인한 무기는 토러스 社의 호신용 권총인 Taurus Curve.
작업 일지를 보면 본인의 장기를 살려 의료 지식 강의를 하기도 하는 듯.

2.2. 카페 디 주케로

2.3. 카르도 레스토랑

2.4. POL-03 치안 관리 부서

2.5. 인형공동체

리타라의 소속으로 처음 소개되었지만 이름은 검열되어 상세한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는데, 울리드와 로타가 소개되면서 이름이 '인형공동체'로 밝혀졌다. 소녀전선2 오프닝에서 수오미와 리타라가 같이 일하는 모습이 나온 걸로 사실로 판명되었으며 오프닝에서 드셰브니도 있는 걸 봐선 드셰브니도 이 소속으로 추측된다.
파일:suomi_GFL2.png
전작의 수오미.
파일:Ulid_GFL2.png
검과 활로 무장한 신규 전술인형. 인형공동체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2.6. 비군사 역량 관리국

2065년에 신소련 정부와의 상의로 그리폰&크루거가 해체되고 그 후신으로 설립된 단체. 신소련이 협의를 통해 루련에 합병되면서 루련 산하 단체가 되었다. 사실상 그리폰&크루거가 비군사 역량 관리국이 된 거나 다름없으며, 인형의 구매나 자원 비축을 하며 PMC를 메인으로 루련 전역에서 전투력을 보유한 조직들을 전부 관리하고 있는 업무를 맡고 있다. 다른 국가 정부보다 등급이 높다.

2.6.1. 404소대

4주년 방송에서 공개한 1차 PV에서 404 로고가 새겨진 완장을 찬 인물이 비치는 것으로 등장을 암시했으며, 현 시점에서는 레나(UMP9)와 리바(UMP45)가 공개되었다. G11과 HK416에 대해서는 별다른 정보가 공개된 바 없으며, 11월 개발일지 방송에서 404 소대는 전원 생존한 상태에 팀원이 점차 늘어날 것[10]이라는 언급이 있었다.

공개된 스토리에서 "404소대가 부활했다", "이제는 404소대가 아니지만 말이야."라는 말이 나온 것으로 보아 기존의 404 소대는 해산된 것으로 보이며, 소대장이었던 리바가 카리나와 같이 일하는 것으로 볼 때 몇몇 멤버는 비군사 역량 관리국에 소속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단 등장하지 않은 멤버 중 HK416은 총괄 프로듀서인 우중이 igc 강연에서 404를 떠나고 새로운 소대를 만들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2.6.2. AR소대

현 시점에서는 ST AR-15만 등장이 확정되었으며, 다른 소대원들도 등장할 가능성 자체는 높으나 정보가 공개된 바는 없다. 2023년 12월 20일 방송에 디너게이트 RO가 등장한 모습 때문에 RO635가 등장할 가능성이 생겼다. #

2.7. 바랴그단

파일:GF2_바랴그단 병사.jpg
파일:GF2_부슬.jpg
File1.바랴그단 보고, File2.바랴그단 추가보고

본작에서 상대하게 될 적대 세력 중 하나로, 처음에는 오염구역에 나타난[13] 어중이떠중이 무장 단체였으나, 정화구역 부근에서 여러 습격 사건을 일으키며 여러 장비를 노획하면서 세력을 불렸고, 급속히 커진 규모를 바탕으로 정화 구역까지 세력을 뻗치기 시작했다고 한다.

공개된 설정에 따르면 제법 위협적인 무장을 갖춘 집단으로 보이나, 근본이 오염구역의 뜨내기 군벌 집단이다보니 기술력은 심각하게 떨어지는 모양. 공개된 설정에서 이들이 다루는 기계의 상태가 개판이라는 것이 대놓고 언급되며, 이들이 사용하는 화력 유닛 부슬도 자기 몸통보다 거대한 포대를 달고 있는 등 상당히 괴상한 외형을 하고 있다.

2.8. 지라드 그룹

파일:GF2_지라드 그룹2.png
지라드 그룹

吉拉尔集团 / Girard group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술인형
섹스턴트 다튜르
}}}}}}}}} ||


기계 제조를 핵심 산업으로 한 대기업으로, 정화구역과 오데사를 세력권으로 두고[14] 있다. 헬레나와 모종의 연관이 있는 듯하며, 헬레나를 회수하기 위해 3세대 인형인 섹스턴트와 다튜르를 의뢰인이라는 인물에게 파견했다. 의뢰인의 언급에 따르면, 섹스턴트와 다튜르는 홀로스코프 계획의 산물이라고 한다.

2.9. B.R.I.E.F.

파일:GF2_B.R.I.E.F.로고.png
Bounty Hunter Rights Extension Facilitator

현상금 사냥꾼 권익 신장 및 추진 협회로, 엘모호도 여기에 소속되어 있다. 2065년에 PMC 규모의 제한으로 인해 현상금 사냥꾼이 대거 늘어나자, 이들을 관리하기 위해 2067년에 설립되었다.

3. 그리폰&크루거

신소련 정부와의 상의로 해체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실은 재건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만 카리나가 퇴사하던 시점부터 이미 과거와는 달리 단일 업무를 하청받는 여러 기업으로 분열되었고, 역량도 크게 축소되었다고 한다. IOP제 전술인형을 사용하던 과거와 달리 현 시점에서는 철혈공조 공장 설비에서 생산된 로봇에 그리폰 마크만 달아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가 의뢰인이라는 인물의 휘하에서 활동하고 있음이 확인되기도 했다.
소녀전선2가 판호를 발급받으면서 우중 PD가 웨이보에 치타가 폭발을 등지고 양팔을 벌리는 GIF[17]를 올렸는데, 2023년 4월 28일 사전예약 보상 공지와 함께 업로드된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연출[18]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4. 철혈공조

파일:GF2_철혈1.jpg
파일:GF2_철혈2.jpg
파일:GF2_철혈3.jpg
파일:GF2_철혈4.jpg
철혈기계 사용정황에 대한 조사보고

2020년 10월 30일, 웨이보에서 소녀전선 당시 주적으로 등장했던 철혈공조가 본작에서도 등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만 언급된 설정에 따르면 철혈공조에 개입한 PMC들이 철혈의 기술과 기계들을 이용하고 있다는 뉘앙스로 서술되어 있는데, 이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소녀전선 시점에 존속했던 철혈공조가 일으킨 반란은 2067년에 완전히 진압되었고, 철혈의 기술은 여러 기업에 퍼졌다고 한다.

이후 몇몇 PMC가 철혈의 제품과 유사한 기계와 인형들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20], 과거 신소련의 영역과 인근 그린존, 화이트존에서도 같은 종류의 기계와 인형들이 출몰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해당 신소련의 영역에 있던 철혈공조의 폐공장들이 재가동에 들어갔는데, 여기서도 PMC가 목격되었다고. 다만 용도나 제조 및 생산방법은 불명.

인게임에 등장하는 적으로 디너게이트, 프롤러의 모습이 공개되었으며, 텍스트 파일을 통해 리퍼, 예거, 가드, 베스피드 등의 철혈 인형들도 적으로 등장한다는 사실이 언급되었다. 다만 인간형 전술인형들의 경우, 전작의 여성형 모습과는 달리 평범하게 로봇의 형상을 하고 있다.-누드스킨-

5. 패러데우스

공개된 CG 중 패러데우스의 종교시설로 추정되는 장소가 있었고, 이후 소녀전선2 베타테스트 파일 중 하얀 니토의 이미지 데이터가 있음이 밝혀지면서[21] 본작에서의 등장 가능성이 좀 더 높아졌다. 더불어 PV에서 헬레나의 환각 속에서도 새로운 니토가 등장해 이번 작에서도 패러데우스가 엮일 것이 암시되어있다. 그리고 메인 스토리 7장에서 지휘관 일행은 패러데우스의 일원을 만나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6. 무소속

7. 기타 인물

8. 등장이 확정된 전작 출신의 전술인형

9. 문서로 언급되는 전작 출신의 전술인형



[1] 전작의 애니인 소녀전선 인형소극장에서 M4A1을 담당했다. [2] 다만 그로자가 만든 디저트를 맛있다고 말하는 메이링의 반응이나, 지휘관에게 케이크를 건네며 이번엔 레시피대로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요리를 못하는건 또 아닌 모양. [3] 2020년에 유출된 일러스트 데이터에서는 무장한 총 이름 따라 이름이 커브(Curve)였었으나, 정식 공개되면서 이름이 콜펜으로 확정되었다. [4] 다만 캐롤릭과 네메시스가 싸우는 걸 막기 위해 이전에 싸울 때 캐롤릭의 토끼귀가 떨리는 영상을 틀려고 하거나, 화목한 분위기를 지키기 위해 순찰을 하려 할 때 그로자가 처리에 주의하라고 하는 것을 보면 마냥 좋은 방식을 쓰는 건 아닌 듯. [5] 콜펜의 갈등 해결 방식이 영 아니다 싶었는지 지휘관이 크리스마스 선물로 '대화의 언어 예술'이라는 책을 선물했는데, 그 결과 더 과장스러우면서도 간결한 표현 방식을 배웠다고 한다. 하지만 지휘관이 바란 결과는 아니었는지, 지휘관은 까탈스러워하는 반응을 보였다. [6] 보이스 [7] 보이스를 들어보면 카리나처럼 목소리 톤이 변했는데 소녀전선 1에서는 철없는 소녀스러운 목소리였다면 10년이란 세월을 지난 만큼 목소리와 말투가 성숙해졌다. [8] 보이스 [9] 보이스 [10] 실제로 4차 PV에서는 웰로드 MkII가 팔에 404패치를 붙이고 있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11] 데모판의 버전을 그대로 사용했는지 아님 새 성우가 새로 녹음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커뮤니티에서 새 성우가 새로 녹음한 거라고 추측하고 있으며 위화감 없이 원본 UMP45의 목소리와 너무 잘 맞아떨어져서 호평을 받고 있다. #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13] 기록 상 루련 정부에서 이들의 출현을 확인한 시기는 2066년이지만, 메이링의 과거사에서 2065년에도 언급되는 것을 보아 결성 시기는 좀 더 이른 것으로 보인다. [14] 4차 PV에서 카리나를 습격한 자라드 그룹 병력이 경찰을 의미하는 단어인 полиция를 새긴 이유로, 지라드 그룹이 도시의 임시 관리권을 넘겨받았기 때문. # [15] 한자표기 육분의 [16] 보이스 [17] 파일:GF2_우중 소녀전선2 판호발급 게시글.png 파일:GF2_치타 폭발씬.gif [18] 파일:GF2_치타 3d연출.gif [19] 보이스 [20] 추가로 공개된 설정에 따르면 이 기계들 중 일부는 민간 시장에 유입되어 애완용으로 쓰이게 되었다는데, 사제 개조인 탓에 안전성이 심각하게 떨어진다는 모양. 공개된 설정에서는 애완용으로 쓰던 디너게이트가 날뛰면서 세단과 충돌 사고를 일으켰다는 사례가 언급되었다. [21] 다만 캐릭터 데이터가 아니라 가챠 픽업 관련 데이터로 들어가있다고 한다. 이유는 불명. [22] 보이스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A] 개명한 이름은 현재 불명 [30] 이는 Anmi의 창작 일러스트인 발레 소녀 시리즈에 대한 레퍼런스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