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9:31:50

덕수궁 석조전

석조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영성문
상림원(배후림) 흥복전 의효전
흥덕전 장옹대 양희당
운교 생물방 소주방 어재실 양이재 함희당
사성당 우중배설청
내재실 선원전
좌중배설청
제기고
숙경재
돈덕전 생양문
환벽정 구성헌 덕경당 가정당 정관헌 수인당 양심당 포덕문
수풍당 흠문각 만희당 석조전 준명당 즉조당
명례궁터
석어당 함유재 구여당
중명전 평성문 석조전
서관
정원 중화전 덕홍전 함녕전 영복당 공시청 비서원 태의원 시강원
강태실 장방처소 광명문 내반원 궁내부 원수부
용강문 승녕부 전무과 중화문
인화문
소방계 조원문 금천교 대한문
운교 건극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덕수궁 석조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중화전
德壽宮 中和殿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중화전 이전 덕수궁의 정전은 즉조당이었다.
덕수궁에 서양식 정전으로 석조전을 지었으나 완공 전에 국권을 빼앗겼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79호 80호 81호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덕수궁 석조전 동관[A] 덕수궁 석조전 서관[A]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colbgcolor=#e8cb2d> 덕수궁 석조전
德壽宮 石造殿
파일:deoksugung_ihwamun.jpg
석조전 내실 이화문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 정동 5-1)
수량 / 면적 1동 2층, 바닥면적 1,290㎡, 연면적 3,403㎡
공사기간 1900년 ~ 1910년
건립 발의자 존 맥리비 브라운(J. M. Brown)
설계자 존 레지날드 하딩(J. R. Harding) / (외부)
로벨(Lovell) / (내부)
시공사 오쿠라도보쿠구미(大倉土木組)[B] / (건물 구조체)
크리탈 회사(Crittall & Co. / (내부 인테리어)
파일:석조전 전경.jpg
파일:덕수궁_석조전_야경.jpg
석조전 및 야경 사진[4]
문화유산채널에서 제작한 석조전 영상
1. 개요2. 이름3. 역사
3.1. 건립 단계3.2. 일제강점기3.3. 광복 이후
4. 관람5. 구조
5.1. 외부5.2. 내부
6. 여담7.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석조전(石造殿)은 덕수궁의 전각으로, 대한제국 말기에 건립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궁전이다. 중화전의 서북쪽, 준명당의 서쪽, 석조전 서관[5]의 북쪽에 위치한다. 1897년(광무 원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경술국치 직후인 1910년에 완공되었으니 대한제국과 역사를 함께 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지은 덕수궁에는 서양식 건물인 양관(洋館)이 여러 채 도입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상징하고 황제국으로서의 위용을 보여주기 위해 지은 서양식 궁전이 석조전이다. 동양의 전통 궁궐에서는 정전, 편전, 침전의 기능이 각각 구분되어 있던 것에 비해, 석조전은 서양의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그러한 기능을 하나의 궁전 내부로 통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2. 이름

'석조(石造)'는 '[石]로 만들었으므로[造]' 붙은 이름으로, 전통적인 궁궐이 목조에 기초한 것에 대비되는 이름이다. 사실 석조전은 정식으로 부여된 전각의 명칭이 아니다. ' 경복궁 근정전'과 같이 전각의 이름을 지을 때는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석조전은 정전이나 침전의 일부가 아니며 위에 언급했듯 그 자체로 하나의 황궁이기 때문에 굳이 전각의 이름을 부여할 필요가 없었다.

건축 당시에는 '석조궁전(石造宮殿)', '석궁(石宮)', '석조전당(石造殿堂)' 등 다양하게 불렸으며, '석조전(石造殿)'은 나중에 이러한 통칭을 정리해 붙인 것이다. 링크. 그동안 나무를 주요 건축 자재로 썼던 한국인들에게 서양처럼 건물 전체를 돌로 지었다는 것이 아마 굉장한 문화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그래서 '석조'는 한국이 서양식 건물을 짓는 사회가 된, 즉, 근대 사회로 접어들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링크. 단, 2009년부터 진행한 복원 공사 도중 붉은색 벽돌을 쌓은 뒤 석재로 외관을 포장하여 건축했음을 확인했다. 즉, 이름처럼 완전히 돌로만 지은 건물은 아니라는 것이다. 대식당에 가면 불투명 유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역사

3.1. 건립 단계

대한제국 재정고문이던 영국인 총세무사 존 맥리비 브라운(J. M. Brown)이 건립을 발의했다. 처음에는 경희궁에 지으려 했으나 브라운 권유로 경운궁에 세웠다.[6] 고종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덕수궁의 예전 이름)으로 환궁[7]한지 한 달 채 못지난 1897년( 건양 2년) 3월에 브라운이 통역관과 함께 경운궁 안 지형을 측량했다는 〈 독립신문 기사를 보아 이미 그 때부터 서양식 궁전 건설을 기획한 듯 하다.

공사 진행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뉘었다. 1897년( 건양 2년) ~ 1901년( 광무 5년)에 설계 및 기초공사를, 고종의 즉위 40주년이 되는 1903년(광무 7년) ~ 1906년(광무 10년)에 구조공사, 마지막으로 1907년(광무 11년) ~ 1909년( 융희 3년)에 내부공사를 했다.

1903년부터 러일전쟁의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대한제국을 먹이로 둔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었다. 고종은 자신의 즉위 40주년을 명분삼아 세계 각국을 초청하여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보여주기 위한 일환으로 경운궁 내에 석조전을 건축하였다.
파일:석조전 모형.png
<colbgcolor=#e8cb2d> 하딩이 제작한 모형. 중앙 계단 등을 빼고는 현재와 유사하다.
설계는 영국인 건축기사 존 레지날드 하딩(J. R. Harding)이 맡았다. 하딩은 석조 건물이 낯선 한국인들에게 공사에 앞서 나무로 1/10 정도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보여주었다. 1900년 5월 26일자 미국 잡지 《아메리칸 아키텍처 앤드 빌딩 뉴스(American Architecture and Building News)》에서 저 모형을 실었다.

기초공사는 1900년( 광무 4년)부터 시작했다. 한국인 건축기사 심의석[8]이 참여한 가운데, 일본인 오가와 요키치(小川 陽吉) 기사를 초빙하여 1901년에 마무리했다.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에서 나는 화강암을 활용했다.

1902년( 광무 6년)에서 1903년(광무 7년)에는 공사를 멈췄다. 오다 쇼고(小田 省吾)가 지은 《덕수궁사》에는 그 이유로 정변(政變)을 꼽았는데, 정확히 무슨 일인지는 밝히지 않았다.[9] 이후 1903년에 공사를 다시 시작했다. 이 때 건축 주도권이 브라운에서 일본인 재정고문 메가타 타네타로(目賀田 種大郞)[10]에게 넘어갔고 공사도 일본 오쿠라도보쿠구미(大倉土木組)[B]에서 맡았다. 이시이 슈헤이(石井周平)를 감독으로 하고 두 일본인 기사를 두고 공사를 진행했으며 1905년(광무 9년)부터는 영국인 헨리 윌리엄 데이비슨(Henry William Davidson)이 합류하여 함께 작업했다.

내부 공사는 2년이 걸렸다. 설계는 영국인 로벨(Lovell)이 맡았다. 배관 및 난방 시설 설치는 영국의 크리털 회사(Critall & Co.)에서 담당했고, 내부 장식 가구 등은 역시 같은 영국의 메이플 회사(Messers Maple & Co.)에서 맡았다.

3.2. 일제강점기

파일:완공 직후 석조전.png
파일:중화전과 완공 직후 석조전.png
<colbgcolor=#e8cb2d> 완공 직후 모습
1909년( 융희 3년)에 드디어 완공했고 1910년 12월 1일에 공식적으로 낙성했다.

그런데 약 3달 전인 1910년 8월 29일에 나라가 멸망했다.

그래서 처음 계획처럼 황궁으로 쓰지 못했다. 이태왕으로 강등당한 고종은 석조전이 불편하다며 거주하지 않았다. 단지 귀빈 접대 및 만찬을 행하는 정도로 사용했다.
파일:1918년 석조전 로비에서 황실가족.png
파일:석조전 앞 황실가족 및 일본관료.png
<colbgcolor=#e8cb2d> 1918년 석조전 로비에 모인 황실 가족.
왼쪽부터 의민태자(영친왕), 순종, 고종, 순정효황후, 덕혜옹주
<colbgcolor=#e8cb2d> 1918년 촬영한 사진. 가운데 모자 벗은 사람이 고종, 왼쪽이 의민태자(영친왕), 오른쪽이 순종, 순종 옆이 의친왕
침실로 사용한 것은 이왕세자로 전락한 영친왕이었다. 일본에 볼모로 끌려간 그는 간간이 조선에 올 때마다 여기서 지냈다. 1922년에는 아내 이방자도 채 안된 아기였던 장남 이진과 함께 와서 머물렀는데 일본으로 돌아가기 전날 이진이 갑자기 구토를 하고 이 오른 끝에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다.[12]
파일:이왕가미술관.png
<colbgcolor=#e8cb2d> 이왕가미술관으로 쓰이던 석조전
1919년 고종 승하한 후 1933년에 일제 덕수궁 공원화하여 일반인에게 개방하면서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으로 사용했다.[13] 그러면서 건물 내부와 앞 뜰도 많이 바꾸었다. 미술관이 된 뒤 일본 근대 미술품만 전시했는데 그 이유가 가관이다. 처음에는 조선 작품도 같이 전시하려 했으나 일본 미술가들이 "조선인의 작품을 한 공간에 같이 전시할 수 없다"며 반발했기 때문이었다.
파일:덕수궁관.jpg
<colbgcolor=#e8cb2d> 새 이왕가미술관 건물.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1936년에는 서남쪽에 새로운 이왕가미술관을 지어 1938년에 완공한 뒤 개관했다. 석조전은 근대일본미술진열관이라 했고 신관은 조선고대미술진열관이라 하여 조선 미술품을 전시했다. 이것이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으로, 흔히 석조전 서관으로 부른다.

3.3. 광복 이후

파일:미소공동위원회 석조전.png
<colbgcolor=#e8cb2d>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당시 중화전에서 바라 본 석조전.
가운데에 태극기가 있고 왼쪽에 성조기, 오른쪽에 소련 국기가 걸려있다.
8.15 광복 직후인 1945년 12월에는 임시정부 대환영 기념 잔치가 열렸고 # 1946년 3월에는 한반도 운명을 결정지을 그 유명한 미소공동위원회를 개최하면서 # 민간에 비공개되었다. 1947년 10월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이후, 덕수궁을 일반에 다시 개방했으나 석조전은 여전히 출입금지 구역이었다. #
파일:UN한국위원단 석조전.png
<colbgcolor=#e8cb2d> 석조전에서 회의하는 UN한국위원단
이후에도 UN한국위원단에서 여러 번 회의장으로 사용했으며 # #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새 외무부 청사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

1950년에 일어난 6.25 전쟁으로 건물 대부분이 파괴를 입어 1954년 5월에 보수했다. # 1955년부터 1972년까지는 국립 박물관으로, 1973년부터 1986년까지는 국립현대미술관으로, 그리고 1987년부터 2004년까지는 궁중유물전시관으로 사용했다.

문화재청에서 2004년 2월 6일 '덕수궁 석조전 동관'이란 이름으로 등록문화재 제80호로 지정했다. 그러나 덕수궁을 이미 사적 제124호로 관리하고 있어서 영역이 겹친다는 이유로 2008년 6월 23일 자로 지정 해제했다.

2005년 궁중유물전시관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개편한 뒤 경복궁으로 옮기면서 석조전은 비었다.[14] 이에 근대미술관으로 활용할 지 아니면 원래 황궁으로 복원할 지를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복원하기로 하여 2009년부터 공사를 개시했다.
<colbgcolor=#e8cb2d> 석조전 내부 복원 완료 내용을 다룬 2014년 10월 7일 자 YTN 뉴스
2014년 10월 7일에 복원 공사를 끝냈고 같은 해 10월 13일 '대한제국역사관(大韓帝國歷史館)'으로 개관하여 오늘에 이른다.

4. 관람

관람장소 관람시간 관람방법 요금 휴관일
1, 2층 전시실 09:30 ~ 17:30 인터넷사전예약제 (제한관람, 해설사 동반) 무료 매주 월요일
지층 전시실 09:30 ~ 17:30 (입장마감 17:00) 자유관람
외부와 지층은 덕수궁 입장료만 내면 얼마든지 관람이 가능하다. 단 1, 2층의 내부를 관람하려면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한 뒤에 해설자의 인솔 하에 단체로 들어가 보는 것만 가능하다. 현장 예약은 65세 이상 어르신 외국인만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02-751-0753 번호(석조전 안내데스크)로 문의하면 된다.

5. 구조

지층, 1층, 2층으로 나누었다. 정면 54.2m, 측면 31m, 높이 17.5m이며 연면적 약 4,122㎡(약 1,226평)의 규모이다.

5.1. 외부

파일:external/news.images.itv.com/img.jpg
파일:external/www.oneonta.edu/parthenon.jpg
<colbgcolor=#e8cb2d> 신고전주의 양식. 왼쪽은 영국 버킹엄 궁전,
오른쪽은 신고전주의 건축에 많은 영감을 준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이다.

파일:석조전 정면 계단.png
<colbgcolor=#e8cb2d> 정면 계단
파일:석조전 이오니아 양식.png
파일:석조전 측면 현관.png
<colbgcolor=#e8cb2d> 이오니아 양식인 기둥머리 <colbgcolor=#e8cb2d> 동측 현관과 현관의 열주
파일:석조전 열주.png
정면 현관과 현관의 열주

파일:석조전 현관 기둥.png
<colbgcolor=#e8cb2d> 현관 1층의 기둥
파일:석조전 출입문.png
<colbgcolor=#e8cb2d> 출입문. 왼쪽은 서쪽, 가운데는 중앙, 오른쪽은 동쪽이다.
파일:석조전 1층 베란다 창문.png
<colbgcolor=#e8cb2d> 1층 베란다 창문과 창의 윗부분
파일:석조전 2층 베란다 창문.png
2층 베란다 창문과 창의 윗부분
파일:석조전 처마도리 프리즈 코니스.png
<colbgcolor=#e8cb2d> 기둥머리 위부터 순서대로 처마도리, 프리즈, 코니스 순이다.
파일:석조전 박공.png
<colbgcolor=#e8cb2d> 페디먼트
파일:석조전 피니얼1.png
<colbgcolor=#e8cb2d> 피니얼[15]
파일:석조전 러스티케이션.png
<colbgcolor=#e8cb2d> 기반부에서 보이는 러스티케이션 양식
파일:석조전 회랑.png
<colbgcolor=#e8cb2d> 베란다. 왼쪽은 1층, 오른쪽은 2층이다.
파일:석조전 난간.png
<colbgcolor=#e8cb2d> 난간. 왼쪽이 1층, 오른쪽이 2층의 난간이다.
파일:석조전 지층.png
<colbgcolor=#e8cb2d> 지층 회랑
파일:석조전 복도각.png
<colbgcolor=#e8cb2d> 국립현대미술관과 이어지는 복도

5.2. 내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석조전/내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파일:A1_xnnmphnC.png
<colbgcolor=#e8cb2d> 2020년 덕수궁 석조전 우표

파일:external/e4eabd2ad773ef5f72f169a6f86d26fe4c263ce4cb6d25586e135771658e5486.jpg
파일:경북대 본관.jpg
<colbgcolor=#e8cb2d> 경희대학교/서울캠퍼스 본관 <colbgcolor=#e8cb2d>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본관
파일:성서캠의본관.jpg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800_125464711487312.jpg
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본관 광주동신고등학교 본관
파일:석조전 AR.png
<colbgcolor=#e8cb2d> AR[21]
파일:석조전 음악회.png
<colbgcolor=#e8cb2d> 2016년 석조전 음악회[22]

7. 대중매체

파일:명성황후 석조전.png }}} ||
<colbgcolor=#e8cb2d> 〈명성황후〉에서 등장한 석조전
KBS2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81 ~ 124회 오프닝 후반부 장면[24]에 나오고 본편에서는 123회에 딱 한 번 등장한다. 고종( 이진우 분)이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돌아온 뒤, 대한제국을 선포했다는 내레이션이 깔릴 때 배경으로 나온다. 그런데 석조전을 준공한 해는 1910년이기에 저 장면은 재현 오류이다. 단, 근대 국가로 국체(國體)가 바뀌었다는 것을 시청자들에게 쉽게 각인시키기 위한 극적 허용으로 볼 수도 있다.
파일:덕혜옹주 석조전 포스터.png }}} ||
<colbgcolor=#e8cb2d> 석조전 로비에서 촬영한 〈덕혜옹주〉 포스터
파일:덕혜옹주 석조전 로비.png }}} ||
석조전 로비를 재현한 세트장에서 촬영한 영화 속 장면
영화 덕혜옹주 포스터 배경이었다. 극에서는 딱 한 번만 나온다. 바로 위에 나온 사진을 찍는 모습을 재현한 장면이다. 포스터는 석조전에서 찍었지만 영화에 나온 장면은 남양주종합촬영소에 재현한 세트장에서 촬영했다. 제작진들이 여러 해에 걸쳐 고증한 끝에 실제와 상당히 비슷하게 재현하여 고증작업에 도움을 준 문화재청 학예사들마저 놀랐다는 후문이다. #
}}} ||
||
<colbgcolor=#e8cb2d> 〈차이나는 클라스〉 34회 예고편 <colbgcolor=#e8cb2d> 〈차이나는 클라스〉 152회에 나온 석조전
JTBC에서 방송한 〈 차이나는 클라스〉 34회(강연자: 유홍준)[25]와 152회(강연자: 임석재[26])[27]에 등장했다. 차이가 있다면 34회에서는 역사적 관점에서, 152회에서는 건축적 관점에서 다루었다는 것.

*
}}} ||
<colbgcolor=#e8cb2d> 석조전 입구에서 촬영한 〈기쁜 우리 젊은 날〉의 한 장면
영화 〈 기쁜 우리 젊은 날〉에서 안성기 황신혜보고 나와달라고 해서 둘이 만난 장소로 나왔다. 1980년대의 석조전과 주변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 ( 이전 역사)
문서의 r131 ( 이전 역사)

[A] 2008년 6월 23일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A] [B] 일본 타이세이 건설의 전신. [4] 윗 사진 출처 - 위키백과 석조전 문서.
아랫 사진 출처 -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다만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당시 1938년에 일제가 지은 건물로 덕수궁의 내부에 있음에도 덕수궁의 일부라기엔 무리가 있다. [6] 경희궁 고종이 머물던 경운궁과 운교로 연결될 정도로 가깝고, 다섯 건물을 제외한 나머지 부지가 비어있어서 그곳에 지으려고 했던 것 같다. [7] 還宮. 으로 돌아가다. [8] 沈宜錫. 1854 ~ 1924. 탑골공원 팔각정, 원구단, 광화문 기념비전 등을 지은 도편수로 이외에도 배재학당 강당을 비롯하여 독립문, 손탁호텔 등의 서구식 건축 공사에도 참여했다. 정동 토박이였기에 서양인과 접촉할 기회가 많아서 일찍이 서양 건축에 눈 뜬 듯 하다. [9] 시기상 그해에 일어난 유길준 쿠데타 모의 사건일 수도 있다. [10] 화폐정리사업을 주도한 그 사람 맞다. [B] [12] 이남주( 흥선대원군의 형 흥완군의 현손녀) 전 성심여자대학교 교수는 2014년 최봉림 한국사진문화연구소 소장과 한 인터뷰에서 이방자와 (국립현대미술관으로 변한) 석조전에 피카소 그림을 보러갔는데, 이방자가 아주 담담하게 "저기 저 방에서 이 죽었어"란 말을 했다고 회고했다. [13] 그 후 의민태자(영친왕) 부부가 조선에 올 때는 창덕궁 대조전에서 머물렀다. 일제강점기에 이들이 마지막으로 조선을 방문한 것은 1939년이며, 이후 다시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것은 저로부터 24년이 지난 1963년이었다. [14] 2004년과 2005년 사이 텀이 있는데, 2004년 11월 '조선 왕실 역사 박물관 추진단'을 발족하여 박물관 설치를 준비했으며, 다음해인 2005년 3월 '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름을 바꾼 뒤 그 해 8월에 개관하는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 [15] 사진 출처 - TBS 〈대한제국의 상징 "덕수궁 석조전"〉. [16] 대략 5천만원 정도. [17] 대한제국 황실(당시 이왕가)에 관한 경찰 업무를 담당하던 곳. 광복 이후에도 한동안 존속하다 1949년에 폐지되었고 경무대경찰서로 바뀌었다. [18] 당시에는 모루히네라고 불렀다. [19] 나머지는 경복궁 교태전 일곽, 창경궁 옥천교 일대, 덕수궁 대한문 창덕궁 성정각이며 , , 중에서는 융건릉 덕혜옹주 ( 홍유릉 구역) 산책로를 꼽았다. [20] 이후 역사관 [21] 사진 출처 - 〈아시아투데이〉. [22] 사진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3] 李王職.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이왕가(구 대한제국 황실)의 의전 및 관련 사무 담당을 위해 설치한 기구. [24] 주인공 명성황후 역의 이미연이 하차하고 대신 최명길이 캐스팅되면서 오프닝 역시 바뀌었다. [25] 2017년 11월 1일 방송. [26]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 [27] 2020년 4월 8일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