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8:14:50

궁내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존속했던 일본의 궁내부에 대한 내용은 궁내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경각부 | 京各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황제
의정부
,의정부,
궁내부 중추원
,중추부,
원수부
,친위부,
내부
,이조,
외부
,통리,
탁지부
,호조,
군부
,병조,
규장각
비서원

시종원
장례원
종부사
법부
,형조,
학부
,예조,
농상공부
,공조,
경부
,포도,
고려 중앙정치기구 · 조선 중앙정치기구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재면
제2대

윤용구
제3대

이경직
제4대

이재면
제5대

이재순
제6대

민영규
제7대

이재순
제8대

윤용구
제9대

민병석
제10대

민영규
제11대

이재순
제12대

이재완
제13대

민영소
제14대

이재완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철
제17대

이재극
제18대

이근상
제19대

윤용구
제20대

심상훈
제21대

이재극
제22대

박영효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22대

박영효
제23대

이윤용
제24대

민병석
}}}}}}}}}}}}

1. 개요2. 역사3. 관서

1. 개요

궁내부(宮內府, Ministry of the Court)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황실의 부속 기관을 통할하던 관청이다. 승정원(당시 승선원)과 공사청(公事廳)[1]이 폐지되고 세워진 기관이다.

2. 역사

파일:gukjungbak_17.jpg
<colbgcolor=#29176e>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중인 궁내부 현판의 서체

개항 전까지 조선 시대의 관제는 국정 사무와 왕실 사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고, 역대 국왕의 계보와 초상화를 보관하며 국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고 왕의 친척을 다스리던 종친부, 부마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 의빈부, 왕친과 외척의 친목을 위한 사무를 관장하던 돈녕부 등 왕실 사무를 맡은 기관이 이리저리 나뉘어 있기도 하고 육조에 소속되어 있기도 해서 이중성을 지녔고, 개항 후인 1883년(고종 18년) 이후 3차에 걸친 관제 개혁에서도 시정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894년(고종 31년) 7월 갑오개혁을 단행한 조정은 근세 왕조 최초의 칙령 제1호로 건국 초기 이래 500년을 이어온 통치 기구를 개혁, 국가 일반 행정을 총할하는 의정부(내각)와 왕실 사무를 총할하는 궁내부로 2원화되었고, 궁내부 대신을 의정부 총리대신 다음의 서열로 정하였고, 나아가 단순한 행정상의 의미뿐만 아니라 종래 명확한 구별이 없었던 재정상의 분리를 꾀한 데 더 큰 의의가 있었다.[2]

그러나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와 광무개혁을 통해 전제군주제를 확립하고자 했기 때문에, 종래 궁내부의 권한을 넘어서 갑오개혁 이전의 옛 정치·행정 체계로 돌아가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아래 열거된 관서들을 본다면 그야말로 7부서의 업무와 중첩된 상황이 발생했다. 1902년 궁내부에 소속되는 부서들이 26개나 증설하면서 궁내부의 권한을 강화시키면서 갑오개혁 이전의 권력을 계속 유지하려고 했으며, 근대화와 관련된 사무를 궁내부에 배치시켜 자신이 직접 통제했다. 1904년까지 계속된 광무개혁을 주도한 인적 자원도 궁내부 관리들이었다. 하지만 아래에 있는 관서 목록만 본다면 도대체 왜 설치했는지 의아할 정도로 단기간에 존속했던 관서들이 수두룩했다.

고종이 1907년 강제 퇴위당하면서 궁내부 또한 점차 일제의 관할 아래에 놓이게 되었고, 실제로 1910년 한일병합 당시 병합에 찬성한 대신들 중 궁내부 대신이었던 민병석, 궁내부에 속해있던 시종원의 장(시종원경)이었던 윤덕영 등은 한일합방에 적극 협조한 경술국적이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궁내부는 감축되어 이왕직으로 개편되어 조선 총독과 궁내성의 관할하에 놓이게 된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구황실사무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미군정 산하조직으로서 구 황실 재산의 청산을 담당했다. 이후 역사는 대한민국 문교부 문화재관리국이 되었다가 문화재청( 국가유산청)으로 이어지고 있다. #

3. 관서

읽어보면 알겠지만 내각의 업무와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3]. 겹치는 관청은 취소선으로 표시한다.


[1] 조선시대 왕명을 하달하던 내시인 승전색(承傳色)이 근무하던 청사. [2] 정부(내각)가 돈이 없어서 궁내부가 일부 돈을 정부에게 주기도 했다. [3] 전반적으로 청나라의 우전부에 해당하는 기관들이 대한제국에서는 궁내부의 속관이었다. [4] 혹은 1905년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