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07:08:11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JeldWen_EntryDoor_Denim_301987930.jpg
언어별 표기
순우리말 오래[1]
한자 [2]
영어 Door / Gate
이모지 🚪

1. 개요2. 분류
2.1. 성격에 따른 분류2.2. 형태에 따른 분류
3. 구조4. 재질5. 문세트6. 각 사례별 문
6.1. 교통수단에서의 문
6.1.1. 버스의 문6.1.2. 철도차량의 문6.1.3. 여객기의 문
6.1.3.1. 여객기의 비상구 도어 레버를 변경하는 방법
6.2. 스포츠6.3. 레벨 디자인에서의 문
6.3.1. 열리는 문6.3.2. 장식용 문6.3.3. 이벤트(트리거)에 의해 열리는 문6.3.4. 이미 열린 문6.3.5. 로딩, 체인지 레벨을 위한 문
7. 기타
7.1. 방문이 잠겼을 때

1. 개요

두 공간이 마주보는 경계나 · 울타리 등에 사람이나 물건이 드나들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구조물. 혹은 공원이나 경기장 같은 큰 시설의 구내에서 바깥으로 이 통하는 출입구를 일컫는다.

영어로 'Door'은 이나 건물의 출입구에 있는 문을 뜻하고, 'Gate'는 이나 울타리로 두른 부분에 있는 대문· 성문과 그 외 장식용 문들을 아우른다.

2. 분류

2.1. 성격에 따른 분류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을 뚫은 자리에 문짝을 달아 열고 닫거나 잠글 수 있게 된 문이다. 열었을 때는 안팎이 한 공간으로 통하지만, 닫았을 때는 공간이 분리된다. 나머지 하나는 기둥이나 아치만 세우고 문짝은 달지 않은 장식용 문으로, 공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용도이거나, 어떠한 일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다.

2.2. 형태에 따른 분류

여는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문(여닫이문; 앞이나 뒤로 밀고 당기는 문)과 미닫이문(미서기문; 옆으로 밀어내는 문)으로 나뉜다. 미닫이문은 원시적인 기술 수준으로도 결함을 최소화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닫이문에 비해 자가수리가 쉬운 편이라 건축공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흔히 쓰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잠금장치를 달기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자동문이 미닫이문의 모습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3. 구조

문턱은 문 아랫부분에 위치한 낮은 판 모양의 경계 역할을 하는 물건인데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문고리는 문에 달린 손잡이다.

현관문은 가정집 기준으로 한국에서는 문이 천장까지 닿도록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서구권은 어떻게 해서든 문 위에 채광이나 환기창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남기는 경우가 많은데, 기후 차이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겨울철 평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냉대 기후 지역이기 때문에 문에 환기창을 남길 경우 냉기를 막기가 어렵다. 서양권은 북유럽권이나 북미 동북부가 아니라면 겨울이 춥지 않아 별도의 여유공간을 만들 수 있다. 서양권도 추운 지방이면 실내의 온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의 문이 보편적이다.

4. 재질

문은 나무, 금속, 합성수지,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현대의 가정집은 대개 현관문은 , 방문은 합성수지로 만든다.

나무로 문을 만들면 습도가 조금만 높아져도 썩어서 뭉개지므로 방습처리를 잘 해야 한다. 원목, 집성목은 방수 페인트칠, 합판 PVC시트로 코팅처리를 하는데, 그래도 완벽한 건 아니기에 욕실 및 화장실 문으로는 추천되지 않는다.

찜질방 시설이 있는 사우나에선 손잡이를 포함한 문 전체를 나무로 만든다. 나무 재질로 된 문은 열 전도율이 낮고 단열 효과도 좋아서 찜질방 출입문으로 쓰기에 좋기 때문이다. 가운데에서 위쪽에 유리창을 만들어 놓아서 안팎을 볼 수 있게 해 놓은 것도 많다.

5. 문세트

한국 표준인 KS F 3109 에 의하면 문짝과 문틀, 그리고 이를 연결하고 작동하게 하는 철물로 구성된 완제품을 문세트라고 지칭한다. #

이처럼 구성한 이유는 문짝의 성능에 문틀도 큰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적합한 자재, 잘못된 시공으로 인해, 사용장애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보통, 생긴 것은 단순한데 비해서 생각보다 매우 비싸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위와 같이 기술이 없는 사람이 문세트 시공을 할 경우, 문짝이 닫히지 않는다거나, 완전히 열리지 않고, 쉽게 부서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문세트에 반드시 필요한 철물은, 여닫이의 경우 도어락 경첩이며, 미닫이의 경우 문틀에 레일을 다는가 마는가에 따라, 호차와 미닫이 손잡이가 필요하다. 부수적으로 도어스토퍼나 도어클로저 등을 다는 경우가 있다.

문세트는 재질에 따라 목재문 - 합성수지문 - 철제를 비롯한 금속제문 등이 있으며, 기능에 따라 방화·염 & 방풍 & 방음 등의 특수 등급시험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문은 현재의 아파트 시공의 원가절감에 큰 공을 세우고 있는 제품인데, 너무 저가의 제품을 사용하면 쉽게 부서진다.

합성수지문의 주요 자재는 표면상의 PVC패널[3]과 시트지, 문짝의 모양을 보정해주는 목재와 PVC 심재, 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골판지[4]로 구성되는데, 겉 PVC 패널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직사광선 혹은 고온의 습기에 너무 많이 노출되면 쉽게 쪼개지거나 손상된다. 하지만 단가가 싼 편이고, 시트지를 통해 원하는 컬러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 또한 대량 생산에 무척이나 용이하므로, 2000년대 이후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시설의 실내 문세트는 대부분 합성수지문으로 시공되어 있다.

목재문은 제조과정의 번거로움으로 공급이 많이 줄었으나, 아직까지 실내의 출입문에 많이 사용되고, 중문[5]이라는 트렌드가 유행하면서 유리, 장식 등을 달고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원목은 무척이나 비싸므로, MDF나 LVB와 같은 합판, 집성목 등이 주로 사용된다.

알루미늄 또한 무게와 두께 대비 강도가 뛰어나므로, 실내 문세트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철은 내화성과 차연성을 보강하여, 외부 출입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간혹 통유리로 된 회전문이나, 출입문이 있는데, 이들을 고정하는 틀은 보통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단가가 높은 금속을 사용한다. 이런 통유리문의 경우 문이 투명해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막기 위한 장치(식별 테이프 등)를 하고 있다. 새의 유리 충돌을 방지하는 식별 스티커

위기탈출 넘버원 25회(2006년 1월 14일 방송분)에서는 공동출입문 유리 깨짐사고를 방영하였다. 지금은 대부분 강화 유리를 써서 덜한 편이지만 과거에는 (특히 아파트에서) 판유리를 많이 사용하여 7세 정도의 어린이가 세게 밀어도 유리문이 깨져 파편에 베여 다치는 사례도 많았다. 또한 43회(2006년 5월 27일 방송분)에서는 유리문 충돌사고를 다뤘는데, 유리문이 닫혀 있는 것을 못 보고 급하게 건물 안으로 들어가려다 강하게 충돌해서 사망한 사례를 보여주었다.

6. 각 사례별 문

6.1. 교통수단에서의 문

6.1.1. 버스의 문

버스에 다는 문에 대해서는 버스/출입문 문서를 참고.

6.1.2. 철도차량의 문

철도차량에 다는 문에 대해서는 철도차량/출입문 문서를 참고.

6.1.3. 여객기의 문

여객기의 구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콕핏
동체
윙렛 날개 날개 윙렛
스포일러 스포일러
에일러론 플랩 플랩 에일러론
수평미익 수직미익 수평미익
승강타 방향타 승강타
날개 수평미익 수직미익
엔진( 터보제트엔진 · 터보팬엔진 · 제트 엔진 · 터보프롭엔진) · 랜딩 기어 · 비상구 비상탈출 슬라이드 }}}}}}}}}

여객기의 문은 다른 교통수단과는 다르게 승무원이 직접 열고 닫는 수동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객기가 순항하는 성층권은 지표면 환경에 비해 기압과 산소량, 기온 등에서 굉장한 차이가 난다. 비행기 창틈으로 빨려나간 승무원와 유사하게 비행 중 문을 열어 끔살당한 사람들에 대한 도시전설도 있지만 순항 고도에서 비행 중인 여객기의 문을 여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객기의 문은 여러개의 안전 장치로 고정되어 있고 여객기의 운항 속도에서는 공기의 흐름 때문에 밖으로 문을 밀지도 못한다. 무엇보다 여객기의 문은 밖으로 열리기 전 먼저 안으로 조금 열리는데, 순항 고도에서는 압력차로 문이 안으로 열릴 수가 없다.[6]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78462703_11bffd773f.jpg
보잉식

파일:에어버스 도어.jpg
에어버스식

위에 나왔듯 먼저 안으로 약간 열렸다가 밖으로 열린다는 점은 같지만, 보잉 에어버스 여객기는 문을 여는 방식도 다르다. 보잉은 문이 축을 기준으로 돌아가다가 뒤집혀서 열리고 에어버스는 단순히 평행하게 열린다. 다만 보잉 767, DC-10, MD-11, L-1011의 경우 문이 객실 안 위쪽으로 자동으로 열리는 특이한 방식을 취하고 있고 보잉 777, 보잉 787 에어버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열린다.


지상으로부터 문이 높이 달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고시 용이한 탈출을 위해 많은 여객기의 문에는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구비되어 있다. 평상시 주기되어 있을때는 Normal - 정상으로 해놓아 문을 열어도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터지지 않게 한다. 반대로 운항중에는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즉시 펼쳐지도록 Armed - 팽창으로 위치해 놓아야 하고 이 경우 문을 열면[7] 자동으로 슬라이드가 펼쳐지며, 대부분의 항공기의 경우 분리해서 구명정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다만 밖에서 열어주는 경우는 Armed - 팽창으로 되어 있더라도 자동으로 Normal - 정상모드로 변경되며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터지지 않는데 밖에서 문을 연 다는 얘기는 정상적으로 주기장에 도착했거나 이게 아니더라도 안전하게 탈출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상황이기 때문[8], 또 모든 여객기는 승객이 90초 이내에 탈출할 수 있어야 비행 허가를 받을 수 있다.[9] 다만 항공기의 문이 지상으로부터 6피트 (1.8m) 이하에 있는 경우는 규정 예외로 인정되어 슬라이드를 구비하지 않는다.
6.1.3.1. 여객기의 비상구 도어 레버를 변경하는 방법
도어 레버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항공기 출발 시:

1. 우선 항공기가 출발을 위해 모든 문을 닫으면 "Cabin Crew, change door slides to Armed position. Safety Check. (객실 승무원들, 객실 도어 위치를 팽창으로 변경하세요. 안전 점검.)"라고 안내방송을 한다.
2. 이때 승무원이 각 비상구에 대기했다가 (항공기 정면 기준 왼쪽 비상구부터) 모든 왼쪽에 있는 비상구를 정상에서 팽창으로 도어 레버를 변경한다.
3. 이후 "Cross Check. (반대편 점검)" 이라고 방송하면 승무원은 반대편 (오른쪽) 비상구로 이동해 모든 비상구를 정상에서 팽창으로 도어 레버를 변경한다.
4. 모든 비상구가 팽창으로 변경 되었음을 알리는 방송 (국적사 한정), "Number 1 (Armed) Clear. (1번 비상구 팽창 위치로 변경 완료)"라고 각 위치에 있는 승무원이 방송을 한다. [10]

항공기 도착 시:

1. 비상구를 열기 전에 승무원이 "Cabin Crew, change door slides to Normal position. Safety Check. (객실 승무원들, 객실 도어 위치를 정상으로 변경하세요. 안전 점검.)"라고 안내방송을 한다.
2. 이때 승무원이 각 비상구에 대기했다가 (항공기 정면 기준 왼쪽 비상구부터) 모든 왼쪽에 있는 비상구를 팽창에서 정상으로 도어 레버를 변경한다.
3. 이후 "Cross Check. (반대편 점검)" 이라고 방송하면 승무원은 반대편 (오른쪽) 비상구로 이동해 모든 비상구를 팽창에서 정상으로 도어 레버를 변경한다.
4. 모든 비상구가 정상으로 변경 되었음을 알리는 방송 (국적사 한정), "Number 1 (Disarmed) Clear. (1번 비상구 정상 위치로 변경 완료)" 라고 각 위치에 있는 승무원이 방송을 한다.[11] 그 후에 비상구를 열어 승객들을 하기시킨다.

화물기의 경우, 조종사들이 직접 도어 레버를 변경한다.

6.2. 스포츠

축구 하키 등에 쓰이는 문을 줄여서 문이라고도 한다.

6.3. 레벨 디자인에서의 문

개념은 현실의 문과 거의 같다. 몇 가지 다른 점을 꼽자면, 그저 장식용으로 넣었거나 개발자 귀차니즘으로 모든 문이 열리는 건 아니다. 아래는 게임에서 등장하는 문들의 종류들.

6.3.1. 열리는 문

일반적인 문의 형태. 다만 문과 그 내부까지 하려면 일정이나 최적화 크리 때문에 대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장식용으로 때우고 열리는 문 수를 줄인다.

6.3.2. 장식용 문

한마디로 장식용으로 추가한 문. 그 성격에 맞게 대부분 잠겨있으며, 무슨 짓을 해도 열리지 않는다. 게다가 이러한 문을 진짜 진입이 가능한 문과 비슷한 외향으로 섞어 여기저기 배치해 놓을수록 그만큼 뺑이도 더 치게 되므로 이런 연유로 몇몇 게임에선 비현실적이다 싶을 정도로 문이 적거나[12] 자물쇠 등을 달아[13] 진입할 수 없음을 표시해 놓기도 한다. 아포칼립스 풍의 세계관이라면 판자로 막아놓는다.

게다가 재질이나 상태가 어떻든 Power Overwhelming라도 쳤는지 별의 별 무기를 다 쏟아부어도 흠집은 나되, 좀체 부서지질 않는다. 이러한 연유 때문인지 PC GAMER에서도 이러한 문들을 '최악의 게임 디자인 13'에 포함시켰다.

6.3.3. 이벤트(트리거)에 의해 열리는 문

위 '장식용 문'에서 상술했듯, 플레이어가 여닫을 수 없고 오직 이벤트로만 열린다. 여담으로 일부 게임사에선 이를 '브리치'로 칭한다.

6.3.4. 이미 열린 문

이미 열려 내부가 드러난 상태이니 만큼 잠기지 않았을까? 하는 불안감이나 의구심을 단박에 녹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월드 앳 워 경우처럼 보이지 않는 벽 때문에 볼 수는 있되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면 상당히 짜증난다.

6.3.5. 로딩, 체인지 레벨을 위한 문

이중문 문서 참고.

7. 기타

영화나 만화에선 왠지 발로 차서 여는 경우가 많은데, 문짝의 재질이나 잠금장치의 종류에 따라 강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망가질 수 있으니 따라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이를 이용한 당기시오 유머도 많이 보인다. 아무리 걷어차고 힘으로 밀어도 안 열리는 문에 막혀 못 들어가는데 알고 보니 당겨야 열리는 문이었던 것. 반대로 당겨서 안 열렸는데 미니까 열리기도 한다.

'문'이라는 글자를 거꾸로 하면 ''이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말장난도 꽤 많이 보인다.

7.1. 방문이 잠겼을 때

방문이 잠겼을 때는 2리터짜리 페트병의 한쪽 면을 가로 5센티미터, 세로 12센티미터 크기로 잘라 문틈 사이(문고리보다 위쪽)로 밀어넣고 문고리를 당기면서 문고리 쪽으로 천천히 내리면 페트병 조각이 문고리 부분에 걸린다. 아래쪽으로 힘을 주며 앞뒤로 왔다갔다 하다 보면 조각이 문고리를 밀어서 문이 열린다. 하지만 이 방법이 쉬운 것은 아니며, 문고리의 구조에 따라 이 방법으로 열리지 않을 수도 있다. 문이 열리지 않거나 안에 사람이 갇힌 경우 열쇠수리공을 불러야 한다.

이 방법은 방문을 열 때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문(현관문 등)은 방문과 구조가 다르므로 이 방법으로 열리지 않는다.

버튼식 레버형 문고리라면 매우 쉽다. 볼펜을 분리해서 볼펜심만 챙겨서 작은 구멍에다가 꼬라박으면 바로 잠금이 해제된다.


[1] 문(門)의 옛말 [2] 그 외에 라는 한자도 사용된다. '사립문 비' 라는 한자로 한자검정시험 읽기 1급에 배정되어 있다. [3] ABS를 주로 사용한다. [4] 보통 하니콤이라 부른다. # [5] 현관문에서 나오는 냉기를 막아주고자 통로에 시공하는 문 [6] 다만 착륙 직전의 낮은 고도에서는 압력의 차이가 줄어들어 문이 열릴 수 있다. [7] 때문에 택싱이나 주기 중 승객이 문을 열어 슬라이드가 펼쳐지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한다. [8]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지상조업사 또는 지상직 항공사 직원이 문을 열어준다. [9] "90초 룰(90 Seconds Rule)"이라고 부르며. A380은 이 규정을 지키려고 비상 슬라이드만 양쪽 합쳐 12개가 넘어간다. [10] 비상구 개수에 따라 번호가 5까지 불리며, 어퍼댁이 있는 항공기의 경우 "Upper 1 Clear, Upper 2 Clear...." 이런 식으로 나간다. 간혹 아시아나 또는 대한항공의 경우 기내방송으로 알리지 않고, 인터폰으로 따로 연락하는 경우도 있다. [11] 비상구 개수에 따라 번호가 5까지 불리며, 어퍼댁이 있는 항공기의 경우 "Upper 1 Clear, Upper 2 Clear...." 이런 식으로 나간다. 간혹 아시아나 또는 대한항공의 경우 기내방송으로 알리지 않고, 인터폰으로 따로 연락하는 경우도 있다. [12] 하프라이프의 '이상물질' 챕터가 대표적으로, 다른 데로 빠지는 문이 거의 없다시피 하며, 이는 차후 되돌아오기와도 연동된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 [13] 하프라이프 2 콤바인 자물쇠(?)가 대표적으로, 이것이 옆에 달려있는 문들은 NPC들이 열어주거나 폭파시키지 않는 한 대부분이 잠긴 상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