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7:35:09

노무라 유스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감독 25 아라이 타카히로
1군 77 후지이 아키히토(1군 수석코치) · 83 아사야마 토요(타격코치) · 89 코쿠보 테츠야(타격코치)
80 아카마츠 마사토(외야수비·주루코치) · 90 미요시 타쿠미(내야수비·주루코치)
74 나가카와 카츠히로(투수코치) · 86 키쿠치하라 츠요시(투수코치) · 81 이시하라 요시유키(배터리코치)
2군 71 코 신지(2군감독) · 85 후쿠치 카즈키(수석 겸 타격·주루코치) · 84 아라이 료타(타격코치)
72 히가시데 아키히로(내야수비·주루코치) · 75 히로세 쥰(외야수비·주루코치)
82 요코야마 류지(투수코치) · 87 타카하시 켄(투수코치) · 76 쿠라요시 카즈(배터리코치)
3군 78 우네 타츠미(총괄 겸 기숙사장) · 91 무카에 유이치로(야수종합코치 겸 전력분석담당)
73 코바야시 칸에이(투수육성강화코치) · 92 노무라 유스케(투수코치 겸 전력분석담당)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노무라 유스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사노 마키오 (1)
(佐野真樹夫)
스야마 세이지
(須山成二)
니시모토 아키카즈
(西本明和)
이노우에 히로아키
(井上弘昭)
야마모토 코지
(山本浩二)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치바 츠요시
(千葉剛)
사에키 카즈시
(佐伯和司)
미치하라 히로유키
(道原裕幸)
이케가야 코지로
(池谷公二郎)
키노시타 토미오
(木下富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도조노 키요시
(堂園喜義)
키타벳푸 마나부
(北別府学)
야마사키 류조
(山崎隆造)
타나바 시게후미
(田辺繁文)
키다 이사무 (6)
(木田勇)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카타오카 미츠히로
(片岡光宏)
카와구치 카즈히사 (1)
(川口和久)
츠다 츠네미
(津田恒実)
니시다 신지 (1)
(西田真二)
카와바타 쥰 (2)
(川端順)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스기모토 마사시 (1)
(杉本正志)
나가도미 히로시
(長冨浩志)
쿠리타 사토시 (1)
(栗田聡)
카와시마 켄 (2)
(川島堅)
노무라 켄지로
(野村謙二郎)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사사오카 신지
(佐々岡真司)
세토 테루노부 (1)
(瀬戸輝信)
마치다 코지로 (1)
(町田公二郎)
사토 타케시 (1)
(佐藤剛)
야마네 마사히토
(山根雅仁)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야마우치 야스유키 (3)
(山内泰幸)
하세가와 마사유키
(長谷川昌幸)
사와자키 토시카즈 (3)
(澤﨑俊和)
엔도 류지 (3)
(遠藤竜志)
히가시데 아키히로
(東出輝裕)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카와우치 타카야 (2)
(河内貴哉)
요코마츠 토시카즈
(横松寿一)
오타케 칸
(大竹寛)
나가카와 카츠히로 (3)
(永川勝浩)
시라하마 유타
(白濱裕太)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사토 츠요시
(佐藤剛士)
스즈키 마사미츠 (1) (4)
(鈴木将光)
마에다 켄타 (4)
(前田健太)
아베 토모히로 (1) (4)
(安部友裕)
이와모토 타카히로
(岩本貴裕)
- 미야자키 미치토 (3) (5)
(宮﨑充登)
시노다 쥰페이 (1) (5)
(篠田純平)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이마무라 타케루
(今村猛)
후쿠이 유야 (1)
(福井優也)
노무라 유스케
(野村祐輔)
타카하시 히로키 (1)
(髙橋大樹)
오세라 다이치 (2)
(大瀬良大地)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마 타카요시 (1)
(野間峻祥)
오카다 아키타케
(岡田明丈)
카토 타쿠야 (1)
(加藤拓也)
나카무라 쇼세이 (2)
(中村奨成)
코조노 카이토 (2)
(小園海斗)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모리시타 마사토
(森下暢仁)
쿠리바야시 료지
(栗林良吏)
쿠로하라 타쿠미 (1)
(黒原拓未)
사이토 유타
(斉藤優汰)
츠네히로 하야토 (2)
(常廣羽也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1958 1959~1960
나이토 고조 스기우라 류타로 오타가키 요시오 하세가와 료헤이 비젠 요시오
<rowcolor=#ffffff> 1961 1962~1963 1964 1965 1966
카와무라 히데후미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아니야 소하치 오이시 야타로 아니야 소하치 소토코바 요시로 오이시 야타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1977 1978
시라이시 시즈오 소토코바 요시로 사에키 카즈시 소토코바 요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rowcolor=#ffffff> 1979 1980~1981 1982~1984 1985 1986~1989
후쿠시 아키오 이케가야 코지로 키타벳푸 마나부 오노 유타카 키타벳푸 마나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오노 유타카 나가도미 히로시 카와구치 카즈히사 키타벳푸 마나부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오노 유타카 야마우치 야스유키 오노 유타카 네이선 민치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2003~2007 2008 2009 2010~2012 2013
구로다 히로키 오타케 칸 콜비 루이스 마에다 겐타 브라이언 벌링턴
<rowcolor=#ffffff> 2014~2015 2016~2017 2018 2019~2023 2024
마에다 겐타 크리스 존슨 노무라 유스케 오세라 다이치 쿠리 아렌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2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최우수신인
사와무라 히로카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노무라 유스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가와 야스히로
( 야쿠르트 스왈로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6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최다 승리
마에다 켄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노무라 유스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가노 토모유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6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최고 승률
마일스 마이콜라스
( 요미우리 자이언츠)
노무라 유스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야부타 카즈키
( 히로시마 도요 카프)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19번}}}
우에노 히로후미
(2007-2011)
노무라 유스케
(2012~2024)
토코다 히로키
(2025~)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92번}}}
모리카사 시게루
(2011-2022)
노무라 유스케
(2025~)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보유 기록
헤이세이 출생 첫 최우수신인 수상자
데뷔 연속 선발 등판 경기 (211경기)

}}} ||
파일:노무라.webp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92
노무라 유스케
野村祐輔 | Yusuke Nomura
생년월일 1989년 6월 24일 ([age(1989-06-24)]세)
국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출신지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
신체 177cm / 86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1년 신인선수 선택회의 1위 ( 広島)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2~2024)
지도자 히로시마 도요 카프 3군 투수 코치 및 전력분석원 (2025~)
등장곡 皮膚呼吸[1] - Mr.Children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커리어
2.1. 아마추어 시절2.2. 히로시마 도요 카프
3. 지도자 경력4. 투구 스타일5. 기타6. 연도별 성적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야구 선수. 前 히로시마 도요 카프 소속의 투수이다.

2. 커리어

2.1. 아마추어 시절

오카야마 현 출신으로 초등학교 1학년때부터 야구를 시작했으며 초6때 우승을 하는등 초등학생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것을 바탕으로 중학교때에도 오카야마 현의 중학교에서 야구를 했고 고등학교도 오카야마 현의 고등학교로 진학이 예정되었으나 고료 고등학교의 연습을 보고 난 뒤 마음이 바뀌어 고료고 진학을 택했다. 입학 후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고3 시즌이였던 2007년 여름 고시엔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줘 결승 진출을 시켰으며 결승전의 상대도 전력 상으로 안 좋았던 팀이라 우승은 기정사실화가 되는 듯 했는데...

파일:external/www.asahi.com/OSK200708220068.jpg
[2]

결승전에서 8회말에 역전 만루홈런을 맞으면서 팀은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상대팀이였던 사가키타 고교는 그냥 일반적인 공립고교였으며[3] 결승전까지 온 것만 해도 진짜 기적이라는 소리를 듣던 고등학교였다.[4] 그런 고등학교를 상대로 패전 심지어 역전 만루홈런을 맞았다. 당시 노무라의 소속 고등학교였던 고료 고교도 많은 명문팀을 물리치면서 올라왔으나 모든 포커스는 후에 고시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우승팀으로 평받은 사가키타 고교로 옮겨갔다.[5] 여담으로 노무라 본인은 경기가 끝난 뒤엔 바로 울지 않았으나 경기가 끝나고 숙소로 가던중에 통곡했다고...

그래도 절치부심했는지 도쿄 6대학 소속의 메이지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1학년 시즌에는 시즌 방어율 제로를 기록하거나 3학년 시즌에는 방어율왕을 기록하는등 뛰어난 모습을 보여줬고 4학년 시즌에는 3경기 연속 완봉을 기록하면서 소속대학인 메이지 대학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사이토 유키 이후 리그 통산 7번째로 30승과 300탈삼진을 동시에 달성하였다. 이 시절에는 대졸 빅 3으로 꼽혔고, 그 모습을 바탕으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2011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했다.[6]

2.2. 히로시마 도요 카프

계약금 1억 엔, 연봉 1,500만 엔으로 히로시마와 계약을 했다. 등번호는 19번. 그리고 데뷔시즌인 2012년에 전반기에만 7승 3패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모습을 보여줬고 이 호성적을 바탕으로 감독 추천으로 센트럴리그 올스타에도 선발되었다. 1997년의 사와자키 토시카즈 이후 데뷔시즌에 두 자릿수 승수를 달성하는 히로시마 신인이 등장하나 했지만, 아쉽게 10승은 달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9승 11패 ERA 1.98(!!)[7]이라는 뛰어난 기록을 바탕으로 2012년 센트럴리그 신인왕을 차지했다. 참고로 센트럴리그 신인 투수가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건 1966년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후 처음이었으며, 옆 리그에서 신인왕을 차지한 또다른 대졸 신인인 치바 롯데 마린즈 마스다 나오야와 함께 헤이세이 태생으로는 첫 신인왕 수상자라는 기록도 공동으로 갖게 되었다.

2013년에는 시즌 초반에 부상으로 시즌을 날려먹기도 했으나 데뷔 첫 완투승도 하는등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공인구의 영향인지 방어율은 3점대로 늘어났다. 그러나 히로시마가 오랜만에 플레이오프를 가서 그런지 몰라도 12승 6패를 기록 데뷔 첫 10승을 기록했다. 그리고 시즌 후에는 콘노 아사미와의 열애설까지 떴다. 그러나 2014년에는 부진한 모습을 기록하고 있는중 시즌 중반에는 부상이 아닌 이유로 2군에 강등이 되기도 했다.

2016년 드디어 기량이 만개하여 7월 4일부로 양대 리그 최초로 10승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7월 12일 요미우리와의 홈경기에서 시즌 11승째를 거두며 리그 다승 선두를 달리고 있다. 올스타전 이전 11승은 2010년 시즌에 마에다 켄타(현 다저스)가 기록한 뒤 처음이며, 7게임에서 7연승은 1986년의 키타벳푸 마나부 이후 30년 만이다. 시즌 최종 성적은 25경기 16승 3패 평균자책점 2.71로 센트럴리그 다승왕에 오르며 데뷔 이후 첫 타이틀 홀더가 되었고,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에도 선정되었다.

2017년에는 2월 8일에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에서 대회 도중 교체가 가능한 지명 투수 명단에 들어갔다.[8] 4월 4일 주니치 드래곤즈 원정에서 선발 등판하여 시즌 첫 승리를 거두고 통산 50승을 달성했다. 110경기 만에 50승 달성은 마에다 겐타의 122경기 50승을 넘어서는 히로시마 구단 역사상 최단 경기 50승 달성이다.[9]. 시즌 최종 성적은 155.1이닝 ERA 2.78(센트럴리그 4위)을 기록하여 팀의 37년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그런데 9승 5패 다만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2차전과 5차전에 선발로 등판해 각각 5이닝 4실점, 3이닝 3실점으로 두 경기에서 모두 패전 투수가 되는 등 부진하여, 팀의 일본 시리즈 진출 실패의 원흉이 되었다.

하지만, 부상과 수술로 전성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2018년부터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2022년에는 코로나와 부상으로 로테이션이 터지는 바람에 땜빵으로 들어갔다.

2023년 6월 29일, 요코하마전에 6이닝 3피안타 무4사구 무실점 호투로 화려하게 귀환하였으나, 7회에 닉 털리가 방화를 저지르고 동점을 허용하는 바람에 시즌 첫 승리는 아쉽게 날아가고 말았다. 하지만 7월 6일 한신전에서도 6이닝 무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리를 수확했다. 7월 16일 또다시 요코하마전에서도 5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3경기 17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채 승리 요건을 충족시켰으나...또 털리가 7회에 블론 세이브를 저지르면서 데자뷔를 찍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6경기 31이닝 1승 1패 ERA 1.16, RA 2.61, FIP 2.96, WAR 0.9를 기록했다. 피칭 스타일에 변화를 줘 성적 자체는 나쁘지 않았지만 6경기 출장에 그치면서 연봉은 1,050만엔 감봉되었다. 모리시타 마사토- 토코다 히로키- 쿠리 아렌의 트리오에 츠네히로 하야토와 같은 즉전력 신인의 가세와 엔도 아츠시, 타마무라 쇼고, 모리 쇼헤이 등 젊은 투수와 용병까지 있어 경쟁은 더이상 힘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4년 9월 27일, 만35세의 나이로 13년간의 프로 생활을 마치고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

3. 지도자 경력

11월 19일, 3군 투수 코치 겸 분석원으로 영전하면서 지도자 생활의 막을 열었다. #

4. 투구 스타일

쓰리쿼터의 폼에서 나오는 평균 136km/h, 최고 147km/h의 패스트볼과 커터에 가까운 고속 슬라이더가 주특기인 투수다. 하지만, 수술과 부상 이후에는 패스트볼 구속이 140km/h 도 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133~139km/h 사이의 투심 패스트볼과 커터와 같은 무빙 패스트볼과 그보다도 더 느린 오프스피드 피치인 체인지업과 낙차 큰 슬로 커브 등의 느린 변화구로 타이밍을 빼앗는다.

5. 기타

6.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WAR
2012 広島 27 172⅔ 9 11 0 0 .450 1.98 143 6 52 103 1.13 2.4
2013 23 149⅓ 12 6 0 0 .667 3.74 142 13 37 103 1.20 2.4
2014 19 104⅔ 7 8 0 0 .467 4.39 114 10 37 75 1.44 1.9
2015 15 87⅓ 5 8 0 0 .385 4.64 110 11 23 51 1.52 0.7
2016 25 152⅔ 16 3 0 0 .842 2.71 139 11 37 91 1.15 4.0
2017 25 155⅓ 9 5 0 0 .643 2.78 152 12 38 106 1.22 3.9
2018 20 119⅓ 7 6 0 0 .538 4.22 136 10 30 60 1.39 2.7
2019 18 95⅓ 6 5 0 0 .545 4.06 96 6 34 65 1.36 2.7
2020 13 70⅔ 6 3 0 0 .667 4.58 81 9 22 35 1.46 0.7
2021 8 35⅔ 0 4 0 0 .000 6.31 48 6 17 29 1.82 0.2
2022 9 41⅓ 2 3 0 0 .400 5.23 55 4 14 18 1.67 0.6
2023 6 31 1 1 0 0 .500 1.16 30 1 4 14 1.10 0.9
NPB 통산
(12시즌)
208 1215⅓ 80 63 0 0 .559 3.54 1246 99 345 750 1.31 23.1


[1] 정규앨범 19집 "重力と呼吸" 수록곡. [2] 8회말 역전만루홈런을 맞기 직전의 사진이다. 여담으로 사진에 찍혀있는 포수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코바야시 세이지. [3] 사가키타의 기적 문서에서도 보듯이 일본프로야구 진출을 목표로 엘리트 야구를 추구하는 학교가 아니라 말 그대로 동호인 야구 수준이였다. 1회전 통과만 해도 감지덕지였다고 팀원들이 말할정도였다. [4] 사가키타의 기적 항목에도 언급되었지만 당시 사가키타 고교 주장이 고시엔에서 1승만 해도 위대한 업적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5] 실제로 당시에도 국내에 여러번 소개가 되었기도 했다. [6] 닛폰햄과 거인은 또다른 대졸 빅 3 중 하나인 스가노 도모유키를 동시에 1순위로 지명했으나 닛폰햄이 당첨제비를 잡자 스가노를 드래프트 재수를 택하고 결국 거인의 유니폼을 입었다. 소프트뱅크는 다케다 쇼타를, 오릭스는 아다치 료이치를 각각 1순위로 지명했다. 요코하마, 롯데, 라쿠텐은 마지막 대졸 빅 3인 후지오카 타카히로를 지명했고 롯데가 추첨에서 이겨서 후지오카를 데려갔다. 이후 라쿠텐은 무토 요시타카를, 요코하마는 키타가타 유죠를 지명.그리고 키타카타는 폭망했고, 무토는 망했고, 후지오카는 아주 망한 것은 아니지만 기대치랑 비교하면 망한 편이었다 [7] 물론 2012년 시즌 당시의 공인구 상황을 고려해야한다. [8] https://www.nikkei.com/article/DGXLSSXK40188_Z00C17A2000000/ [9] https://www.sponichi.co.jp/baseball/news/2017/04/05/kiji/20170405s00001173105000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