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2:30:42

선진운수

개집운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선진운수 사명을 사용한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승진여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과거 선진운수 사명을 사용한 김포시 마을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대진교통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선진여객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김포시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선진버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은평구 CI.svg 서울특별시 은평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a] 유성운수[a] 제일교통
마을버스 갈현운수 선진운수
영운운수 영운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성교통 선진여객
[a] 주 사무소만 은평구에 소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파일:고양시 CI.svg 경기도 고양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관내 시내 고양교통 대덕운수 명성
백마운수 서울여객 선진버스
관외 시내 경기고속 동해운수 대원고속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CL 신촌교통
마을 고양도시관리공사 관산운수 대림교통
대화교통 동일운수 명보교통
보람운수 보은교통 성우교통
신일산교통 신일산운수 여산교통
자안운수 주원교통 하나교통
한진교통 화정교통 홍성(주)
CL : 현금 승차 제한 업체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주식회사 선진운수
株式會社 先進運輸
Sunjin Woonsu Co., Ltd.
파일:logo-1.gif
설립일 1971년 4월 30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김정환
모회사 그리니치ESG1호
주요 주주 그리니치ESG1호: 1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825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6억 5,904만 5,000원(2023년 기준)
매출액 790억 734만 5,995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38억 517만 4,931원(2023년 기준)
순이익 46억 2,447만 8,022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307억 5,626만 3,987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114억 1,927만 8,670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59.05%(2023년 기준)
사훈 책임완수, 친절봉사, 기강확립, 안전운행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 207 ( 구산동)
수색영업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24길 19 (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
용두동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540-42 ( 용두동)
일산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174 ( 가좌동)
전화번호 본사: 02-355-5855
분실물콜센터: 02-388-7192
수색영업소: 02-309-9903
용두동영업소: 02-388-6685
일산영업소: 031-923-8921

1. 개요2. 특징3. 비판
3.1. 前 경영진의 부정부패 및 횡령 사건3.2. 차량 관련3.3. 소속 기사 처우
4. 옹호(?) 혹은 재평가
4.1. 일산권 광역버스의 최대 피해자4.2. 선행
5. 운행 노선
5.1. 구산동본사 소속5.2. 수색영업소 소속5.3. 용두영업소 소속5.4. 일산영업소 소속5.5. 없어진 노선
6. 면허 체계7. 보유차량8. 지배구조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 버스 742_4534.jpg 파일:IMG_10.jpg
간선버스
742번
광역버스
9707번

7권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로, 현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중 291대[1]로 인가대수가 가장 많은 운수 회사이다. 더불어 마을버스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2]

현 대표이사는 김정환 대표이다.[3] 본래 이 회사는 민씨 일가가 운영하던 회사로, 매각 이전 대표이사 회장은 민배홍 대표로, 2000년 9월부터 2022년 7월까지 22년간 회사를 이끌었다. 공동대표 이사 사장은 오창윤 대표가 역임하고 있었지만 2016년 6월경에 사임했고, 그 후 이만순 사장이 역임했지만 2020년 2월경에 사임했다.

2. 특징

원래는 신성교통의 자회사로 1971년 5월 1일, 신성교통의 역촌동 영업소를 분사시켜 설립됐으며, 사장이 바뀌면서부터 계열 분리된 업체다. 제일여객, 신수교통, 신촌교통, 서부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다모아자동차, 보광교통, 현대교통과 함께 서울특별시의 7권역을 거점으로 하는 회사다.[4] 또한 동성교통, 남성버스, 서울매일버스와 함께 광역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이기도 하다.

은평구 구산동의 본사 1사옥[5]과 길 건너편 갈현2동의 2사옥[6], 그 외에도 은평공영차고지의 수색영업소[7]와 본사보다 조금 더 서쪽에 있는 서오릉 근처 덕양구 용두동의 CNG충전소[8] 용두동영업소, 일산신도시 개발에 따라 1995년 일산에 진출해 설립한 일산영업소[9]를 두고 있다. 비공식적으로 동작구 상도동에도 영업소가 있었으나, 그 곳은 현재 753번의 회차 지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1985년 갈현1동에 갈현동 영업소를 설치했으나, 2017년에 매각 및 주상복합시설로 재개발됨에 따라 차량들이 구산동 본사 및 은평공영차고지와 의문의 주박지로 불리는 대덕동의 모 주차장에 8771번 4대와 742번, 752번, 7022번 예비차량과 7720번 당일 운휴 차량들을 주차해두고 있고 주말에는 주말 휴차분까지 더해서 차들이 무려 10대를 훌쩍 넘긴다.

버스 인가 대수로는 서울특별시 버스 회사들 중 가장 많은 291대를 보유하고 있는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대우자동차 버스를 선호[10]했지만 2004~2022년까지는 현대자동차의 버스만 출고했다. 자동변속기는 7권역의 상당수 회사들과 달리 신촌교통과 더불어 ZF를 선호한다.[11] 현재 KD 운송그룹 소속인 대원여객이나 대원교통의 인가 대수보다 더 많다. 원래 선진여객(구 범양여객), 선진교통(구 신한교통), 선진버스(구 인항여객) 등 방계 회사가 있었지만 선진교통은 북부운수에 매각하고[12], 선진여객은 선진운수와 합병하고, 선진버스는 현재의 선진그룹 경영진에게 매각해 지금에 이른다.

대진여객과 더불어 서울시 안에서 디젤 차량을 보유한 시내버스 회사이다. 이 둘은 마을버스까지 운영하는 업체인만큼 버스 운영에 있어 디젤 차량까지 보유가 가능하다.[13]

몬드리안 도색 시절에 다녔던 3단 박스 에어컨의 쇠창틀 하이파워[14] 뿐만 아니라, 쇠창틀 풀옵션 좌석버스[15][16]도 유명하다. 현재는 대다수가 러시아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됐다.

개편전 안내방송은 자체방송과 SK텔레콤의 GPS안내방송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당시 서울에서 유일한 SK텔레콤 GPS 안내방송 사용 업체였으며 145, 152, 159번에서 사용하였다. SK텔레콤 기기 음성은 TTS를 사용하여 음질과 발음이 좋지 않았다.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이후 선진운수는 주간선업체 중 한 곳인 다모아자동차에 출자했으며,[17] 동시에 2004년 개편 때 73번 보광교통(구 SM버스)으로 넘겼다.

본 회사 소속 차량별 차번호들 중에 신진운수 유성운수의 면허도 잘 보이는 편인데, 신진운수 면허의 경우 1984년에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이 신진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3번을 인수받으면서 동시에 넘어왔으며[18] 유성운수 면허의 경우 1984년 10월 6일 유성운수에서 도시형버스 136번을 인수받으면서 동시에 넘어왔다.

2006년 5월 명성운수가 파업했을 때 이 회사가 선진그룹 계열사로 오해하는 바람에, 회장이 해명하는 일이 벌어진 적이 있었다.[19]

대진여객, 범일운수와 더불어 시내버스 면허 외에 마을버스 면허도 있어서[20] 마을버스를 직접 운행하는 업체 중 하나이며 3색 도색 보유 업체 중 하나이기도 하다.

2022년 7월 그리니치PE 및 사모 펀드 운용사 컨소시엄[21]이 선진운수를 인수했다. 매각대금은 1,100억원이며 민배홍 회장의 지분을 전부 매입했으며 민씨 일가는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2022년 12월 1일부터 심야버스도 운행하며, 그 덕에 순환버스를 제외하고 서울 시내버스 회사 중 가장 다양한 방식의 노선을 운행하게 됐다.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없는 버스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되었고, 고양시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업체 중 최초로 현금승차가 폐지된 업체가 되었다. 단, 심야버스인 N73번은 제외이다.

2023년 9월, 전기버스를 처음으로 출고했는데 의외로 우진산전 아폴로 1100으로 나와서 버스 동호인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줬다. 왜냐하면 2003년 BS090 디젤 도입 이후로 한동안 현대버스만 도입했는데 20년만에 다른 브랜드, 그것도 전기버스가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차고지 문제로 은평공영차고지 소속 노선에만 집중적으로 투입했다.

2024년 3월 초에 일산영업소에도 전기충전소가 완공돼 하이거 하이퍼스1611P를 출고해 707번에 투입한다.

2024년 5월 중순 전국 최초로 하이거 하이퍼스HP를 출고해 9707번과 서울03번에 투입한다.

3. 비판

사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모로 안 좋은 점에 연루되면서 그다지 좋은 시선을 받지 못한다. 괜히 선진그룹 계열사로 오해[22]받는 게 아니다.

그러나, 2022년에 오너가 바뀌면서[23] 이러한 비판은 전부 과거 이야기가 됐으며 향후 이 오명들을 어떻게 씻을 수 있을 지는 주목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3.1. 前 경영진의 부정부패 및 횡령 사건

우선 당시 민배홍 회장을 비롯한 회사 간부에 의한 부정부패 사건이 몇 차례 있었다. 1996년에도 있었고( #[24]), 2002~2008년에는 사원들에게 못 먹일 물을 먹인 일도 터졌었다.

2011년에도 횡령 사건이 터졌는데, 사명이 ㅅ 모 운수에 대표이사 성씨가 민 씨인 회사는 서울에서 이 회사밖에 없다. 이 사건은 준공영제의 폐해(회사 운영진의 도덕적 해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는 알고 보니 당시 회장이 보조금으로 개집[25]을 짓고 담벼락을 고치는데 쓰고 또 개인차를 튜닝하다가 적발되었다.[26]

그리고 버스 적자 지원금, 한 해 성과금을 주고도, 그 지원금 및 한 해 성과금이 버스 기사들에게 혜택과 회사 복지 투자는 커녕 서울시민 혈세가 들어있는 돈을 받고 역대 거대한 연봉을 많이 받아 영 좋지 않은 눈총을 많이 받고 있다.

지금은 민배홍 회장이 손을 떼었기에 옛 이야기가 되었다.

3.2. 차량 관련

선진운수는 무한이기주의도 보여 주었다. 2013년에 대차가 임박한 차량들을 대차하는 과정에서 서울버스조합으로 온 저상버스 보조금을 아껴 쓰자는 암묵적인 룰이 있었는데, 여긴 남은 보조금을 몽땅 써 버리는 사태가 벌어졌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에서도 차량 관리 상태가 독보적으로 안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72-1번에서 BS105 위주로 굴리던 시절[27] 쓰던 요금통이 현역으로 있는 것은 기본이고[28], 돌출형 행선판은 뼈대만 남기고 날아가버린 게 대부분이며[29] 2012년식 이전 구형 차량의 경우 시트를 폐차된 차량에서 뜯어오기도 한다. 또한 일산영업소 소속 노선인 9701번, 9707번 차량의 경우 도색이 연해져 있는 데다가 엔진에서 굉음이 나기도 하며, 차량 외부에 붙이는 시정홍보 포스터는 2021년 재보궐선거 직후 제작된 서울런 시정홍보 포스터를 마지막으로 아예 붙이지 않고 운행하며, 다른 영업소들은 에어컨 공조기 쪽 시정홍보물을 민선 8기 시정슬로건인 '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이 붙어있는 시정홍보 포스터로 게재해놓은 반면 일산영업소 소속 차량들에는 2021년 재보궐선거 직후 제작한 서울런 시정홍보 포스터가 그대로 게재되어 있다.[30] 심지어 과거 9707에서 굴리던 현대뉴에어로시티(고상형)에는 경기도와 시·군의 지원으로 설치된 에어컨 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라는 문구가 붙어 있기도 했다.[31]

9707번의 경우 2011년식 차량을 계속 운행했었다가 2024년이 되어서야 좌석형 전기버스로 교체를 완료했다.

3.3. 소속 기사 처우

선진운수 홈페이지가 살아있을 시절에는 홈페이지 화면이 화목해 보였지만 기사 증언에 의하면 민 회장의 경영 방식과 기사 대우는 정말 최악이었다고 한다. 사내 분위기도 군대나 조직 수준으로 생각하면 되며, 가끔가다가 민 회장이 기사들의 군기를 빡세게 잡는다거나 약간의 가혹한 얼차려와 기합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 복지는 위처럼 지하수를 주고, 식사도 형편없었으며 구산동 본사 건물에서는 겨울에 온수 장치를 빼 버려서 온수도 안 틀었다고 했다.

한때 타사에 비해 둔해서 입사나이도 53세에 입사가 가능하며, 8년밖에 정규 기사로 근무하지 못했다. 그러나 기사부족에 시달렸는지 40대도 받도록 기준을 낮췄다.[32]

이러한 이유로 이 회사 소속 버스기사들의 친절도는 일부 기사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좋지 않았으며[33], 안전운전도 그렇게 잘 하는 편도 아니었다.

사실 창업주인 민경희 초대 회장 시절의 경우 기사의 처우는 상당히 좋았었으나, 아들인 민배홍 2대 회장으로 대표가 바뀌어서 처우가 떡락한 케이스라고 봐야한다. 마찬가지로 선대 대표와 후대 대표의 처우 수준이 극도로 다르다는 점은 동아운수와 범일운수도 비슷한 케이스.[34]

또한 광역을 제외한 간선, 지선 노선은 타사 노선에 비해 막차가 조금 이르며, 보통 회차지 막차가 23:40~23:50분 정도다.[35]

결국 2대 회장의 지나친 갑질 논란 및 직원 폭행으로 뉴스에 보도됐다. 2016년 6월 30일 보도.[36]

4. 옹호(?) 혹은 재평가

4.1. 일산권 광역버스의 최대 피해자

9707번을 교체할 때 또 다시 유니버스 포기하고 일반 시내 좌석형 차량인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로 교체시켜 디시인사이드 버스 갤러리에서는 어떤 유저가 예언을 해서 성지순례를 만들어 낸 글이 있었다. 또한 남은 광역버스 9701번 디젤 차량도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로 교체했다. 그것도 무리클로... 이는 사실 선진운수가 고급형 차량을 뽑으려는 시도라도 한다면 고양시와 고양시를 등에 업은 명성운수가 과연 가만히 있을까? 실제로 9707번 대차 당시에 고급차량( 현대 유니버스) 출고 시도가 있었으나 이를 알게 된 명성운수가 자사 830번과 1500번의 타격을 우려해 선진운수에 압력을 넣었다고 한다.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일산권 토착 업체인 명성운수와 옛 계열사였던 신성교통의 텃세 탓이다. 창업주 시절에 에어로 이코노미를 대차할때 고급차량인 에어로 스페이스를 투입하려고 했었으나 이를 알게 된 신성교통이 압력을 넣어서 취소하게 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일산에서는 도시형 좌석버스들이 천지였는데 선진운수 혼자서 고급형 차량을 출고했다가는 다른 일산권 서울 업체들에게 타격이 오는 것은 확실시되는 상황. 그나마 사모펀드 매각 후, 서울에서도 친절업체로 꼽히는 도원교통의 김정환 대표가 회사를 인수하면서 나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사실 일산 지역과 파주 지역이 도시형 좌석화가 이루어진 것은 동해운수가 시초로,[37] 동해운수가 당시 자금문제로 인해서 고급형 차량을 대차하고 천연가스버스 도시형 버스를 투입했었는데 신성교통과 신촌교통이 이를 따라가서 고급형 차량을 수출시키고 도시형 좌석으로 대차했었다. 그러나 선진운수는 이를 무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혼자만 에어로 스페이스 고급좌석형으로 대차하려고 하자 "치사하게 너네만 고급차량 뽑냐? 누군 뽑고 싶어서 뽑는줄 아냐?"[38] 하면서 압력을 넣어 취소하게 했다고 한다. 이 상황은 실제로 선진운수 창업주 시절의 운전기사들에 의해 저런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명성운수의 갑질이 얼마나 심하냐면 동해운수가 명성운수의 심한 방해 공작으로 인해 명성운수와 공동 배차하던 좌석버스 1000번을 서울 신성교통에 매각했었고, 신촌교통의 경우 공동 배차하던 921번 심야좌석은 지나친 물량공세를 극복하지 못한 채 공동 배차를 포기했을 정도다. 심지어 1008번 직행좌석의 경우 서울 신성교통, 신촌교통, 동해운수, 선진운수, 명성운수 등 공동 배차 업체만 총 5개가 되던 노선도 결국 명성만 남았다. 즉 "그" 신성교통이 1008번을 포기했었다는 것.[39]

4.2. 선행

남모르게 어려운 이웃에게 꾸준히 기부와 후원 활동을 해 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평소 저소득 가구 장학금 지급 및 보육원 후원, 세월호 유가족 돕기 성금, 불우이웃 돕기 성금 등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나눔을 실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

5. 운행 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

5.1. 구산동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42 구산동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오거리 - DMC래미안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연세대학교 - (← 이대부고 ←) - 신촌기차역 - 충정로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숭실대학교 - 이수역 - 서초역 교대역 7~15
752 구산역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 노들역 →) - 흑석역 - 동작역.국립현충원 - 이수역 - 숭실대학교 - 상도역 → 동작구청 → 노량진역 노들역 상도역 노량진[42] 6~14
753
[갈현영업소]
갈현동성당 - 연신내역 - 응암역 - 증산역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신촌로터리 - (→ 창전현대홈타운 →/← 서강대학교 ← 마포세무서 ←) - 광흥창역 - 여의나루역 - 여의도역 - 샛강역 - 서울지방병무청 - 장승배기역 - 숭실대입구역 숭실대학교 7~17
N73[심야] 구산동 구산역 - 새절역 - 성산시영아파트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충정로역 - 을지로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왕십리역 - 한양대역 - 건대입구역 - 잠실역 - 오금역 - 거여역 - 위례신도시 복정역 35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22 구산동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세종문화회관 → 서울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남대문시장 조계사 경복궁 서울역 7~11
7613
[갈현영업소]
갈현동성당 - 연신내역 - 구산역 - 역촌역 - 응암역 - DMC래미안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신촌로터리 - 공덕역 - 마포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역 → 한국거래소 → 여의나루역 마포역 여의도 12~14
7720 구산역 - 연신내역 - 은평경찰서 - 독바위역 - 불광역 - 산골고개 - 서대문구청 - 연희교차로 → 연세대학교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교차로 신촌 10
8771 구산중학교 서울기독교대입구 → 응암역 → 은평구청 녹번역 10~12
8774[갈현영업소] 구산동 구산역 - 연신내역 - 갈현동성당 - 구산동주민센터 - 시립서북병원.세현교회 - (→ 역촌역 → 응암시장 →/← 신사동고개←) - 응암오거리 - 명지대입구 서대문구청 17~25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은평01[운행중단] 석광사 그린마트 - 갈현1동주민센터 - 갈현중앙시장 연신내역 5~8
은평02 두산.한신아파트 서북병원 - 역촌초등학교 - 하나은행역촌동지점 → 동명여고후문 → 불광역 역촌역 → 하나은행역촌동지점 불광역 13~25
은평04 경향파크아파트 구산마트 - 구산역 → 동명여고후문 → 불광역 역촌역 구산역 불광역 20

5.2. 수색영업소 소속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24길 19(舊 수색동 414-1)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25 은평공영차고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2동주민센터 - 대림시장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경복궁 - 이화동 → 동대문 → 종로5가 → 이화동 동대문 9~15
7212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신사동고개 - 응암역 - 은평세무서 - 불광역 - 구기터널 - 이북5도청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 종로1~6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약수역 - 청구역 - 금호사거리 옥수동 8~13
7715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색역 - 신사동고개 - 구산역 연신내역 → 동명여고 → 동명탕 → 구산역 동명여고 8~13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서울04출근 도래울마을 도래울마을2.3단지 → 항공대학교 → 덕은지구 가양역 15(평일 4회)
서울04퇴근 가양역 덕은지구 → 항공대학교 → 도래울마을2.3단지 도래울마을 20(평일 3회)

5.3. 용두영업소 소속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540-42(舊 용두동 590-4)[48]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2A 용두동 용두사거리 - 서오릉 -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을지로입구역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을지로입구역 5~8
702B 용두사거리 - 용두초등학교 -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을지로입구역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을지로입구역 9~12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773
[공동배차]
구산동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본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은평구청 - 시립은평병원 - 백련산힐스테이트 - 명지대학교 - 홍남교 - 연희교차로 홍대입구역 평일 20~40

5.4. 일산영업소 소속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174(舊 가좌동 493-28)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7 일산가좌동 고양예고입구 - 덕이초등학교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화정역.덕양구청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역 - 용두사거리 - 서오릉 - 구산역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광화문 → 롯데백화점 → 남대문시장. 회현역 서울역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롯데백화점 7~23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9707 일산가좌동 고양예고입구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일산화훼단지 - 능곡시장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 - 강변북로 - 난지한강공원 - 강변북로 - 양화대교 - 당산역 - 영등포시장 영등포소방서 4~10
서울03출근 책향기마을 두일초등학교 → 초롱꽃마을 → 합정역 홍대입구역 20(평일 3회)
서울03퇴근 홍대입구역 합정역 → 초롱꽃마을 → 두일초등학교 책향기마을 20(평일 2회)

5.5. 없어진 노선

6. 면허 체계


상기 이외에도, 중고차 매입이나 노선의 양도/양수 등을 통하여 유입된 타 번대의 면허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하이거

7.1.3. 우진산전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버스

7.2.2. 현대자동차

7.2.3. 기아

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그리니치ESG1호
100.00% [56]

9. 둘러보기

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성여객· 도원교통· 선일교통· 선진운수 동남여객· 창성여객 대명교통 강인여객· 강인교통· 미래교통· 청라교통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대진운수 대전교통· 대전버스· 대전운수 한성교통 삼경운수· 성우운수1
강원 충북 충남 · 세종 전북
영암고속·화성고속 대성티앤이· 청주교통 온양교통· 삼안여객 전북고속·전북여객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호고속 경북고속· 진안고속· 대화교통· 일선교통· 포항버스· 포항마을버스 함양지리산고속 극동여객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겸임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군포시·의왕시 서울매일버스 군포교통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구리시 대원여객
남양주시 태릉교통
의정부시 대원여객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마을버스 9대를 추가하면 총 300대. [2] 마을버스는 은평01, 은평02, 은평04번을 운행한다. [3] 도원교통의 김종원 前 대표이사의 아들로, 현재 도원교통과 경성여객, 선일교통의 대표이사를 겸직으로 하고 있다. [4] 차이점은 선진운수와 제일여객, 신수교통은 7권역의 북부, 즉 서울의 북서부가 홈그라운드이다. 반면 원버스, 신촌교통, 서부운수, 유성운수, 보광운수, 다모아자동차, 현대교통은 거의 마포구에 가까운 한강 인근의 7권역의 남부, 즉 서울의 서북부가 홈그라운드이다. 즉 7권역 회사라고 해서 다 구역이 같은 것이 아니다. 선진운수, 한국brt(진관영업소), 제일여객, 신수교통이 지내는 곳과 다모아, 보광교통, 유성운수, 현대교통, 서부운수, 원버스가 지내는 곳이 나뉘어진 셈. [5] 사무실, 지선 노선 및 752번 차고지 [6] 정비공장 및 식당, 742번 및 753번 차고지. [7] 은평공영차고지 입주 전에는 차고지 진입 전 대로변에 있는 현재의 고철처리업체 자리(수색동 275-10)에 소재했었고, 본래 범양여객-선진여객의 본사 겸 차고지였다. [8] 구산동 본사 버스도 용두동영업소에서 충전하며,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홍성(주), 주원교통, 여산교통 용두동영업소에서 가스를 충전한다. 심지어 은평구 마을버스 업체인 영운운수 은평05번 은평06번 용두동영업소에 가서 충전한다. 최근에는 진관공영차고지 충전소가 포화됨에 따라서 진관동 노선들 일부도 이 충전소로 가는 경향이 있다.(특히 신수교통의 서울운수 시절에 개설한 신규 노선들 일부나, 신성교통과 계열이 분리되어 문산에서 진관동으로 이적한 774번 일부 차량들이나 730번, 옛 733번같은 서울여객의 신규 노선들이 주로 찾아온다. 지금은 진관동 충전소의 용량 확대로 이런 경우는 좀 줄어들긴 했다.) 일산영업소 고양공영차고지 동해운수 본사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구산동 본사 노선들 전부가 용두동영업소에서 충전하는 것은 아니며, 753번, 7613번, 8774번은 모두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있다. 742번과 752번 등 구산동 본사 일부 차량도 은평공영차고지에서 가스를 충전하며, 용두동 충전과 은평공영차고지 충전을 나눠서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9] 원래는 대화동에 있었으나, 해당 부지가 KINTEX 건설 예정지에 편입되어 2002년 12월 초에 일산서구 서쪽 외곽 삽다리 방향의 가좌동으로 이전했다. [10] 심지어 정비용 트럭도 대우 바네트였고, 대표이사 전용 차량도 대우 아카디아였다. 구산동 본사 2사옥 정비공장 쪽 세차기에 가끔 주차하곤 했었다. [11] 저상버스 도입 초기에는 앨리슨 자동변속기도 장착했으나, 잔고장 등으로 정비 비용이 많이 발생하면서 제대로 피를 보고 2010년대 이후 ZF만 장착하고 있다. [12] 이 과정에서 북부운수에 흡수합병됐다. [13] 범일운수 또한 서울시 내에서 마을버스를 운영 중인 시내버스 회사이지만 이미 2000년대부터 마을버스를 모두 천연가스버스로 운영하고 있었다. [14] 해당 차량 중 1대는 중고 수출 후 러시아 야쿠츠크에서 시내버스로 다녔었다. [15] 914번 심야좌석버스에 다녔던 차로 중고차였으며 이 차의 출처에 대해 궁금해 하는 동호인들도 많았을 정도. 옵션은 그야말로 당시 시내버스로서는 말도 안되게 호화스러웠는데, 내부 갱웨이에 전좌석 안전벨트, 그리고 TV까지 달려 있었다. 처음에는 한밭여객 출신이라는 이야기가 돌았으며 전세버스 출신이라는 이야기도 있고 장의버스 출신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최종적으로 자가용 면허 학원버스 출신인 것으로 밝혀졌다. 2001년 914-1번 폐선 이틀 후에 면허가 전출말소됐다. [16] 2000년대 초까지 선진운수에 보유했었던 전문형 고급좌석차량(914번, 1008번에 투입)은 주로 신성교통이나 동해운수같은 회사에서 공동 배차하다가 노선 철수로 넘어온 차종이다.[57] 일부 일반좌석버스 차량(72-2번, 158-4번, 914번에 투입)은 신성교통에서 넘어오거나 구 남부운수 등지의 중고차를 도입한 전례가 있었다. [17] 구매 차량은 주로 BS106이었으며, 컨소시엄 초기 270번에 소수 존재했었다. 현재는 현대버스로 전면 대차된 상태. [18] 한남여객운수, 삼성여객, 선일교통, 다모아자동차, 도원교통 등에도 존재하는 신진운수 면허가 범양여객이 신진운수에서 55-2번, 73번, 73-1번 등을 인수하면서 유입된 면허이다. 다만, 5714호는 1979년에 신성교통이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하면서 넘어갔다가 1999년에 좌석버스 158-4번을 인수받으면서 동시에 넘어왔다. [19] 다만 선진그룹의 시초에 선진운수가 연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선진운수가 한때 갖고 있었던 선진버스를 매각한 것을 계기로 선진그룹의 이름 자체가 선진운수에서 유래됐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 두 법인의 관계는 사명만 같은 이름을 사용할 뿐, 전혀 연관이 없다. [20] 과거에는 버스티브이를 사용하다가 현재는 에드케이로 바뀌었다. [21] 그리니치프라이빗에쿼티, 칼리스타캐피탈, 차파트너스자산운용. [22] 실제로 2006년 선진그룹이 명성운수를 인수하려 시도했으나 노조의 강력한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었는데, 이때 명성운수 노조가 실제로 선진운수 일산영업소에 와서 선진그룹 인수 반대 시위를 했었다(...). 다만 선진운수와 선진그룹과 아예 연관이 없는 건 아닌데, 선진그룹 시초가 선진운수이기 때문이다. 선진운수에서 인항여객(선진버스)를 매물로 내놓자 신재호 회장이 인수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선진그룹을 있게 만든 것이다. [23] 도원교통과 경성여객 대표를 겸직중인 김정환 대표로 변경됐다. 이 두 업체는 서울에서 항상 평가도 1~2위를 하는 업체로 유명하다. 동시에 또 다른 블랙 기업인 선일교통 역시 김정환 대표 산하로 바뀌게 되면서 두 업체 모두 본격적으로 개선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도원교통과 선일교통은 차파트너스에도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같이 소속된 또 다른 블랙기업인 동아운수 또한 또 하나의 다른 대표인 이강식 대표가 취임하면서 개선 작업에 들어갔다. [24] 근데 사실 이건 아버지인 민경희 회장(1932~1999) 시절에 일어난 일이다. [25] 이것 때문에 '개집운수'라는 멸칭이 있다. 아직도 버덕사이에서는 개집이라고 부를 정도다. [26] 개편 직전 신촌교통과 선진운수 두 회사는 자금난에 시달린 바 있다. 특히 신촌교통은 2003년에 능곡지하차도에서 대형 사고를 일으킨 탓에 부도 직전까지 갔었다. 다만 신촌의 경우 2004년에 김포교통에 차를 팔고, 준공영제의 득을 보면서 재기했고, 마침내 2014년 신성교통의 한국brt 지분을 인수하며 신촌교통 대표가 한국brt의 대표직도 겸임하게 되었다. [27] BS105는 1986년에 출시했으며 1996년에 단종됐다. [28] 게다가 다른 회사들이 요금통에 차번 표기를 스티커로 붙이는 것과 달리 이 회사는 배차팀장이 매직으로 쓴 을씨년스러운 글씨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 없는 버스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되어 심야버스를 제외한 시내버스 노선에서는 더 이상 볼 수 없으나, 심야버스와 마을버스에서는 여전히 이런 모습을 볼 수 있다. [29] 차량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유명한 흥안운수 계열마저도 돌출 행선판을 새로 도색해 스텐실로 제작했지만, 선진운수는 극초기형 돌출형 행선판(SBI 저축은행) 시절의 것을 깃발마냥 펄럭일 정도로 사용했고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날아가버린 것이다. 사실 한남여객운수도 돌출형 행선판의 상태는 심각한 편인데, 여기는 개선형 저상에 고작 시트지 한 장만 끼운 것이 전부이다. [30] 다만 이건 선진운수 일산영업소만의 얘기는 아니다. 일산(대화동)에 본사가 있는 동해운수도 서울런 시정홍보 포스터를 그대로 사용중이기 때문. [31] 선진운수는 한번도 경기도 소속이었던 적이 없다. [32] 한때 신길교통, 한국brt와 더불어서 퇴직하려는 기사들의 마지막 행차라는 비아냥을 듣던 회사였다. 이 3개 회사 모두 다른 회사들에 비해 입사 조건이 매우 까다로웠기 때문. 물론, 신길교통과 한국brt는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선진운수보다도 더욱 입사 조건이 심하게 깐깐했고 선진운수보다 나은 점으로는 처우가 훨씬 좋았으며 50대 이하의 기사들도 입사를 할 수 있다는 점 정도. 그 대신 준법운전을 생활화해야 입사가 가능했다. [33] 차파트너스 계열의 경영진 중 하나인 도원교통의 김정환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어느 정도 개선될 전망이다. [34] 사실 이러한 점은 보통 좋아져야 하는 식으로 달라야 하는게 보통이다. 원래 이 3곳의 업체들은 한때 처우가 좋은 업체로 뉴스에 자주 나오던 업체들이었다.(특히 동아운수는 이외에도 시민들을 위해 각종 편의 시스템을 장착하였기 때문에 명실상부 서울시내버스 최고의 화이트 기업 업체였다.) [35] 구산동 본사와 갈현동영업소가 좁아서 갈현동영업소 주재 차량 일부는 구산동 본사에, 나머지 차량들은 익일 오전 늦은 순번으로 수색동에 있는 은평공영차고지로 회송해서 주차한 후에 돌아오는 시간 때문에 늦어지므로 막차가 이른 거다. 가끔가다가 7726번, 022번이 다니는 고양시 현천동 쌍굴입구 정류소 옆에 철도창과 같이 있는 공터주차장이 있는데, 구산동본사 주재 일부 차량이 여기를 주차장으로 사용한다. 수색철도기지창 바로 옆이라 하기도 뭐하고, 안이라 하기도 뭐해서 그렇다. 지도에 쌍굴입구를 친 다음, 지도에 나오는 공터를 로드뷰로 확인하면 된다. 물론 2015년도 사진이 최신본인 경우, 보이지 않는다. 그럴 때는 직접 가보자. [36] 사이드미러를 노란색으로 칠하는 회사는 선진운수의 주 특징이며, 차고지 풍경도 일치한다. 이날 이후로 보도된 몇몇 다른 언론사의 보도에선 대놓고 회사 이름이 공개되었다. [37] 서울 권역 전체로 확대하면 서울승합이 원조다. [38] 이 당시 에어로 스페이스와 BH116은 천연가스 차량이 없었다. 해당 차량들의 CNG 옵션이 출시된 년도는 2003년이다. [39] 의외로 1008번의 공동 배차를 가장 나중에 포기한 업체는 선진운수와 신촌교통이었다. [40] 본사와 서오릉로를 두고 마주보는 형태다. 그리고 이쪽은 흔히 알고 있는 것과 달리 행정구역 상으로는 갈현동 소재이다. [41] 7726번, 022번을 타고 쌍굴입구 정류소에서 내리면, 본사 소속 차량들이 주차된 것을 볼 수 있다. 왜 이곳에 주박하는지 의문인데, 갈현동영업소의 매각 영향을 배제하기 힘들 듯. 현재 742번, 7022번, 7720번, 대차 대기 차량들이 이곳에 있다. 다만 이곳은 철로 옆에 있는 그냥 큰 공터다. [42] 행선판에는 총신대라고 되어 있다. [갈현영업소] 과거 갈현동 영업소(지금은 폐쇄) 소속이었다. [심야] 심야버스 노선. 한국brt와 공동배차 [갈현영업소] [갈현영업소] [운행중단] 2025년 1월 14일까지 운행중단. [48] 용두사거리에서 성사IC 방면을 보면 우측에 표지판 없는 샛길이 하나 있다. 따라가면 나온다. 가스 충전소도 여기에 있어서, 충전소가 없는 구산동 기종점 차량들이 용두동영업소에 왕왕 보인다. 심지어 서울특별시의 7권역 장거리 간선들이 칼질당한 2017년 11월 이후에는 진관공영차고지의 포화로 한동안 서울운수의 705번, 761번 일부 차량이 용두동영업소에서 충전한 적이 있다. 2019년 8월 5일에 진관동으로 기점이 바뀐 774번 차량들도 모든 차량이 진관동에서 용두동영업소로 충전하러 들어온다. [공동배차] 서부운수, 현대교통과 공동배차. [50] 통합하기 전까지 은평구 구간은 영업운행하지 않았다. [51] 개편 당시에는 9701번과 같이 명동 롯데백화점 본점(구.미도파백화점)까지 운행했었고, 서울특별시에서 호남선 KTX 기점인 용산역 교통편 연계를 위해 2004년 12월 23일 용산역까지 연장하였으나 도심구간 분리경로(용산역 방향: 영천시장. 경찰청/일산방향 : 숭례문. 시청. 교보문고. 사직공원)로 변경한 후 수요 감소로 폐선의 길을 걸었다. 개편 전에는 158-4번 좌석버스였고 1999년 10월 28일 신성교통에서 선진운수로 인수된 노선이다. 일산 구간에서는 9701번과 많이 차이가 났는데 대화동 종점 시절에는 기점에서 고양종합운동장을 경유하여 대진고교 - 후곡마을 - 암센터 - 강촌마을 - 백석고교 - 백마역 - 풍동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을 경유했고, 그 외는 명동 다닐 시절에는 노선이 동일했다. 가좌동으로 기점을 이전한 후에는 농수산물센터 이후로 일산 구간이 거의 달랐다. [전환] 2015년에 9711A번과 충돌하는 사고로 번호판이 유실되어 서울74사7279에서 전환. [53] 727#, 728# 계열. [말소] 2015년에 9711A번과 충돌하는 사고로 번호판이 유실되어 서울70사7125호로 전환. [55] 1201~1250번대. 1200호 단위 후반부는 신성교통, 보영운수, 상진운수, 태진운수, 남성버스 등에 증차되었다. [56] 사모펀드 컨소시엄이 출자한 특수목적회사로, 그리니치프라이빗에쿼티, 칼리스타캐피탈, 차파트너스자산운용 등 3개 사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9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7] 그래서 신성교통에서 운행했던 일부 타사 출신 면허가 선진운수에 넘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