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5:00:57

제일교통(서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원의 동명의 회사에 대한 내용은 제일교통(창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은평구 CI.svg 서울특별시 은평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a] 유성운수[a] 제일교통
마을버스 갈현운수 선진운수
영운운수 영운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성교통 선진여객
[a] 주 사무소만 은평구에 소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한남여객운수 계열사
택시 회사 서울특별시
삼이택시 선일관광콜택시 삼이운수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중부운수 한남여객운수 제일교통 성민버스 삼성여객 신화여객
제일교통 주식회사
Jeil Bus Co., Ltd.
설립일 2024년 5월 10일[1]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전신 제일여객자동차 주식회사
대표자 박진성
주요 주주 박진성: 100%(2024년 5월 10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97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4억 5,952만 5,000원(2023년 기준)
매출액 356억 9,157만 8,217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1억 8,983만 7,796원(2023년 기준)
순이익 -9억 7,539만 7,913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470억 4,042만 6,379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379억 5,027만 7,461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417.49%(2023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 진관동, 진관공영차고지)
교하사업소 -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 1358 ( 교하동)
송추사업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가마골로 231 (부곡리)

1. 개요2. 제일여객 시절3. 제일교통으로 변경( 한남여객운수 인수)4. 현황5. 운행 노선
5.1. 진관본사 소속5.2. 송추영업소 소속5.3. 교하영업소 소속
6. 이전 운행 노선7. 면허 체계8. 보유차량9. 지배구조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720_7842.png 파일:제일신차.jpg
간선버스
720번
광역버스
9714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7권역( 고양시, 파주시)과 양주시 장흥면에서 서울을 이어주는 노선을 주로 운행한다. 정식 명칭은 제일교통 주식회사.

2. 제일여객 시절

본사는 기자촌에 있었으나 2009년 11월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그 외에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신성교통과 계열 관계였지만 신성교통의 심각한 경영난으로 2024년 6월 현재 한남여객운수에 매각되어 계열 분리가 되었다.

2004년 개편 때 한국brt에 출자했으며 한때는 최대 주주였지만 2014년 신성교통의 경영 사정이 악화되자 신성교통 출신 지분과 경영권을 신촌교통에 매각함으로써 최대 주주 자리는 신길교통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신촌교통 보유 지분 20%를 제외한 한국brt의 나머지 지분을 사모펀드인 차파트너스에서 인수하면서, 현재는 한국brt의 모든 지분을 매각한 상황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하기도 했지만, 신성교통과 계열이 되면서 죄다 사라졌다. 자동변속기는 신성계열답게 흥안운수와 함께 대표적인 앨리슨빠였으나 2017년부터는 ZF로 뽑는 중이다. 2017년 이전에도 ZF 미션 저상을 뽑은 적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2012년식 저상은 전부 ZF 오토미션이다.

2010년 10월, 9703번 서울 광역버스로는 최초로[2] 유니버스를 투입했다.

수도권 최후의 슈퍼 에어로시티를 보유한 업체이다. 2015년 10월 말 기준으로 7723번에 1대가 남아 있었으며, 2015년 10월 26일 대차됨에 따라 수도권에 SAC는 전멸.[3] 그리고 서울시 시내버스 최후의 하부냉방형 에어로시티 540 좌석형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업체이기도 하다.

특징으로는 선진운수와 더불어 서울에서 노선 운행 체계가 가장 많은 회사이다.

동성교통, 남성버스, 선진운수, 서울매일버스과 더불어 이 업체 역시 광역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회사의 경영 개선 목적으로 2017년에 704번 706번은 1대씩 인가대수가 감차됐고,[4] 9711A번에 투입되었던 유니버스 가스차 2대는 유상감차 신청과 함께 공동 배차에서 철수한 뒤 면허가 말소된 후 중고차로 수출됐다.

이처럼 제일여객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서, 서울운수와 노선 트레이드를 하게 된다는 소식이 확인됐다. 그로 인해 2017년 9월 14일부터 7722번, 7723번, 7733번, 9703번 서울운수로 넘어가서 운행하게 된다. 대신 9714번은 서울운수에서 제일여객으로 넘어온다. 관련 공문 링크 그래서 공문을 보면 알겠지만, 일부 제일여객 기사들은 서울운수로 고용 승계됐다. 덤으로 N37번에 투입되는 1대를 제외한 모든 유니버스들이 모두 서울운수로 넘어갔다. 이후 N37번의 유니버스가 차령 만료 후 E-SKY 11 전기버스로 대차되면서 유니버스는 전멸했다.

그리고 사실상 서울운수와 영업소를 맞바꿨는데 9703번 9714번을 교환함에 따라 서울운수는 교하에서, 제일여객은 일산에서 철수했다.[5] 이후 일산영업소는 신성의 명의로 남아 있었으나, 2021년 5월 이후로는 서울매일버스가 9703번, 9711번 인수와 함께 일산차고지를 사용한다.[6]

한때 진관공영차고지 입주 전의 불광동 기자촌 차고지에는 퇴역한 1985년식 RB520L과 1993년식 에어로시티 540SL 무냉방이 과거 무냉방 구도색[7]을 그대로 적용한 채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그래서 종종 동호인들이 구도색 차량을 보러 가기도 했다. 제일여객이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하고 은평뉴타운이 들어오면서 폐차되었다.

2021년 12월 말부터 신성교하차고지로 가는 773번 전기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E-SKY 11 그린웨이1100을 도입했으며, 이 때 773번에 2대 들어갔던 2018년식 고상차량은 704번으로 옮겼으며 그 후 704번에 남아있던 2011년식 고상버스들도 모두 773번 전기버스로 대차했다.

2023년 1월 말에 그린웨이1100A를 전국 최초로 출고했다. 동년 7월에는 9714번의 신차는 재정상 문제로 유니버스를 뽑을 수 없는 대신 NSAC F/L 개선형에 온갖 옵션을 넣어[8] 출고했다.

2024년 3월 말에 회사 창립 이래 최초로 KGM커머셜의 스마트 110G를 출고해[9] 720번에 투입된다.

3. 제일교통으로 변경( 한남여객운수 인수)

2024년 7월 1일 한남여객운수에 인수되어 제일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된다. 공문 및 등기부등본 양도양수 검토결과

4. 현황

영업소 위치 운행, 주박노선 비고 가스충전소 유무
진관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 진관동 36) / 건물주소: 진관동 78-8 720, 7211, 8772, N37진관, N75진관 본사 O
교하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 1358 ( 교하동 548) 773, 9714 신성교통 교하차고지 O
송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가마골로 231 (부곡리 154) 704 X[10]

5. 운행 노선

5.1. 진관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20 진관공영차고지 구파발역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청량리역 - 서울시립대입구 - 답십리시장 → 촬영소사거리 → 동답한신동아아파트 → 현대시장 → 답십리시장 답십리 6~12
N37[심야1]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광화문 - 종로2가 - 서대문역사거리 - 남산1호터널 - 순천향대병원 - 신사역 - 강남역 - 양재역 - 도곡역 - 은마아파트 - 일원역 - 수서역 - 가락시장 - 장지역 복정역 25~40
N75
[심야2]
구파발역 - 연신내역 - 응암역 - 명지대학교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광화문 - 서울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삼각지역 - 용산구청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강남역 - 교대역 - 남부터미널 - 방배역 - 방배동래미안타워 - 사당역 -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쑥고개입구 서림동 30~6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211[공동배차] 진관공영차고지 구파발역 - 진관중고교 - 입곡삼거리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평창동주민센터 - 국민대학교 - 길음뉴타운 - 고려대학교 - 안암오거리 → 용두시장 → 신설동역 → 대광고등학교 → 안암오거리 신설동역 4~10
8772 구파발역 - 진관중고교입구 - 입곡삼거리 - 흥국사 북한산입구 8~15

5.2. 송추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4 송추 장골부대 - 송추초등학교 - 우이령 - 노고산동원훈련장 - 북한산성입구 - 진관중고교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숭례문 남대문시장 조계사 세종문화회관 광화문 서대문역 서울역 12~18

5.3. 교하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73 교하동 산내마을 - 한빛마을 - 탄현역 - 대진고등학교 - 일산동구청 - 백석초등학교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역.덕양구청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역 - 원흥동 - 스타필드고양 - 구파발역 - 연신내역 불광역 13~2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9714 교하동 청석마을 - 교하중앙공원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고양경찰서 - 행신동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연세대학교 광화문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연세대학교 숭례문 30~50

6. 이전 운행 노선

7. 면허 체계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CRRC

8.1.3. 황해자동차

8.1.4. KGM커머셜

8.2. 과거 보유차량

8.2.1. 현대자동차

8.2.2. 자일대우버스

8.2.3. KG모빌리티

8.2.4. 기아

9. 지배구조

2024년 6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성 100.00% 대표이사

10.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영인운수
정평운수 다모아자동차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군포시·의왕시 서울매일버스 군포교통 대원여객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구리시 대원여객
남양주시 태릉교통
의정부시·양주시 대원여객 제일교통
파주시 제일교통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파주시 CI.svg 경기도 파주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관내 시내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파주여객 대원고속공공 명성공공
관외 시내 제일교통
마을 기흥여객 맑은교통 문산여객
신대운여객 우리교통
파주교통 한일운수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의정부시 CI.svg 파일:양주시 CI.svg 파일:동두천시 CI.svg 파일:연천군 CI.svg
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시내버스 회사
의정부시
평안운수 명진여객 경기고속
공공
대원고속P 대원여객서울
양주시 진명여객 양주교통 제일교통
서울
양주상운DRT 코모빌리티P
동두천시 대양운수
연천군 연천교통
마을버스 회사
의정부시
가능교통 금오교통 녹양교통
새말운수 용현교통 일상교통
양주시 신암교통 양주교통 은현교통
진명여객 현성교통
공공: 경기도 공공버스
P: 경기프리미엄버스
서울: 서울특별시 면허 업체
DRT: 똑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구. 제일여객자동차 법인 설립일은 1954년 8월 20일 [2] 서울 면허로선 2번째다. 첫번째는 신성교통에서 운행했던 M7106번. [3] 전국 시내버스로는 경상남도 창원시 시내버스 업체인 마인버스에서 2016년 1월까지 굴린 것을 마지막으로 SAC가 전멸되었으며, 전국 영업용 전체로는 전라북도 시외버스 업체인 안전여객에서 2016년 6월까지 SAC를 마지막으로 굴렸다. [4] 706번은 화재사고가 난 차량을 폐차하면서 유상감차했다고 한다. [5] 유일하게 남아 있던 3번이 기점과 종점을 뒤바꿔 아동동차고지로 연장하는 바람에 일산영업소에서 철수했다. [6] 이는 신수교통에서 광역버스가 서울매일버스로 넘어가고, 비슷한 시점에 킨텍스 제2전시장 주차계약이 만료되어 광역버스를 포함한 모든 시내버스가 차를 빼야 하기 때문. [7] 군청 + 황토색 도색 [8] 34석 리클라이닝 좌석 시트, 에어 서스펜션, 전면 행선판 옵션. [9] KGM커머셜의 모기업인 KG모빌리티로 거슬러 올라가면 하동환뻐스의 A60 이후로 반 세기만에 뽑은 셈이다. [10]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충전 [심야1] 심야버스 노선. 한국brt와 공동배차. [심야2] 심야버스 노선. 한남여객운수와 공동배차. [공동배차] 신수교통과 공동배차. [14] 농수산물센터에서 대산로(오마초교입구)를 통해 다니는 706번과 달리, 이쪽은 중앙로로 다녔다. [15] 일영 경유 [16] 7723번과 거의 일치했다. [17] 7734번과는 별개의 노선이었다. [18] 당시 잉여 차량은 미도색채 720번으로 넘어간 후 단 하루만에 대차되었다. [19] 은평구 면허의 증차번호 [20] 신수교통(구 신성교통) 출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