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9:56:18

김포교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진그룹 계열 김포시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김포운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서울특별시 강서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a] 영인운수 정평운수
공항리무진 공항리무진 K-리무진
마을버스 대운교통 부민운수 염동운수 화곡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원교통[b]
[a] 강서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부도 이후, 일부 노선이 화곡교통으로 인수되었다.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김포교통 주식회사
金浦交通 株式會社
Kimpo Bus Transportation Co., Ltd.
파일:김포교통 CI.png
설립일 1970년 11월 4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유기만, 유영준
주요 주주 유기만: 90.48%
유영준: 9.52%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346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5억원(2023년 기준)
매출액 304억 5,305만 7,742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9억 6,363만 8,472원(2023년 기준)
순이익 -8억 3,988만 7,679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234억 3,502만 6,312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206억 693만 2,975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728.65%(2023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70 ( 방화동)

1. 개요2. 영상3. 사가(社歌)4. 운행노선5. 폐선된 노선
5.1. 개편 이전5.2. 순환버스5.3. 간선버스5.4. 지선버스5.5. 맞춤버스5.6. 광역버스
6. 면허 체계7. 보유차량8. 갤러리9. 지배구조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651AJS.jpg 파일:서울6629AJS.jpg
간선버스
651번
지선버스
6629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1002번 등 과거 몇몇 노선을 양도한 것을 제외하면 김포시 관내 업체이자 선진그룹 계열인 김포운수와는 전혀 무관한 회사이며,[1] 서울특별시 소속 업체이다. 본사는 강서구 금낭화로 170(방화동 820번지)에 있다.

창립자 이주식 회장이 발음교회 설립자이자 초대 담임목사로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장을 역임했다. 그래서 그런지 회사 자체가 개신교스러운 분위기가 강하고[2], 사회 봉사와 직원 복지에 많은 신경을 쓰는 편이다. 또한 승무사원들의 복지를 위해 1980년대에 전국에서 최초로 1일 2교대제를 도입하기도 했으며, 서울시내버스에서 버스 안내양이 1989년까지 근무한 회사이기도 하다.[3] 회사 신우회 차원에서 차고지 근처 방화역이나 송정역 버스정류장에서 차와 과자를 나눠주는 봉사 활동을 하기도 한다.

한때 불로동 196-2번지와 감정동 555-4번지에 김포영업소를 두어 운영했었고, 672번의 전신인 광역버스 9602번과 6712번 인천광역시까지 들어온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0년에 여우재고개 남쪽에 있었던 불로동차고지가 폐쇄됐고, 이 때문에 9602번이 단축되면서 간선으로 전환된 672번방화역-김포/불로동-(방화동)-연세대-(방화동)-김포/불로동-방화역이라는 굴곡 선형으로 바뀐 원인이 됐고, 시외 구간을 폐지했다. 사실 이후에도 김포교통 자체의 시외 구간은 한동안 유지됐다. 그러나 이후 2015년 경기도 김포시에 진입하던 6641번마저 폐지되어 6648번으로 대체노선화(신설)되며, 김포교통 버스는 정말로 서울 시내만을 운행 범위로 하게 됐다. 이에 대해서 최근들어 "김포교통 버스가 더이상 김포에도 들르지 않게" 됐다는 비판적 논조의 웹진 기사가 나오면서 이 사실이 다시 주목받게 됐다.

신길교통이나 영인운수 등 인근의 타 회사들이 충전을 위하여 다른 공영 차고지[4]로 원정을 가는 것과 가스 충전 사정상 아예 공영 차고지로 이사간 공항버스, 관악교통과 달리 이 회사는 강서공영차고지와 거리가 가까움에도 여전히 방화동의 자가차고지에서 자리잡고 있으며, 천연가스버스 도입 초기부터 기사들의 복지를 위하여 방화동 본사 차고지 내에 자체적으로 충전소를 설치하여 운영했고[5], 운휴차량들은 강서공영차고지에 주박하는 형태다.

유튜브에 김포교통에서 올린 기사용 장애인 리프트 설명 영상이 있다. 꽤 설명이 잘 되어있고, 버스에 대해 궁금한 버덕들은 찾아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여담으로 1990년대 후반까지 자일대우버스 매니아라 1980~90년대를 주름잡았던 현대자동차에서 내놓았던 전설의 RB520SL을 출고한 이력이 없었다.[6] 오히려 경쟁 모델인 대우자동차 BS105L을 많이 운행했다.[7]

김포교통 노선들 대부분 배차가 좋지 않은 편이다.[8] 그나마 배차가 좋은 건 651번과 6629번이다. 6629번은 굴곡 노선임에 불구하고 가끔씩 빗자루 효과를 보여줄 때도 있다.

9년 사용하고 칼대차했으나 2015년부터 사용 주기가 길어지기 시작했고, 현재는 대부분 11년 이상 채우고 교체한다.

2021년 3월에는 에디슨 NEW 화이버드를 첫 출고했다.

2022년에는 전기버스 일렉시티, 스마트 110, NEW eBus-12를 도입했으며 동년 12월에는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했다. 수소 충전은 강서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진행한다.

전기버스 구매 업체들 대부분이 특정 노선에만 전기버스 신차를 몰아준 것과 달리 이 업체는 전기버스가 여러 노선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의 2013년작 기후변화 예방 캠페인에서 2100년 서울특별시에서 자연재해가 일어난 것을 가정하면서 당사 642번 저상버스에 합성해서 폐차로 만드는 장면이 등장했다. 14~15초를 주목

2. 영상


1986년 당시 김포교통 모습. (29초부터)


1983년 당시 김포교통 42번 버스 안내양 모습. (5분 20초부터 8분 1초까지)

3. 사가(社歌)

시민들의 교통위해 믿고 뭉친 우리
내일의 희망을 바라보면서
친절하게 안전하게 봉사하리라
국제공항 비행기 날 듯 멋있게 멋있게
굽이치는 한강 건너 목적지까지
달리자 신나게 김포가도
하나님 복주신 귀한 일터
김포교통

4. 운행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4.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51 방화동 방화역 - 신방화역 - 송정역 - 김포국제공항 - 강서면허시험장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개봉역 - 디지털단지오거리 -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 관악구청 → 쑥고개 → 신림역 관악구청 8~13
654 방화역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대일고교 - 목동역 - 구로역 - 대림역 - 보라매역 - 신대방삼거리역 - 장승배기역 - 동작구청 - 노량진역 노들역 10~14
672 방화역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방화2단지 - 양천향교역 - 가양역 - 염창동새마을금고 - 마포구청역 - 연세대학교 이대부고 12~17

4.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629 방화동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강서구청 - 대일고교 - 목동역 - 오목교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영등포역 8~13
6648 방화역 - 신방화역 - 마곡나루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신월동3동주민센터 - 신정네거리역 - 서울남부지법지검 → 양천보건소 → 양천구청 → 목동중학교 → 목동8단지 → 서울남부지법 양천구청 12~17
6712 방화역 - 서울식물원 - 발산역 - 서울서진학교 - 가양9단지 - 염창동새마을금고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대흥역 서강대학교 → 신촌로터리 이대입구 11~15

5. 폐선된 노선

5.1. 개편 이전

5.2. 순환버스

5.3. 간선버스

5.4. 지선버스

5.5. 맞춤버스

5.6. 광역버스

6. 면허 체계


===# 타 회사 출신 면허 #===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KGM커머셜

7.1.3. BYD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버스

7.2.2. 현대자동차

7.2.3. 기아

8. 갤러리

파일:2040965583_D97VGCBT_170_7028.jpg
2004년 개편 직후의 김포교통 차고지 모습. 당연하지만, 여기 있는 차종은 모두 대차됐다. (출처: Bus life)

9.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기만
90.48% 대표이사

[[호주|]][[틀:국기|]][[틀:국기|]] 유영준
9.52% 대표이사

10.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이 때문인지 홈페이지에 김포운수 민원이 많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았다. 홈페이지 폐쇄도 그 때문인듯. 친절도, 차량관리 면에서는 당연히 김포교통이 우수하다. [2] 사가에서부터 '하나님 복주신 귀한 일터'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1990년대까지만 해도 영신여객, 구 화곡교통, 구 신진운수와 더불어 차내 곳곳 및 안내방송 등에 성경 구절을 끼워 넣은 적이 있었다. [3] 이는 당시 서울의 마지막 안내양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관련 기사 [4] 신길교통은 양천공영차고지, 영인운수와 두 회사가 공동배차하는 653번 강서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을 한다. 2023년 12월부터는 고강동에서도 충전 중. [5] 초기에는 천연가스 탱크 트레일러를 이용한 이동형 충전시설을 활용했다. [6] 반대로 타 회사에서 넘어왔던 RB520L을 2대 운행한 적은 있었다. [7] 1980년대 김포교통은 도시형버스는 대우자동차, 좌석형버스는 아시아자동차 차량을 투입했으며, 1990년대부터 좌석형버스도 대우자동차 차량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2000년 현대자동차로 돌아서기 전까지 보유한 현대버스는 모두 타사에서 넘어온 차량이었다. [8] 특히 6712번은 차량 인가대수 대비 배차간격이 무척 창렬이다. [9] 개편 후 폐선되어 6631번, 672번 일부구간 대체운행 [10] 신원교통으로부터 노선 양도 이후 가양동 - 여의도 구간 연장, 이후 방화동 연장 및 여의도 회차로 단축하고 9번으로 노선 변경한 뒤 공항버스와 노선 트레이드(9번/412번 공항버스 양도, 330번(폐선 후 310번 통합)/1002번 인수) [11] 개편 후 6629번, 22번 운행때와 같은 노선 [12] 1996년부터 김포공항 미경유, 방화동 종점x, 개화동-방화사거리-공항시장-개화동 역순, 과해지선 [13] 1985년 폐선 [14] 1996년 김포공항 미경유, 신촌로터리(회차)로 단축 운행되다가 2004년 폐선 [15] 1983년 폐선 [16] 개편 후 폐선됐으나 대부분 구간이 601번으로 계승됐다. [17] 1990년 130 좌석신설 후 신촌로터리-연희동회차로 단축, 2000년 청색노선 회차지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며 230번으로 변경 [18] 개편 후 9602번을 거쳐 672번 [19] 2000년 130번 청색 노선이 변경되어 신설됐고, 2001년 김포공항 미경유, 개편 후 6641번. 김포공항 경유 및 방화동까지 연장됨 [20] 이후 공항버스에 매각 개편 후 6632번 [21] 2002년 김포운수에 매각. 현 김포운수 1002번 [22] 2001년 폐선 직후 명성운수에서 31번으로 재개통 [23] 구 760번과 동일했으나 760번을 운행했던 공항리무진에서는 개편 당시 양천길- 노들길을 경유하는 643번으로 개편하여 운행하려고 했다. 642번은 당초 노들길이 아닌 노량진로를 경유하고 강남성모병원에서 회차하는 노선이었으나 643번의 미 개통으로 인한 기존 760번 승객들의 민원에 의해 노들길로 전환하고 회차구간도 신논현역으로 변경됐다. 2016년 7월 25일 654번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