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
一/
壹) (100) |
십(
十/
拾) (101) |
백(
百/
伯/
陌) (102) |
천(
千/
仟/
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
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
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
毛)/
호(
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
絲) (10-4) |
|
만(
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
忽) (10-5) |
미(
微) (10-6) |
섬(
纖) (10-7) |
사(
沙) (10-8) |
|
억(
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
塵) (10-9) |
애(
埃) (10-10) |
묘(
渺) (10-11) |
막(
漠) (10-12) |
|
조(
兆) (1012) |
경(
京) (1016) |
해(
垓) (1020) |
자(
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
壤/
穰) (1028) |
구(
溝) (1032) |
간(
澗) (1036) |
정(
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
載) (1044) |
극(
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沙 모래 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
|
||||||
일본어 훈독
|
いさご, すな
|
||||||
-
|
|||||||
표준 중국어
|
shā, shà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沙는 '모래 사'라는 한자로, ' 모래'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6C99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水火竹(EFH)으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로 강가에 흩어진 모래를 뜻한다.
이체자로 砂가 있는데 砂는 沙의 속자다. 일본에서는 둘 다 상용한자이며[1] 沙는 주로 한자음으로 읽는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沙가 더 널리 쓰인다.
다만 한자사전이나 국어사전 등지에서는 두 한자 다 혼용한다.
3. 용례
3.1. 단어
- 백사지( 白沙 地)
- 비사문천( 毘沙 門 天)
- 사공(沙 工)
- 사과(沙 果)
- 사구(沙 丘)
- 사금(沙 金)
- 사기(沙 器)
- 사막(沙 漠)
- 사발(沙 鉢)
- 사암(沙 巖)
- 사장(沙 場)
- 사철(沙 鐵)
- 사취(沙 嘴)
- 사탕(沙 糖)
- 사태(沙 汰)
- 사포(沙 布)
- 토사( 土沙)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레이로칸 미사야( 玲 瓏 館 美沙 夜)
- 사걸(沙 乞)
- 사반왕(沙 伴 王)
- 사발략가한(沙 鉢 略 可 汗)
- 사사노궤(沙沙 奴 跪)
- 사사 사사키( 佐々 沙 咲)
- 사쇄문(沙 洒 文)
- 사타상여(沙 咤 相 如)
- 세토 아사미(( 瀬 戸 麻沙 美)
- 오오니시 사오리( 大 西 沙 織)
- 카케하시 사야카( 掛 橋 沙 耶 香)
- 쿠비키리 바사라( 首 斬り 破沙 羅)
- 타네다 리사( 種 田 梨沙)
- 하야미 사오리( 早 見 沙 織)
- 힐리구리실설사다미가한( 詰 利 俱 利 失 薛沙 多 彌 可 汗)
- 히야마 사야( 檜 山 沙 耶)
3.4. 지명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新沙 洞)
- 부산광역시 사상구(沙 上 區), 사하구(沙 下 區)
- 대구광역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沙 士 洞)
-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渼沙 洞)
-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沙 谷 洞)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沙 坪 面)
- 비샤몬역( 毘沙 門 駅)
- 홍콩 특별행정구 침사추이( 尖沙 咀)
- 홍콩 특별행정구 사틴구(沙 田 區)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砂(모래 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䖢(개미누에 묘)
- 妙/ 竗/ 玅(묘할 묘)
- 眇(애꾸 묘)
- 𦕈(애꾸눈 묘)
- 䏚(허구리 묘)
- 㠺(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걸어가는모양 사)
- 䩖(구두 사)
- 砂(모래 사)
- 魦(문절망둑 사)
- 紗(비단 사)
- 粆(사탕 사)
- 𩨡(적을 선)
- 𨈘(칠한모양 소)
- 𢆷(작을 요)
- 䟞(머뭇거릴 주)
- 杪(나무끝 초)
- 鈔(노략질할 초)
- 吵(떠들 초, 울 묘)
- 𤰬(밭갈 초)
- 𦨖(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보릿가루 초)
- 炒(볶을 초)
- 秒(분초 초)
- 抄(뽑을 초)
- 觘(뿔숟가락 초)
- 仯(작은모양 초/묘)
- 訬(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보맷부리 표)
- 𥘤(소맷부리 표)
- 𤤉(보)
- 𪿉
[1]
2010년 개정상용한자에 추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