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20:25:54

팔공산

팔공산(대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팔공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팔공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0%"
{{{#!folding [ 목록 ]
{{{#!wiki style="margin: 0px -1px"
산악형
해상·해안형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해상
사적형 경주
같이 보기 국립공원공단 도립공원 군립공원
1️⃣ 국립공원공단에서 관리하는 국립공원을 기술
2️⃣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0%"
{{{#!folding ⠀[ 지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의 국립공원.png

(팔공산 승격 누락)
}}}}}}}}}}}}
팔공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 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 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 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 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 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 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 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 독도 | 불국사 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통일신라의 오악(五岳)
북악 태백산
서악 계룡산 중악 부악(팔공산) 동악 토함산
남악 지리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2C13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338E41>
서울/인천
경기
강원
가리산
공작산
대암산
덕항산
명성산
대전/세종
충남
덕숭산
서대산
충북
구병산
도락산
천태산
희양산
대구/경북
운문산
황장산
부산/울산
경남
금산
재약산
지리산(통영)
황석산
전북
방장산
백암산
운장산
장안산
적상산
광주/전남
깃대봉
추월산
팔영산
제주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2C13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50번
가리산(홍천)
구병산(보은)
구봉산(진안)
달마산
덕룡산
덕항산
도락산
동악산(곡성)
방장산
백암산
51~100번
오서산(충남)
장안산
재약산
조령산
천태산
청화산
축령산(장성)
황석산(함양)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88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중구 신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경상감영과 옛골목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동성로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비슬산 · 강정고령보와 디아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팔공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83타워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대표 3대 산
팔공산 비슬산 앞산
대한민국 제23호 국립공원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팔공산
八公山
Palgongsan
}}}
<colbgcolor=#00a232>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높이 1,192m (비로봉)[1]
좌표 북위 36° 01′ 00″
동경 128° 41′ 41″
면적 126.058km²[2]
위성사진
파일:팔공위성.png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일 2023년 12월 31일[3] (23호)
관리주체 국립공원공단
사무소[4] 팔공산동부 (대구)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185길 68
팔공산서부 (경북)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팔공산로 175
깃대종
홈페이지 홈페이지 | 실시간 탐방 통제 정보

1. 개요2. 상세3. 연혁4. 규모5. 정상부의 시설물6. 송출 채널7. 구역 및 경계 문제8. 국립공원 승격9. 사건사고
9.1. 2006년 3월 12일 화재9.2. 2023년 11월 19일 차량 전복 사고
10. 매체11. 여담12. 대중교통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팔공산_관봉_경치(경산시_방향).jpg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5]에 걸쳐 있는 해발 1,192m의 산.[6]

2. 상세

해발 800m로 알려진 경우도 있었지만 이는 팔공산 케이블카 조망대에서의 높이고, 공식적인 실제 높이는 1,192m가 맞다.[7]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대구광역시 남쪽 경계의 비슬산과 더불어 대구광역시의 양대 산으로 통한다. 팔공산이 남성미를 상징한다면 비슬산은 여성미를 상징한다고 한다.

원래 명칭은 공산(公山)이었지만, 공산 전투에서 위왕대사(爲王代死)의 고사로 유명한 신숭겸을 비롯하여 김락 김철, 전이갑, 전의갑 형제와 그 사촌 동생인 전락, 개국 공신 평장사 호원보와 대상 손행을 포함한 장수 8명이 여기에서 전사하였다 하여 공산의 명칭이 팔공산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팔공산 인근 곳곳에는 당시 전투에서 유래한 지명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원래 053-8XX는 경산시 국번이지만,[8] 대구광역시에서는 053-803 국번을 대구광역시청 전화번호로 사용하고 있으며 팔공산으로 들어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지역번호를 통상 사용해야 할 동구 대신 팔공으로 붙였다.

대구광역시 갓바위를 대구 소재인 것처럼 말하지만 팔공산 갓바위는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속한다. 팔공산 면적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동네가 대구광역시인 건 맞지만 갓바위의 소재지는 행정구역상으로 경산시에 속해 있다.

군위군 대구 편입으로 인해 팔공산 비로봉 정상이 2023년 7월 1일부터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동산리에 속하게 되었다. #

대구 쪽 관암사 코스는 험하고 경사도 급하지만, 경산 쪽 선본사 코스는 거리도 가깝고 경사도 상대적으로 완만한 편이다.

경산에서는 갓바위로 들어가는 버스를 팔공산에서 따와 803번으로 붙이고 경산우체국에 갓바위 관광통신일부인을 비치하는 데 성공했으며 경산역 신축공사 설계시 모티브를 갓바위에서 따왔다.

경북대학교를 비롯한 대구· 경산 지역에 있는 많은 학교의 교가 가사에서 팔공산은 비슬산, 낙동강, 금호강과 함께 단골로 등장하는 소재이기도 하며 대구에 주둔한 제50보병사단의 부대가에도 등장한다. 다만 50사단가의 '팔공산' 부분은 50사단이 성서에 있었을 때에는 ' 와룡산'이었다.

설악산의 것보다 규모가 큰 흔들바위가 발견되기도 했다. 주로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3. 연혁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시대의 오악 중 중악을 담당했으며, 제사의 대상이 되었다.

후삼국시대에는 고려 왕건 후백제 견훤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뒤 신숭겸 등 8명의 장수들의 희생으로 죽을고비를 간신히 넘겼던 공산 전투가 벌여졌던 곳이며 이후 그 8명을 기려 팔공산이라 칭하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팔공산 동화사에서 수행하던 사명대사 유정이 영남지역 승군의 사령부인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牙門)을 설치하고 영남도총섭으로서 전국의 승병을 총괄하며 지휘하였다.

남도부 빨치산이 마지막까지 투쟁한 산이 이 곳이었으며, 결국 1954년에 대구시내에서 소탕되었다.

4. 규모

보통 팔공산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 큰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다. 파계사, 동화사, 부인사, 송림사, 은해사, 갓바위, 가산산성이 존재하며 대구 출신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단체로 다 가본 팔공학생야영장이 부인사 옆 산꼭대기에 있다.

대구 시민들은 물론이고, 창녕, 청도, 구미, 고령, 경산, 칠곡, 성주, 영천 등 대구 주변 지역 시민들도 주말에 많이 관광하러 온다. 그 밖에 고속국도 제20호선 종점에 있는 포항, 경부고속도로 종점 쪽인 부산, 울산, 경주 시민들도 많이 온다. 드라이빙 코스로는 최적인 중고속 코너가 많고 노면도 무난한 데다, 경치가 좋아 드라이빙을 취미로 삼는 이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운전 면허 연습용으로 써먹는 사람들도 많다.

보통 한티재 휴게소, 케이블카 입구를 기점으로 와인딩을 즐긴다. 부계면 사무소 삼거리 기준으로 케이블카 입구까지 총 연장 약 23.34km. 나름 간튜닝이 필요한 코너링과 다운힐 구간이 은근히 많고 연석 및 범프 구간이 많고 브레이킹을 요구하는 코스인 만큼, 마트 주행이건 와인딩이건 '필히' 주의하길 바란다. 팔공산 케이블카도 인기가 있다. 팔공산 국립공원 주변에 먹거리 식당들도 많아 관광지로서도 나름 손색이 없는 편이다. 절들이 많이 있다 보니 비빔밥, 된장찌개, 도토리묵, 칼국수, 이 싸고, 백숙, 닭도리탕, 찜닭 등 육류 요리는 비싸다. 산세가 꽤나 험한데 팔공산 케이블카 타고 전망대에 올라서 팔공산을 보면 산등성이가 거의 절벽에 가깝다.

5. 정상부의 시설물

팔공산 정상부는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에 따라 1950년대 중반 무렵부터 산성봉(공산성) 지역과 비로봉 남쪽지역에 주한미군의 군부대가 주둔하게 된다.

여기서 '팔공산 정상부'는 흔히들 팔공산 정상으로 알고있는 비로봉, 두 번째로 대구불교방송 송신소가 있는 중간봉, 군부대가 주둔 중인 산성봉 이렇게 3개의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다.

공산성 지역 군부대는 이후 미군은 철수하고 한국군이 주둔 중이며 비로봉 남쪽 군부대는 1980년대 후반에 철수하고 대신 지금은 그 자리에 KT중계소가 들어서 있다. 인근의 구미 금오산 현월봉의 미군기지도 비슷한 무렵에 세워졌다.

이후 대구 지역에 TV 및 FM라디오 방송이 시작되면서 비로봉에 대구MBC 송신소가 세워진다. 1970년에 송신소를 준공하였고 원래 군용지를 임대하여 사용하였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대구MBC가 국방부로부터 송신소 부지를 매입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로 KBS대구방송총국은 그 이듬해인 1971년에 송신소를 세웠다.[9]

이렇게 팔공산에 여러 방송국과 통신사들의 송신소 또는 중계소 철탑들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면서 수십년 동안 출입이 통제되어 왔다가 2009년 11월에 정상부 중 남쪽 비로봉 지역이 개방되었다.

팔공산 비로봉은 대구 및 경북 중남부지역의 TV, FM라디오, 지상파DMB 송출의 키 스테이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단 원음방송 국악방송 앞산, CBS 음악FM 극동방송 와룡산에서 송출한다.

주한미군의 AFN Korea의 EagleFM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5동 캠프워커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캠프캐럴에서 송출하고 있다. AFN Korea TV방송은 2012년에 중단되었다. 또한 현재는 ThunderAM이 들리지 않는 점으로 미뤄봤을 때 대구 지역에서는 중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자료를 보면 1981년만 해도 팔공산에 송신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6. 송출 채널

6.1. FM 라디오

방송국 호출부호
89.7 5 파일:KBS FM 대구 로고.svg HLKG-FM
93.1 3 파일:대구cpbc.png HLDK-FM
94.5 파일:대구BBS.png HLDI-FM
95.3 5 파일:대구MBC FM4U.png HLCT-FM
96.5 파일:대구MBC 표준FM.png HLCT-SFM
99.3 파일:TBC 로고.svg 드림FM HLDE-FM
101.3 파일:KBS 1Radio 대구 로고.svg HLKG-SFM
102.3 3 파일:KBS 2Radio 대구 로고.svg HLQH-SFM
103.1 5 파일:대구CBS 로고.svg 1FM HLKT-SFM
103.9 3 파일:TBN 대구 로고.png HLDU-FM
105.1 5 파일:EBS FM 로고.svg HLQL-FM

6.2. DMB

ch 방송국 호출부호
7A 2 대구 파일:MBC DMB.png
파일:CJ온스타일 로고.svg
HLAW-TDMB
7B 파일:U-KBS STAR 로고.svg
파일:U-KBS HEART 로고.svg
파일:U-KBS MUSIC 로고.svg
HLKG-TDMB
7C 파일:TBC 로고.svg DMB HLDE-TDMB

6.3. HDTV

ch 방송국 호출부호
14 2.5 파일:KBS 1TV 로고.svg
파일:KBS대구 로고.svg
HLKG-DTV
15 파일:TBC 로고.svg HLDE-DTV
16 파일:KBS 2TV 로고.svg
파일:KBS대구 로고.svg
HLQH-DTV
17 파일:대구MBC 로고.svg HLCT-DTV
18 파일:EBS 1TV 로고(2018-2023).svg
파일:EBS 2TV 로고(2018-2023).svg
HLQL-DTV

6.4. UHD TV

ch 방송국 호출부호
52 5 파일:KBS 1TV 로고.svg
파일:KBS대구 로고.svg
HLKG-UHDTV
53 파일:TBC 로고.svg HLDE-UHDTV
55 파일:대구MBC 로고.svg HLCT-UHDTV
56 파일:KBS 2TV 로고.svg
파일:KBS대구 로고.svg
HLQH-UHDTV

7. 구역 및 경계 문제

대놓고 말은 안 해도 팔공산 전체 내지는 갓바위를 놓고 대구와 경산에서 서로 내꺼라고 우기는 분위기가 있다.

갓바위는 확실히 경산이지만 팔공산국립공원의 면적(126.058km²)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동네는 대구광역시(56.572km²)이며 그 다음은 칠곡군(30.20km²), 영천시(29.882km²), 경산시(9.404km²) 순서다.

갓바위가 있는 경산시는 팔공산의 전체 면적 중 7.46%만 속한다. 이쯤 되면 팔공산은 거의 대구의 진산[10]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영천시에서도 팔공산 정상이 행정구역상으로 영천시 신녕면에 속한다고 주장해서 매일신문에서 이를 비판한 적이 있다.

8. 국립공원 승격

팔공산이 도립공원이었던 시절부터 국립공원 승격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팔공산의 관리 주체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로 서로 다른 데다 군위군 대구 편입 시행으로 인해 팔공산의 전체 면적 중 44.9%는 대구광역시, 나머지 55.1%는 경상북도에 속하기 때문에 각 지자체의 미온적인 태도로 성과가 없었다.

그 동안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해 온 대구광역시는 더 적극적인 공세를 펴고 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관광객이 늘어 지역 브랜드 가치도 높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상북도는 각종 규제가 생기고 토지 등 사유재산에 대한 불리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지역 주민들의 우려 때문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아마 무등산 2012년 12월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자극을 받은 듯하다. 팔공산이 환경부에서 2015년 내 추진하기로 한 22번째 국립공원 후보지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강력한 경쟁지가 없는 데다가 식생 등 자연 환경 또한 우수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22번째 국립공원은 태백산이 되었고 팔공산은 23번째 이후로 밀렸다. 큰 진전은 없지만, 조금씩 절차를 밟아나가는 듯하다.

2023년 국립공원 승격을 목표로 대구광역시 측은 팔공산 군 부대 이전 추진을 하고 있다.

2023년 1월 3일, 환경부 2023년 안에 팔공산을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겠다고 밝혔다. # 하지만 여전히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편이다.[11]

2023년 3월 10일,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 마지막 관문을 거의 통과하였으며, 2023년 6월 5일 국립공원화 내용을 발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5월 23일, 환경부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23번째 국립공원이며 대구시와 경북도가 환경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한 지 2년, 2016년 8월 태백산도립공원이 22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한 뒤 7년 만이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국가가 직접 관리하게 돼 우수한 자연·문화자원이 도립공원 시절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탐방객들한테 높은 수준의 생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팔공산의 탐방객이 증가하고 지역관광산업도 활성화하는 등 지역경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도립공원 시절보다 개발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추진 중인 새 팔공산터널 건설에 영향이 있을 듯하다. 자세한 내용은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문서 참고.

9. 사건사고

9.1. 2006년 3월 12일 화재

2006년 3월 12일, 초등학생들의 사소한 장난으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한 적이 있다. 당시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위치해 있던 한 식당에서 부모들의 계모임에 따라 온 초등학생 3명이 식당의 마당에 있던 닭장에서 빠져나온 닭 한 마리를 발견했다. 닭을 잡겠다고 야외 테이블 위에 놓여 있던 기름이 남은 1회용 라이터로 종이에 불을 붙여 닭을 향해 던졌으나 닭이 불이 붙은 종이를 피했는데, 종이가 바람에 날려 주변의 낙엽에 불을 옮겨 붙이는 바람에 산불로 확산되었다. 이때 학생들의 학부모들이 불을 끄려고 노력했지만 강풍 때문에 실패했고 불은 더욱 커졌다.

결국 신고를 받고 119 소방대원이 출동하였으나 불길은 쉽게 진화되지 않았다. 이에 50사단 육군 병력과 지방 공무원 약 4100여 명, 군용 및 소방 헬기 13대가 추가로 투입되었다. 하지만 당시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이 불어닥쳐 불이 왕복 8차선 도로인 팔공로를 지나 인근 마을까지 번져 주변 민가의 주민 40여 명이 대피하였다. 불은 다행히 인근에 있는 공산댐의 물을 최대한 끌어 사용하여 16시간 만에 진화되었고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8ha 면적이 소실되었다.

대형사고를 일으킨 초등학생 3명은 미성년자라 처벌을 받지 않고 훈방되었다. #

9.2. 2023년 11월 19일 차량 전복 사고

2023년 11월 19일 오후 5시 50분경 동구 신용동 팔공산로 파계사에서 동화사로 가는 방면 내리막길에서 드라이브 중이던 i30 차량이 연석을 들이받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엽에 미끄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6세 여학생 1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15세 여학생 1명도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치료를 받던 중 역시 사망했다. 24세 운전자도 심정지 상태로 대구파티마병원에 실려 갔지만 11월 20일 오전 결국 사망했다. 함께 동승한 10대 남학생 2명도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각기 연인과 지인 사이로 확인됐다. #1 #2 #3

10. 매체

정확히는 팔공산에서 찍은 게 아니라, 팔공산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주로 공산 전투를 다룬 매체가 많다.

11. 여담

12. 대중교통

13. 둘러보기



[1] 팔공산 비로봉 비석에는 1,193m라고 적혀 있다. [2] 대구 동구 34.671㎢, 대구 군위군 21.901㎢, 경북 경산시 9.404㎢, 경북 영천시 29.882㎢, 경북 칠곡군 30.20㎢ [3] 심의/의결 2023년 05월 23일 [4] 국립공원공단 팔공산국립공원 채용공고 내용중 사무소 편제 기술됨 [5]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군위군 부계면,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영천시 신녕면, 청통면,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 [6] 정상은 산성봉(1,213m,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소재)이지만 군사시설이 있어서 비로봉(1,192m,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소재)이 실질적 정상 역할을 하고 있다. [7] 실제 최정상은 군사시설이 있는 1,213m 산성봉이다. [8] 동구 팔공산 주변 동은 053-98X번을 사용한다. [9] 이외의 동양방송의 FM 지역국인 한국FM방송 역시 팔공산에 송신소를 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팔공산이 아닌 곳에 FM 송신소가 들어선게 대구극동방송이 최초인 데다가, 후신인 KBS 대구FM 역시 팔공산에서 송신중이고, 1970년대 후반에 한국FM방송이 동양방송 TV중계 시험전파를 송출했었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당시 경상북도 대구시에서는 1977년 11월 27일 파나마에서 개최되었던 홍수환의 타이틀전을 시청할 수 있었고 경상남도 거창군에서도 동양방송 TV를 시청했다는 증언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체 송신소였는지 한국전기통신공사 등의 시설을 임대했는지는 불명. [10] 풍수지리에 따른 대구의 실제 진산은 이곳이 아니라 대구제일중학교 자리에 있는 낮은 구릉인 연귀산이지만, 제대로 된 산이 아닌 시가지가 들어선 구릉지대라 인지도는 매우 낮다. [11] 사실 등산 동호인 사이에서도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 편이다. [12] 스베르케르 요한손의 위키백과 봇 계정. [13] 팔공산의 좋은 기운을 받겠다는 건지 고시원이 있긴 하지만, 당연히 시험 성적에 영향을 미칠 규모는 아니다. [14] 일부 시간대만 운행. [군위군] 마을버스를 이용해야하며, 배차가 길기에 확인해야한다. [16] 1일 2회 [17] 일부 시간대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