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21:44:58

코사인 법칙

코사인법칙에서 넘어옴
평면기하학
Plane Geomet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공통 도형 · 직선 ( 반직선 · 선분 · 평행) · ( 맞꼭지각 · 동위각 · 엇각 · 삼각비) · 길이 · 넓이 · 다각형 ( 정다각형 · 대각선) · 작도 · 합동 · 닮음 · 등적변형 · 삼각함수 ( 덧셈정리) · 접선 · 벡터
삼각형 종류 정삼각형 · 이등변삼각형 · 부등변삼각형 · 예각삼각형 · 직각삼각형 · 둔각삼각형
성질 오심 ( 관련 정리 · 구점원) · 피타고라스 정리 · 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 헤론의 공식 · 신발끈 공식 · 스튜어트 정리 · 우산 정리 · 오일러 삼각형 정리 · 데자르그 정리 · 메넬라오스 정리 · 나폴레옹의 정리 · 체바 정리 · 사영 정리 · 판아우벌 정리
기타 세모 모양 · 평범한 삼각형 · 젤곤 삼각형 · 랭글리 삼각형 · 페르마 점
사각형 정사각형 · 직사각형 · 마름모 · 평행사변형 · 사다리꼴 · 등변 사다리꼴 · 연꼴 · 네모 모양
그 외 다각형 오각형 · 육각형 · 칠각형 · 팔각형 ( 정팔각형) · 구각형 · 십각형 · 십일각형 · 십이각형 · 백각형
단위원 · 원주율 · · 부채꼴 · 할선 · 활꼴 · 방정식 · 원주각 · 방멱 정리 · 톨레미 정리
원뿔곡선 포물선 · 타원 · 쌍곡선 · 파스칼 정리
기타 유클리드 · 보조선 · 테셀레이션( 펜로즈 타일) · 제곱근의 앵무조개 · 픽의 정리 · 논증 기하학 · 해석 기하학 · 3대 작도 불능 문제 }}}}}}}}}

1. 개요
1.1. 증명
1.1.1. 기본적인 증명1.1.2. 좌표를 이용한 증명1.1.3. 페이저와 복소수를 이용한 증명
1.2. 활용1.3. 제1 코사인 법칙
1.3.1. 증명
2.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cosine law · 餘弦法則

삼각형 삼각함수에 관한 정리.

삼각형 [math(\mathrm{ABC})]를 고려하자. 이때 각 [math(A)], [math(B)], [math(C)]의 대변을 각각 [math(a)], [math(b)], [math(c)]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는 법칙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2}&=b^{2}+c^{2}-2bc\cos{A} \\ b^{2}&=c^{2}+a^{2}-2ca\cos{B} \\ c^{2}&=a^{2}+b^{2}-2ab\cos{C} \end{aligned} )]

사인 법칙과 함께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찾을 때 유용한 정리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이상하게도 제1 코사인 법칙, 제2 코사인 법칙의 두가지로 나눴는데,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로는 과거 제2 코사인 법칙이 그냥 "코사인 법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이유는 후술할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제1 코사인법칙과 제2 코사인법칙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서이다.[2]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코사인법칙은 구면이나 쌍곡면의 제1 코사인법칙의 극한에 대응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구면이나 쌍곡의 제2 코사인법칙에 극한을 취하면 [math(\cos C_\infty=-\cos A_\infty\cos B_\infty+\sin A_\infty\sin B_\infty)]라는 자명한 식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비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제2 코사인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의 코사인 법칙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1.1. 증명

1.1.1. 기본적인 증명

삼각형 [math(\mathrm{ABC})]의 꼭짓점 [math(\mathrm{A})]의 대변 [math(\mathrm{BC})] 혹은 그 연장선 상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mathrm{H})]라 하자.

삼각형 [math(\mathrm{ABC})]가 예각 삼각형일 때, 그림은 아래와 같다.

파일:코사인법칙_증명_예각.png

이때, 위 그림을 참고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AH}}&=c\sin{B} \\ \overline{\mathrm{HC}}&=a-c\cos{B} \\ \overline{\mathrm{AC}}&=b \end{aligned} )]

이고, 삼각형 [math(\mathrm{AHC})]는 직각 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로 부터,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2 &= (c\sin B )^2 + (a - c\cos B)^2 \\ &=c^2 \sin^2 B + c^2 \cos^2 B + a^2 - 2ac\cos B \end{aligned} )]

을 얻는다. 이때, [math(\sin^2 B + \cos^2 B =1)]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2=c^2+a^2-2ca\cos B \end{aligned} )]

을 얻는다.

삼각형 [math({\mathrm{ABC}})]가 둔각 삼각형이거나 직각 삼각형의 경우에도 직각 삼각형 [math({\mathrm{AHC}})]을 이용하면 같은 식을 얻을 수 있고, 나머지 두 식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여기서 [math( \sin^2 B + \cos^2 B=1 )] 이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함수의 정의에서 유도되므로, 코사인 법칙은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함수의 정의의 결과, 또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삼각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확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3]

1.1.2. 좌표를 이용한 증명

파일:namu_코사인법칙_NEW.svg

점 [math(\rm B)]는 좌표평면의 원점이다. 삼각형 [math(\rm ABC)]에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해 점 [math(\rm A)]의 좌표는

[math({\rm A}(c\cos{B},\, c\sin{B}))]

이다.

두 점 사이 거리 공식에 의하여

[math(\begin{aligned} b^{2} &= { \overline{\rm AC}}^2 \\ &= (a-c\cos{B})^{2}+(0-c\sin{B})^{2} \\ &= a^{2}-2ac\cos{B}+c^{2}(\cos{B})^{2}+c^{2}(\sin{B})^2 \\ &= a^{2}-2ac\cos{B}+c^{2}[(\cos{B})^{2}+(\sin{B})^{2}] \\ &= a^{2}+c^{2}-2ac\cos{B} \end{aligned})]

같은 방법으로

[math(\begin{aligned} a^{2}&=b^{2}+c^{2}-2bc\cos{A} \\ c^{2}&=a^{2}+b^{2}-2ab\cos{C} \end{aligned} )]

임을 보일 수 있다.

1.1.3. 페이저와 복소수를 이용한 증명

파일:코사인법칙_증명_복소평면.png

그림에서 [math(\mathbf{C=A+B})]이므로 이를 페이저(Phasor)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Ce^{i \gamma }=Ae^{i \alpha }+Be^{i \beta } )]

이때, 오일러의 공식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C(\cos{\gamma}+i \sin{\gamma})=A(\cos{\alpha}+i \sin{\alpha})+B(\cos{\beta}+i \sin{\beta}) )]

이제 이것을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눠서 쓰면,

[math(\displaystyle C\cos{\gamma}=A\cos{\alpha}+B\cos{\beta} \\ C\sin{\gamma}=A\sin{\alpha}+B\sin{\beta} )]

윗식을 각각 제곱하여 더하면,

[math(\displaystyle C^2 \cos^2 {\gamma} + C^2 \sin^2 {\gamma} = A^2 \cos^2 {\alpha} + A^2 \sin^2{\alpha} + B^2 \cos^2{\beta} + B^2 \sin^2{\beta} + 2AB(\cos{\alpha}\cos{\beta}+ \sin{\alpha}\sin{\beta}) )]

이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n^{2}{x}+\cos^{2}{x}&=1 \\ \cos{( \alpha-\beta )} &=\cos\alpha \cos\beta +\sin\alpha \sin\beta \end{aligned} )]

임을 이용하여, 식을 간결하게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math(\displaystyle C^2 = A^2 + B^2 + 2 AB \cos(\alpha -\beta) )]

주어진 그림에서 끼인각 [math(\theta)]와 [math(\alpha)], [math(\beta)]와의 관계는

[math(\displaystyle \beta - \alpha = \pi +\theta )]

이므로 코사인의 우함수적 성질, 즉

[math(\displaystyle \cos{x}=\cos{(-x)} )]

임을 이용하면, 위에서 나온

[math(\displaystyle \cos{(\alpha - \beta)}=\cos(\beta - \alpha)=\cos(\pi + \theta) = -\cos{\theta} )]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C^2 =A^2 + B^2 - 2 AB \cos{\theta} )]

이때, [math(C)]는 길이이므로 항상 음이 아닌 수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1.2. 활용


[math(\displaystyle \cos{A}=\frac{b^{2}+c^{2}-a^{2}}{2bc} )] }}}
이는 세 변의 길이를 알 때, 각의 크기를 구할 때 요긴하게 쓰이게 된다. 또한, 이 조건 자체가 사실은 삼각형의 결정 조건이다. 즉, 삼각형에서 코사인 법칙의 두 식[4]은 해가 반드시 하나이다.[5] 값에 따라서 해가 두 개가 나올 수도 있는 사인 법칙과는 구분되는 점이다.
* 또한, 코사인 법칙은 피타고라스 정리의 일반화라 볼 수 있다. 이런 결론이 나오는 이유는 바로 이 법칙과 피타고라스 정리가 둘 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제5공준인 평행선 공준과 동치이기 때문.
* 물리학에서는 벡터를 많이 다루기 때문에 이 공식은 필히 알고 있어야 한다. 역학에서 두 힘의 합성을 구할 때나[6], 전자기학 다중극 전개 등에서 이를 활용하게 된다.

1.3. 제1 코사인 법칙

삼각형 [math(\mathrm{ABC})]를 고려하자. 각 [math(A)], [math(B)], [math(C)]의 대변의 길이를 각각 [math(a)], [math(b)], [math(c)]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는 법칙이다. 위에서 언급하였듯, 현재는 교육과정 내에서 따로 제2 코사인법칙과 나누어 가르치지 않는다. 간혹 가르치는 경우도 존재하나, 사실상 문제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코사인법칙만 알고 있어도 무방하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b\cos{C}+c\cos{B} \\ b&=c\cos{A}+a\cos{C} \\ c&=a\cos{B}+b\cos{A} \end{aligned} )]

제1코사인 법칙에서 각 변에 각각 [math(a)], [math(b)], [math(c)]을 곱하고 첫번째 식과 두번째 식을 더한 것에 세번째 식을 빼서 소거하면 제2코사인법칙을 얻는다. 피타고라스 정리를 가정하지 않아도 되고 제2코사인법칙이 피타고라스 정리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도 되는 셈.

1.3.1. 증명

삼각형 [math(\mathrm{ABC})]의 꼭짓점 [math(\mathrm{A})]의 대변 [math(\mathrm{BC})] 혹은 그 연장선 상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mathrm{H})]라 하자.

(ⅰ) [math(\triangle \mathrm{ABC})]가 예각 삼각형일 때

파일:코사인법칙_증명_예각.png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overline{\mathrm{BH}}+\overline{\mathrm{CH}} \\ &=c\cos{B}+b\cos{C} \end{aligned} )]



(ⅱ) [math(\triangle \mathrm{ABC})]가 둔각 삼각형일 때

파일:코사인법칙_증명_둔각.png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overline{\mathrm{BH}}-\overline{\mathrm{CH}} \\ &=c\cos{B}-b\cos{(180\degree-C)} \\ &=c\cos{B}+b\cos{C} \end{aligned} )]



(ⅲ) [math(\triangle \mathrm{ABC})]가 직각 삼각형일 때

파일:코사인법칙_증명_직각.png

위 그림에서

[math(\displaystyle a=\overline{\mathrm{BH}}=c\cos{B} )]

이고, [math(\angle C=90\degree)]이므로 [math(\cos{C}=0)]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a=c\cos{B}+b\cos{C} )]

이 성립한다.

나머지 두 변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2.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rowcolor=#fff> ' 기하학· 위상수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기본 대상
공리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도형 기본 도형 평면 · 부피 · 꼬인 위치 · 각기둥 · 각뿔 · 원기둥 · 원뿔 · ( 공 모양) · 전개도 · 겨냥도 · 다면체 ( 정다면체) · 정사영 · 대칭( 선대칭 · 점대칭)
곡면 타원면 · 타원포물면 · 쌍곡포물면 · 원환면
프랙털 도형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사각형( 멩거 스펀지) · 망델브로 집합 · 코흐 곡선 · 드래곤 커브
기타 다포체 · 초구 · 준구 · 일각형 · 이각형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타원곡선
미분기하학 미분다양체 · 측지선 · 곡률( 스칼라 곡률 · 리만-크리스토펠 곡률 텐서 · 리치 텐서) · 열률 · 텐서 · 쌍곡 공간( 쌍곡삼각형 · 푸앵카레 원반) · 타원 공간( 구면삼각형) · 아핀접속
위상수학 위상 공간 유계 · 옹골 집합 · 다양체 · 택시 거리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위상도형 사영평면 · 뫼비우스의 띠 · 클라인의 병 · 매듭( /목록)
주요 성질·정리 분리공리 · 우리손 거리화정리( 우리손 보조정리) · 베르 범주 정리
대수적 위상수학 호모토피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이론(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사상류 군 · 닐센-서스턴 분류
기타 차원 · 좌표계 · 거리함수 · 그물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 사이클로이드
정리·추측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해안선 역설 ·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 오일러 지표 · 푸앵카레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분야
논증기하학 · 대수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 기하학 · 매듭이론 · 프랙털 이론 · 정보기하학 · 위상 데이터분석 }}}}}}}}}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식의 형태가 완전히 달라진다.
미분기하학의 학습 난도를 올리는 원인 중 하나로, 이렇게 복잡해진 코사인 법칙을 외워서 활용해야 하기 때문. 특히 구면 공간에 대한 코사인 법칙은 지도 프로그래머들이 숙지해야 할 상황이 왕왕 생긴다.

3. 여담

4. 관련 문서



[1] 세계적으로 코사인 법칙이라 하면 제2 코사인 법칙만을 가리킨다. 예외적으로 현행 일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코사인 법칙를 제1 여현정리, 제2 여현정리로 구분을 한다. 참고로 중국과 일본에선 코사인을 여현(余弦)이라고 한다. 인도 역시 제1코사인법칙에 해당하는 내용을 배우나 projection formula라는 전혀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2] 다만 그 외에도 제1법칙은 사실상 제2법칙을 유도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식이라서 유명무실하기 때문에 통합한 것으로 보인다. [3] 삼각함수의 정의는 닮은 삼각형의 존재성에서 바로 나오고, 닮은 삼각형의 존재성과 피타고라스 정리와 평행선공준은 서로 동치인 명제이다. 따라서 코사인 법칙은 길이와 각에 관한 유클리드 기하학의 고유한 성질을 보여주는 명제라고 할 수 있고, 구면 위의 기하학에서는 이와 다른 정의와 법칙(구면삼각법)이 사용된다. [4] 원 식과 그 변형 [5] 원식은 양수값과 음수값 두개가 나오지만 변의 길이는 무조건 양수이므로 해가 하나, 변형식은 코사인함수가 [math(0\degree)]와 [math(180\degree)]사이에선 일대일 대응이기 때문에 해가 하나이다. [6] 크기 [math(A)], [math(B)], 두 힘 사이의 각이 [math(\theta)]일 때, 합력의 크기는 [math(\displaystyle F =\sqrt{ A^2 + B^2 + 2 AB \cos{\theta}} )]이다. 증명은 평행 사변형을 그리는 것으로 간단히 알 수 있다. [7] 내적을 행렬식 켤레전치를 이용해 [math(\left< {\bold u},\,{\bold v} \right> = \det(\overline{\bold u}^T {\bold v}))]로 코사인 법칙 없이 정의할 수도 있긴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