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인명이 아닌 지명, 단체명 등의 개명 사례를 다루는 문서이다.2. 목록
2.1. 개명을 한 동물
- 러바오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웬신(园欣)이었으나 한국으로 오면서 러바오(乐宝)로 개명했다.
- 아이바오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화니(华妮)였으나 한국으로 오면서 아이바오(爱宝)로 개명했다.
- 리리 - 우에노동물원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이름은 비리(比力)였으나 일본으로 오면서 리리(力力)로 개명했다.
- 신신 - 우에노동물원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이름은 셴뉘(仙女)였으나 일본으로 오면서 신신(真真)으로 개명했다.
- 레시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일본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토우야(とうや)였다.
- 레아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캐나다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로즈(Rose)였다.
- 레몬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일본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미루키(みるき)였다.
2.2. 개명을 한 장소들
2.2.1. 역
자세한 내용은 역명이 바뀐 역 문서 참고하십시오.2.2.1.1. 대한민국
2.2.1.1.1. 수도권 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노선별 보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ddd> 노선명 | 현재 역명 | 구 역명 | |
<rowcolor=#ddd> 1호선 | 양주 |
주내 (2006.12.15.~2007.12.27.) |
||
<rowcolor=#ddd> 가능 |
의정부북부 (1987.10.5.~2006.12.14.) |
|||
<rowcolor=#ddd> 광운대 |
성북 (1974.8.15.~2013.2.24.) |
|||
<rowcolor=#ddd> 외대앞 |
휘경 (1974.8.15.~1995.12.31.) |
|||
<rowcolor=#ddd> 가산디지털단지 |
가리봉 (1974.8.15.~2005.6.30.) |
|||
<rowcolor=#ddd> 금천구청 |
시흥 (1974.8.15.~2008.12.28.) |
|||
<rowcolor=#ddd> 의왕 |
부곡 (1974.8.15.~2004.6.24.) |
|||
<rowcolor=#ddd> 성균관대 |
율전 (1979.2.1.~1983.12.31.) |
성대앞 (1984.1.1.~1994.11.30.) |
||
<rowcolor=#ddd> 평택지제 |
지제 (2006.6.30.~2020.11.23.) |
|||
2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서울운동장 (1983.9.16.~1985.10.23.) |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
|
건대입구 |
화양 (1980.10.31.~1985.2.28.) |
|||
잠실나루 |
성내 (1980.10.31.~2010.5.26.) |
|||
잠실새내 |
신천 (1980.10.31.~2016.12.14.) |
|||
구로디지털단지 |
구로공단 (1984.5.22.~2004.9.30.) |
|||
용답 |
기지 (1980.10.31.~1992.3.19.) |
|||
3호선 | 경복궁 |
중앙청 (1985.10.18.~1987.4.30.) |
||
4호선 | 불암산 |
당고개 (1993.4.21.~2024.10.30.) |
||
미아사거리 |
미아삼거리 (1985.4.20.~2013.12.25.) |
|||
한성대입구 |
삼선교 (1985.4.20.~1985.10.23.)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서울운동장 (1985.10.18.~1985.10.23.) |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
||
총신대입구 (이수) |
이수 → 총신대입구 → 이수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 참조. |
|||
경마공원 |
경마장 (1994.4.1.~1999.12.31.) |
|||
정부과천청사 |
제2종합청사 (1994.4.1.~1998.5.14.) |
|||
평촌 |
벌말 (1993.1.15.~1996.12.15.) |
|||
초지 |
공단 (1994.1.10.~2012.6.29.) |
|||
5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동대문운동장 (1996.12.30.~2009.10.28.) |
||
청구 |
광희문 (1996.12.30.~1997.3.25.) |
|||
개롱 |
개농 (1996.3.30.~2000.4.30.) |
|||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2000.12.15.~2009.5.27.) |
||
<rowcolor=#eee> 7호선 | 자양 |
뚝섬유원지 (2000.8.1.~2024.2.28.) |
||
<rowcolor=#eee> 가산디지털단지 |
가리봉 (2000.2.29.~2005.6.30.) |
|||
<rowcolor=#eee> 광명사거리 |
광명 (2000.2.29.~2004.3.28.) |
|||
<rowcolor=#eee> 8호선 | 산성 |
남한산성 (1996.11.23.~1998.9.30.) |
||
<rowcolor=#eee> 남한산성입구 |
단대 (1996.11.23.~1998.9.30.) |
|||
경의·중앙선 | 한국항공대 |
화전 (2009.7.1.~2023.11.20.) |
||
서강대 |
서강 (2012.12.15.~2014.3.16.) |
|||
응봉 |
성수 (1978.12.9.~1980.7.9.) |
|||
수인·분당선 | 가천대 |
경원대 (1994.9.1.~2011.12.27.) |
||
수내 |
초림 (1994.9.1.~2002.9.24.) |
|||
정자 |
백궁 (1994.9.1.~2002.9.24.) |
|||
서해선 | 시우 |
원곡 (2018.6.16.~2020.11.23.) |
}}}}}}}}} |
서술기준 |
- 가산디지털단지역: 원래는 가리봉역이었으나 가산동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모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5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가능역: 원래 의정부북부역이라는 임시역으로 개통되었으나 2006년 경원선 전철의 소요산역 연장과 동시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가천대역: 본래는 경원대역이었다. 경원대학교가 가천의과학대학교와 통합하여 가천대학교가 되면서 2011년 가천대역으로 개명하였다.
- 건대입구역: 본래는 화양역이었다가 1985년 변경되었다.
- 경마공원역: 경마장역으로 개통 후 2000년 1월 변경되었다.
- 경복궁역: 원래 인근의 중앙청에서 유래한 중앙청역이었다가 1987년 변경되었다.
- 광명사거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구간 개통 당시(2000년 2월)부터 원래 이름은 광명역이었으나 2004년 KTX 광명역의 개통을 앞두고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광운대역: 본래는 성북역이었으나 성북구가 아닌 노원구에 있어서 2013년에 광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사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성북구였으나, 이 일대가 도봉구를 거쳐 노원구로 분구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로공단역이었으나 공단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화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4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금천구청역: 본래는 시흥역이었는데, 이 시흥이 경기도 시흥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뜻해서[1] 시흥시를 찾는 사람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그래서 금천구의 이름도 알릴 겸 해서 마침 금천구청 신청사가 옮겨 오면서 2008년 말에 금천구청역으로 바꿨다. 개명되기 이전에도 명칭을 바꾸기 위해 서명운동을 했었다.
- 남한산성입구역: 1996년 11월 개통 당시에는 단대역이었으나 1998년 10월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983년 서울운동장역으로 개통, 1985년 4호선 개통 직후 동대문운동장역으로 개명하였다가 2009년 동대문운동장 철거로 현 역명으로 바뀌었다.
- 동두천역: 본래 동두천역이었으나 1984년에 동안역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에 1호선 전철이 들어옴과 동시에 동두천역으로 환원되었다. 동시에 (구)동두천역(1984~2006)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바뀌었다.
- 동두천중앙역: 본래 어수동역이었건 것을 1984년에 동두천역으로 바꾸었고[2] 2006년에 1호선 전철 연장개통과 동시에 동두천중앙역으로 재변경하였다.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본래 수색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수색역 역명이 쓰이게 되면서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2009년 개명되었다. 광명사거리역과 비슷한 맥락.
- 미아사거리역: 본래 미아삼거리역이었으나 정작 역명의 유래가 된 교차로는 삼거리가 사거리로 바뀐지 오래여서 2013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불암산역: 본래 당고개역이었으나 2024년 10월 31일 불암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산성역: 본래 산성역은 남한산성역이었다. 1998년 10월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성균관대역: 원래는 율전역이었으나 1984년 1월 1일 성대앞역을 거쳐 1994년 12월 1일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서강대역: 본래 서강역이었으나 서강대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2014년 3월 17일부터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수내역: 본래 수내역은 초림역이었다. 성남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2002년 초림역은 수내역으로 개명하였다.
- 시우역: 본래 원곡역이었으나 2020년 시우역으로 바뀌었다.
- 양주역: 본래 주내역이었으나 2007년 양주역으로 바뀌었다.
- 외대앞역: 원래 휘경역이었으나 휘경동이 아닌 이문동에 위치하며 옆의 회기역이 휘경동에 위치하여 인근 한국외국어대학교의 명칭을 붙였다.
- 용답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군자차량기지에서 유래한 기지역이었으나, 지역명을 반영하지 못하는데다 양천구에 새로운 차량기지( 신정차량기지)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혼동을 줄 우려가 제기되어 1992년 3월 20일부로 이 역이 위치한 행정동인 용답동을 따라 용답역으로 변경되었다.
- 응봉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성수역이었으나, 개통을 앞두고 있던 2호선의 성수역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1980년 7월에 응봉역으로 변경되었다.
- 의왕역: 본래 부곡역이였으나 의왕시의 유일한 역임을 강조하기 위해 2004년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의왕역이었던 화물역은 오봉역으로 바뀌었다.
- 자양역: 개통 이전 임시역명이 자양역이었으나 정식 개통은 뚝섬유원지역으로 하였다. 2024년 2월 29일에 자양역으로 변경되며 24년만에 비로소 공식 역명이 되었다.
- 잠실나루역: 성내역에서 2010년에 역명을 바꾸었다. 성내역이라는 이름은 이 근처를 흐르는 성내천에서 유래되었으나, 역이 강동구 성내동과 전혀 관계없는 잠실동에 위치하여 문제가 되었다.
- 잠실새내역: 본래 신천역이었으나, 신촌역과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워 2016년 12월 15일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신천역은 2018년, 서해선이 가져갔다.
- 정부과천청사역: 제2종합청사역이었으나 제2종합청사가 정부과천청사로 바뀌면서 1998년에 개명했다.
- 정자역: 1994년 개통 당시 백궁역이었으나 2002년 9월 행정구역 개편에 맞추어 정자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구역: 광희문역이었으나 정작 광희문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당시에는 동대문운동장역)에서 가까운데다가 같은 노선에 광화문역도 있어 혼동의 여지가 있어서 1997년에 청구역으로 개명하였다.
- 초지역: 처음 이름은 공단역이였다. 역명과 지역의 괴리감 문제로, 2012년 6월 30일부로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총신대입구(이수)역: 이수역으로 개통했다가 총신대의 요청으로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2000년 7호선 개통으로 총신대와 가까운 남성역이 생겨 이수역으로 바뀌었으나 이수역/역명 논란 때문에 6개월 만에 4호선만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환원되었다.(7호선은 이수역)
- 평촌역: 1993년 개통 당시에는 경전선 평촌역과의 역명 중복 문제로 벌말역으로 개통되었는데, '벌말' 의 어감이 촌스럽다는 이유로 이유로 1996년 말 한자 역명인 평촌으로 바뀌었다.
- 평택지제역: 2006년 지제역으로 개통했다가 2020년에 평택지제역으로 변경되었다.
- 한국항공대역: 개통 당시에는 화전역으로 개통했다가 2023년 11월 21일 한국항공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역명 변경 전에도 부역명에 한국항공대가 있긴 했다. 부역명이 주역명으로 바뀐 사례.
- 한성대입구역: 1985년 4월 삼선교역으로 개통했다가 그해 10월 전 구간 개통에 맞추어 총신대입구역과 같은 이유로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이 되었다.
2.2.1.1.2. 부산 도시철도
- 동(洞)과 앞이 들어가는 1호선 17개역 : 본래는 노포동역, 동대신동역, 교대앞역, 부산대학앞역 등 '동' 자가 들어간 역명들이 많았고 '앞'이 들어간 대학 역명도 있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과 앞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과 '앞'을 삭제하는 것으로 일괄 개정되었다. 외자 동인 중동역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1년 후 개통한 4호선의 서동역도 외자라 동명을 넣었다.
- 시청역 : 본래는 연제역이었으나, 1998년 1월 2일에 부산광역시청이 시청역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한 동안 연제(시청)역으로 쓰이다 이후 주역명과 부역명을 바꿔서 시청(연제)역으로 개명되었다.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본래는 문전역이었으나, 부근에 문현금융단지가 개발되고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어남에 따라, 2014년 11월 5일 현재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벡스코(시립미술관)역 : 2호선 한정. 본래는 시립미술관역이었으나, 이역과 환승통로로 직접연결되는 동해선 광역전철역이 벡스코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2016년 11월 22일 현재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거제해맞이역 : 본래는 거제역으로 도시철도 3호선 거제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거제역 : 코레일측 역은 과거 동해남부선의 남문구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센텀역 : 본래는 수영역으로 도시철도 2, 3호선 수영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신해운대역 : 본래는 과거 동해남부선의 해운대역이었고 지금의 위치로 이설 이후에도 한동안 해운대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개운포역 : 선암역에서 이름을 바꿨다.
- 윗반송역 : 본래는 동부산대학역이었으나 인근의 동부산대학교가 폐교됨에 따라 혼동의 여지를 막고자 2021년 1월 1일경 윗반송역으로 개명하였다. 이는 국내 최초로 대학이 폐교되어 역명이 변경된 사례이다. 동부산대학역 시절에는 윗반송역이 부역명이었으며, 동부산대학교 폐교 이후 주역명이 된 케이스.
2.2.1.1.3. 대구 도시철도
- 성서산업단지역: 본래는 성서공단역이었으나, 2012년에 성서산업단지역로 바뀌었다.
- 청라언덕역: 본래는 서문시장역이었으나,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이 서문시장에 더 가깝게 되는 바람에 2014년 신남역으로 개명하였고, 2019년에 청라언덕역으로 또 개명하게 되었다.
- 동구청역: 원래는 큰고개역이었으나 2017년 3월 1일부터 큰고개는 부역명이 되고 동구청이 정식 역명이 되었다.
- 서부정류장역: 본래는 성당못역이였으나, 2019년에 서부정류장역으로 개명되었다.
- 칠성시장역: 개통 당시엔 칠성역이였으나, 2008년에 칠성시장역으로 개명되었다.
- 어린이세상역: 본래는 어린이회관역이었으나, 2023년에 어린이세상역으로 개명되었다. 변경된 명칭에 대한 내용은 대구어린이세상 문서를 참고.
2.2.1.1.4. 일반철도
- 계룡역: 본래는 두계역이었으나 계룡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계룡역으로 개명되었다.
- 광주송정역: 본래는 송정리역이었으나 호남선의 경우는 광주광역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광주송정역으로 개명되었고,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는 먼저 개명된 호남선의 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굴봉산역: 본래 서천역이었으나 장항선의 서천역과 중복된다고 경강역으로 바꾸었고,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굴봉산역으로 고쳤다.
- 금곡역: 본래 금곡리역이었으나 미금시 승격 이후 리를 떼고 금곡역으로 고쳤다.
- 김유정역: 본래는 신남역이었으나 이 역 인근에 김유정 문학촌이 있어서 2004년 김유정역으로 개명되었다.
- 단성역: 초기에는 충북단양역이었으나 후에 단양역으로 바뀌고, 충주댐으로 인해 구단양 일대가 수몰되어 단양역이 신단양으로 옮겨 가면서 구단양역이 되었다가 단양군 단양읍 구단양출장소가 단성면으로 승격되면서 단성역으로 개명되었다.
- 도담역: 본래는 매포역이었으나 1946년 경부선에 매포역이 신설되고 이 역은 도담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백산역: 본래는 태백신호장역이었으나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칭되면서 동백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익산역: 원래 이리의 구시가지에 있어서 구이리역이라고 하였다가 동이리역으로 개명한 후, 이리역이 익산역으로 개명할 때 동시에 동익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동해역: 본래는 북평역이었으나 소재지인 삼척군 북평읍이 명주군 묵호읍과 함께 동해시로 승격하면서 시의 이름을 따서 동해역으로 개명되었다.
- 무안역: 본래는 사창역이었으나 호남선 철도가 무안군 무안읍을 지나지 않아 '무안'이라는 이름을 쓸 역이 없어서 그나마 무안읍에서 가까운 사창역이 무안역으로 개명되었다.
- 미호역: 본래는 월곡역이었으나 1955년에 개명하였다.
- 민둥산역: 2009년 증산역에서 바꾸었다.
- 봉화역: 본래는 경북내성역이었으나 소재지인 봉화군 내성면을 봉화면[3]으로 개칭하면서 면의 이름을 따라 봉화역이 되었다.
- 부전역: 본래는 서면역이었으나 1943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상동역: 본래는 유천역이었으나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서경주역: 본래는 금장역이었으나 동대구에서 포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경주역에 서지 않게 되면서 경주의 역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개명되었다.
- 서울역: 본래 남대문역, 이후 경성역이었으나 일제 패망 이후 서울역으로 바뀌었다.
- 센텀역 : 동해선 기차역 시절에는 수영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되면서 부산 지하철 2.3호선 수영역과 역명이 중복되고, 역세권의 센텀파크 주민들이 행정구역의 불일치 및 역명 중복으로 인해 개명을 요구하게 되면서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센텀역으로 개명되었다.
- 신해운대역 : 구 역사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 인접하여 철도 역명도 해운대역이었고, 동해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역이 좌동으로 이설되고 나서도 역명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인해 도시철도 역과의 중복방지를 위해 신해운대역으로 개명되었다.
-
여수엑스포역 : 본래는 여수역이었으나
2012 여수 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여수엑스포역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여수엑스포가 끝났는데도 도로 여수역으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 영등포역 : 일제 시대 말기에 잠시 남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왕십리역: 1911년 경원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한 왕십리역의 당시 명칭은 '뚝섬'의 한자 표기인 독도에서 유래된 '독도역'이었다. 이후 1914년 현재의 역명인 왕십리역으로 개명하였다.
- 익산역: 본래 이리역이었으나 이리시와 익산군이 익산시로 통합되면서 익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일신역, 삼산역 : 본래 구둔역, 판대역이었다. 소재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설 후 개명하였다.
- 정읍역: 초기에는 정읍역이었으나 정읍군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정주역(井州)이 되었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을 정읍시로 통합하면서 정읍역으로 환원되었다.
- 죽림온천역: 개통 당시에는 죽림역이었으나 얼마 후 남관역이 되었다가 전라선 이설과 함께 죽림온천 인근으로 옮기면서 죽림온천역으로 개명하였다.
- 증평역: 청안역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본래 이 지역이 청안군 근서면이었으나 여러 번 행정구역 변경 끝에 증평군 증평읍으로 되고, 새 행정구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청량리역 : 일제 말기에 잠시 동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청소역: 본래 진죽역이었으나 진주역과 혼동되기 쉬워 청소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주역: 본래 정봉역이었으나 정봉역과 오근장역 사이를 직선화하면서 그 사이에 있던 청주역이 없어지자 청주역으로 개명하였다(일단 공식적으로는 '청주역의 이전'으로 보긴 한다).
- 탄부역: 1996년 두평역에서 바뀌었다.
- 태백역: 본래 황지역이었으나 삼척군 황지읍, 장성읍이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태백역으로 개명하였다.
- 태화강역 : 본래 울산역이었으나 경부고속선의 울산 소재 역이 울산역을 쓰게 됨에 따라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평내호평역 : 본래 평내역이었으나 역이 평내동이 아닌 호평동에 있는 데다 호평동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면서 평내역에 호평을 붙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함평역: 본래는 학교역이었으나 호남선 이설에 따라 함평역으로 개명되었다.
2.2.1.2. 그 외 국가
2.2.1.2.1. 일본
- JR난바역: 본래 미나토마치역(湊町)이었다.
- 가고시마츄오역: 개통 초기에는 타케(武), 그 이후 니시카고시마였다가 규슈 신칸센의 개업에 따라 니시카고시마(西鹿児島)에서 개칭.
- 고호쿠역: 니시큐슈 신칸센의 개업에 따라 히젠야마구치(肥前山口)에서 개칭.
- 나가오카쿄역: 본래 코타리역(神足)이었으나 나가오카쿄 시를 홍보하기 위해 1995년 8월 1일에 개명하였다.
- 네야가와시역: 본래 네야가와역(寝屋川)였으나 1955년 시가 되면서 네야가와시역이 되었다.
- 니시노미야역: 본래 니시노미야의 한자 표기는 西ノ宮였으나 2009년 ノ를 빼고 西宮로 바꾸었다.
- 류가사키시역: 2020년에 사누키(佐貫)에서 이름을 변경했다.
- 메이테츠나고야역: 본래 신나고야(新名古屋)였다.
- 무라야마역: 1999년 다테오카(楯岡)에서 역명을 바꾸었다.
- 미나미치토세역: 본래 치토세공항(千歳空港)였으나 1990년 신치토세 공항이 개업하고 역이 개업하면서 이 역이 미나미치토세(南千歳)로 이름을 바꿨다.
- 미나미후쿠오카역: 원래 잣쇼노쿠마(雑餉隈)였다.
- 미사키코엔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미나미탄노와(南淡輪)였다.
- 사쿠라기쵸역: 본래는 이 역이 요코하마(横浜)였다. 1915년 현재의 요코하마역이 개업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스미요시타이샤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스미요시 공원역(住吉公園)이었다.
- 시오미바시역: 시오미바시선 소속. 본래 도톤보리역(道頓堀)이었다.
- 신바시역: 본래 카라스모리역(烏森)이었으나 초대 신바시 역이 시오도메(汐留)로 개명함에 따라 이 역의 이름이 신바시로 개명되었다.
- 신시라카와역: 본래 이와키니시고역(磐城西鄕)이었으나 도호쿠 신칸센 개업과 함께 기존선의 역명을 바꾸었다. 동시에 히가시나스노역(東那須野)도 나스시오바라역으로 바꾸었다.
- 신쿠라시키역: 신칸센 개업 이전에는 타마시마(玉島)였으나 산요 신칸센 개업과 동시에 이름을 고쳤다.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본래 혼고역(本郷)이었으나 1942년 오시마오노역(渡島大野)으로 바꾸었다.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라 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로 개명.
-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 본래 츠가루이마베츠역(津軽今別)이었다.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역명을 오쿠츠가루이마베츠(奥津軽いまべつ)로 개명하였다. 여기서 いまべつ 부분은 한자를 히라가나로 고친 것.
- 와카야마역: 본래 히가시와카야마(東和歌山)였다. 당시 와카야마역은 키와역이었다.
- 이와테누마쿠나이역: 본래 누마쿠나이역(沼宮內)이었으나 도호쿠 신칸센의 개업에 맞추어 본래 역명 앞에 히라가나 いわて를 붙여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 이와테카와구치역: IGR 이와테 은하철도선의 역. 본래 카와구치(川口)였으나 사이타마현의 가와구치마치역이 가와구치역으로 바뀌면서 앞에 岩手를 붙였다.
- 이즈미오츠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오츠역(大津)이었으나 1942년 소재지인 센보쿠군 오츠초가 이즈미오츠시로 승격되면서 이 역의 이름도 앞에 泉자를 붙여서 이즈미오츠(泉大津)로 개명하였다.
- 이즈미사노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사노역(佐野)이었으나 1948년 소재지인 센난군 사노초가 이즈미사노시로 승격되면서 이 역의 이름도 앞에 泉자를 붙여서 이즈미사노(泉佐野)로 개명하였다.
- 조에츠묘코역: 본래 와키노다였다가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의 개업과 함께 개명하였다.
- 치쿠고후나고야역: 본래 이 역은 후나고야(船小屋)였다. 큐슈 신칸센 개업에 따라 치쿠고후나고야로 개명.
- 카와구치역: 도호쿠 본선 소속. 본래 카와구치마치(川口町)였으나 시 승격으로 町를 떼 버렸다. 이 때문에 원래 카와구치역이었던 이와테현의 역은 앞에 岩手를 붙일 수밖에 없었다.
- 카와치나가노역: 난카이 고야선 소속. 본래 나가노역(長野)였으나 소재지인 미나미카와치 군 나가노 정이 주변 정촌을 병합한 뒤 카와치나가노 시로 승격되면서 카와치나가노로 개명하였다.
- 키타카미역: 본래 쿠로사와지리역(黒沢尻)이었다. 쿠로사와지리정이 주변 촌을 병합해서 키타카미시가 되면서 역명을 키타카미(北上)로 바꾸었다.
- 타카이시역: 난카이 본선 소속. 개통 당시에는 쿠즈노하(葛葉)였다가 소재지를 따라 타카이시초(高石町)로 바꾸었다. 1966년 소재지인 센보쿠 군 타카이시 정이 타카이시 시로 승격되면서 뒤의 町자를 빼고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하마데라코엔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하마데라(浜寺)였다.
- 하치노헤역: 본래 시리우치(尻內)였다.[4] 당시 하치노헤역은 현재의 혼하치노헤역.
- 히가시하고로모역: 본래 한와하마데라(阪和浜寺)였다가 야마테하고로모(山手羽衣)를 거쳐 국철이 난카이 전기철도에서 야마테선을 인수하면서 히가시하고로모가 되었다.
2.2.1.2.2. 홍콩
- 야우마테이역: 본래 워털루역(Waterloo)이었다.
- 몽콕역: 본래 아가일역(Argyle)이었다.
- 몽콕이스트역: 본래는 이 역이 몽콕이었고 몽콕역은 아가일이었다. MTR 개통 이후에도 이름을 유지하다가 KCR이 MTR에 합병되면서 몽콕이스트가 되었다.
- 센트럴역: 본래 체이터역(Chater)이었다.
2.2.1.2.3. 대만
2.2.2. 공항
-
원주(횡성)공항
원래는 원주공항 였으나 활주로가 횡성에 있다는 횡성군의 주장을 근거로 괄호에 횡성을 집어넣었다.
-
포항경주공항
인근 도시인 경주시의 반발로 포항공항에서 포항경주공항으로 개명하였다.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본래 뉴욕 국제공항이었으나 존 F. 케네디 암살 후 그를 기려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5]
- 나리타 국제공항 : 본래 신도쿄 국제공항이었으나 도쿄 도가 아닌 치바 현에 소속되는 등 소재지와 괴리감을 느낀다는 이유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 후쿠오카 공항 : 본래 이타즈케 공항이었으나 후쿠오카 시의 이름을 따서 후쿠오카 공항이 되었다.
-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 : 본래 호놀룰루 국제공항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살아있을 때 명예 훈장까지 수훈받은 일본계 미국인 상원의원 대니얼 이노우에의 사망 직후 그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린든 핀들링 국제공항 : 본래 나소 국제공항이었으나 바하마의 국부(國父)로 여겨지는 린든 핀들링 총리를 기리는 의미에서 200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2.2.3. 국가
- 고구려: 장수왕 시기에 나라 이름을 '고려'로 바꾸었다.
- 고조선: 본래는 '조선'이었으나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후세 사람들이 1392년에 건국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이전의 조선을 '고조선'으로 바꿨다.[6]
- 말레이시아 : 본래는 말라야였으나 1963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 가입하면서 섬을 뜻하는 -sia를 넣어 '말레이시아'로 고쳤다.
- 백제: 성왕 이후 나라 이름을 '남부여'로 바꿨다.
- 부르키나파소: 본래는 오트볼타였으나 1984년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토마스 상카라를 위시한 장교들에 의한 국가개혁에 착수해 토마스 상카라가 오트볼타의 대통령직에 올랐는데 이 때 토마스 상카라는 국가명을 '정직한 사람들의 나라'라는 뜻의 부르키나 파소로 바꿨다.
- 북마케도니아: 본래는 마케도니아였으나, 국호 문제로 그리스와 갈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의 합의로 2019년부터 북마케도니아로 바꾸었다.
- 에스와티니: 2018년 독립 50주년을 맞아 스와질란드에서 이름을 고쳤다. 여기에 이 나라가 스위스(Switzerland)와 혼란이 있다는 이유도 있었다.
- 영국: 본래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였는데 아일랜드의 독립으로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가 되었다.
- 이란: 대내 명칭은 이란, 대외 명칭은 페르시아였다가 1933년 대외 명칭까지 '이란'으로 고쳤다.
- 청나라: 본래 금나라(후금)이었다.
- 캄보디아: 프랑스에서 독립할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캄보디아였으나 크메르 공화국을 거쳐 캄푸치아로 바꿨다. 공산주의 퇴진 이후 캄푸치아를 캄보디아로 개명했다.
- 타이: 본래 시암이었으나 1933년 국명을 태국어로 '자유'라는 뜻의 타이로 고쳤다.
- 태봉 : 본래 고구려의 장수왕이 개명한 이름을 따라 고려였으나, 궁예가 마진을 거쳐 태봉으로 나라 이름을 바꿨다.
- 튀르키예 : 본래 영문 국호는 '터키(Turkey)'였지만 2022년 자국어 명칭인 '튀르키예'를 대외 국호로도 활용하기로 했다. 한국어 명칭 역시 변경되었다.
- 콩고민주공화국 : 독립 당시에는 지금과 비슷한 콩고 공화국으로 불렀으나, 1971년에 자이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7] 그러다가 1997년에 반군들이 국가를 장악하면서 콩고민주공화국로 이름이 고쳐졌다.
2.2.4. 정당
참고로 대한민국/정당들은 지지율이 떨어지고 선거에서 질 때마다 이미지 세탁 겸 쇄신을 이유로 정당명과 정당색을 자주 바꾼다.- 국민의힘: 대한민국 보수정당 항목 참조. 창당할 당시에는 미래통합당이었으나 이후 국민의힘으로 바꾸었다.
- 더불어민주당: 민주당계 정당 항목 참조. 창당할 당시에는 새정치민주연합이었으나 이후 더불어민주당으로 바꾸었다.
2.2.5. 지역
개명/지명 참고.2.3. 개명을 한 기업
법인명을 바꾸기도 하고, 법인명은 유지한 채 브랜드만 바꾸기도 한다. 인수합병이나 역합병 문서도 참조할 수 있다.-
Apple Inc.
iPhone을 발표하면서 원래의 'Apple Computer Inc.'에서 '컴퓨터' 부분을 떼어내고 'Apple Inc.'로 개명하였다. 컴퓨터만 취급한다고 보기에는 사업 영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
테슬라
Tesla Motors 였으나 소프트웨어, 에너지 사업, 배터리 생산도 하기 때문에 Motors 를 뺐다.
-
알파벳(기업)
구글과 같은 기업을 A부터 Z까지 채워넣겠다는 의미에서 구글을 산하회사였던 알파벳에 종속시켜 개명했다.
-
메타 플랫폼스
원래 페이스북이 였으나 플랫폼 확장으로 메타 플랫폼스로 개명했다.
-
기아
테슬라와 유사한 케이스. 기아자동차였으나 모빌리티 기업으로 나가기 위해 테슬라와 동일하게 자동차를 사명에서 빼고 로고까지 교체했다.
-
KT
공기업 출신 기업이었다시피 원래는 '한국전기통신공사'였다가 '한국통신'을 거쳐 민영화 된 뒤 현재의 이름인 'KT'로 변경하였다.
-
LG U+
'LG텔레콤'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2010년 이상철 대표 취임 후 기존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인 LG파워콤과 LG데이콤을 LG텔레콤에 합병시키고[8] 사명을 'LG U+'로 변경을 하였다.
-
KG모빌리티
1954년 하동환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신진자동차 계열사에서 독립한 뒤 동아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가 쌍용그룹에 매각하면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쌍용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여러 기업을 거치면서 KG그룹에 매각한 뒤 사명을 쌍용자동차에서 KG모빌리티로 변경하였다.
2.4. 기타
2.4.1. 스포츠 구단
2.4.1.1. 축구
-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의 축구단. 본래 부천 SK였으나 제주도로 연고를 이전하면서 개명하였다.
- 김천 상무: 대한민국의 축구단. 본래 광주 상무 불사조였으나 상주시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상주 상무 피닉스로, 이어 상주 상무 축구단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김천시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김천 상무가 되었다.
- 쇼난 벨마레: 일본의 축구단. 창단 초기에는 벨마레 히라츠카였다.
- 도쿄 베르디: 일본의 축구단. 창단 당시에는 베르디 가와사키였으나 도쿄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베르디를 뒤로 뺐다.
- 워리어즈 FC: 싱가포르의 축구단. 본래는 싱가포르 암드 포시즈 FC였다.
- FC 분요드코르: 우즈베키스탄의 축구단. 본래는 PFC 쿠루브치였다.
- 멜버른 시티 FC: 호주의 축구단. 본래는 멜버른 하트였다. 시티 그룹이 인수하면서 멜버른 시티로 개명.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뉴튼 히스였다.
- 아스널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다이얼 스퀘어였다.
- 맨체스터 시티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아드윅이었다.
- FC 바르셀로나: 스페인의 축구단. 프랑코 정권 때 카탈루냐를 탄압하면서 팀의 이름이 잠시 CF 바르셀로나로 바뀐 적이 있었다.
- FC 댈러스: 미국의 축구단. 본래는 댈러스 번이었다.
- 스포팅 캔자스시티: 미국의 축구단. 본래는 캔자스 시티 위저즈였다.
- 알 두하일 SC: 카타르의 축구단. 본래 레크위야였으나 2017년 알두하일로 변경됐다.
2.4.1.2. 야구
- 두산 베어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OB 베어스였으나 현재 구단명으로 이름을 바꿨다.
- 키움 히어로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우리 히어로즈였다. 이후 히어로즈, 서울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를 거쳐 2018년 12월 현재의 키움 히어로즈로 개명하였다.[9]
- KIA 타이거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해태 타이거즈였으나 경제난으로 인수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미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플로리다 말린스였다.
- 한화 이글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빙그레 이글스에서 이름을 바꿨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고쿠테츠 스왈로즈였으나 산케이 스왈로즈, 산케이 아톰즈, 아톰즈, 야쿠르트 아톰즈,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거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총 6번 이름을 바꿨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난카이 호크스였으나 후쿠오카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2번 이름을 바꿨다.
2.4.1.3. 농구
- 브루클린 네츠 : 미국의 농구단. 본래 뉴저지 네츠였다가 뉴욕주 브루클린으로 연고를 이전하면서 팀명도 같이 바꾸었다.
- 워싱턴 위저즈 : 미국의 농구단. 본래 워싱턴 불리츠였지만 총알이라는 이름의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2.4.1.4. 미식축구
- 시카고 베어스 : 창단 당시 디케이터 스털리스였다. 이후 시카고 스털리스를 거쳐 현재의 시카고 베어스로 고쳤다.
2.4.2. 학교
2.4.2.1. 대학교
- 가천대학교 : 경기도 성남시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소재의 대학교. 본래 성남시에 소재한 경원대학교,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가천의과학대학교가 통합하여 가천대학교로 개명하였다.
- 경희대학교: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용인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는 신흥대학이었다.
- 연세대학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원주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 연희대학교였으나 세브란스의과대학을 병합하면서 두 대학에서 앞글자를 딴 연세대학교로 바꾸었다.
- 상명대학교: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천안시의 대학교. 본래 상명여자대학교였으나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이 되면서 '여자'를 떼고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성운대학교: 경상북도 영천시의 전문대학. 성덕대학에서 성덕대학교를 거쳐 성운대학교가 되었다.
- 신라대학교: 부산광역시의 대학교. 본래 부산여자대학교[10]였다가 남녀공학이 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유원대학교: 충청북도 영동군과 충청남도 아산시 소재의 대학교. 원래는 영동대학교였다.
- 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 그리스도대학교였으나 KC대학교를 거쳐 강서대학교가 되었다.
- 수성대학교 :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대학교. 본래 신일여자전문대학으로 시작, 신일전문대학, 대구산업정보대학을 거쳐 4년제 간호학과를 개설하며 지역명을 딴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2.4.2.2. 고등학교
-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 주엽공업고등학교에서 이름이 바뀌었다.
- 경남정보고등학교 : 진주상업고등학교에서 공립화되며 이름이 바뀌었다.
- 고양외국어고등학교 : 일반고였던 벽제고등학교에서 외국어고등학교로 전환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본래 이름은 공주사범대부속고등학교였다.
왜 바꾼 건지 모르겠다 - 남동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은봉고등학교였으나 인천에서 악명높은 운봉공업고등학교와 교명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개교 한 달 만에 교명이 바뀌었다.
- 대구관광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경일여자상업고등학교였다가 남녀공학이 되면서 대구정보관광고등학교로, 이어 대구관광고등학교로 고쳤다.
- 동광고등학교: 본래 이름은 성일여자고등학교[11]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동광고등학교로 바뀌었다.
- 리라아트고등학교: 리라공업학교 → 리라공업고등학교 → 리라컴퓨터고등학교 → 리라아트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본래 이름은 마산상업고등학교였다.
- 목상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목포상업고등학교였다가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남제일고등학교로 바꿨다가 동문회의 압력을 못 이겨 목상고등학교로 바꿨다.
- 백암고등학교 : 개교 당시는 운암고등학교였다.
-
부산과학고등학교 :
장영실과학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바꿨다.
왜 바꾼 건지 모르겠다 2 -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 개교 당시에는 북공업고등학교였으나, 2016년에 마이스터고로 재개교하면서 이름을 바꿨다.
- 서울아이티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은곡공업고등학교'였으나 디지털 시스템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되며 2009년에 교명이 변경되었다.
-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원래 이름은 송파공업고등학교였다.
- 세종하이텍고등학교: 원래 이름은 부강공업고등학교였다. 세종시에 편입됨에 따라 변경.
- 성남고등학교(경기): 원래 이름은 성남서고등학교였다.
- 성보경영고등학교: 성보여자상업고등학교 → 성보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 성보정보고등학교 → 성보경영고등학교.
- 솔샘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미양고등학교였다.
- 야탑고등학교: 사성고등학교 → 성인고등학교 → 야탑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상업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여고).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고등학교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청주대성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청주상업고등학교"였으나 일반계 전환 이후 개명.
- 청주IT과학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현도정보고등학교였다.
-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충북상업고등학교' 였으나 2001년 학과 개편과 함께 충북정보산업고등학교로 개명, 2002년에 충북인터넷고등학교, 그리고 최종적으로 2015년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로 개명되었다.
총합 3차례 개명되었다 - 한별고등학교 : 삼례여자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바꿨다.
- 청주하이텍고등학교 : 원래 교명은 충북전산기계고등학교.
- 초계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초계농업고등학교 → 초계종합고등학교 → 초계고등학교
-
용인홍천고등학교 :
강원도 홍천에 있는
홍천고등학교와 자주 헷갈리고 용인시민이 아니면 강원도 홍천의 고등학교를 떠올린다. 심지어는 공문이 서로 바뀌어 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2019년 교명 변경을 위한 설문조사와 찬반투표를 진행하였고, 홍천고등학교에서
용인홍천고등학교 로 교명이 바뀌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별 생각 없이 투표했다고..)
2.4.2.3. 중학교
- 중학교 입시 폐지 이후 교명을 변경한 일부 명문중들.
- 동광중학교: 본래 성일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바뀌었다.
- 솔샘중학교 : 본래 미양중학교였다.
- 신화중학교: 본래 화곡여자중학교였다.
- 세연중학교: 본래 황지여자중학교였다.
- 은성중학교: 본래 은광여자중학교였다.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중학교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창성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 창곡여자중학교, 창곡중학교( 남중)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초연중학교: 본래 초읍여자중학교였다.
- 한울중학교: 본래 대림여자중학교였다.
2.4.2.4. 초등학교
- 1995년 이전에 설립된 국내의 모든 초등학교: 본래는 XX 국민학교였다. 1996년 3월 1일부터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개칭하면서 모든 국민학교들이 'XX초등학교'와 같이 개명했다. 물론 용암초등학교와 같이 이후에도 한 번 더 개명한 케이스도 있다.[12]
2.4.3. 시설
- 에버랜드: 개장 당시에는 용인자연농원이었다. 1996년 4월 개장 20주년을 맞아 에버랜드로 개명.
- 에버랜드 롤링 엑스 트레인: 본래는 환상특급이었으나 락스빌이 조성되면서 2004년에 롤링 엑스 트레인으로 개명되었다.
- 에버랜드 舊 크레이지 리모: 본래는 샤크였다가 락스빌의 조성으로 롤링 엑스 트레인과 함께 크레이지 리모로 이름이 바뀌었다.
- 에버랜드 챔피언쉽 로데오: 본래 이름은 브레이크 댄스였으며 2006년에 개명되었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정글탐험보트: 본래는 지하탐험보트였다. 리뉴얼 이후 정글탐험보트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햇님달님: 본래는 후로그 호퍼였다. 리뉴얼 이후 트리블 호퍼로 개명했다가 어린이날에 맞춰 다시 햇님달님으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범퍼카 (실내): 본래는 크레이지 범퍼카였다. 2층으로 이전하면서 범퍼카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쁘띠빵빵: 본래는 자동차 경주였으나 리뉴얼 이후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서울랜드
-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본래는 냉천자연원이었으나, 2005년 허브힐즈, 2015년 힐크레스트, 2018년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으로 바뀌었다.
- 이월드: 본래는 우방타워랜드였으나, 2011년 개명되었다.
- 이월드 레인저: 본래는 하늘마차였으나 2017년경에 개명되었다.
- 경주월드: 본래는 도투락 월드였으나 개명하였다.
2.4.4. 제도
- 사회복무요원: 본래는 공익근무요원이었다.
2.4.5. 교과목
- 초등학교 수학: 본래 산수였으나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수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같은 시기 초등학교 자연 교과도 과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 기술·가정 - 본래 남학생만 배우는 기술, 여학생만 배우는 가정이라는 2개의 과목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부터 기술·가정으로 통합되었다. 즉, 엄밀히 보면 개명이 아닌 과목 통합이다.
- 기하: 본래 기하와 벡터였다. 차기 교육과정에서 공간벡터 내용을 삭제한 이후 기하로 이름을 바꿨다. 다만 평면 벡터는 남아있다.
- 고등학교 과학: 본래 공통과학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을 과학으로 바꿨다. 비슷한 이유로 사회 역시 공통사회에서 이름을 바꿨다.
- 물리학Ⅰ/ 물리학Ⅱ: 본래 물리Ⅰ/ 물리Ⅱ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물리를 물리학으로 바꿨다.
- 생명 과학Ⅰ/ 생명 과학Ⅱ: 본래 생물Ⅰ/ 생물Ⅱ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생물을 생명과학으로 바꿨다.
- 법과 정치: 별도의 사회탐구 영역이었던 법과 사회/ 정치가 통합해서 생긴 과목이다. 즉, 엄밀히 말하면 개명은 아니다.
- 정치와 법: 2015 교육과정에서 법과 정치에서 이 이름으로 바꿨다.
- 한국사: 본래 국사였으나 민족주의적 성격을 약화하기 위해 한국사로 이름을 바꿨다. 중학교 국사는 사회에서 세계사 파트를 끌어 와서 역사로 이름을 바꿨다.
2.4.6. 게임 캐릭터
- 크랭키콩: 본래는 이 캐릭터가 동키콩이었으나 손자에게 동키콩을 물려 주고 해당 캐릭터는 '크랭키콩'으로 고쳤다.
- 깔깔깔마녀: 본래 까르게모나였다.
- 마자: 무인편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래용으로 나왔다. 비슷한 사례로 연꽃몬은 원래 로토, 에나비는 원래 스키티, 켈리몬은 원래 숨을래몬으로 나왔다가 이후 변경되었다.
- 슈륙챙이: 2세대 골드/실버 버전까지는 '수륙양용'에서 따온 수륙챙이였으나, 4세대 DP 디아루가/펄기아의 한글판이 발매될 때[13] 어째선지 슈륙챙이로 개명되었다
[1]
물론, 역 건립 당시에는 이곳이
시흥군이었기 때문에 지명과 맞기는 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부군면 통폐합을 하면서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 거다.
[2]
동시에 원래 동두천역이었던 역은 동안역으로 변경되었다.
[3]
현재의 봉화읍
[4]
그래서 홋카이도
마츠마에선(폐선)의 시리우치역은
오시마시리우치(渡島知內)였다.
[5]
그런데 정작 케네디는 뉴욕과는 연이 없고 매사추세츠 기반이었다. 그나마 1960 대통령 선거에서 뉴욕주를 가져가기는 했다.
[6]
엄밀히 따지면 개명은 아니다. 그저 후대에 와서 후대의 조선과 구분하기 위한 별칭 내지 이칭이라.
[7]
이 과정에서 수도의 이름도
킨샤사로 바꿨다.
[8]
합병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통합LG텔레콤'이라는 명칭을 잠깐 사용했다.
[9]
명명권을 가진 메인 스폰서가 어디냐에 따라 구단 명칭이 달라진다.
[10]
현존하고 있는 2/3년제
부산여자대학교와는 다르다.
[11]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성일여자고등학교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12]
대변초등학교에서 개명.
[13]
3세대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버전은 한글판이 발매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