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1:31:11

싱가포르/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싱가포르
동남아시아 경제
ASEAN-5
[[인도네시아/경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태국/경제|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말레이시아/경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베트남/경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필리핀/경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SEAN-10
[[미얀마/경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캄보디아/경제|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라오스/경제|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브루나이/경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싱가포르/경제|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ASEAN 가입 후보
[[동티모르/경제|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푸아뉴기니/경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81b2c 50%, #fff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e81b2c><colbgcolor=#fff>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정치 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 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 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 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DBS·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 싱가포르군(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 레바 공군기지 · 셀레타 공항
교육 다중언어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이공대학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문화 언어 · 종교 · 교육 · 사회 · 요리( 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그랑프리 · 중국어( 표준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 간체자 · 번체자)
인물 리콴유 · 고촉통 · 리셴룽
교통 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 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 항만 공사 · 싱가포르 MRT( 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Land Transport Authority· 우드랜즈 역
관광 관광
민족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베트남인)
기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 ||

싱가포르의 경제정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1_singapore_city_skyline_dusk_panorama_2011.jpg
<colbgcolor=#E81B2C> 인구 598만 명 2023년
경제 규모(명목 GDP) 4,973억 달러 2023년
경제 규모( PPP GDP) 7,532억 달러 2023년
1인당 명목 GDP 87,884 달러 2023년 IMF 기준 세계 5위
1인당 PPP GDP 133,108 달러 2023년 IMF 기준 세계3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118.2%[1] 2011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aa 2012년, 1등급[2]
피치 국가 신용등급 AAA 2021년

1. 개요2. 돈 세탁3. 복지정책과 노동정책4. 물가5. 주요 산업
5.1. 해운업5.2. 제조업5.3. 금융업5.4. 관광/도박업
6. 소득7. GDP8. 수출 구조

[clearfix]

1. 개요

아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로 꼽힌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1인당 GDP는 2024년 IMF 통계 기준 88,447달러, 세계 5위 미국(85,373달러)보다 높고 노르웨이(94,660달러)에 버금가는 수준이다.[3]

싱가포르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지정학적 위치의 중계무역 중심지로서 독립 이전부터 아시아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높은 곳이었다. 싱가포르 식민지 시절이던 1960년부터[4] 이미 싱가포르의 1인당 국민소득은 428달러로 세계 평균(459달러)보다는 약간 낮긴 했으나 홍콩(424달러)보다도 높은 것은 물론 논외격이었던 이스라엘(1229달러)[5]과 한참 고도성장의 가도를 달리던 일본(479달러)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 상위권으로 잘 사는 나라였다.[6] 1968년 기준으로 1인당 GDP가 709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평균을 넘기긴 했으나 본격적인 경제성장은 1970년대에야 시작되는데, 처음으로 1000달러를 돌파한(1071달러) 1971년으로부터 10년 후인 1981년에는 세계 평균(2594달러)의 2배를 넘긴 5596달러를 기록, 싱가포르는 1980년대 초부터 선진국이라고 부를 만한 경제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리콴유 퇴임 1년 전인 1989년에는 1인당 GDP가 10,395달러로 1만 달러를 돌파했고, 1994년에는 21,553달러로 2만 달러를 돌파하며 영국, 이탈리아, 호주 이상으로 높았고, 1997년 외환 위기의 상처로[7] 잠깐 머뭇거릴 뻔했으나 대침체 시기에는 오히려 멈출 줄 모르는 성장을 기록,[8] 2011년 53,890달러를 기록하며 5만 달러를 돌파함과 동시에 미국까지 추월했다. 2021년 현재 싱가포르의 1인당 GDP는 72,794달러로 70,247달러인 미국보다 2,500달러 이상 높다.

독립 이후부턴 지정학적인 입지를 살려 임가공, 선박정비에서 출발해 21세기를 전후해서는 금융허브 도시국가로 성장했다. 관광, 석유가공, 도박 산업도 성공시키며 상술한 것처럼 1인당 GDP가 미국보다 높은 부국으로 성장했다.[9] 다만 1인당 GDP는 1인당 평균 소득과는 다른 개념이라 싱가포르도 소득 양극화가 심한 편이긴 하다. 자세한건 후술된 소득 항목 참조. 실업률은 2020년 기준 약 2.9%로 평균 2%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고용률도 높은 편. ( 싱가포르 통계청 자료 참조). 노동시간은 긴 편이다.

싱가포르는 경제적으론 시장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도시지만, 역설적이게도 국영 기업들의 비율이 높은 도시기도 하다. 국영 투자회사인 GIC Private Limited[10] 테마섹 싱가포르항공 싱가포르 창이 공항, 싱가포르항만공사, 싱가포르텔레콤, 싱가포르개발은행, 미디어코프, Seatrium, STATS칩팩 등과 같이 사회간접자본 분야를 필두로 국내 대부분 산업에 걸쳐 대기업들을 지배하고 있다. 테마섹의 전직 최고경영자는 리셴룽 총리의 부인인데, 덕분에 최악의 정경유착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탐오조사국까지 차려 부정부패를 척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싱가포르지만 이런 불공정한 모양새는 말이 나온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지에 따르면 2014년 세계 정경유착 순위 5위에 랭크되었으며,[11] 세계의 자유 지수에서도 싱가포르는 부정부패와 관련된 C2 조항에 정경유착이 반영되어 4점 만점에 3점에 그치고 있다.

싱가포르는 권위주의적인 정권 특성상 '잘 사는 북한'이라는 비난도 듣고 있다. 이전부터 동남아 무역허브로서의 지리적 이점과 중화 문화권에 영어가 통하는 지역이라는 이점으로 홍콩과 함께 동아시아 금융 허브로서의 특혜도 누리고 있지만, 2010년대 들어 홍콩의 민주주의가 쇠퇴하고 이로 인한 중국과 서방세계의 마찰로 서구권 자본이 홍콩에서 빠져나오는 시점에서, 친서방 국가이지만 경찰국가로도 일각에서 부를 만큼 사회적 통제가 큰 싱가포르가 홍콩과 큰 차이가 없다는 비아냥도 나왔다. 이로 인해 서구권 자본이 대거 투입된 이런 싱가포르의 번영은 권위주의 체제를 강화시키는 것에 그친다고 저평가하는 이들도 있다. 다만 2020년 싱가포르 총선거 이후로 야당이 크게 약진하면서 싱가포르의 사회 분위기가 점점 자유로워지고 있기는 하지만.[12]

2020년 2분기 코로나 여파가 들이닥치면서 싱가포르의 GDP가 전분기 대비 41.2%나 감소하는 등 경기침체에 돌입했다. # 주요 산업 중 하나인 관광, 도박 등 소비 산업이 대거 멈춰섰으니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 이런 산업 구조가 싱가포르 경제의 취약점 중 하나라고 보는 분석가들도 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S&P, Fitch와 Moody's에서 모두 국가신용등급 최고등급을 받은 국가이다. 아시아 국가로서는 유일하며, 중립국으로서의 안정성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2. 돈 세탁

' 아시아 스위스'라는 경제 모델을 지향하다보니, 돈의 출처에 대해 문제삼지 않아 검은 돈이 몰려들고 있다. 돈만 있다면 이민도 쉬워서 남의 나라 경제 사범까지 받아들인다고 한다. 특히 싱가포르 정부는 타국과 범죄인 인도조약을 좀처럼 맺지 않기 때문에 아시아 주변국들로부터 부정적인 시선을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경제 사범을 숨겨주는 싱가포르에 반발해 간척에 필요한 모래 수출 중단 조치를 내린 적도 있다.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헐값에 매물로 나온 각국의 기간 은행을 대대적으로 인수해 반감을 산 적도 있다. 태국에선 싱가포르가 은행 뿐 아니라 탁신 친나왓 총리 소유의 통신 대기업을 통째로 사들이면서 싱가포르에 대한 국민 감정이 터졌다. 태국의 한 장군은 자기 부하들에게 전화 도청 우려가 있다며 사용 중지를 명했을 정도. 각국 대기업 지분 인수에는 테마섹이 이용됐다.

3. 복지정책과 노동정책

국민에게 주는 복지 정책의 경우, 우선 주택 문제에서 주택의 85%를 싱가포르 주택개발청이 저렴하게 분양 혹은 임대해 국민 부담을 줄이고 있다. 쉽게 말해 집 사지 말고 임대해서 반평생 살라는 것. 한국인들이 매달 국민연금을 월급에서 떼듯이, CPF라는 이름의 연금을 강제 가입하게 해서 임대주택을 청약하게 하고 있다.[13] 저축액에 대해서는 3~5%의 이자를 지급한다. 또 싱가포르는 의료보장정책으로 3Ms(Medisave, MediShield Life, Medifund)와 장기요양보험인(Elder Shield)를 운영하고 있다.[14]

하지만 주택과 의료 복지 정책을 제외하면, 나머지 싱가포르의 복지 정책은 마냥 좋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싱가포르 인구의 1/4인 130만 명 정도는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로 상당수는 동남아/서남아 개도국이나 빈국 출신들이다. 따라서 노조가 있긴 하지만 단순 노동력은 자국민이 아닌 개도국 외국인력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만큼 정부에 의해 강하게 통제되어있다.

단순 인력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자국민이 아닌 빈국 출신이다 보니 최저임금 제도가 없고 해고와 이직, 고용 등에 있어 노동자에 대한 보호장치가 적고 고용유연성이 매우 높다 (고용유연성이 높아 실업률이 낮은 것은 그나마 위안). 게다가 무기 계약직이 성행하고 고용에 따른 기업의 준조세 부담 또한 거의 없는 수준. 쉽게 말해 (일부 분야에 한해) 시장 자율성을 최대로 올려놓고, 사회안전 보장제도는 비교적 적어 보인다.

특히 2013년 인도계 외국인 노동자들이 싱가포르에서 일으킨 폭동은 싱가포르 노동정책의 어두운 단면들을 잘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다만 외국인 노동자 기준이 아닌 싱가포르 국적자 기준으로 보면 국민들의 최소한의 생계에 걱정이 없도록 노력은 한다고 볼 수 있는데, 먼저 주택과 건강 보험 이야기는 앞에서도 나왔고 다른 부분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싱가포르는 무상 복지가 없는 대신 일할 의지가 있는 국민들에게는 상당히 지원을 해준다는 것이다.

요컨대, 일을 하기는 해야 하고, 노조나 파업 등에 대한 규제도 얼핏 보면 굉장히 심하지만, 그렇다고 국민에 대한 소통망이 닫혀있는 것은 결코 아니기 때문에 [19] '권위주의'라고 해서 마냥 꽉 막히고 소통이 단절된 폭군을 생각하면 곤란하다. 실제로 보편복지의 일환으로 CDC Voucher(Community Development Council Voucher)를 종종 시민권자 가정에게 지급한다. 2024년 1월에는 식료품 구매에 250 싱가포르달러, 호커센터 등 서민 식당에서 250 싱가포르달러를 쓸 수 있는 온라인 바우처를 지급했다.[20]

싱가포르의 복지 원칙을 요약하자면 일단 싱가포르 국적자 기준 스스로 일할 의지가 있으면 기본적인 생활 여건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무상 복지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일을하는 저소득층에게는 각종 복지혜택을 제공한다. 각주에서 이야기한 월5만원짜리 임대주택이 그 중 한 예이다. 뿐만 아니라 지체장애인들이 전동휠체어를 타고 그랩(Grab) 음식배달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지체장애인들에게도 사회생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선진적인 장애인 정책이기도하고 동시에 무상복지 대신 조금이라도 일하는 경우에 복지를 제공한다는 싱가포르의 복지 철학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싱가포르 구성원 상당수를 차지하는 동남아, 서남아 외국인 노동자들의 노동 여건은 좋다고 할 수 없지만 국적자 기준이면 최소 의식주 문제는 걱정없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4. 물가

GDP를 생각하면 생각보다 물가가 비싸지는 않다. 당연히 분야에 따라선 물가가 더 비싼 부분도 있지만 편의점이나 일반 음식점 등에서의 물가는 북유럽이나 하와이 등과 같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는 아니다. 이것이 전술한 주거복지정책과 합쳐진 덕택에 봉급 수준이 선진국치고 높지 않음에도 대부분의 선진국과 달리 PPP가 GDP보다 많이 높으며, 경제적인 격차가 심하더라도 소박하게 먹고 살고 복지 혜택을 받는 데에는 지장이 없기에 정계에 큰 혼란이 없이 나라가 잘 굴러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무역항 및 풍부한 해산자원에 더해 결정적으로 바로 옆에 물가가 훨씬 싼 말레이시아가 붙어있다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당장 싱가포르 주민들도 생활물자 등의 쇼핑은 옆동네 말레이시아로 넘어가서 잔뜩 사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니 싱가포르 내 물가도 확 뛸 수가 없다. 덕분에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잇는 다리는 관광객들까지 겹쳐 항상 붐빈다. 심지어는 매일 국경을 넘나들며 거주는 말레이시아에서, 노동은 싱가포르에서 하는 경우도 상당한 편이다.[21]

5. 주요 산업

5.1. 해운업

태평양 항로와 유럽 항로를 연계하는 환적허브로 자리매김한 싱가포르항은 중국 상하이항이 부상하기 전까지 오랫동안 세계 1위의 물동량을 기록했던 항구며 상하이항에게 1위 자리를 뺏기고 난 후에도 세계 2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상하이항이 세계 최대 수출입 항만이라면 싱가포르항은 세계 최대의 환적 항만이다. 전 세계 환적 화물의 20%가 싱가포르항에서 처리 되며, 싱가포르항을 운영하는 PSA는 세계 1, 2위를 다투는 항만 운영사이기도 하다.

5.2. 제조업

흔히 금융업, 무역업, 관광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는 인식과는 다르게 제조업이 가장 크며, 전자산업이나 석유화학, 해양 플랜트를 위시로 한 조선 기자재 산업 등이 발달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Seatrium이 있다. 2021년 기준 제조업이 GDP의 22%이고, 노동자의 12%를 고용한다. 반도체 산업이 가장 규모가 커서 혼자서 경제 규모의 7%를 차지한다.

사운드 카드였던 사운드 블래스터를 만든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싱가포르 회사. 과거에는 매킨토시 애플 제품도 싱가포르에서 제조된 바 있다.

미국의 파운드리 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의 공장[22] 대부분이 싱가포르에 위치해 있으며 현대자동차 공장도 있다.

5.3. 금융업

싱가포르를 먹여살리는 젖줄 그 자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증권거래소 싱가포르 거래소가 있고, 자산관리와 자원거래에 특화되었다.

프레친과 베르텍스 연구소의 보고서를 분석한 기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전체 벤처 투자액이 2,060억 달러(한화 약 20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아시아 금융 허브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기업 시가총액 1,2위는 금융사인 싱가포르개발은행 OCBC다.

아세안 지역의 벤처 투자 중 6개 펀드의 본사도 싱가포르에서 조성됐고 3억 1,360만 달러(한화 약 3,941억 원) 규모의 베르텍스 SEA & 인디아 펀드(Vertex Ventures SEA & India Fund)Ⅳ는 6개 펀드 중 가장 큰 규모의 펀드다.

아세안에 집중된 운용자산(ASEAN-focused Assets under Management)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530억 달러(한화 약 66조 6,210억 원)에 도달했고, 시장으로 투입된 운용자산 규모도 처음으로 100억 달러(한화 약 12조 5,700억 원)를 기록했다.

국부펀드인 싱가포르 투자청하고 테마섹이 유명하다. 글로벌 리츠로 유명한 캐피탈랜드 아쎈다스 리츠가 싱가포르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5.4. 관광/도박업

싱가포르는 관광 도시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주변국 여행과 쇼핑까지 겸한 수요도 끌어들이는 편. 이런 연장선상에서 2천년대 중반부턴 복합 리조트 계획도 밀어붙이는데, 특히 2천년대 후반 세계금융위기로 싱가포르를 지탱하던 금융업이 휘청일 기미를 보이자 새 돌파구로 찾은 것이 카지노 산업이었다. 초대 총리인 리콴유를 포함해 많은 싱가포르인들이 도박 합법화에 반대했지만, 자국민의 도박 중독을 줄이기 위한 규제와 같이 도박 산업은 허용되었다.

라스베가스 샌즈 소유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은 전세계에서 카지노가 포함된 복합시설 중 가장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6. 소득

싱가포르 통계청에 의하면 싱가포르 국적, 영주권을 보유한 정규직 근로자의 중위소득은 23년 기준 월 5,197 싱가포르 달러[23], 한화로 한 달에 약 520만원 버는 수준이다. #

다만 영주권, 국적을 보유한 정규직 외에 싱가포르내 거주하는 모든 형태의 근로자를 다 포함하면 중위소득은 이보다는 더 낮아진다. 싱가포르 거주자의 가계 구성원 1인당 중위소득은 한달 기준 3500 싱가포르 달러며, 이는 한화로 약 350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

23년도 기준 207만원인 한국 1인가구 중위 소득과 비교했을 때 약 1.5배 정도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비슷한 도시국가인 리히텐슈타인, 홍콩, 마카오와 비교하면 각각 장단점들은 있다. 리히텐슈타인의 1인당 GDP는 10만 달러가 훨씬 넘고 홍콩과 마카오의 1인당 gdp는 50,000달러 넘는다. 리히텐슈타인은 대부분의 국민이 스위스나 오스트리아, 독일 등 주변국에 취직하니 침대경제라고 볼 수 있고 홍콩의 경우 금융권 위주로, 마카오는 카지노 산업 위주로 돈을 번다. 당연히 이로 인해 양극화가 극심하다. 싱가포르도 예외는 아니라서, 부가 특정 계층에 쏠리는 것이 웬만한 선진국가들보다 심한 편이다.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부실하다보니 소득이 외국계 부유층과 금융권 종사자들에 집중되어 있다. 다만 주변이 자국보다 소득이 떨어지다 보니 리히텐슈타인이나 마카오처럼 주변국에 많이들 취직하지는 않는다. 물론 싱가포르에는 다국적 기업이 많다. 다만 이유를 보면 규제가 적고 금융권, 공무원을 제외한 대부분 국민들의 임금을 낮게 주기 때문이다. 싱가포르의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영상. 싱가포르의 소득 불평등을 잘 보여주니 한번쯤 시청하길 바란다.

애초에 1인당 GDP라는 것은 1인당 평균 소득과는 다른 개념이다. 싱가포르의 1인당 평균 소득이 90,000달러 정도(한화로 약 8,900만원)이기 때문에 싱가폴 사람들의 평균 연소득이 30,000달러 정도인 한국인들보다 통상적으로 3배 정도라고 생각하는 한국사람들이 많지만 이것은 사실과 좀 다르다. 앞서 언급한 도시국가+ 바레인, 카타르, 브루나이, 쿠웨이트 등 국가규모는 작지만 석유가 쏟아지는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의 부의 대부분은 소수의 계층에게 편중되어 있고, 싱가포르의 부유층들은 대부분 현지 재벌, 엘리트 금융계 종사자, 외국인 기업가, 성공한 사업가들로 한정되어 있을 뿐이다. 대다수의 현지인들은 그냥 중소기업, 하급 공무원, 버스 운전자, 택시기사 등의 일로 먹고 살며 소득도 그리 많지 않으며 우리들의 편견과는 달리 절대적 빈곤층도 꽤나 많은 편이다. 부유층들은 개인주택 아니면 최고급 콘도미니엄에 사는 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냥 낡은 아파트에 산다. 또한 한국의 영구임대아파트와는 다소 다른 개념이지만 국민의 86%는 HDB라고 하는 영구임대아파트에 살고 있는 실정이다.[24]

아울러 개인 소득과 가계 소득의 차이가 워낙 심한데, 이건 대부분의 경제 선진국들에서 보기 힘든 현상이다. 싱가포르의 경제통계는 국제기구에서 찾기 힘든데 그래서 직접적으로 기준을 통일하여 비교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원인일 수 있는 요소가 있다면, 싱가포르의 높은 가계소득은 자국의 금융권 종사자들과 고연봉 공무원 그리고 적은 규제와 세금감면 등 각종 혜택으로 인해 돈 있는 외국인 부유층이 이민을 굉장히 많이 오는데 이때 외국인 부유층들의 자산이 가계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개인소득과는 별개로 가계소득만 늘어날 수 있다.

노동시간이 상당히 긴 편이다. 2016년 기준 싱가포르 고용노동부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간 노동시간은 2,371시간이다. 그러나 주당 노동시간은 40시간 안팎이다.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이 2,193시간, 주당 노동시간이 43시간 이상인 것과 비교된다. 싱가포르인들이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 지 다음 투표 때 여당에 대한 지지율 변화를 주목하기 바란다 [25].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2019년 실질 GDP 증가율은 전년대비 0.7%를 기록하면서 실질 국내총생산이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싱가포르 무역산업부가 발표했다. #

7. GDP

파일:attachment/싱가포르/경제/Example.jpg

▲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조사한 싱가포르의 경제 규모. GDP(국내총생산)가 3,272억 달러로 총 21위를 차지하였다.

2017년 기준 GDP 대비 무역의존도는 무려 300%를 상회했을 정도로 수출 주도형 경제가 갖추어졌으며, 내수 구성비가 50%에 못미칠 정도로 내수가 빈약한 편이다.[26]

8. 수출 구조

위키 이미지
2012년 싱가포르의 수출 구조, 파란색이 일반 제조업,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 관련 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노랑색이 농업, 초록색이 의류업, 연갈색은 식품업, 갈색은 광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27]


[1]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2]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21121005014959 [3] 싱가포르보다 잘 사는 나라는 노르웨이, 스위스(105,669달러), 아일랜드(106,059달러), 룩셈부르크(131,384달러) 4개국이 전부다. [4] 이하 세계은행 통계 기준. [5] 1960년 당시에도 1인당 GDP가 벨기에에 준하는 수준일 정도로 잘 사는 나라였다. [6] 참고로 1960년 당시 한국 1인당 GDP는 158달러였고 중국은 89달러였으며, 인도는 82달러였다. 한국은 군사정권 주도 하에 일어난 환율 변동으로(다만 환율변동 전 환율이 고정환율로써 실제에 비해 고평가된 환율이긴 했다) 1961년까지 94달러로 떨어졌다. 일본은 1970년대 들어 고도성장을 이어가며 싱가포르를 2배 이상 따돌리지만 대침체 이후부턴 재역전되었다. [7] 1인당 GDP가 1년 만에 26376달러(1997) -> 21829달러(1998)로 줄었다. 1997년의 수치는 1998년으로부터 무려 6년 후인 2004년(27609달러)에야 회복하게 된다. [8] 2009년 기준 0.1%의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며 대침체 시기 선진국 중 몇 안 되는 플러스 성장 기록 국가가 되었다. [9] 물론 도시국가 특성상 1인당 gdp에서 유리한 측면은 있다. 당장 미국만 해도 특정 도시로만 한정하면 10만불 전후되는 도시들은 널리고 널렸다. [10] 원래 이름은 Government of Singapore Investment Corporation. 한국 대기업에도 지분을 여럿 갖고 있다. 교보생명같은 비상장 주식도 갖고 있다. 지분은 교보생명에만 4.5%다. [11] Singapore, which is in second place on the Heritage Foundation’s list, comes in fifth on the Economist’s cronyism list. 본문 3번째 패러그래프 마지막 문장. 2014년 3월 15일 자. [12] 아무래도 홍콩 보안법 이후 홍콩에서 빠져나온 자본을 쉽게 유치하기 위해 싱가포르 정부에서도 이러한 점을 수용한 듯 하다. [13] 원칙적으로는 CPF를 통해 주택개발청의 공공 주택을 분양(임대) 받는 것이지만, 저소득층에게는 2023년기준 월 50싱가포르달러에 임대해주기도 한다. [14] 메디세이브(Medisave)는 국고에서 비용을 충당해 의료비를 보장하는 한국의 건강보험제도와 같다. (정확히 말하자면, 메디 세이브는 근로자와 고용주로 하여금 매월 소득의 일정부분을 의료 목적으로 강제로 저축하게 하는 제도로, 개인이 저축해 놓은 돈을 정부가 지정한 특정 용도로만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개념이다.) 메디실드 라이프(MediShield Life)는 정부와 민간보험사가 합작해 만든 보험상품으로, 보험료율은 정부에서 관리한다. 메디펀드(Medifund)는 정부 보조금으로도 감당할 수 없을 때 지원하기 위해 두는 자금이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는 각 병원마다 사용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위원회가 있으며, 정부의 결정이 있어도 국민이 이를 호소하게 될 경우 병원 위원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복지부에서는 40억 달러를 마련했고, 사용한도는 1년에 1억 3,000만달러 정도다. [15] https://www.enterprisesg.gov.sg/industries/type/food-services/food-delivery-booster-package [16] https://www.skillsfuture.gov.sg/ [17] https://foodbank.sg [18]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 배양육 연구개발과 시판에 앞장서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이야 말로 자연적인 방법으로 얻으려면 투입해야하는 식물성 원료(곡물 등)의 양이 많기 때문에 배양육을 이용해서 동물성 단백질을 자급할 수 있으면 식량자급률은 비약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 [19] 강제로 투표에 참여해야 하며, 싱가포르의 정부 기관들은 각자 다 나름대로의 '신문고'를 운영하고 있으니 거기다가 feedback과 complaint를 넣어주면 된다. [20] # [21] 급여가 높은 싱가포르에서 일하고, 물가가 낮은 말레이시아에서 거주하면 가처분소득의 비약적인 증진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타이완의 TSMC의 성공을 보고 싱가포르 정부가 설립한 파운드리 회사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가 그 전신이다. [23] 국제적으로 임금조사는 5인이상 기업을 중점으로 임금을 계산함으로 특별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5인 이상 기업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24] 한국의 시민아파트,주공아파트와 비슷한 성격을 지녔으며 1960년대 말 부터 세워졌다. 실제로 내부나 디자인도 1960~70년대 한국 아파트와 비슷한데가 많다. 외부는 페인트칠을 자주 해서인지 연식에 비해 세련되어 보이나 내부는 리모델링 안 된 경우가 많아 내부 상태는 사실상 은마 아파트 수준인 데도 많다. 그나마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지어진 건 나은 편이나 그전에 지어진 데는 겉만 번지르르하고 내부는 시궁창인 경우도 많아서 돈 있는 외국인들은 잘 안산다. 여기 사는 외국인이면 십중팔구 가난한 외국인 유학생이거나 해외취업한 사회초년생이라 보면 된다. [25] 싱가포르는 미디어에 정치가들의 행보에 대한 주석을 다는 것이 금지되어있는 것과는 별개로 정부가 대국민 소통을 안 하는 게 아니며, 그 중 그나마 외부인들에게 열려있는 게 투표 지지율 분석이다. 심지어 1959년부터 투표 참여가 법적으로 강제되는 만큼 아주 확실히 눈치를 챌 수 있다. 싱가포르의 행정기관들에 접수된 feedback들이나 싱가포르 학계의 보고를 직접 읽어보는 법도 있기는 하지만 이 쪽은 조금 더 힘들 수 있다. [26] 똑같이 높은 수출 의존도와 빈약한 내수시장이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대한민국의 경우, 같은 연도 기준 내수 구성비 63%, 무역의존도 80% 수준이었다. 싱가포르의 경제 구조가 얼마나 극단적인 편인지 알 수 있는 대목. [27]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