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충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공주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세광고등학교 | 온양BC | ||||
천안CS | 청주고등학교 |
}}}}}} ||
세광고등학교 야구부 (Sekwang High School) |
|
창단 | 1955년 |
소속 리그 | 충청권 |
감독 | 방진호 |
우승 기록[1] | 1회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 | 1회(1983) | 3회(1975, 1987, 1994) |
청룡기 | - | - | 1회(2020) |
황금사자기 | 1회(1982) | - | 1회(1980) |
봉황대기 | - | 1회(2023) | 3회(1987, 2002, 2003) |
이마트배 | - | 1회(2020) | - |
1982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북고등학교 | → | 세광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clearfix]
1. 개요
세광고등학교 산하 야구부.2. 연혁
강원도, 제주도와 더불어 고교 야구에서 척박한 환경인 충청북도를 지켜온 팀이자 충청권에서는 저력이 있는 팀이다.[2] 1955년 충청북도 관내 팀 중에서는 가장 먼저 창단이 된 팀이지만, 2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만년 약체로 지내왔던 팀이다. 1975년 대통령배 4강에 들면서 처음 이름을 알렸고, 1980년 황금사자기에서 다시 4강에 들면서 이름을 드높였으며, 비록 '메이저 대회'는 아니었지만 그 해 대구에서 열린 제2회 대붕기에서 군산상고, 대구상고, 광주일고 등 강호들을 차례로 물리치며 결승에 올라 인천고마저 무너뜨리며 우승했다. 그 돌풍의 중심에는 3학년생 민문식, 그리고 그와 함께 준결승에서 만난 광주일고의 선동열에 맞서 10회까지 완봉을 합작했던 2학년생 한희민이 있었다. 좌완투수 민문식은 세광고가 낳은 최초의 전국구 에이스였으며, 한희민은 한국프로야구 1호 언더핸드 투수로 꼽히는 인물이다.송진우 |
1982년 황금사자기 결승전 하이라이트
1983년 대통령배 결승전 하이라이트
이후 1987년 두 차례 4강 무대를 밟으면서 저력을 보였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 박정진이 이끌던 1994년 대통령배 4강을 제외하면 영 좋지 못한 성적을 내면서 침묵의 시간을 보냈다.[3] 그러다가 2000년 모교 출신의 민문식이 감독으로 부임하고, 송창식이라는 좋은 선수가 등장하고 2002년[4]과 2003년[5] 모두 봉황대기 4강까지 오르면서 나름대로 충북 야구의 저력을 보여줬다. 같은 해 대구에서 열린 대붕기에서는 결승까지 올랐으나 당시 최고 전력이었던 대구고에 아쉽게 무릎을 꿇었다.[6]
하지만 송창식이 졸업한 후에는 다시 간간히 8강 정도에 이름을 올리는 수준이다.
그럼에도 세광고 야구부는 KBO 역사상 투타에서 정상급의 대선수인 송진우, 장종훈을 배출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두고두고 야구계에 그 이름을 남길 것이다. 고교 재학 시절 팀 우승의 주역이었던 송진우와 달리, 고교 시절 장종훈은 평범한 유격수였다.
세광고의 역대 성적을 정리한 문서는 이 곳을 참조하자.
2.1. 2020년~2023년: 짧은 부활
2020년 청룡기에서는 쉽지 않은 상대인 마산용마고, 지역 라이벌인 북일고를 차례로 꺾고 8강에 올랐고 계속된 비 예보로 인해 한참 지나서야 열린 8강전에서 신일고에 콜드게임승을 거두고 17년 만에 메이저 전국대회 4강에 진출했다.[7] 4강 상대는 순천효천고를 꺾고 올라온 장충고이다. 청룡기 대회로만 한정하면 67년만의 청룡기 4강이다. 4강전에서 장충고를 상대로 박지원의 호투와 9회 2득점에도 불구하고 5:4로 패배하며 첫 청룡기 결승은 좌절되었다. 그나마 희망적인 부분은 2020년도 2학년과 1학년 선수들이 기량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내년에 우승을 노려볼 만하다. 같은 해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경북고에게 7-0 7회 콜드게임승을 거두며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1997년 이후 23년만에 메이저 전국대회 4강에 진출한 배재고를 만나 8-3으로 승리, 37년 만에 메이저 전국대회 결승에 진출해 덕수고와 겨룬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초반에 대량 실점을 한 것이 뼈 아팠고 이후 차근차근 따라갔지만 6-13으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결승전에서 보여준 모습들이 야구팬들 및 야구관계자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비록 큰 점수차로 지고 있어도 1점 1점 뽑을 때마다 팀원들이 모두 환호하고 덕수고의 우승 확정 뒤에도 도열하여 상대팀을 축하해주는 모습이 감동적이었다. [기자의 눈] 대회 품격 높여준 세광고의 도열과 박수 ...그들은 당당한 주인공이었다 소년체전 우승 멤버들인 세광중 선수들이 세광고로 진학하여 전망이 밝다. 명문 덕수고, ‘고교최강’ 장재영 진땀 뺀 세광고 무명용사들 “남은 목표는 우승”[김배중 기자의 핫코너]
봉황대기에서는 16강까지 진출했으나 서울고에 패했다.
2021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8강전에 진출하여 광주동성고와 연장 승부치기 끝에 2-3 석패하였다.
2022년 청룡기 8강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상대팀인 충암고한테 패배했다.
2022년 10월, 김용선 감독이 건강 관리와 개인 사정 등의 이유로 13년간 잡았던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김용선 감독의 후임으로 방진호 코치가 감독으로 승진하였다.[8]
2023년에는 이마트배와 황금사자기에서는 16강에 진출했으나 각각 마산용마고, 부산고에게 패했고, 대통령배에서는 2회전(32강전)에서 유신고에게 11:5로 패했다.
봉황대기에서는 1회전 부전승, 2회전 원주고, 32강전 순천효천고BC를 차례대로 꺾으며 가장 먼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마산고를 상대로 김진서(4.2이닝)-이윤재(0.2이닝)-김연주(3.2이닝)의 호투로 3:0 무실점으로 승리하였다. 8강에서 제물포고와 대결하여 3시간 33분의 혈투 끝에 7-6으로 승리하고 4강전에 진출했다. 봉황대기 4강 진출은 송창식이 홀로 역투했던 2003년 이후 정확히 20년 만이다.[9] 대구상원고와의 4강전에서 초반에 2:0으로 끌려갔으나, 7, 8회 득점으로 2:2 동점을 만들었다. 그대로 승부치기에 돌입하였고, 끝내기 내야안타로 4:5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이틀 쉬고 열린 대구고와의 결승에서는 주축 투수인 김연주가 준결승에서 88구를 던져 결승전에 등판할 수 없는 어려움 속에서도 7회 2점을 선취하며 앞서 나갔으나 9회 2아웃 상황에서 동점을 허용했고 10회 끝내기 스퀴즈 번트로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했다.
2.2. 2024년: 몰락
2024년에는 신세계이마트배 1회전에서 유신고에 패했다. 황금사자기 1회전 신일고, 2회전(32강전) 세원고에 각각 승리를 거뒀으나 16강전에서 부산고에 패했다. 청룡기는 1회전에서 장충고에 패했다. 대통령배와 봉황대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결과적으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메이저 고교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2024년에는 어떤 대회에서도 선전하지 못하여 세광고의 짧은 부활은 추억으로 남게 되었다.
3. 야구대제전
- 역대 전적: 3승 2패
- 최고 기록: 4강(2013 야구대제전)
처음으로 참가했던 2013 야구대제전에서 송진우의 역투등을 바탕으로 휘문고등학교(4:0), 광주 진흥고등학교(5:4), 대구 상원고등학교(5:2)를 차례로 격파하며 4강에 진출했으나 김다원등이 활약한 광주 동성고등학교에 8-6으로 패배해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2014 야구대제전에서는 조별예선에 인천고등학교와 맞대결을 펼쳤으나 패배하며 탈락했다.
4. 출신 선수
이름 | 포지션 | 프로 입단 | 경력 |
민문식 | 투수 | 1985년 1차 지명 | 동국대- 빙그레(1985~1989) |
한희민 | 투수 | 1986년 1차 지명 | 성균관대- 빙그레(1986~1992)- 삼성(1993)- 줜궈 베어스(1994~1995) |
송진우 | 투수 | 1988년 1라운드 | 동국대- 세일통상(1988)- 빙그레/ 한화(1989~2009) |
장종훈 | 내야수 | 1986년 신고선수 및 연습생 입단 | 빙그레/ 한화(1986~2005) |
김용선 | 내야수 | 1989년 입단 | 빙그레/ 한화(1989~1997) |
손동일 | 외야수 | 1994년 2차 3순위 | 원광대- 롯데(1994~1999)- SK(2000) |
박정진 | 투수 | 1999년 1차 지명 | 연세대- 한화(1999~2018) |
고효준 | 투수 | 2002년 2차 1라운드 | 롯데(2002)- SK(2003~2016)- KIA(2016~2017)- 롯데(2018~2020)- LG(2021)- SSG(2022~2024) |
장준영 | 내야수 | 2002년 2차 4라운드 | 해태/ KIA(2002~2009) |
|
투수 | 2007년 1차 지명 | 인하대- 한화(2007~2011) |
송창식 | 투수 | 2004년 2차 1라운드 | 한화(2004~2008, 2010~2020) |
김회성 | 내야수 | 2009년 1차 지명 | 경성대- 한화(2009~2020) |
김지열 | 외야수 | 2007년 신고선수 입단 | 한화(2007~2011)- 넥센(2013)- KT(2014~2018) |
윤병호 | 외야수 | 2013년 신고선수 입단 | 대불대 중퇴- 고양 원더스(2011~2013)- NC(2013~2018) |
박으뜸 | 외야수 | 2013년 NC 다이노스 특별지명 | 경남대- NC(2013~2018) |
우병걸 | 투수 | 2011년 4라운드 | 제주산업정보대- KIA(2011)- 삼성(2012~2016) |
김선기 | 투수 |
2009년
SEA 아마추어 자유계약 2018년 2차 1라운드 |
SEA(2010~2015)- 상무(2016~2017)- 넥센/키움(2018-) |
이민준 | 투수 | 2016년 육성선수 입단 | 경남대- NC(2016~2017) |
이정현 | 외야수 | 2015년 2차 9라운드 | 홍익대- KIA(2015~2016) |
윤정현 | 투수 |
2013년
BAL 아마추어 자유계약 2019년 2차 1라운드 |
동국대 중퇴- BAL(2013~2016)- 키움(2019~2024) |
박건우 | 투수 | 2011년 10라운드 | 한화(2011~2013)- NC(2018) |
나원탁 | 포수 | 2017년 2차 2라운드 | 홍익대- 삼성(2017)- 롯데(2018~2023) |
안상빈 | 투수 | 2014년 2차 4라운드 | KT(2014~2022) |
최정용 | 내야수 | 2015년 2차 2라운드 | 삼성(2015)- SK(2016~2017)- KIA(2018~) |
박종욱 | 포수 | 2015년 2차 5라운드 | 두산(2015)- SK(2016~2018) |
김광명 | 외야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 동아대- 한화(2020) |
남재현 | 투수 | 2016년 2차 2라운드 | KIA(2016~2023) |
신우재 | 외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 재능대- 성남 블루팬더스(2018~2019)- 성남 맥파이스(2021~2023)- 한화 (2023~) |
권동진 | 내야수 | 2021년 2차 1라운드 | 원광대- KT(2021~) |
정연제 | 투수 | 2021년 2차 8라운드 | 서남대-한일장신대- 키움(2021~2023) |
김유신 | 투수 | 2018년 2차 1라운드 | KIA(2018~2024) |
김형준 | 포수 | 2018년 2차 1라운드 | NC(2018~) |
조병규 | 내야수 | 2018년 2차 7라운드 | 넥센/키움(2018~2019) |
박연준 | 투수 | 2025년 육성선수 입단 | 강릉영동대- 두산(2025~) |
박상준 | 외야수 | 2022년 육성선수 입단 | 강릉영동대- KIA(2022~) |
오명진 | 내야수 | 2020년 2차 6라운드 | 두산(2020~) |
홍대인 | 내야수 | 2025년 9라운드 | 사이버한국외국어대- SSG(2025~) |
고명준 | 내야수 | 2021년 2차 2라운드 | SSG(2021~) |
손힘찬 | 투수 | 2025년 육성선수 입단 | 동강대-동아대- 키움(2025~) |
이영빈 | 내야수 | 2021년 2차 1라운드 | LG(2021~) |
조병현 | 투수 | 2021년 2차 3라운드 | SSG(2021~) |
노석진 | 내야수 | 2022년 2차 10라운드 | 한화(2022~) |
박준영 | 투수 | 2022년 2차 1라운드 | 한화(2022~) |
이명종 | 투수 | 2022년 2차 6라운드 | 키움(2022~) |
김준영 | 투수 | 2023년 11라운드 | SSG(2023~) |
서현원 | 투수 | 2023년 3라운드 | 삼성(2023~) |
정대선 | 내야수 | 2023년 5라운드 | 롯데(2023~) |
김연주 | 투수 | 2024년 3라운드 | 키움(2024~) |
박지환 | 내야수 | 2024년 1라운드 | SSG(2024~) |
권민규 | 투수 | 2025년 2라운드 | 한화(2025~) |
우승완 | 투수 | 2025년 9라운드 | 삼성(2025~)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ffd700,#000>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 7회 |
|
2 | 인천고등학교 | 1954년, 1989년 |
★★ 2회 |
||
3 | 동산고등학교 | 1957년, 1988년 |
★★ 2회 |
||
4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1962년 |
★★ 2회 |
|
5 | 경동고등학교 | 1959년, 1960년 |
★★ 2회 |
||
6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7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 5회 |
||
8 | 성남고등학교 | 1964년, 1970년 |
★★ 2회 |
||
9 | 중앙고등학교 | 1965년 |
★ 1회 |
||
10 | 경북고등학교 | 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
★★★★ 4회 |
||
11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2년, 1986년, 1999년 |
★★★ 3회 |
||
12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8년 |
★★ 2회 |
||
13 | 개성고등학교 | 1975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 8회 |
||
15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7년 |
★ 1회 |
||
16 | 세광고등학교 | 1982년 |
★ 1회 |
||
17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 6회 |
||
18 | 전주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09년, 2011년 |
★★★ 3회 |
||
20 | 배명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1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 6회 |
||
22 | 경기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2001년 |
★ 1회 |
||
24 | 북일고등학교 | 2002년, 2012년 |
★★ 2회 |
||
25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
★★ 2회 |
||
26 | 서울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7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28 | 김해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9 | 강릉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0 | 부산고등학교 | 2023년 |
★ 1회 |
}}}}}}}}}}}} ||
[1]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2]
과거
한화 이글스 내부에 파벌이 존재할 때
북일파와 비북일파로 나뉘었다고 하는데 비북일파의 중심이 세광고 출신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3]
2001년 봉황대기에서는 지역 라이벌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가 깜짝 우승을 차지했다.
[4]
2학년인
송창식이 에이스 역할을 했고 단신의 파이터형 우완투수 김시철과 당시 내야수였던
최진호, 그리고 임광묵 이 3명의 선수가 지원하는 모습이었다. 준결승에서
천안북일고에 패했다. 2002년에 대통령배 준우승, 황금사자기 우승, 화랑대기 우승을 차지했던
천안북일고는 봉황대기에서까지 우승을 차지하며 전국대회 4관왕의 위업을 달성했다.
[5]
졸업반
송창식이 연투하며 준결승까지 갔으나
김재호가 주장으로 이끌었던
중앙고에게 준결승에서 무릎을 꿇었다.
중앙고는 결승전에서
김상록이 홀로 분전한
경남고에게 패배했다.
[6]
결승전 응원을 위해 학생들이 단체로 청주에서 대구로 이동했다.
[7]
2003년 봉황대기 4강전이 마지막 진출이었다.
송창식이 홀로 분전했던 세광고는
김재호가 이끄는
중앙고에 준결승전에서 패배했다.
중앙고는 결승전에서
경남고 2학년 김상록의 삼진쇼에 무릎을 꿇고 2002, 2003년 2년 연속 봉황대기 준우승에 머무른다.
[8]
동산고-
경남대 출신의 내야수로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지명(2차 10라운드)을 받았다. 한화 2차 11라운드 지명자는
광주일고-
동국대 출신의 내야수 겸 외야수이자 '24년 현재
광주일고 감독을 맡고 있는 조윤채다.
[9]
세광고는 김재호의 중앙고에 4강전에서 패했다. 중앙고는 김상록의 경남고에 결승전에서 패하며 2002년과 2003년 2년 연속 봉황대기 준우승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