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4:03:02

몫미분

몫의 미분법에서 넘어옴
해석학· 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 실수( 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 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 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 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 어림)
수열· 급수 수열( 규칙과 대응) · 급수( 멱급수 · 테일러 급수( 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라마누잔합) · 망원급수( 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 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 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 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 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 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 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 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 발산 정리 · 그린 정리 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 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 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 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1. 개요2. 증명
2.1. 미분계수를 이용한 증명2.2. 곱미분을 이용한 증명
3. 활용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몫미분(몫의 미분법[1], quotient rule)은 다음 유리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공식이다.
[math( \displaystyle \frac {f(x)}{g(x)} \; )](단, [math( \displaystyle g(x) \neq 0 )])

2. 증명

2.1. 미분계수를 이용한 증명

함수
[math( \displaystyle F(x)=\dfrac {f(x)}{g(x)} \; )](단, [math( \displaystyle g(x) \neq 0 )])
에 대하여 그 미분 계수는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 F'(x)&=\lim_{h \to 0}\frac{F(x+h)-F(x)}{h} \\&=\lim_{h \to 0}\frac{1}{h} \left[ \dfrac{f(x+h)}{g(x+h)}-\dfrac{f(x)}{g(x)} \right] \\&=\lim_{h \to 0}\frac{1}{h} \frac{f(x+h)g(x)-f(x)g(x+h)}{g(x)g(x+h)} \end{aligned})]
위 결과의 분자에 [math(f(x)g(x))]를 빼고 더하면,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 F'(x)&=\lim_{h \to 0}\frac{1}{h} \frac{f(x+h)g(x)-f(x)g(x)-f(x)g(x+h)+f(x)g(x)}{g(x)g(x+h)} \\&=\lim_{h \to 0}\frac{1}{h} \frac{g(x)[f(x+h)-f(x) ]-f(x)[g(x+h)-g(x) ] }{g(x)g(x+h)} \\&=\lim_{h \to 0}\frac{ g(x) \dfrac{f(x+h)-f(x)}{h}-f(x) \dfrac{g(x+h)-g(x)}{h} }{g(x) g(x+h)} \\&=\frac{\displaystyle g(x) \lim_{h \to 0} \dfrac{f(x+h)-f(x)}{h}-f(x )\lim_{h \to 0} \dfrac{g(x+h)-g(x)}{h} }{\displaystyle g(x) \lim_{h \to 0} g(x+h)} \\ &=\frac{f'(x)g(x)-f(x)g'(x)}{[g(x) ]^{2}} \end{aligned})]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left[ \frac{f(x)}{g(x)} \right]'=\frac{f'(x)g(x)-f(x)g'(x)}{[g(x) ]^{2}} \; )](단, [math( \displaystyle g(x) \neq 0 )])

한편, [math(f(x)=1)]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left[ \frac{1}{g(x)} \right]'=-\frac{g'(x)}{[g(x) ]^{2}} \; )](단, [math( \displaystyle g(x) \neq 0 )])

2.2. 곱미분을 이용한 증명

함수
[math( \displaystyle F(x)=\frac {f(x)}{g(x)} \; )](단, [math( \displaystyle g(x) \neq 0 )])
에 대하여 양변에 [math(g(x))]를 곱하면,
[math( \displaystyle f(x)=F(x)g(x) )]
이때, 곱미분을 이용하여 [math(f(x))]의 도함수를 구하면,
[math( \displaystyle f'(x)=F(x)g'(x)+F'(x)g(x) )]
[math(F'(x))]에 대하여 정리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F'(x)&=\frac{f'(x)-F(x)g'(x)}{g(x)} \\&=\frac{\displaystyle f'(x)-\frac{f(x)}{g(x)}g'(x)}{g(x)} \\&=\frac{f'(x)g(x)-f(x)g'(x)}{[g(x) ]^2} \end{aligned} )]

3. 활용

4. 기타

4.1. 고등학교 교육과정

5. 관련 문서


[1] 현행 고교 교육과정에는 이 명칭으로 배움. [2] 일부 재치 있는 교육자는 수학에서 역원을 활용하는 테크닉에 대해서 "If the problem gets complicated, do nothing mathematically.(문제가 복잡해지면, 수학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마라.)"라고 가르치기도 한다. [3] 학원에서는 이런 방법으로 증명하기도 한다. [4] 간단한 몫 적분인 [math(\displaystyle \int \frac1x \, \mathrm{d}x)]는 로그함수가 되며, 여기서 피적분함수의 분자에 지수함수, 삼각함수, 쌍곡선 함수가 오면 각각 지수 적분 함수, 삼각 적분 함수, 쌍곡선 적분 함수라는 특수함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