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9:13:21

류김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류현진
, 김광현
, 양현종
,
,
,

문서가 있는 야구선수 통칭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 전준호 · 이종운 · 박정태 · 김민호 · 김응국)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1999~2009).svg

( 우즈 · 김동주 · 심정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

( 이왕기 · 최대성 · 가득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95~2007).svg

( 이승엽 · 마해영 · 양준혁)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 후지카와 큐지 · 제프 윌리엄스 · 쿠보타 도모유키)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 고창성 · 임태훈 · 이재우 · 이용찬)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채태인 · 최형우 · 박석민)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 홍성흔 · 이대호 · 가르시아)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조현근 · 최원제 · 김상수 · 박성훈 · 차우찬)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 이재곤 · 김수완 · 고원준 · 진명호)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 이병규 · 박용택 · 이진영 · 이택근 · 이대형)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정현욱 · 오승환 · 권혁 · 권오준 · 안지만)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윤성환 · 안지만 · 임창용 · 오승환)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 이범호 · 최희섭 · 김상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 김경언 · 고동진 · 추승우 · 정현석 · 이양기)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 김영민 · 강윤구 · 장시환 · 문성현 · 오재영)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 강정호 · 박병호 · 서건창 · 밴헤켄)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 나성범 · 테임즈 · 이호준 · 박석민)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svg

( 켈빈 에레라 · 웨이드 데이비스 · 그렉 홀랜드)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 니퍼트 · 보우덴 · 유희관 · 장원준)
파일:vecteezy_hitter_silhouettes.png

( 추신수 · 강정호 · 이대호 · 이승엽)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 김진성 · 원종현 · 임창민 · 임정호)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 엄상백 · 주권 · 정성곤)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 서진용 · 박종훈 · 김태훈)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 배재환 · 구창모 · 장현식)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이천웅 · 채은성 · 이형종)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이성곤 김헌곤 · 이성규 · 김동엽)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svg

( 서진용 · 김태훈 · 하재훈)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 박준표 · 전상현 · 문경찬)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 변우혁 · 노시환 · 유장혁)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류현진 · 윤석민 · 김광현)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보어 · 루이즈 · 가르시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류현진 · 김광현 · 양현종)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 최정 · 추신수 · 로맥 · 최주환)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 전상현 · 장현식 · 정해영)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

( 구승민 · 최준용 · 김원중)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김지찬 · 김현준 · 이재현)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박해민 · 신민재 · 홍창기 · 문성주)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 유강남 · 한현희 · 노진혁)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임창민 · 김재윤 · 오승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 윤동희 · 나승엽 · 고승민 · 황성빈)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오지환 · 김현수 · 박해민)
해당 선수의 이적 · 은퇴로 인해 사장(해체)된 통칭(콤비네이션)
}}}}}}}}} ||
류김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c4e00> 파일:RYU.png 관련 문서
류현진
Ryu Hyun-ji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전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아마추어 경력
고교 시절 · 입단 과정
프로 경력
한화 이글스 1기
Hanwha Eagles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포스팅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Los Angeles Dogders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1차 FA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2차 FA
}}}}}}}}} ||
한화 이글스 2기
Hanwha Eagles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6년 아시안게임 · 2007년 ABC · 2008년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 본선) · 2009년 WBC · 2010년 아시안게임
기록
연도별 성적 · 주요 기록 · 수상 기록 · 통산 승리 일지
평가
플레이 스타일 · 팬 서비스 · 평가 및 업적 · 연도 별 평가
기타
갤러리 · 사건 사고 · 활동 내역 ( 다큐멘터리) · 별명 · 여담 · 류윤김 · 류김양 · 코리안 몬스터 · 특이 사항 / 분류 · 사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김광현 시그니처 투구폼.png 관련 문서
김광현
Kim Kwang-Hy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SK 와이번스
SK Wyverns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엠블럼.svg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St. Louis Cardinals
2020년 · 2021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SSG Lander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5년 · 2006년 · 2008년( 최종예선 · 본선)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평가
플레이 스타일 통산 승리 일지
기타
선행 · KK 위닝 플랜 · 논란 및 사건 사고 · 류윤김 · 류김양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파일:김광현 싸인.p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ea0029> 파일:양현종 실루엣.png 관련 문서
양현종
Yang Hyeon-j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4~2009).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KIA 타이거즈
KIA Tigers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텍사스 레인저스
Texas Rangers
2021년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KIA Tiger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0년 · 2014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3년
평가
플레이 스타일 통산 승리 일지
기타
선행·미담 · 인간관계 · 별명 · 관련 언사 · 류김양 · 미디어 활동 · 분류
파일:양현종 싸인.png
}}}}}}}}} ||
파일:류김양3.png
<rowcolor=#fff> 한화 이글스 No.99 SSG 랜더스 No.29 KIA 타이거즈 No.54
류현진
柳賢振 | Ryu Hyun-jin
김광현
金廣鉉 | Kim Kwang Hyun
양현종
梁玹種 | Yang Hyeon-jong

1. 개요2. 명단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류김양2.jpg
대한민국의 좌완 트로이카.

2000년대 말부터 각각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 SSG 랜더스, KIA 타이거즈의 토종 좌완 에이스이자 국가대표 좌완 에이스로 활약한 3인방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대한민국 야구 역사상 유례가 없는 역대급 좌완 투수들로 평가받는다. KBO 리그의 역사를 새로 쓴 좌완 투수가 같은 시기에 세 명이나 등장한 것은 국내 리그 뿐만 아니라 해외 리그를 통틀어봐도 찾아보기 힘든 이례적인 사례이다. 각자의 팀 역사에 기록될 프랜차이즈 스타들로 세 선수 모두 영구 결번이 유력하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한 경력이 있다.

세 선수 모두 에이징 커브로 인해 전성기 기량에서 한참 내려온 30대 후반의 나이임에도 한창인 젊은 투수들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전히 각자의 팀에서 선발진의 한 축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들이 등장한 뒤 약 20년에 가까운 현재까지도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이라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좌완 투수 계보를 잇는 선수가 단 한명도 등장하지 않을 정도로 독보적인 커리어를 가지고 있다.

2. 명단

2.1. 류현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c4e00> 파일:RYU.png 관련 문서
류현진
Ryu Hyun-ji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전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아마추어 경력
고교 시절 · 입단 과정
프로 경력
한화 이글스 1기
Hanwha Eagles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포스팅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Los Angeles Dogders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1차 FA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2차 FA
}}}}}}}}} ||
한화 이글스 2기
Hanwha Eagles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6년 아시안게임 · 2007년 ABC · 2008년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 본선) · 2009년 WBC · 2010년 아시안게임
기록
연도별 성적 · 주요 기록 · 수상 기록 · 통산 승리 일지
평가
플레이 스타일 · 팬 서비스 · 평가 및 업적 · 연도 별 평가
기타
갤러리 · 사건 사고 · 활동 내역 ( 다큐멘터리) · 별명 · 여담 · 류윤김 · 류김양 · 코리안 몬스터 · 특이 사항 / 분류 · 사진
}}}}}}}}} ||
류현진은 박찬호와 함께 한국 투수 GOAT로 거론되고 있으며, 역대 MLB에서 활약한 아시아 출신 좌완 투수 중에서 승리 기여도 1위의 기록을 경신하면서 아시아 야구 역사상 최고의 좌완 투수 반열에 올랐다.

2006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 2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며 프로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부터 엄청난 활약으로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신인왕과 최연소 MVP, 트리플 크라운과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한화 이글스에서의 7시즌 동안 탈삼진왕 5회, 정규 이닝 최다 탈삼진, 최연소 MVP, 최연소 & 최소 경기 1000 탈삼진, 최다 연속 QS, 21세기 유일한 규정이닝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의 리그 기록을 경신하며 데뷔시즌부터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기 전까지 KBO 리그 최고의 투수로 군림했다.

류현진은 KBO 리그에서 MLB로 진출한 역대 최초의 선수로서 2013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했다. 이후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정상급 좌완 투수로 활약했다. 2019년에는 아시아 출신 야구선수 최초로 NL 평균자책점 1위, 사이 영 상 1위 득표, 2020년에는 MLB 최고의 좌완 투수에게 주어지는 워렌 스판 상을 수상했다. 다만, 고질적인 팔꿈치 부상 및 수술의 여파로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한 후에는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인뒤 2024 시즌 12년만에 친정팀 한화로 복귀하였다. 복귀 첫 시즌에는 KBO 리그 1000만 관중 돌파라는 유례없는 흥행의 기폭제가 되었다.

류현진은 소위 류김양으로 일컬어지는 역대급 좌완 트로이카 중에서도 압도적이었다. 류현진은 단 7년만 뛰고도 KBO 통산 투수 WAR 13위를 기록했다. 류현진이 MLB로 떠난 뒤 김광현과 양현종이 2019 시즌까지 뛰고 나서, 즉 류현진이 떠나고 7년을 더 뛰고 나서야 류현진의 sWAR을 넘었다. 커리어 전체를 놓고봤을 때, 류현진은 김광현, 양현종과 함께 언급될 선수는 아니다. 비슷한 시기에 데뷔하여 같은 좌완 투수라는 이유로 묶여졌을 뿐, 나머지 둘과는 커리어 수준이 현격히 차이난다. 역대 한국 투수 중 류현진과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건 박찬호 한 명 뿐이다.

2.2. 김광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김광현 시그니처 투구폼.png 관련 문서
김광현
Kim Kwang-Hy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SK 와이번스
SK Wyverns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엠블럼.svg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St. Louis Cardinals
2020년 · 2021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SSG Lander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5년 · 2006년 · 2008년( 최종예선 · 본선)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평가
플레이 스타일 통산 승리 일지
기타
선행 · KK 위닝 플랜 · 논란 및 사건 사고 · 류윤김 · 류김양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파일:김광현 싸인.png
}}}}}}}}} ||

류김양 중 가장 많은 5개의 KBO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획득했으며, MVP와 골든 글러브를 동시에 수상한 선수이다.

2007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에 1차지명을 받아 선수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데뷔 첫해 큰 임팩트 없이 무난한 활약을 보여주며 그냥저냥 지나가는줄 알았지만, 한국시리즈 4차전, 팀이 1승 2패로 몰려있던 상황 22승 투수 다니엘 리오스 상대로 7⅓이닝 9k 무실점이라는 괴물투로 팀의 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

그 다음해 2관왕과 골든글러브, MVP까지 수상하며 리그 최정상급 좌완의 등장을 알리고, 2010년에는 우승 경기의 마무리투수로 나서는등 SK 와이번스의 1선발이 되는 줄 알았으나, 이후 혹사와 뇌경색으로 인해 몇년간 이름값에 비해 부족한 활약을 보여주었고 2014년 메이저 포스팅에도 결국 이적하지 못한 채 국내에 잔류하게 되며 메이저 진출을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2019 시즌 종료 이후 포스팅을 통해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계약으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게 되었다. 2022 시즌 2년 간의 짧은 시간이었지만 MLB 진출 전 우려했던 의심들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메이저 리그에서 35경기 10승 7패 ERA 2.97을 기록하며 선발 투수로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코로나19로 인해 SSG 랜더스로 예정보다 일찍 복귀하였고 정규시즌에서 KBO 리그 최초로 와이어 투 와이어[1] 우승에 큰 기여를 했다.

김광현은 류김양에 대해 메이저리그 진출 전 인터뷰에서 " 현진이형은 나에게 롤모델이다. 나도 저렇게 던지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라며 류현진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2]

2.3. 양현종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ea0029> 파일:양현종 실루엣.png 관련 문서
양현종
Yang Hyeon-j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4~2009).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KIA 타이거즈
KIA Tigers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텍사스 레인저스
Texas Rangers
2021년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KIA Tiger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0년 · 2014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3년
평가
플레이 스타일 통산 승리 일지
기타
선행·미담 · 인간관계 · 별명 · 관련 언사 · 류김양 · 미디어 활동 · 분류
파일:양현종 싸인.png
}}}}}}}}} ||

KBO 리그 역대 좌완 투수 WAR 1위이자 2010년대 투수 WAR 1위이며 21세기 국내 선수 중 유일하게 단일 시즌 2점대 ERAㆍ20승ㆍ200이닝을 모두 달성하고 골든글러브ㆍ정규 시즌 및 한국시리즈 MVPㆍ최동원 상을 모두 수상했다.

2007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 전체 1순위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며 프로생활을 시작하였다. 첫해와 두번째해는 그냥저냥 보냈지만, 2009년 엄청난 성장을 보이며 팀의 우승에 큰 공헌을 하고 2011년~2012년 잠시 부진하긴 했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다시 각성했고 이후로도 점점 성장하여 2015 시즌 리그 최정상급 선발투수가 되었고, 2017 시즌 팀의 리그 1위에 큰 공헌을 한것과 더불어 한국시리즈 2차전, 1차전의 패배로 인해 위기에 몰려있던 팀을 완봉승으로 분위기를 바꾸었다. 이후 한국시리즈 5차전 9회말 1점차 상황 등판하여 위기로 몰리긴 하였으나 막아내며 8년만의 리그 통합우승에 큰 역할을 하며 리그 MVP, 한국시리즈 MVP, 다승왕, 골든글러브 등 수상을 싹쓸이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좋은 활약을 보여 2020 시즌 종료 후 텍사스 레인저스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게 되었지만, 12경기 3패 ERA 5.60으로 부진하면서 결국 마이너로 강등되었고 1년 동안 아쉬운 성적만을 기록한 채 KIA 타이거즈로 복귀하였다. 이후 2024 시즌 KBO 리그 통산 최다 탈삼진 등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또 다시 7년만의 통합우승을 성공해냈다.[3]

양현종은 류김양에 대해 "그런 말이 언론에서 나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고마운 일이다. ‘아, 나도 꼈구나’ 싶다."며 겸손한 반응을 보였다. 이어서 "현진이형이나 광현이는 비슷한 레벨이다. 미국에서도 성적을 냈고, 국제대회에서도 중요한 경기를 잡았다. 전 국제대회나 해외 진출 때 성적을 비교하면 현저히 떨어진다. KBO 내에서는 명함을 내밀 수 있지만, 해외 무대에서는 레벨이 달랐다."며 스스로를 냉정하게 평가했다. 2024 시즌 후 윤석민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 제가 감히 광현이랑 현진이형을 넘을 순 없어요. 저는 올림픽이나 WBC에서 좋은 성적을 남긴 적이 없어요." 라며 다시 한번 류김양을 언급했다.

3. 여담

파일:2024시즌류김양.jpg

4. 관련 문서


[1]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MLB에서도 단 5번만 있었던 기록이다. [2] 양현종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 [3] 만약 양현종이 상위 리그인 메이저리그에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면, 류김양이 아닌 류양김이 될 수도 있었다. [4] 원래는 이때 김광현도 최종 엔트리에 있었기에 류김양 모두 함께 아시안게임에 출전할 수 있었으나 김광현이 안면 마비로 인해 하차하여 류현진, 양현종 둘만 참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