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9:59

도시권

대도시권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Europa-bei-nacht_1-1024x768.jpg
인공위성으로 찍은 유럽의 야경. 불빛이 모인 곳을 대도시권이라 볼 수 있다.

1. 개요

都市圈 / Urban Area

도시권은 영향력을 크게 주고받는 도시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많은 도시권의 경우, 중심이 되는 도시와 그 주변을 에워싼 위성도시들의 형태로 나타난다. 도시권은 행정구역이 일치할 수도, 아니면 여러 행정구역이 함께 묶일 수도 있다. 여기에 속한 각각의 도시들은 독자성이나 행정구분보다는 넓은 범위에 걸쳐 사회·경제 연계를 띤다. 한 도시권에서 한 도시가 중심으로서 입지를 가지지 못하고 두 개쯤 되는 도시가 제각각 가지는 영향력이 비등비등할 때 쌍둥이 도시라고 부른다. 수도가 도시권을 형성할 경우 수도권이라고 부른다.

근대화 이전의 도시들은 주로 방어를 위해 성곽 안쪽에 위치한 형태로 형성되었다. 그러던 것이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화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부동산 경제가 형성되면서 상업지역은 도심으로, 주거지역이 외곽으로 밀려나는( 스프롤 현상 등) 현상을 겪는 등, 여러 변화를 거쳐 오늘날의 도시권이 완성되는 결과를 낳았다.

일반적으로 외국 도시들을 지칭할 때에는, 도시가 직접 관할하는 영역(city proper)가 아닌, 도시권(urban area)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외국에서 서울이라고 부르는 것은 서울특별시만이 아닌, 인천, 경기도 도시들을 포함하는 수도권 전체가 대상이 된다. 다만 각국별로 법령에서 정의하는 도시권의 개념은 이와는 다를 수 있으며, 실질적인 도시권은 통근/고용, 상업 등 관련 분야 지표 등으로 분석될 수 있다.

2.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에서의 도시권의 개념은 일부 권역을 제외하고 외국에 비해서는 그렇게 뚜렷한 편은 아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도시화를 늦게 겪어 위성도시의 형성이 20세기 말엽에나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도농통합 등의 조치로 인해 행정구역 자체가 생활권 및 도시권 단위에 가깝게 편성된 영향이 크다.

2.1. 법령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도시권
수도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의 도시권 지도.svg }}}}}}}}}

대도시권의 범위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 1)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의 도시권 지도.svg }}}}}}}}}
권역별 범위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산·울산권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남도 양산시· 김해시· 창원시· 밀양시· 거제시
대구권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의성군· 청송군 경상남도 창녕군
대전권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 충청북도 청주시· 보은군· 옥천군
광주권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화순군· 함평군· 장성군


도시권이 법률로서 직접 정의된 경우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뿐이고,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나 기타법령 등에 따라 간접적으로 지정하고 있다.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정의에 의한 도시권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2.2. 정책상

법령과는 별개로 정책적 조치로 도시권 단위를 관리하는 개념으로, 박근혜 정부 시기 2~4개 정도의 지자체를 묶어 지역행복생활권이라는 개념으로 정착시키려던 시도도 있었다. 지역행복생활권은 크게 다음 세 분류로 나뉘어 있었다. 지자체 당 한 생활권에 속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나, 필요한 경우 한 지자체가 여러 생활권에 속할 수 있도록 했다.

2.3. 그 외

실질적으로 주민들이 느끼는 도시권은 위 법령상, 또는 정책상 도시권과는 다른 경우도 있다. 특히 대한민국 제조업 중심의 경제가 크다보니 고용 창출이 외곽의 산업단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다른 나라에서와 같이 중심도시로의 통근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상당하다. 오히려 외곽의 공장 지대로 출근하고(역통근 등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 소비나 교육 행위를 도시에서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외국에서 사용하는 지표를 그대로 들고오면 맞지 않는 경우가 쉽게 발생한다.

위 나열된 대광법 등에 정의되지 않은 도시권이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전주권( 전주시, 완주군)[1]이 있으며, 여순광(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2][3], 천안· 아산[4][5], 혹은 천안- 내포[6], 진주· 사천[7] 등이 대표적으로 묶여있는 도시권으로 인식되는 편이다. 또한 수도권 내에서도 수원권(수원-화성-오산)[8], 평택· 안성[9], 구리· 남양주[10] 등 대도시권역 내에서 세부 도시권역이 나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참여하고 유엔이 공식 채택한 도시 기준에 따르면, 한국에 있는 도시권은 모두 22곳으로 영국(96곳)· 이탈리아(84곳)· 스페인(81곳) 등 유럽 주요국에 비하면 그 수가 매우 적은 편이다. #

3. 외국

3.1. 아시아

3.1.1. 일본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시권'''
[[수도권(일본)|수도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케이한신|긴키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나고야시#경제|주쿄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삿센히로후쿠 札仙広福
[[삿포로시|도오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센다이시|센다이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히로시마시|히로시마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후쿠오카시|후쿠호쿠권
{{{#!wiki style="margin: -5px 0px 0px;"
]]
}}}


일본에서의 도시권의 개념은 한국보다 뚜렷하다. 스프롤 현상이 극심한 수준으로 일어나고, 고밀도 도시계획을 그다지 적극적으로 쓰지 않는 일본 특성상 도시권역이 여러 행정구역으로 퍼져가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도농복합/ 행정구역 통합 등의 정책을 적극화 한 것은 사실상 21세기 들어서부터( 헤이세이 시대 대합병 등으로 칭함)기도 하여, 이른 시기부터 여러 행정구역에 걸친 도시권 단위의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에서 통용되는 도시권은 크게 4가지 기준이 있다.
이 외에도 국토교통성에서 통계 등에 사용하는 207생활권 등과 같은 지표도 있다.
3.1.1.1. 3대 도시권
위의 기준을 통용하지 않더라도 일본 내에서 명확하게 통용되는 3대 도시권은 다음과 같다.
에도 시대부터 전통적으로 일본의 3대 도시로 인정받았던 에도(도쿄), 오사카, 교토가 수도권 및 긴키권에 포함되며, 3대 도시에 더해 1922년 6대 도시로 지정되었던 고베, 나고야, 요코하마까지 모두 3대 도시권에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21세기까지도 인구가 100만 명이 넘는 대도시에 해당한다. 3대 도시권 중 가장 작은 나고야권도 후쿠오카, 삿포로 등 지방 대도시권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3.1.1.2. 기타 도시권
이 밑으로는 여러 기준에 따라 지표가 달라지긴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통용되던 용어로 삿포로권, 센다이권, 히로시마권, 후쿠오카권(삿센히로후쿠, 札仙広福) 등이 3대 도시권 다음으로 중요한 대도시권으로 인정받는다. 자세한 설명은 여기로. 삿센히로후쿠라는 말은 도시권 규모 순서가 아니라 북동쪽에서 남서쪽 순으로 위치를 따라 나열한 것이다. 이들은 홋카이도, 도호쿠, 주고쿠, 규슈 등 3대 도시권이 없는 지방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일본프로야구 소속 팀이 존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3.1.2. 중화권

3.1.3. 그외 아시아

3.2. 유럽

3.2.1.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의 주요 도시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rowcolor=#fff> 순위 이름 중심 도시 구성국 인구
1 그레이터 런던 런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0,558,797
2 그레이터 맨체스터 맨체스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720,316
3 웨스트 미들랜즈 버밍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590,363
4 웨스트요크셔 리즈/ 브래드포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860,546
5 그레이터 글래스고 글래스고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026,688
6 리버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91,211
7 사우스 햄프셔 사우샘프턴/ 포츠머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88,145
8 타인사이드 뉴캐슬어폰타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90,636
9 노팅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62,786
10 셰필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688,981
11 브리스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680,981
12 벨파스트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622,000
13 레스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559,017
14 에든버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529, 580
15 브라이튼 앤 호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518,745
16 본머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485,976
17 카디프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464,635
18 코번트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88,758
19 티사이드 미들즈브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83,613
20 스토크온트렌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80,351
21 레딩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55,514
22 선덜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32,932
23 버컨헤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31,588
24 프레스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28,924
25 킹스턴어폰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23,634
출처: 2021년 인구조사
틀 바로가기 }}}}}}}}}


수도권 집중화가 심한 국가 중 하나로, 그레이터 런던 수도권의 규모가 2, 3위권인 그레이터맨체스터, 버밍엄 도시권의 3~4배에 달한다. 문화적으로는 더 심각해서 TV Tropes에서는 'Britain is only London'이라는 밈이 있을 정도이다. #

3.2.2. 프랑스[19]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의 주요 도시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rowcolor=#fff>
순위
이름 레지옹 인구
1
[[파리(프랑스)|
파일:파리 깃발.svg
]] 파리
[[일드프랑스|
파일:일드프랑스(프랑스 왕국) 깃발.svg
]] 일드프랑스
10,858,874명
2
[[리옹|
파일:Drapeau_de_Lyon.svg.png
]] 리옹
[[오베르뉴론알프|
파일:오베르뉴론알프 깃발.svg
]] 오베르뉴론알프
1,693,159명
3
[[마르세유|
파일:마르세유 시기.svg
]] 마르세유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파일: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깃발.svg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1,618,479명
4
[[릴(프랑스)|
파일:릴 시기.png
]]
[[오드프랑스|
파일:오드프랑스 깃발.svg
]] 오드프랑스
1,053,636명
5
[[툴루즈|
파일:옥시타니아 깃발(랑그도크).svg
]] 툴루즈
[[옥시타니아|
파일:옥시타니아 깃발(랑그도크).svg
]] 옥시타니아
1,047,829명
6
[[보르도|
파일:보르도 시기.gif
]] 보르도
[[누벨아키텐|
파일:누벨아키텐 깃발.svg
]] 누벨아키텐
994,920명
7
[[니스|
파일:니스 시기.svg
]] 니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파일: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깃발.svg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955,154명
8
[[낭트|
파일:Drapeau_de_Nantes.svg.png
]] 낭트
[[페이드라루아르|
파일:페이드라루아르 깃발.svg
]] 페이드라루아르
671,693명
9
[[툴롱|
파일:Flag_of_Toulon.png
]] 툴롱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파일: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깃발.svg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590,479명
10
[[랑스|
파일:Flag_of_Lens_(Pas-de-Calais).svg
]] 랑스
[[오드프랑스|
파일:오드프랑스 깃발.svg
]] 오드프랑스
505,589명
11
[[스트라스부르|
파일:Flag_of_Strasbourg.svg.png
]] 스트라스부르
484,217명
12
[[루앙|
파일:루앙 시기.gif
]] 루앙
[[노르망디|
파일:노르망디 기.svg
]] 노르망디
474,444명
13
[[루앙|
파일:몽펠리에 시기.svg
]] 몽펠리에
[[옥시타니아|
파일:옥시타니아 깃발(랑그도크).svg
]] 옥시타니아
465,950명
14
[[루앙|
파일:아비뇽 시기.png
]] 아비뇽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파일: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깃발.svg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459,533명
15
[[루앙|
파일:그르노블 시기.svg
]] 그르노블
[[오베르뉴론알프|
파일:오베르뉴론알프 깃발.svg
]] 오베르뉴론알프
454,759명
출처: 2020년 인구조사 }}}}}}}}}

파리로의 인구집중이 엄청나다. 유럽의 대표적인 수도권 편중국가로 한국과 비교했을 때, 수도권 집중도 자체는 한국이 더 하지만 수도와 나머지 도시의 차이는 프랑스가 더 심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은 부울경 수도권의 1/3~1/4 정도는 되지만, 프랑스는 1000만 인구가 넘어가는 세계적인 대도시 파리권을 제외하고는 1/5 수준인 200만을 넘어가는 도시권은 리옹 도시권 한 곳 뿐이다.
* 일드프랑스
* 리옹 도시권
* 마르세유 도시권
* 툴루즈 도시권
* 보르도 도시권
* 도시권

3.3. 아메리카

3.3.1. 미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순위 이름 도시권 인구
1 뉴욕- 뉴어크- 저지시티
( 뉴욕 대도시권)
뉴욕주- 뉴저지주- 펜실베이니아주 19,498,249
2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애너하임 캘리포니아주 12,799,100
3 시카고- 네이퍼빌- 엘긴 일리노이주- 인디애나주- 위스콘신주 9,262,825
4 댈러스- 포트워스- 알링턴
( 메트로플렉스)
텍사스주 8,100,037
5 휴스턴- 우드랜즈- 슈거랜드 텍사스주 7,510,253
6 애틀랜타- 샌디스프링스- 알파레타 조지아주 6,307,261
7 워싱턴- 알링턴- 알렉샌드리아
( 벨트웨이)
워싱턴 D.C.- 버지니아주- 메릴랜드주- 웨스트버지니아주 6,304,975
8 필라델피아- 캠든- 윌밍턴
( 델라웨어밸리)
펜실베이니아주- 뉴저지주- 델라웨어주- 메릴랜드주 6,246,160
9 마이애미- 포트로더데일- 웨스트팜비치 플로리다주 6,183,199
10 피닉스- 메사- 챈들러
( 밸리오브더선)
애리조나주 5,070,110
11 보스턴- 케임브리지- 뉴턴 매사추세츠주- 뉴햄프셔주 4,919,179
12 리버사이드- 샌버너디노- 온타리오
( 인랜드 엠파이어)
캘리포니아주 4,688,053
13 샌프란시스코- 오클랜드- 버클리
( 베이에리어)
캘리포니아주 4,566,961
14 디트로이트- 워렌- 디어본 미시간주 4,342,304
15 시애틀- 타코마- 벨뷰
( 퓨젯 사운드)
워싱턴주 4,044,837
16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블루밍턴
( 트윈 시티)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3,690,261
17 샌디에이고- 출라비스타- 칼스바드 캘리포니아주 3,298,634
18 탬파- 세인트피터즈버그- 클리어워터
( 탬파베이)
플로리다주 3,175,275
19 덴버- 오로라- 레이크우드
( 마일하이 시티)
콜로라도주 2,963,821
20 볼티모어- 컬럼비아- 타우슨 메릴랜드주 2,844,510
21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일리노이주 2,820,253
22 올랜도- 키시미- 샌퍼드
( 그레이터 올랜도)
플로리다주 2,673,376
23 샬럿- 콩코드- 개스토니아
( 메트로리나)
노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2,660,329
24 샌안토니오- 뉴브라운펠스 텍사스주 2,558,143
25 포틀랜드- 밴쿠버- 힐스버러 오리건주- 워싱턴주 2,558,143
26 새크라멘토- 로즈빌- 폴섬 캘리포니아주 2,397,382
27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주 2,370,930
28 오스틴- 라운드락 텍사스주 2,283,371
29 라스베이거스- 헨더슨- 파라다이스
( 라스베이거스 밸리)
네바다주 2,265,461
30 신시내티- 코빙턴
( 트라이 스테이트)
오하이오주- 켄터키주- 인디애나주 2,256,884
31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캔자스주 2,192,035
32 콜럼버스 오하이오주 2,138,926
33 인디애나폴리스- 카멀- 앤더슨 인디애나주 2,111,040
34 클리블랜드- 엘리리아
( 노스이스트 오하이오)
오하이오주 2,088,251
35 산호세- 서니베일- 산타클라라
( 실리콘밸리)
캘리포니아주 2,000,468
36 내슈빌- 데이비슨- 머프리즈버러- 프랭클린 테네시주 1,989,519
37 버지니아 비치-노퍽-뉴포트 뉴스
( 햄튼 로드)
버지니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1,799,674
38 프로비던스- 워릭 로드아일랜드주- 매사추세츠주 1,676,579
39 잭슨빌 플로리다주 1,605,848
40 밀워키- 워키쇼 위스콘신주 1,574,731
41 오클라호마 시티 오클라호마주 1,425,695
42 랄리- 캐리
( 리서치 트라이앵글)
노스캐롤라이나주 1,413,982
43 멤피스 테네시주- 미시시피주- 아칸소주 1,337,779
44 리치먼드 버지니아주 1,314,434
45 루이빌 켄터키주- 인디애나주 1,285,439
46 뉴올리언스- 메터리 루이지애나주 1,271,845
47 솔트레이크 시티 유타주 1,257,936
48 하트퍼드- 이스트하트퍼드- 미들타운 코네티컷주 1,213,531
49 버팔로- 치크토와가 뉴욕주 1,166,902
50 버밍햄- 후버 앨라배마주 1,115,289
51 로체스터 뉴욕주 1,090,135
52 그랜드래피즈- 켄트우드 미시간주 1,087,592
53 투손 애리조나주 1,043,433
54 호놀룰루 하와이주 1,016,508
55 털사 오클라호마주 1,051,331
56 프레즈노 캘리포니아주 1,008,654
57 우스터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 978,529
58 오마하- 카운슬 블러프 네브래스카주- 아이오와주 967,604
59 브리지포트- 스탬퍼드- 노웍 코네티컷주 957,419
60 그린빌- 앤더슨 사우스캐롤라이나주 928,195
61 앨버커키 뉴멕시코주 916,528
62 베이커즈필드 캘리포니아주 909,235
63 올버니- 스키넥터디- 트로이 뉴욕주 899,262
64 녹스빌 테네시주 879,773
65 맥앨런- 에딘버그- 미션 텍사스주 870,781
66 배턴루지 루이지애나주 870,569
67 엘패소 텍사스주 868,859
68 뉴헤이븐- 밀퍼드 코네티컷주 864,835
69 앨런타운- 베들레헴- 이스턴 펜실베이니아주- 뉴저지주 861,889
70 옥스너드- 사우전드오크- 벤츄라 캘리포니아주 843,843
출처: 2020년 인구조사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MSA) 기준
}}}}}}}}}
}}}

일본처럼 스프롤 현상이 극심한데다, 미국 행정구역 단위는 한국과 상당히 다른 편이다보니 도시를 지칭하는 것은 곧 행정구역이 아닌 도시권을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별하게 도시만을 지칭하는 경우는 뉴욕시(NYC)와 같은 경우가 아니면 찾기 어렵다. 미국 인구조사국, 관리예산실 등에서 사용하는 기준은 통계 구역(statistical area)로, 폭 넓게 쓰이는 통계 구역으로는 MSA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대도시 통계 구역 또는 대도시권역)이 있다. 500만 이상의 MSA로는 다음 10개 권역이 있다.
명칭 2020년 인구조사[20]
뉴욕-뉴어크-뉴저지권 1,976만명
그레이터 로스앤젤레스 1,299만명[21]
시카고 대도시권 950만명
샌프란시스코- 오클랜드- 산호세 775만명[22]
댈러스-포트워스 763만명
그레이터 휴스턴 712만명
워싱턴 D.C. 수도권 638만명
델라웨어 밸리( 필라델피아) 624만명
마이애미 대도시권 613만명
애틀랜타 대도시권 608만명

또한 이들을 여럿 묶은 CSA (Combined statistical area)는 한국 수도권보다도 넓은 수준의 광역권 기준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3.3.2. 캐나다

캐나다의 주요 도시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rowcolor=#fff> 순위 도시권 인구
1 토론토
그레이터 토론토 에어리어
온타리오 6,804,847
2 몬트리올
코뮈노테 메트로폴리텐 드 몽레알
퀘벡주 4,502,177
3 밴쿠버
메트로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 2,971,853
4 캘거리
캘거리 메트로폴리탄 리전
앨버타 1,682,509
5 오타와- 가티노
캐나다 수도권
온타리오- 퀘벡주 1,609,805
6 에드먼턴
에드먼턴 메트로폴리탄 리전
앨버타 1,563,571
7 위니펙
위니펙 메트로폴리탄 리전
매니토바 910,240
8 퀘벡시
코뮈노테 메트로폴리텐 드 케베크
퀘벡주 880,875
9 해밀턴
그레이터 해밀턴
온타리오 841,186
10 키치너-케임브리지-워털루
트라이 시티즈
온타리오 665,188
출처: 2023년 인구조사
틀 바로가기 }}}}}}}}}


대체로 미국과 비슷하다.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도시권은 아래와 같다.

3.4. 오세아니아

호주의 주요 도시권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위 도시권 인구
1 시드니
그레이터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5,450,496
2 멜버른
그레이터 멜버른
빅토리아 5,207,145
3 브리즈번
그레이터 브리즈번
퀸즐랜드 2,706,966
4 퍼스
그레이터 퍼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2,309,338
5 애들레이드
그레이터 애들레이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1,446,380
6 골드코스트-트위드헤즈 퀸즐랜드- 뉴사우스웨일스 715,653
7 뉴캐슬
그레이터 뉴캐슬
뉴사우스웨일스 518,427
8 캔버라-퀸비언
호주 수도권
호주 수도 준주- 뉴사우스웨일스 493,587
9 선샤인코스트- 누사
선샤인코스트
퀸즐랜드 398,840
10 센트럴코스트 뉴사우스웨일스 346,596
출처: 2022-23 인구조사 }}}}}}}}}

3.5. 아프리카

아래 5개의 지역들이 아프리카 최대의 도시권들이다.

4. 관련 문서



[1] 합산시 인구 75만 명. [2] 합산시 인구 70만 명 [3] 각각 여수시 - 순천시, 순천시 - 광양시의 영향력이 비교적 강하나 여수시 - 광양시은 영향력이 제한적인 편이다. 이는 지형적 영향 때문이며 이순신대교 등의 개통으로 이런 제한이 풀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율촌산단-광양항간 해저터널을 만들 예정이다. [4] 합산시 98만 7000명 [5] 수도권 광역시권을 제외하면 상호 영향력이 가장 센 도시권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천안, 아산을 포함해 당진, 홍성, 예산까지 포함하는 전통적인 개념. 지금도 이 도시들은 천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대중교통, 도로, 철도가 상당수 천안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합산시 약 160만 명 [7] 합산시 45만 4000명 [8] 합산시 231만명 [9] 합산시 76만명 [10] 합산시 92만 6000명 [11] 이를 일본에서는 DID(Densely Inhabited District)라고 부르며 뜻은 인구집중지구이다. 일본 시정촌아래에 행정동이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기본단위구를 설정한다. 기본단위구란, 1명의 인구조사원이 담당하는 50가구 정도의 지역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단위구가 연속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총인구가 5천 명이상이면서, 그 인구밀도가 4000명/km2이상인 지역을 인구집중지구라고 통칭한다. 그러나 이 조건에 미치지 못해도 공원, 항만, 공항, 기차역, 공단 등 도시적인 면모를 보이는 기본단위구도 인구집중지구로 포함시킨다. 인구집중지구는 각 시정촌에서 여러개 일 수도 있고, 하나도 없을 수도 있다. 한국으로 치면 시의 동부를 뜻한다. 일본의 행정체계가 시군이 아니라 시읍면 체제라 나온 구분. [12] 간사이 지방 3대 도시인 교토(都),  오사카(大),  고베(戸)에서 한 자씩 따와 케이한신(京阪神)이라고도 부른다. [13] 인근 허베이성까지 합쳐 징진지()대도시권이라고 한다. [14] 인근 마카오 주하이까지 합쳐 웨강아오 대만구(大湾区. Greater Bay Area)라고도 한다. [15] 현재의 다리구, 타이핑구, 탄쯔구, 다야구, 룽징구, 우르구, 다두구, 우펑구, 펑위안구, 사루구, 칭수이구, 다자구, 선강구, 우치구, 허우리구, 둥스구, 와이푸구, 신서구, 다안구, 스강구 [16] 장화현의 장화시, 허메이진, 화탄향, 위안린시, 루강진, 푸싱향, 슈수이향, 선강향, 다춘향, 푸옌향, 펀위안향, 셴시향 [17] 난터우현의 난터우시, 차오툰진 [18] 참고 자료 [19] 참고 자료. 인구 100만명 이상 도시권. [20] 출처 # [21] 출처 # [22] 출처 # [23] 다른 명칭으로 캐나다 수도권(National Capital Region)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오타와 온타리오주, 가티노 퀘벡주 소속으로, 같은 도시권을 형성하지만 행정구역은 다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