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7:28:03

대구문화방송

대구 MBC에서 넘어옴
파일:대구MBC 로고.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지역 방송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도권
서울 · 인천 · 경기
파일:MBC 로고.svg
강원권
영서 북부 영서 남부 영동
파일:춘천문화방송.svg 파일:원주MBC 로고.svg 파일:MBC강원영동.svg
충청권
대전 · 세종 · 충남 충북
파일:대전MBC 로고.svg 파일:MBC충북 로고.svg
대경권
대구 · 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파일:대구MBC 로고.svg 파일:안동MBC 로고.svg 파일:포항MBC 로고.svg
동남권
부산 울산 경남
파일:부산문화방송CI_새로움체.svg 파일:울산MBC 로고(2022).svg 파일:MBC경남 로고.svg
호남권
전북 광주 · 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파일:전주MBC 로고.svg 파일:광주MBC 로고.svg 파일:목포MBC 로고.svg 파일:여수MBC 로고.svg
제주권
제주
파일:제주MBC 로고.svg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지역 언론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color=#373a3c><colbgcolor=#008837> 신문 파일:매일신문 로고.svg 파일:영남일보 로고.svg 파일:대구일보 로고.svg 파일:대구신문 로고.svg
지상파
방송
파일:KBS대구 로고.svg 파일:대구MBC 로고.svg 파일:TBC 로고.svg
종교
방송
파일:대구CBS 로고.svg 파일:대구BBS.png 파일:대구cpbc.png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기타
방송사
파일:TBN 대구교통방송 로고(2024).svg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 파일:CMB 대구방송 로고.png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파일:external/scnfm.or.kr/logo.gif
인터넷
언론
파일:2022logo.png
}}}}}}}}} ||

대경권의 지상파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V방송 대구, 경북 남부 Ch5 TBC | Ch9 KBS1 대구 | Ch11 대구MBC
경북 북부 Ch5 TBC | Ch9 KBS1 안동 | Ch11 안동MBC
경북 동해안 Ch5 TBC | Ch9 KBS1 포항 | Ch11 포항MBC
라디오방송 대구, 경북 남부 KBS대구( 제1라디오/ 제2라디오/ 음악FM) | 대구MBC( 표준FM/ FM4U) | TBC 드림FM | EBS FM
대구CBS( 표준FM/ 음악FM) | FEBC대구극동방송 | cpbc대구가톨릭평화방송 | TBN 대구교통방송
BBS대구불교방송 | WBS대구원음방송 | 대구국악방송 | AFKN
경북 북부 KBS안동(제1라디오) | KBS대구(음악FM) | 안동MBC( 표준FM/ FM4U) | TBC 드림FM | EBS FM
대구CBS | cpbc대구가톨릭평화방송 | BBS대구불교방송
경북 동해안 KBS포항(제1라디오) | KBS대구(제2라디오/음악FM) | 포항MBC( 표준FM/ FM4U) | TBC 드림FM | EBS FM
포항CBS | FEBC포항극동방송 | cpbc대구가톨릭평화방송 | TBN 경북교통방송
BBS대구불교방송 | 경주·포항국악방송 | 국방FM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대구MBC 로고.svg 대구문화방송 주식회사
大邱文化放送
Daeg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
함께 보는 미래 희망을 전하는 방송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설립 1963년 7월 18일
개국 라디오 1963년 8월 8일
TV 1970년 7월 18일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 ( 욱수동)[1]
방송망 MBC 네트워크
호출부호 HLCT국[2]
채널번호 TV ATV: 10 '''
대구
'''|42 '''
구미
'''

DTV: 방송망 문단 참조
제1FM 96.5㎒
대구
|98.7㎒
김천
|100.3㎒
대구성서
제2FM 95.3㎒
방송
품질
화질 ATV: CCIR M( NTS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3]
DTV: ATS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UHD 2160/60p(4K))]
음향 ATV: --[4]--
DTV: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183c,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H 3D Audio)] 등
모기업 문화방송
실시간 TV FM4U 표준FM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뉴스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프로그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183c><colcolor=#fff> 대표자 <colbgcolor=#fff,#191919>황외진
업종명 방송사업 및 문화서비스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최대주주 문화방송 (지분 51%)
직원 116명 (2018년 기준)
채널 대구MBC (TV)
대구MBC 표준FM (라디오)
대구MBC FM4U (라디오)
MY MBC (DMB)
MY MBC DATA (데이터)
계열사 대구엠비씨미디컴[5] }}}}}}}}}

1. 개요2. 상세3. 사옥
3.1. 한국문화방송대구국 (1963.8.8 ~ 1975.4.29)3.2. 영남텔리비젼 MBC회관 (1970.7.18 ~ 1975.4.29)3.3. 범어동 1기 사옥 (1975.4.30 ~ 2000.11.23)3.4. 범어동 2기 사옥 (2000.11.24 ~ 2021.9.3)3.5. 욱수동 문화방송홀 (2021.8.23 ~ 현재)3.6. 연호동 (미정)
4. 지배구조
4.1. 언론통폐합 이전 지배구조
5. 역대 임원
5.1. 통합 전
5.1.1. 한국문화 대구국장5.1.2.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 사장
5.2. 통합 후
5.2.1. 회장5.2.2. 사장
6. 조직
6.1. 아나운서
6.1.1. 현직6.1.2. 전직
6.2. 기상캐스터
6.2.1. 전직
6.3. 리포터ㆍMC
6.3.1. 전직
6.4. 보도국
6.4.1. 현직6.4.2. 전직
7. 대구MBC 뉴스
7.1. KAL 858 보도
8. 연중캠페인9. 방송현황
9.1. TV 프로그램9.2. 보도 프로그램
9.2.1. TV 뉴스9.2.2. 라디오 뉴스
9.3. 종영 TV 프로그램9.4. 라디오9.5. 지역 연고팀 스포츠 중계
10. 유튜브11. 마스코트12. 대중교통
12.1. 도시철도12.2. 시내버스
13. 방송망14. 논란15. 기타1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남부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산하 TV·라디오 방송국.

1963년 8월 8일에 개국한 한국문화방송주식회사 대구국과 1970년 7월 18일에 개국한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를 시초로 하고 있다. 현재 반월당의 대구YMCA 사옥과 공평네거리 스타벅스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사이에 있는 한화생명빌딩은 모두 한때 한국문화방송 대구국이 있었던 곳이고,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는 대구백화점 본점에 있었다.

그리고 대구문화방송과 별개지만 동성로 SC제일은행 대구점 건너편 신라귀금속백화점(옛 LF 동성로점)과 대구지방법원 및 검찰청 건너편 수강빌딩( 파리바게뜨)은 과거 한국FM방송이 있었던 곳이다. 이들 건물이 한때 방송국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옥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00 ( 범어동)에 있었다. 때문에 대구MBC 사보 이름도 " 범어동 1번지"이다. 그러다가 2021년 9월 6일부터 덕원고등학교 부근 욱수동 임시 사옥을 사용하고 있다. 2024년 경부터 연호동 법조타운으로 신사옥을 이전할 예정이다.

현재 TV 채널 1개, 라디오 채널 2개를 운영중이며, 호출부호는 HLCT이다. DMB는 안동문화방송이 운영한다. 표준방송 호출 부호인 HLCT는 대구MBC가 AM 810khz의 송출을 2021년 11월 16일부로 종료하면서 반납했고 파생 부호들만 남아있다. 그러니까 HLCT국을 전부 반납한 건 아니다.

2. 상세

1963년 8월 8일 라디오 부문인 한국문화방송(주) 대구국이 개국했고, 이어서 1970년 7월 18일 영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호출부호 HLAY[6], 채널 10으로 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대구·경북 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이 되었고, 1971년 10월 1일에는 쌍용그룹으로 인수됨과 동시에 영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와 한국문화방송(주) 대구국이 통합하여 현재의 대구문화방송주식회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1980년 11월 언론통폐합으로 모기업이던 쌍용은 MBC 서울본사에 경영권을 넘기고 말았다.

같은 대경권인 경북 동해안권인 포항MBC와 경북 북부권인 안동MBC와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저녁 6시에 방송하는 뉴스대행진, MBC 볼링[7] 등 도권 지역방송을 공동 제작하는 등 무난한 관계를 이어 갔지만, 2000년대 이후 방송 권역 중첩 때문에 사이가 많이 틀어지기도 했다. 케이블의 경우 경주시(포항MBC/LG헬로비전 신라방송), 상주시(안동MBC/HCN 새로넷방송)을 제외하면 모두 대구MBC=LG헬로비전 신라방송/HCN 새로넷방송, 포항MBC=HCN 경북방송, 안동MBC=LG헬로비전 영남방송이다.

중요한 아이템은 계속 제작하고 있고, 코로나19 지역전파 사태를 가장 먼저 맞이한 곳이 대구경북이다 보니 박성제 사장의 의지로 MBC세종을 제외한 메가MBC 출범 후보 중 1순위로 꼽히고 있다. 이미 홈페이지엔 '인구 500만을 헤아리는 광범위한 대구경북 지역을 대상으로 지방 최고의 방송망을 갖춘 채널'이라는 소개가 존재한다. 이미 10년차 안팎의 직원들이 메가MBC추진단에 파견되어 의견을 수렴하고 있고, 2021년 7월 투표로 합병안이 결정될 예정이다.

다만 현재도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고용보장은 당연하지만 장기적인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사측은 구조조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라며 "지역사 구성원 40%가 50대 이상으로 10년 내 자연감소분만으로도 슬림화가 가능해지며 송출 인력 등은 콘텐츠 기획이나 IT개발, 모바일 쪽으로 업무를 전환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는데 인력난을 잠시 미루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

2021년 5월부터 TF를 꾸려 대구MBC와 포항MBC, 안동MBC가 대구MBC 쪽으로 뉴스 홈페이지를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보도국에서 인력이 워낙 없다보니 통합에 긍정적이며, 이번에 포털사이트 평가에 통과하면 3사가 본격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 이전에 2016년 경주 지진등의 대형 재난과 같은 사건 사고의 경우 대구 MBC에서도 파견하는 편이다. 서울에서도 파견이 되지만. 그런데 지역MBC의 경우 서울 MBC 본사 등과 달리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력이 전무했던 상황에서 포털사이트 입점을 위해 새롭게 인력을 충원하거나 시스템을 만든 상황이라 적지 않은 예산이 소요된 만큼 이를 어떻게 지속시켜나가느냐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부 관계자는 “홈페이지 개발, 콘텐츠 제작, 인원도 모두 투자”라면서 “만약 제휴심사에서 떨어지면 어떻게 될지도 많은 고민이 있다”고 한다. # 대구경북특별시 출범 전후로 본격적인 통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MBC에는 최장수 방송인으로 이대희와 홍문종이 있다. DJ이대희는 매일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대구MBC FM4U에서 '이대희의 FM 골든디스크'를 진행하던 DJ. 한때 배철수의 음악캠프 대구광역시에 방송되지 않은 적이 있었는데, 이 시간대에 이대희 DJ가 저녁 6시부터 8시까지 로컬 프로그램을 진행한 적이 있었다. 배캠을 릴레이하면서 골든디스크를 대구 로컬로 돌렸다.

홍문종( #)은 평일 오전 8시 30분 표준FM에서 '달구벌 만평'을 진행했다. 재일교포 출신의 전 야구선수 홍문종이나 친박신당의 대표이자 전 국회의원 홍문종과는 동명이인. "달구벌 만평"을 진행하는 홍문종은 연극배우/성우이며, 1984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이는 우연히도 야구선수 홍문종이 한국프로야구에서 뛰기 시작한 시기와 겹친다.

그러다가 2020년 2월 2일 방송을 끝으로 이대희 DJ가 하차함에 따라 현역 최장수 방송인은 홍문종만 남게 되었다.

MBC 공식 홈페이지 회사소개의 지역계열사 소개 페이지를 보면 다른 지역국들의 사옥 사진은 대부분 현재의 로고가 붙어있는 사진 혹은 사옥 건물을 찍긴 했으나 로고가 보이지 않는 사진을 흑백처리한 걸로 삽입해놓았는데, 이 곳의 사진만 2004년까지 사용했던 구 로고가 붙어있던 시절의 사옥 사진을 흑백처리하여 삽입해 놓았다.

문화방송 김재철 사장이 재임할 당시 대구문화방송 사장으로 차경호 前 기획조정 본부장이 내정되었는데, 당시 지역 출신이자 대구MBC 기자(보도국) 출신인 박영석 사장의 임기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장에 내정되어 낙하산 선임에 대한 반발이 심했다. 그에 따라 2012년 MBC 파업 당시 차경호 당시 사장의 출근 저지와 시위 등 본부 출신 사장 발령에 대해 임원들까지 나서서 강력하게 저항한 지역국 중 하나였다.

실제로 차경호 사장이 출근을 위해 탄 차가 이로 인해 사옥 진입에 실패한 적도 있었으며, 당시 19개 지역국 노조들이 전국에서부터 대구MBC에 모여 1박 2일 투쟁을 벌인 적도 있을 정도. 이를 반증하듯 TK 지역 언론사 답지 않게 굉장히 논조가 진보적이다. 2010년대 초중반 MBC 본사의 논조가 우편향적으로 기울던 때에도 대구MBC의 논조는 진보성향에 가까웠는데, 특히 국정농단 사태 당시엔 본사와 정 반대되는 스탠스를 취하며 박근혜 정부를 비판했다. MBC가 다시 진보 성향으로 돌아온 2017년 이후로도 본사보다 훨씬 논조가 왼쪽에 있다고 평가받는다.

박영석은 사장에서 물러난 후 우리문화재찾기운동본부 회장,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 대구선거대책위원장, 2014 지방선거 대구공천관리위원, 인재영입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제20대 총선 대구 달서구 갑 예비후보였으나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하지만 2012년 박영석을 대신해 취임한 차경호 사장이 취임한 지 불과 1년 후 낮술 폭행으로 구설수에 올라 2013년 11월 대구MBC 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당시 강력한 반발의 결과였는지 본부 사장이 안광한으로 바뀐 이후 있었던 구조조정 당시, 다른 지역국들이 본부 출신 인사가 사장으로 내정되고 심지어 지역 출신 인사를 사장으로 선임하는게 거의 관례에 가깝던 부산문화방송마저도 본부 출신 인사가 사장으로 내정되던 때에도 대구MBC는 광주문화방송과 함께 지역 출신 인사를 사장으로 선임한 방송사가 되었다.

현재 대구MBC 사장은 황외진 사장이다.

2015년 9월에 대구MBC 방송아카데미라는 3개월 과정의 일반인 대상 방송분야 교육프로그램을 시작할 예정. 방송연출, 방송작가, MC, 코디 등 여러 방송분야에 관하여 대구MBC 인사들로부터 직접 배울 수 있는 기회이기에 방송계에 관심이 있거나 꿈이 있는 대구 시민이라면 좋을 기회일 듯. 다만 신청을 하여도 떨어질 수 있으며, 총 수강료가 150만원으로 개인으로는 감당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 방송아카데미는 일회성이 아니라 MBC 문화센터의 프로그램의 일종으로서 9~11월, 12~2월, 3~5월, 6~8월에 기수별, 분기별로 계속 치러진다고 한다.

특이하게도 오전 4시 55분에 라디오에서 여기는 문화방송입니다가 나올 때 2010년 초까지 애국가[8]가 나오기 이전의 막간에 BGM이 흘러나왔다. 바로 Cusco의 Alkatraz 2018년 현재는 수도권에 나오는 안전캠페인이 나오지만 시간 문제 때문인지 구체적인 내용을 잘라먹어서 어색하게 들린다.

3. 사옥

3.1. 한국문화방송대구국 (1963.8.8 ~ 1975.4.29)

파일:한국문화방송대구국.jpg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남일동[9]에서 1963년 8월 8일 오전 8시에 라디오가 개국했다.

3.2. 영남텔리비젼 MBC회관 (1970.7.18 ~ 1975.4.29)

파일:영남텔레비전MBC회관.jpg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동문동 38-1[10]에서 TV 채널로 영남텔레비전이 설립되며 시작되었다. 이후 영남텔리비젼방송에서 대구문화방송으로 상호를 변경한 뒤 대구문화방송이 한국문화방송대구국을 흡수 통합하였다.

현재 대구MBC 유튜브 채널에 1970년 영남TV 개국 기념 축하쇼 영상이 올라와 있다. 1970년 YTV영남텔레비전 개국 기념 축하쇼

3.3. 범어동 1기 사옥 (1975.4.30 ~ 2000.11.23)

파일:1970년대 대구문화방송 사옥.jpg 파일:대구MBC 구사옥.jpg
위 사진은 1970년대 대구문화방송 범어동 사옥, 아랫 사진은 2000년대 1기사옥과 2기사옥이 혼재된 모습.
원래 사옥인 범어동 사옥은 1973년 11월 15일에 착공하여 1975년 4월 30일에 완공되었으며, 1999년 11월 23일에 철거되었다. 신사옥 건립 초기인 2000년 5월 31일부터 11월 말까지는 기존 사옥과 범어동 신사옥이 병립하였으나 11월 말부터는 신사옥 하나로 단일화되었다. 아랫 사진 기준 앞이 1기 사옥 뒤가 2기 사옥.

3.4. 범어동 2기 사옥 (2000.11.24 ~ 2021.9.3)

파일:dgmbc2.jpg
대구MBC 구 사옥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00 (범어동 1)
파일:dgmbc1.jpg
대구문화방송 주식회사 사옥(2019)

맨 위 사진 로고에는 레드박스가 붙어있으나, 2015년 4월부터 사옥에 붙어 있던 MBC 로고에서 레드박스가 사라졌다. 또 아래 사진의 네거리는 MBC네거리며[11], 동대구로 국채보상로가 교차하는 지점이다. 사옥 이전 후에는 '벤처밸리네거리'로 바뀌었다.

현재의 범어2동 사옥은 지하 2층, 지상 16층, 연면적 36,171.23㎡ 규모로 1996년 11월에 착공하여 2000년 11월 24일에 준공하였으며, 원래의 사옥 자리에서 동대구LPG충전소가 있는 만촌1동 방향으로 약간 뒷편으로 옮겼다. 대구MBC가 사용하는 공간은 지상 7층까지만 이용한다. 방송국 내에 단관 영화관인 시네마M이 있었고 IBK기업은행 대구MBC출장소가 있었지만 임시사옥 이전 직전인 2020년 12월에 범어동지점과 통합되었다. 2018년 12월에는 녹지공원 앞에 모델하우스가 들어서기도 했다.

시네마M은 코로나19와 사옥이전 등이 겹쳐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을 마지막 상영작으로 휴관하다가 2020년 4월부로 결국 문을 닫았다. 이로서 대구 시내의 토종 영화관은 전멸한 셈이다. 이후 제한적 상영작이 개봉할 경우 대구 시내에서는 독립영화 전용관 오오극장 해당 영화를 개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옥 앞에 휴게시설과 영화관, 갤러리 등을 조성한 대구MBC 아트센터를 지으려고 2004년부터 추진해왔다. 하지만 2005년에 서울 본사에서 재검토를 요구하여 착공이 늦어지고, 이 와중에 조감도가 변경된 적도 있는 등 추진에 모종의 난항이 있어왔다. 현재 이 아트센터를 조성하려고 했던 사옥 앞에는 주차장과 조그만 휴게 공원정도만 조성되어 있는 걸로 봐서는 이 계획이 백지화되었거나 계획이 축소되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거나 여전히 계획이 표류 중이거나 한 듯했는데, 대구MBC에서 직접 '대구MBC 앞 녹지공원'이라고 칭하고 있는 걸로 봐서는 아트센터 건립은 완전히 백지화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2024년 연호동으로 사옥을 이전하기 위해 사옥 부지를 2019년 6월에 GS리테일이 속한 하나컨소시엄에 매각했으며, 2024년에 쇼핑몰을 포함한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

이렇게 되면 범어동 사옥은 상당히 단명하는 건축물이 된다. 기업의 사옥은 완공 30년이 넘어도 리모델링과 보수를 거쳐 새 건물처럼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주거용 건물과 비교해도 25년이 채 안되는 연식의 건물이다. 2021년 9월 3일 대구MBC 뉴스데스크 방송을 끝으로 범어동에서의 송출을 마감하고 6일 대구MBC 뉴스투데이를 시작으로 범어동 사옥에서 욱수동으로 공식 이전하게 되었다. # 이로써 대구문화방송과 46년을 함께 했던 '범어동 1번지'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22년 말에 건물이 완전히 철거되었다. 이로써 범어동 2기 사옥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파일:대구문화방송 가림막1.jpg
파일:대구문화방송 가림막2.jpg
사옥에 가림막이 쳐지는 모습

해당 부지에는 758세대[12]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가 건설될 예정이며, 포스코건설이 시공한다.

3.5. 욱수동 문화방송홀[13] (2021.8.23 ~ 현재)

파일:대구MBC_욱수동.jpg
대구MBC 사옥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 (욱수동)
2020년 초 대구MBC에서 수성구 욱수길 56(욱수동 451-1) 한라스파랜드 건물이 매각되었다. 7월부터 한라스파랜드가 폐업,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중이며, 임시사옥 이후로도 문화방송홀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포항시 경상북도청 동부청사 준공 전까지 임시 청사로 사용되었던 용흥중학교 포지션.

2021년 6월부터 기술장비를 이전하는 것을 시작으로 3개월여간의 이전작업 이후 8월 23일 오전 5시부터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방송의 날인 9월 3일 보도국, 편성국 등의 이전을 완료하고 9월 6일 오전 5시부터 TV방송을 시작했다. # 방송국에서 송신소까지 송출하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반경이 직선 거리 기준 동남쪽 8.4km 부근으로 이동되었다. 창사 60주년이 되는 2023년도 이 곳에서 보내게 되었다.

60주년 행사는 수성못 상화동산에서 진행했는데 8월 8일 당일 김묘선의 FM모닝쇼, 정오의 희망곡(대구), FM 음악여행 공개방송은 정상 진행되었으나 태풍 카눈의 북상으로 9일 FM모닝쇼를 끝으로 공개방송을 조기 마감하였다. 보이는 라디오는 11일까지 정상적으로 방송되었다.

3.6. 연호동 (미정)

근처에 있는 법원, 검찰청 등의 이전에 맞춰 수성구 연호동으로의 이전을 추진 중이다. 2024년을 목표로 이전이 예정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사유로 지연되어 연호지구 새 사옥 이전은 2025년 이후 예정이다.

4.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화방송 5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금 32.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S글로벌[14] 8.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석원[15] 7.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타 0.67%

4.1. 언론통폐합 이전 지배구조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쌍용 232,712 44.3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쌍용양회공업 174,164 33.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화방송 78,751 15.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석원 25,041 4.7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원(李承源) 4,374 0.8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용해(白龍海) 4,374 0.8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정규(林正奎) 4,374 0.8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환(張錫煥) 1,210 0.23%

5. 역대 임원

5.1. 통합 전

5.1.1. 한국문화 대구국장

5.1.2.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 사장

5.2. 통합 후

5.2.1. 회장

5.2.2. 사장

6. 조직

6.1. 아나운서

6.1.1. 현직

6.1.2. 전직

6.2. 기상캐스터

뉴스투데이 날씨를 안동, 포항과 동시 송출한다. 포항은 자체 뉴스투데이 날씨를 송출했지만, 2023년 대구 수중계로 전환됐다.

6.2.1. 전직

6.3. 리포터ㆍMC

6.3.1. 전직

6.4. 보도국

6.4.1. 현직

6.4.2. 전직

7. 대구MBC 뉴스

깊이 있게 접근하다[26]

7.1. KAL 858 보도

파일:대구MBC_KAL858.png
2019년 3월경, 대구MBC 심병철 기자와 마승락 촬영기자는 미얀마 위안부 관련 취재 중 미얀마 현지인들에게 KAL 858기 관련 소식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대구 MBC는 KAL 858기 취재를 시작했다.

그 후 2020년 1월 4일경 858기 동체 촬영에 성공하였으며 JTBC의 보도가 잘못되었다고 보도하였다. 리포트 취재 비하인드 특별 페이지도 만들고 직접 기자가 올라가 서울에서 일부 보도를 리포트 하는 방식으로 전국으로 방영되었다. 다만 특별 페이지에서는 추정지점이 아닌 추락지점이라고 단정 지어 업로드하였고, 김현희가 주도자가 아닐 수 있다는 보도도 덧붙였다. #
기초적인 것을 따져보지 않고 김현희가 주도한 폭발사고라고 단정한 성급함은 지금까지 유가족이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8. 연중캠페인

연중캠페인을 정하고 있으며 방송에서 종종 들을 수 있다. 라디오 시보에서도 종종 들을 수 있었지만, 2014년 이후 라디오에서는 연중캠페인이 나오지 않는다.

9. 방송현황

9.1. TV 프로그램

9.2. 보도 프로그램

9.2.1. TV 뉴스

9.2.2. 라디오 뉴스

9.3. 종영 TV 프로그램

9.4. 라디오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대구MBC 제1FM방송(표준FM) 96.5/98.7/100.3
||
<rowcolor=#fff>
04:55 오늘의 대구문화방송
05:00 하루의 시작 정다희입니다
06:00 뉴스투데이 뉴스(6:00)
06:05 노중훈의 여행의 맛 라디오 북클럽
06:15 아침&뉴스 류수민입니다
07:00 뉴스(7:00)
07:03 잠깐만
07:05 김종배의 시선집중
07:30
08:00 김종배의 시선집중 뉴스(8:00)
08:05 차카차카
08:30 달구벌 만평
08:35 여론현장
09:00 뉴스 대구(9:00) 뉴스(9:00)(주휴)
09:05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 남성시대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
10:00 뉴스(10:00)
10:05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 남성시대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
11:00 뉴스(11:00)
11:05 안녕하세요 이문세입니다 정치인싸
12:00 정오종합뉴스 정오뉴스주휴
12:10 정오종합뉴스 대구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주휴
12:20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
13:00 뉴스(13:00)
13:05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
13:52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
14:00 뉴스(14:00)
14:05 라디오 동의보감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주휴
14:10 류강국, 조영주의 즐거운 오후 2시
15:00 뉴스 대구(15:00) 뉴스(15:00)주휴
15:03 잠깐만
15:05 류강국, 조영주의 즐거운 오후 2시 박준형, 박영진의 2시만세주휴
15:53 라디오 생활법률
16:00 뉴스(16:00)
16:05 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17:00 뉴스(17:00)
17:03 잠깐만
17:05 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18:00 뉴스 대구(18:00)
18:05 (평일 권순표) 뉴스 하이킥(주말 김치형)
19:00 저녁앤뉴스 뉴스(19:00)
19:10 (평일 권순표) 뉴스 하이킥(주말 김치형)
20:00 뉴스(20:00)
20:05 박정호의 손에 잡히는 경제 +
21:00 뉴스 대구(21:00)
21:05 정영한의 플레이볼
22:00 뉴스(22:00)
22:05 김현철의 디스크쇼
23:00 뉴스(23:00)
23:05 김현철의 디스크쇼
24:00 신혜림의 골든디스크
25:00 낭만가요
26:00
27:00 가요 1999
28:00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대구MBC 제2FM방송(FM4U) 95.3
||
<rowcolor=#fff>
03:00 음악의 발견
04:53 여기는 대구 MBC FM
05:00 K팝 투데이
06:00 세상을 여는 아침 안주희입니다
07:00 김묘선의 FM모닝쇼
09:00 오늘아침 윤상입니다
10:56 잠깐만
11:00 이석훈의 브런치카페
12:00 정오의 희망곡 이유진입니다
14:00 두시의 데이트 안영미입니다
16:00 FM 음악여행
18:00 배철수의 음악캠프
19:56 잠깐만
20:00 윤태진의 FM데이트
21:56 잠깐만
22:00 김이나의 별이 빛나는 밤에
24:00 친한친구 이현입니다 친한친구 방송반 IDOL RADIO 스포왕 고영배
02:00 FM영화음악 김세윤입니다


라디오 자체방송 시간이 전국 MBC 계열사 중에 가장 많았다. 특히 FM4U의 로컬 편성까지 주어진 14시간(김묘선의 FM모닝쇼, 대구MBC 여성시대 1, 2부, 대구MBC 별이 빛나는 밤에), 연속 9시간(이대희의 골든디스크 + 정오의 희망곡 + 즐거운 오후 2시 + FM 음악여행 + 특급작전)을 모두 자체방송으로 커버하는 유일한 방송국이였지만, 대구 여성시대와 이대희의 골든디스크가 각각 2013년 9월 1일, 2020년 2월 2일부로 종영됨에 따라 이 기록은 깨졌다. 특급작전에 이은 시인의 저녁도 60주년 기념 방송을 끝으로 종영되어서 최대 8시간(김묘선의 FM모닝쇼), 평일 정오부터 표준FM + FM4U 번갈아서 6시간 연속(정오의 희망곡 + 즐거운 오후 2시 + FM 음악여행) 방영하고 있다. 그래도 지역방송 쿼터제는 나름 준수는 하고 있었으나 주말 즐두의 종영으로 표준FM은 주말에는 쿼터제를 준수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야구 중계가 있는데, 서상국 아나운서, 이동훈 아나운서가 야구 중계를 주로 나선다.

9.5. 지역 연고팀 스포츠 중계

대구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는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라디오 중계와 K리그1에 속해있는 대구 FC의 경기도 중계 하는데,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의 경우 TBC와 달리 매일 중계하지 않고 평일 일부 홈 경기만 중계한다. 아랫 동네 롯데 자이언츠 KNN이 홈, 원정 가리지 않고 생중계하는 거랑 부산MBC가 홈 전경기 생중계하는 것과 대조되는 부분.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 원정경기도 중계한다. 제2홈구장인 포항 야구장 경기의 경우, 2017년까지는 포항MBC 라디오에서도 중계되었으나, 2018년부터는 대구MBC에서만 중계한다.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출신인 홍승규 씨가 대구MBC의 야구 해설위원을 맡고 있다. 과거에 경우에는 TV 채널을 이용하여 홈경기 위주로 로컬 중계를 하기도 했었다. 프로야구가 지상파 3사 스포츠채널에서만 중계되던 시절에는 이들이 삼성 경기를 주로 생중계했는데, 대구MBC와 TBC까지 TV로컬중계를 들어가는 휴일 낮에는 대구에서 최대 5개 TV채널(...)로 삼성 경기를 볼 수 있던 시절이 있었다.

그렇지만 지역 방송사의 한계로 제한된 시간이 넘어가면 정규방송 관계로 중계방송을 끊어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과 스포츠 케이블 채널의 대두 및 이를 통하여 KBO 리그의 전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어느 순간부터는 라디오 중계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 FC 홈경기 중계의 춘추계 주말 낮 경기의 경우 쇼! 음악중심 또는 드라마 재방송, 심지어 본사에서 하는 전국방송 KBO리그 중계도 잘라먹어 가면서까지 끝까지 생중계를 했었지만 2020년부터는 중계하지 않고 있다.

또한 매년 여름 대구에서 개최되는 FIVB 비치발리볼 월드투어 중계, 영천시에서 개최되는 대구대학교 총장기 전국 고교 검도선수권대회 중계도 담당하고 있다. TV로 중계하는 몇 안 되는 검도 중계 프로그램이라 타지의 검도 동호인들도 유튜브나 인터넷 온에어로 많이 시청한다.

이 외에도 2018년 익스 이상미( 영천시 출신, 경북대학교 졸업)가 진행하는 우리들의 축구단을 방영하였다. 2017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멀티콥터 대회인 대구 드론레이스 월드컵도 녹화 중계하였다.

지역의 다양한 경기 중계 및 특집프로그램 제작은 스포츠국 석원 기자 겸 PD[29]가 맡으며, 특히 축구/야구 중계 프로그램은 엠스플로 중계되는 경우가 많다.

10. 유튜브

11. 마스코트

파일:1627368633_신달수 포즈 01.jpg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대구MBC의 K-POP 댄스 연습생 '달수'

달수는 대구 신천 둔치에 살고 있는 수달입니다.
연예인이 되기 위해 오늘도 수성교 신천 둔치에서
열심히 댄스 연습을 하고 있답니다

특히 K-POP을 좋아해서 K-POP으로 우주 정복을 하려는 꿈을 갖고 있습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유튜브에서 K-POP 댄스 채널 '반갑수달'을 열어서
운영을 하고 있답니다.

달수는 성격이 다소 까칠하고 시크할 순 있습니다.
하지만 친해진다면 잘 놀고 끼도 부리는 개구쟁이입니다.

달수가 좋아하는 음식은 붕어빵, 붕어엑기스, 붕어싸만코입니다.
자기가 존경하는 '펭수' 와 같이 먹을 수 있다면 정말 좋아하겠죠?

오늘도 달수는 K-POP 댄스를 추며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인사합니다.
"반갑수달~!"

2020년부터 SNS에서 미는 마스코트 캐릭터. 댄스 커버 영상을 자주 올리지만, TV에서 캠페인 등으로 가끔 얼굴을 비춘다.
제4회 우리동네 캐릭터행사에서 지역부문에 참가했었다.

12. 대중교통

12.1. 도시철도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3
, 7.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2.2. 시내버스

13. 방송망

파일:대구MBC 방송 가시청권 방송구역 지도.jpg

A. 디지털 TV의 모든 물리채널에 부여된 가상채널은 11-1번이다.
B. 채널과 주파수 앞뒤에 붙는 ch.와 Mhz 등의 단위는 생략한다.
C. 송출이 예정되어 있는 채널과 주파수는 ※로 표기한다.

대구문화방송에서 송출하는 방송 전파는 대구광역시 일원, 경상북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한다.
송신소 채널ㆍ주파수 송신소 위치 출력
TV FM DMB
1FM 2FM
팔공산 17(HD)
55(UHD)
96.5 95.3 7A 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5KW
와룡산 24 100.3 - - 대구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산93-4 100W
파 동 21 - - - 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100W
서 재 48 - - - 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100W
논 공 25 - - - 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803 100W
구 지 25 - - 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100W
대 합 25 - - - 경남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31] 100W
금오산 45 - - 7A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100W
김 천 26 98.7 - -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 100W
수 륜 20 - - - 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1 100W
화 양 41 - - - 경북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1-2 100W
동 곡 17 - - - 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100W
AM 송신소는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에 있었다. 부산MBC 초읍송신소, 부산CBS 용호송신소와 함께 산에 위치한 몇 안되는 AM 송신소였으며 다산주공아파트 시내버스 종점 북쪽에 있다. AM 송신소는 이전을 정말 많이 했다. 개국 초기에는 남구 대명9동에 있었는데[32], 문제는 송신소가 위치한 곳이 하필이면 캠프 워커 비행장 활주로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어 미군 측에서 비행장애물이라고 문제 삼았던 데다가 전계강도가 낮아 대구 전역에서 수신이 곤란했다고 한다.[33]

이후 1970년대 들어 달서구 진천동으로 옮겨졌고, 1983년에 다시 달서구 월암동으로 옮겨졌다가[34], 1997년 말에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로 이전하여 방송 종료 때까지 머물렀다.

송신탑은 자립식 주 안테나 1기와[35] 지선식 트러스 예비 안테나 1기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출력은 대구 KBS 제1라디오보다 한참 낮은 20kW였다. 대구 KBS 제1라디오100kW로 송신한다. 송신소는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부기리 대구대학교 인근에 있다. 이보다 더 출력이 큰 대구 KBS 제2라디오도 있지만, 이쪽은 대구 채널인데도 AM 송신소가 포항시 영일만에 있다.

2020년 2월 1일부로 AM의 송출을 임시 중단한다는 내용을 라디오 방송과 TV 자막을 통해 수시 공지하고 있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부로 AM 방송을 완전 종료했다. 송신탑도 2022년을 기해 철거.

참고로 당시 AM 주파수는 810kHz로 2013년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송신했던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의 라디오 로시(Радио России)와 같았는데, 이 라디오 로시는 출력이 무려 500kW로 대한민국,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 청취가 가능했다.[36] 냉전 시절에는 이 방송을 차단하는 역할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7][38]

TV/FM/DMB 송신소는 팔공산에 있으며 1970년에 개소하였다.[39][40] 팔공산에 송신소가 있어서 그런지 대구권 대구 시내버스가 들어가는 지역에서는 전부 잡을 수 있다. 팔공산 기준 반경 내에 자체 방송국이 있는 안동시, 상주시, 의성군, 청송군[41], 포항시, 경주시[42]는 물론이고 합천군, 창녕군, 밀양시[43], 더 나아가 일본 쓰시마섬에서도 대구 전파가 잘 잡힌다.[44] 대구광역시 경산시에서는 잘 잡히긴 하는데, 도심 건물이라든지 조금만 구석진 곳으로 들어가면 KBS에 비해 수신 상태가 썩 깨끗하지 못한 편이었지만 표준FM의 경우 성서와 달성군 일부 지역에서는 2017년 1월 12일에 성서 와룡산에 중계소를 설치해 깨끗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개소 소식

팔공산에서 송출하는 FM 주파수의 출력은 모두 5kW로 허가되어 있다. 2013년 8월 6일에 송신소에 낙뢰가 떨어져 1시간 동안 방송이 중단된 적이 있었다. 표준FM은 2000년부터 스테레오로 전환하여 방송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권역의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DMB 안동문화방송이 주관하기 때문에 DMB를 잡으면 대구에서 보더라도 안동MBC 포항MBC의 프로그램이나 광고도 릴레이로 나온다.

14. 논란

해당 문서 참조.

15. 기타

16. 관련 문서


[1] 덕원고등학교 건너편에 위치. 전 한라스파랜드 자리로 연호동 신사옥 완공 전까지 사용하는 임시 사옥이다. 혹은 2024년 경 연호동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2] 표준방송(AM) 부호였던 HLCT는 2021년 11월 9일 표준방송의 공식적인 방송, 송출 종료와 함께 반납하면서 파생부호들만 쓰이고 있다.(-DTV, -SFM 등등..) 아날로그TV 파생부호였던 HLCT-TV는 이보다 9년 앞선 2012년 11월 6일에 방송 및 송출 종료. [3] 1980년 12월 22일부터 컬러방송 개시. [4] 위의 NTSC-M 방식 컬러방송과 달리 한참 늦은 1996년 이후부터 스테레오 방송 개시. [5] 뉴스PD, 카메라보조 등 파견근로직들 소속이기도 하다. [6] KBS경인방송센터 제1TV 호출부호가 이거다. [7] 2020년대 기준 대경권 볼링경기는 안동MBC, TBC에서만 중계한다. [8] 1993년부터 1997년까지 EBS에서 쓴 애국가를 쓰고 있다. CBS 표준FM, CBS 음악FM 방송 시작시에 나오는 애국가 바로 이것이며, 울산MBC 표준FM/FM4U 방송 시작시에 나오는 애국가도 바로 이것이며, 경기방송도 폐국될 때까지 이 애국가를 썼다. [9] 이후 대구지역 주요 극장 중 하나인 '제일극장'이 들어섰다가 건물이 철거된 후 신축 건물에 하나은행 대구동성로지점이 입주해 있다. [10] 코믹프라자 대구점 [11] 본래 이름은 '동신네거리'였다. [12] 아파트 604세대, 오피스텔 154실 [13] 혹은 욱수동 임시사옥 [14] 舊 주식회사 쌍용. 2009년 GS그룹에 매각되어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15] 쌍용그룹 회장. 2023년 사망하였다. [16] 1981년 MBC 입사. 前 사회부 기자, 국제부 기자, 경제부 기자, 정치부 기자, 대구MBC 사장, 전 마산MBC 사장, 제13대 BJC 사무총장, 코바코 사외이사, 전 ubc 울산방송 사장 등. 엄기영 본사 사장 취임 후 마산MBC(현 MBC경남) 사장으로 부임했다. 현재 한국방송기자클럽 회장. [17] 1984년 MBC 입사. 사회부 기자, 경제부 기자, 도쿄 특파원, 보도국 부국장, 보도국장, 보도본부장, MBC 신사옥추진본부장, 경제과학에디터, 사회에디터, MBC 기획조정본부장 [18] 1989년 대구MBC 입사. 사회부 기자, 정치부 기자, 경제부 기자, 대구MBC 사장. 현재 TBN 교통방송 대표이사 사장. [19] 1991년 MBC 입사, 前 사회부 기자, 국제부 기자, 경제부 기자, 정치부 기자, 도쿄 특파원, 본사 정치 전문 선임 기자, MBC C&I 사장 [20] PSB 부산방송 아나운서 [21] 제주MBC 아나운서 [22] KNN 아나운서. 남편이 전직 대구MBC 기자인 도성진이다. [23] 전주MBC 아나운서 [24] G1방송 아나운서, 윤윤선 아나운서 휴직 대체인력. [25] 2017 미스코리아 대전-충남 미 [26] 대구MBC뉴스의 슬로건. [27]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임시 휴방 중. [28] 본래 " 심인보 시선집중" 3,4부 시간대에 방송했다가, 아침 8시 35분으로 옮겼다. [29] 블로그, 인스타그램 [30] 역방향은 849-1번 [31] 행정구역상 경상남도에 속해 있지만 대합면은 대구와 인접한 생활권 [32] 현재 백금당 1호점 및 앞산크리닝세탁 자리. [33] 현재 캠프 워커는 헬리콥터도 1년에 손에 꼽을 정도로 이착륙하지만, 당시 캠프 워커는 수송기, 정찰기 등 고정익 항공기도 이착륙하였고 6.25 전쟁 시절에는 전투기도 이착륙하였다. 무엇보다 이곳은 한때 대한민국 공군도 주둔하던 곳이며, 창설 당시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공군본부가 주둔했었고, 미군이 주둔하기 시작한 1959년 이후에도 1960년부터 1986년까지 중앙항로관제소가 주둔하던 곳이다. [34] 현재 성서2차산업단지 부지 내에 있었다. [35] 마치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롯데월드타워를 연상케하는 형태였다. [36] 물론 대구광역시에서 이 방송을 수신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의 영역이었다. 물론 계획정파 시간에는 가능하다고 할수는 있겠으나 대구MBC 표준FM은 정파시간에 음악이나 톤음을 내보내는 일이 많다. 549kHz 라디오 마야크(Радио Маяк)의 경우는 대구광역시에서도 운이 좋다면 수신이 가능했다. [37] 만약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송신하던 라디오 로시가 지금도 존속하고 있었다면 AM방송 종료를 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특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필두로 한 신냉전 시대에 돌입하면서 중요도가 더 높아졌을 것이다. 2024년 5월경까지는 북한 개성에서 810번으로 대남방송을 송출하기도 하였다. [38] 그리고 549kHz 라디오 마야크(Радио Маяк)의 재밍은 1996년까지 AFN Korea의 서울 주파수가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39] 개소 당시에는 합병 이전이라 영남텔레비전 소유였다. 즉, 대명동에 있던 한국문화방송 대구국의 AM송신소와 아예 소유 주체 자체가 달랐다. [40] 이때부터 2009년 10월까지 팔공산 비로봉 출입이 금지되었다.(물론 군부대는 송신소가 들어서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 참고로 KBS 대구방송총국은 이듬해인 1971년에 송신소를 세웠으며, 한국FM방송도 당연히 팔공산에 송신소가 있었을 것이다.(자체 송신소가 있었는지 한국전기통신공사나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의 시설을 임대했는지는 불명.) [41] 안동문화방송 관할. [42] 포항문화방송 관할. [43] MBC경남 관할. 반대로 대구에서도 경남 전파가 잘 잡힌다. [44] 심지어는 경기북부 포천시에서도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잡혔다는 제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