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7:29:52

CCIR 비디오 포맷

1. 개요2. 표준
2.1. CCIR System A2.2. CCIR System B2.3. CCIR System G2.4. CCIR System I2.5. CCIR System D2.6. CCIR System K2.7. CCIR System N2.8. CCIR System M
2.8.1. System J
2.9. CCIR System L
3. 관련 문서

텔레비전 방송 방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날로그 CCIR 비디오 포맷
컬러 인코딩 방식
NTSC PAL SECAM
디지털 ATSC DMB DTMB DVB ISDB 원세그
HDR ITU-R BT.2100 표준
PQ HLG
HDR10 · HDR10+ · Dolby Vision
파일:PAL-NTSC-SECAM.svg
}}}}}}}}} ||

1. 개요

국제무선통신자문위원회(CCIR, 현 ITU-R)에서 표준화한 아날로그 흑백/컬러 텔레비전 방송 표준.

ITU standards 라고 불리기도 한다.

2. 표준

A부터 N까지 표준이 존재하나 B/G, I, D/K, N/M만 남아서 지금까지 쓰였다. A의 경우 안개가 잦은 영국에서 골머리를 앓아서(...) 1985년에 폐지되어버렸다.

2.1. CCIR System A

유럽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40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음향은 AM방식이다.

2.2. CCIR System B

6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 서유럽, 북유럽과 제3세계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은 투 캐리어(A2 스테레오)[2], NICAM 방식[3]이 있다.[4] 필드 주파수는 50Hz.

2.3. CCIR System G

System B 방식의 UHF버전이다.

2.4. CCIR System I

영국 아일랜드 등지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은 NICAM 방식을 주로 사용했다. 필드 주파수는 50Hz. System M처럼 VHF와 UHF가 통합되어 있던 게 특징으로 영국에서는 해당 방식을 UHF로만 사용했다.

2.5. CCIR System D

I.B.T.O.[5] 6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구권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으로 중국과 북한에서도 이 방식을 쓰고 있다.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에 NICAM, FM - AM 방식이 있다. 필드 주파수는 50Hz.

2.6. CCIR System K

System D방식의 UHF버전이다.

2.7. CCIR System N

625i 50Hz 주사율을 사용하면서 NTSC와 유사한 크로마 서브캐리어를 쓰는 방식. 채널대역폭은 6MHz이며, 영상대역폭은 4.2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에 FM - AM 방식[6]과 NTSC-M의 MTS/SAP 방식[7]이 병행되었다.[8] 필드 주파수는 50Hz.

2.8. CCIR System M

미국, 대만, 대한민국, 브라질 등에서 사용한 방식. 525i 해상도를 가지기에 5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역폭은 6MHz이며, 영상대역폭은 4.2MHz, 음향의 경우 변조방식은 WBFM,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은 MTS/SAP 방식이나 국내에서는 독일의 투 캐리어(A2 스테레오)를 사용했다. 호환되는 컬러 방식으로는 NTSC-M, PAL-M과 SECAM-M이 있다. 필드 주파수는 60Hz이나 NTSC에서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59.94Hz를 사용한다.

2.8.1. System J

일본에서는 이와 약간 다른 System J[9]를 사용했다. CCIR System M과의 호환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블랙 레벨에 차이가 있어서 밝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채널 주파수가 달라서[10] CCIR System M을 사용하는 국가에서 일본 내수용 TV를 사용하려면 VHF-High/UHF 송신소쪽으로 안테나를 조정하던가 외장형 수신기[11]가 필요하다. System J와 호환되는 컬러 방식으로는 NTSC-J가 있다. 음성다중방식은 자체적인 MTS 방식을 사용했다.[12]

반대로 System M 수상기를 사용하려면 TV채널을 유선방송으로 설정하고 자동채널검색을 실행하던가 6번, 7번, 13번에서 미세조정 다이얼을 돌려야 했다.

2.9. CCIR System L

프랑스에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AM 방식, 스테레오 방송 음성다중방송방식은 NICAM이다.

3. 관련 문서


[1] 개발 당시에는 Gerber Standard로 알려졌다. [2] 독일에서 개발된 음성다중 방식으로 일본과 같은(하지만 상호간의 호환성은 없는) FM - FM 방식이었으며 Zweikanalton이라고도 불렸다. CCIR System M 문단에 서술되어 있듯 한국에서도 해당 방식을 채택했었는데 원조 방식이 한쪽에 L + R신호를 다른 한쪽에는 R신호를 전송했던 것과 달리 한국형 Zweikanalton은 한쪽에 L + R신호를 다른 한쪽에는 L - R 신호를 전송했다. [3] Near Instantaneous Companded Audio Multiplex. 디지털 스테레오 방식이며 당시 CD급의 고품질 사운드를 장점으로 내세웠다. [4] NICAM 방식은 고사하고 투 캐리어 방식조차 채택하기 버거웠던 일부 저개발국은 FM - AM 파일럿 톤 방식이 음성다중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5] 과거 유럽의 방송 연합 기구로 유럽방송연맹과 통합되어 해산 [6] FM 스테레오 방송용으로 쓰는 파일럿 톤 방식. [7] Multichannel Television Sound/Secondary Audio Programming. 해당 기술을 고안한 제니스의 이름을 따 Zenith-DBX 방식이라고도 불렸다. 같은 FM - AM 방식이었던 파일럿 톤 방식과는 Zweikanalton-EIAJ MTS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세부 스펙에 차이가 있어서 상호간의 호환성은 없었다. [8] MTS/SAP 방식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에서 채택되었다. [9] ITU 에서 공식 지정한 표준 아니지만 일본에서 자체적으로 이렇게 불렀다. [10] 타 국가에서 FM방송으로 사용했던 채널 대역을 일본에서는 채널 1, 2, 3번으로 사용했으며 반대로 일본에서 FM방송용으로 사용중인 대역이 타 국가에서는 채널 4, 5, 6번으로 사용되었다. 텔레비전/종류 문서 참조. [11] VCR이나 셋톱박스 같은거. [12] 미국식 MTS와는 이름만 같고 세부 규격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FM - FM 방식이라고도 불렸다. 정식 명칭은 EIAJ M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