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방송 방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날로그 | CCIR 비디오 포맷 | |||||
컬러 인코딩 방식 | |||||||
NTSC | PAL | SECAM | |||||
디지털 | ATSC | DMB | DTMB | DVB | ISDB | 원세그 | |
HDR | ITU-R BT.2100 표준 | ||||||
PQ | HLG | ||||||
HDR10 · HDR10+ · Dolby Vision | |||||||
1. 개요
국제무선통신자문위원회(CCIR, 현 ITU-R)에서 표준화한 아날로그 흑백/컬러 텔레비전 방송 표준.ITU standards 라고 불리기도 한다.
2. 표준
A부터 N까지 표준이 존재하나 B/G, I, D/K, N/M만 남아서 지금까지 쓰였다. A의 경우 안개가 잦은 영국에서 골머리를 앓아서(...) 1985년에 폐지되어버렸다.2.1. CCIR System A
유럽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40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음향은 AM방식이다.2.2. CCIR System B
6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 서유럽, 북유럽과 제3세계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은 투 캐리어(A2 스테레오)[2], NICAM 방식[3]이 있다.[4] 필드 주파수는 50Hz.2.3. CCIR System G
System B 방식의 UHF버전이다.2.4. CCIR System I
영국과 아일랜드 등지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은 NICAM 방식을 주로 사용했다. 필드 주파수는 50Hz. System M처럼 VHF와 UHF가 통합되어 있던 게 특징으로 영국에서는 해당 방식을 UHF로만 사용했다.2.5. CCIR System D
I.B.T.O.[5] 6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구권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으로 중국과 북한에서도 이 방식을 쓰고 있다.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에 NICAM, FM - AM 방식이 있다. 필드 주파수는 50Hz.2.6. CCIR System K
System D방식의 UHF버전이다.2.7. CCIR System N
625i 50Hz 주사율을 사용하면서 NTSC와 유사한 크로마 서브캐리어를 쓰는 방식. 채널대역폭은 6MHz이며, 영상대역폭은 4.2MHz, 음향은 변조에 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에 FM - AM 방식[6]과 NTSC-M의 MTS/SAP 방식[7]이 병행되었다.[8] 필드 주파수는 50Hz.2.8. CCIR System M
미국, 대만, 대한민국, 브라질 등에서 사용한 방식. 525i 해상도를 가지기에 525라인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역폭은 6MHz이며, 영상대역폭은 4.2MHz, 음향의 경우 변조방식은 WBFM,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은 MTS/SAP 방식이나 국내에서는 독일의 투 캐리어(A2 스테레오)를 사용했다. 호환되는 컬러 방식으로는 NTSC-M, PAL-M과 SECAM-M이 있다. 필드 주파수는 60Hz이나 NTSC에서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59.94Hz를 사용한다.2.8.1. System J
일본에서는 이와 약간 다른 System J[9]를 사용했다. CCIR System M과의 호환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블랙 레벨에 차이가 있어서 밝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채널 주파수가 달라서[10] CCIR System M을 사용하는 국가에서 일본 내수용 TV를 사용하려면 VHF-High/UHF 송신소쪽으로 안테나를 조정하던가 외장형 수신기[11]가 필요하다. System J와 호환되는 컬러 방식으로는 NTSC-J가 있다. 음성다중방식은 자체적인 MTS 방식을 사용했다.[12]반대로 System M 수상기를 사용하려면 TV채널을 유선방송으로 설정하고 자동채널검색을 실행하던가 6번, 7번, 13번에서 미세조정 다이얼을 돌려야 했다.
2.9. CCIR System L
프랑스에서 사용하던 방식. 채널 대역폭은 8MHz, 영상 대역폭은 6MHz, 음향은 변조에 AM 방식, 스테레오 방송 및 음성다중방송방식은 NICAM이다.3. 관련 문서
[1]
개발 당시에는 Gerber Standard로 알려졌다.
[2]
독일에서 개발된 음성다중 방식으로 일본과 같은(하지만 상호간의 호환성은 없는) FM - FM 방식이었으며 Zweikanalton이라고도 불렸다. CCIR System M 문단에 서술되어 있듯 한국에서도 해당 방식을 채택했었는데 원조 방식이 한쪽에 L + R신호를 다른 한쪽에는 R신호를 전송했던 것과 달리 한국형 Zweikanalton은 한쪽에 L + R신호를 다른 한쪽에는 L - R 신호를 전송했다.
[3]
Near Instantaneous Companded Audio Multiplex. 디지털 스테레오 방식이며 당시 CD급의 고품질 사운드를 장점으로 내세웠다.
[4]
NICAM 방식은 고사하고 투 캐리어 방식조차 채택하기 버거웠던 일부 저개발국은 FM - AM 파일럿 톤 방식이 음성다중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5]
과거 유럽의 방송 연합 기구로
유럽방송연맹과 통합되어 해산
[6]
FM 스테레오 방송용으로 쓰는 파일럿 톤 방식.
[7]
Multichannel Television Sound/Secondary Audio Programming. 해당 기술을 고안한 제니스의 이름을 따 Zenith-DBX 방식이라고도 불렸다. 같은 FM - AM 방식이었던 파일럿 톤 방식과는 Zweikanalton-EIAJ MTS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세부 스펙에 차이가 있어서 상호간의 호환성은 없었다.
[8]
MTS/SAP 방식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에서 채택되었다.
[9]
ITU 에서 공식 지정한 표준 아니지만 일본에서 자체적으로 이렇게 불렀다.
[10]
타 국가에서 FM방송으로 사용했던 채널 대역을 일본에서는 채널 1, 2, 3번으로 사용했으며 반대로 일본에서 FM방송용으로 사용중인 대역이 타 국가에서는 채널 4, 5, 6번으로 사용되었다.
텔레비전/종류 문서 참조.
[11]
VCR이나 셋톱박스 같은거.
[12]
미국식 MTS와는 이름만 같고 세부 규격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FM - FM 방식이라고도 불렸다. 정식 명칭은 EIAJ M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