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08:53:48

강석주(1939)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6b53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d6b53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박헌영 남일 박성철
<rowcolor=#0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박성철 허담
<rowcolor=#0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김영남 백남순 백남순
강석주 직무대행
<rowcolor=#000>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박의춘 리수용 리용호
<rowcolor=#000> 제21대 제22대
리선권 최선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前 조선로동당 국제비서 겸 국제부장
강석주
姜錫柱 | Kang Sok Ju
파일:강석주.jpg
<colbgcolor=#d6b534><colcolor=#FFF> 출생 1939년 8월 29일
평안남도 평원군
사망 2016년 5월 20일 (향년 76세)
평양시
학력 김일성종합대학
베이징대학 외국어학부 영어과
최종 당적


1. 개요2. 생애3. 경력4. 장의위원회 구성5. 수훈6. 여담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전직 외교관 및 정치인.

2. 생애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1939년 8월 29일에 가난한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평양외국어대학에서 영어 전공을, 국제관계대학에서 불어를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북한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평범한 도로교량설계원으로 일하다가 재능을 인정받고 김일성종합대학에 스카웃되었다고 한다. 북한에서 공개한 바에 따르면 외국 유학도 다녀왔다고 하는데 어느 나라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강석주 회고에 따르면 베이징대학 외국어학부 영어과 유학을 다녀왔으며 이때 동창이 외교부장을 지내는 리자오싱이었다. 리자오싱이 불 끄는게 귀찮아서 기숙사 전등줄에 발을 연결해서 자곤 했는데, 뒤척이다가 불을 켜곤 해서 강석주가 엄청 짜증냈다고 한다. 대학졸업 후 외무성 지도원으로 배치되었다가 1969년에 중앙위원회 국제부 지도원으로 옮겼다. 이후 국제부 유럽담당 과장을 거쳐 1984년 1월 정무원 외교부 부부장에 임명되었으며 1986년 11월, 8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전임 제1부상 김충일이 김정일 서기실로 영입됨에 따라 1987년 4월, 정무원 외교부 제1부부장으로 승진했으며 1987년 10월,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보선(공식 략력), 1988년 3월, 조선로동당 6기 13중전회에서 보선이 추인되었다. 1990년 4월, 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5월 24일에 열린 최고인민회의 9기 1차 회의에서 외교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91년 5월, 허담 장의위원을 지냈다. 탈냉전기의 혼란 와중에 대남 외교를 주장하는 최우진에 맞서 국제비서 김용순과 함께 북미 직접 대화론을 주장하였다. 이후 북미대화의 주도권을 놓고 김용순과 경쟁하였으며, 김정일은 북한과의 직접 대화는 김용순에게, IAEA를 비롯한 국제기구와의 협상은 강석주에게 분담시켰다. 1991년 12월 조선로동당 6기 19중전회에 중앙위원회 위원에 보선되었으며 1992년 4월 1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김일성 팔순기념 김일성훈장을 수훈받았다.

1992년 1월, 김용순이 미국을 방문하고 국무차관 아놀드 켄터와 차관급 회담을 가졌지만, 김용순의 파격적인 북미 수교 제안에 미국은 응답하지 않았다. 이에 실망한 김정일은 강석주를 더욱 중용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미숙한 보고서를 제출하여 1차 북핵위기를 일으켰다고 크게 불만을 가졌다. 그러던 중 1992년 9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AEA 정기이사회에 북측 대표단장으로 참석한 오창림 참사가 김정일이 남조선 대표단과 접촉하지 말라고 친필 문건으로 지시했음에도 제때 훈령을 받지 못해 한국 대표단과 접촉하여 식사를 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김정일은 강석주에게 너 혼자 다 해먹으라고 폭언을 퍼붓고 전화기를 집어던졌고, 외무성의 보고 수신을 거부하였다. 김동수 박사 증언에 따르면 김정일이 아예 외교부를 폭파시키라고 길길이 날뛰었고, 이후 국제부 부부장 권민준이 이끄는 조직지도부와 국제부 검열 그루빠가 들이닥쳐 외무성을 개박살을 내놨고, 강석주는 직무정지 처분을 당했다. 강석주와 김영남 모조리 다 주석단에 끌려나와 엉엉 울면서 조리돌림당하고 자아비판당했고 김영남은 용서받았다. 강석주에게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던 김용순은 강석주를 강력하게 비판했지만, 김정일은 강석주를 완전히 숙청할 생각이 없었으므로 그에게 외교부 소속 농장 혁명화 처분을 내려 돼지우리에서 똥을 치우는 일을 한달 정도 시키고 다시 복귀시켰다.[1] 이때 최수헌 부부장도 아오지 탄광 가서 구르고 왔다고 한다.

1993년 6월, 북핵 문제가 불거지자 북한 외교의 실질적 설계자 역할을 담당하며, 북미 고위급 회담의 북측 대표로 출석하였으며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당시 강석주의 협상 상대는 미 국무부 북핵특사 로버트 갈루치로 이 둘은 이후 오랜 기간 북미협상의 최전선에서 계속 만나게 된다. 강석주의 외교감각은 태영호의 책에서 자주 언급되기도 하였다. 1994년 7월, 김일성,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8년 7월,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김일성 헌법이 도입되자 내각 외무성 제1부상으로 유임되어 2010년 9월까지 재임하면서 북한 외교 실무진의 최고 실세로 군림하였다.

2001년 1월, 김정일의 상하이 순방, 2001년 8월, 북러 정상회담, 2001년 9월, 북중 정상회담, 2002년 8월, 김정일의 연해주 순방, 2002년 9월, 1차 북일정상회담 등에 배석하면서 김정일의 최측근 외교 전문가로 계속 활동했다. 그러던 중 2002년 10월 4일, 북한을 방문한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제임스 켈링와 회담을 가졌는데, 대단히 오만한 말투로 켈리를 맞이하며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 계획을 가지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으며, 그보다 더 강력한 무기도 만들게 되어 있다고 폭탄발언을 하였다. 배석했던 켈리 차관보가 당황하여 "방금 말한 것에 대해 우리가 오해하면 안된다. 지금 발언을 한번 더 되풀이해달라."라고 요청하자, "부시 정권이 이처럼 우리들에 대해 적대시 정책을 취하는 이상 우리가 HEU(고농축 유라늄) 계획을 추진한다 해서 무엇이 나쁜가. 그것은 미국의 적대시 정책에 대한 억지력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대답했다. 켈리가 북한은 우라늄 고농축을 북미관계가 좋았던 2000년부터 했다고 반박했으나 강석주는 묵살하고 기본 합의는 미국의 부정행위에 의해 무효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북한의 주권 인정, 북한에 대한 불가침 보장, 북한에 대한 금수 해제 및 북일 경협, 남북 경협 방해 금지, 경수로 건설 지연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다. 이에 미국측이 자리를 박차고 나가버리면서 제네바 체제는 붕괴되고 2차 북핵위기가 시작되었다.[2]

하지만 계속해서 북한 외교의 선봉장으로 활약, 2003년 8월, 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다. 2004년 4월, 김정일의 중국 순방, 2004년 5월, 2차 북일정상회담 등에 계속 배석하였다. 2007년 백남순 외무상이 사망한 이후 김정일은 김영일(1944) 내각의 새 외무상으로 강석주를 임명하려 했으나 강석주의 건강이 좋지 않아 결국 외무성 제1부상으로 남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2009년 3월, 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으며 2010년 9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내각 부총리에 임명되면서 김계관에게 외무성 제1부상 자리를 넘겨주었는데, 태영호의 증언에 따르면, 이는 조직지도부 부부장 리제강이 파견한 외무성 당비서 안광태와의 갈등 때문이었다고 한다.

2010년 9월 29일,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어 7차 당대회가 열리던 2016년 5월까지 재임했다. 2010년 11월, 조명록 장의위원, 2011년 1월, 박정순 장의위원, 2011년 12월, 김정일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2012년 2월 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2193호에 따라 김정일훈장의 1차 수훈자로 선정되었다. 2013년 12월, 김국태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4년 3월, 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으며 2014년 4월 8일 정치국 회의에서 김영일의 뒤를 이어 국제부장 겸 국제비서에 임명되면서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13기 1차 회의에서 내각 부총리에선 물러났다. 2014년 7월, 전병호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2015년 6월, 조선로동당 대표단장으로 쿠바를 방문, 라울 카스트로를 만났다. 암의 영향으로 이때 살이 쏙 빠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파일:강석주와 라울 카스트로.jpg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 2015년 12월, 김양건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6년 5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7차 당대회에서는 위독한 상태임을 감안했는지 정치국에선 탈락했으나 예우상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이후 7차 당대회가 끝난지 겨우 10여일 만인 2016년 5월 20일 오후 4시 10분에 식도암과 이에 따른 급성호흡부전으로 사망했다. 로동신문은 이를 발표하며 사망 소식을 대대적으로 알리나 김양건 전 통전부장의 장례식과는 다르게 김정은은 불참하고 대신 최룡해가 주최하였다. 당중앙위원회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연명으로 부고를 발표, "강석주동지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와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충직한 혁명전사,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견실한 혁명동지이며 주체혁명위업의 종국적승리를 위하여 헌신적으로 투쟁하여온 우리 당과 인민의 훌륭한 아들이다. (...) 강석주동지는 위대한 주체사상,선군사상으로 튼튼히 무장하고 생명의 마지막순간까지 당의 위업에 무한히 충실하였다. 강석주동지는 당과 혁명에 대한 끝없는 충실성과 조국과 인민에 대한 헌신적복무정신,확고한 혁명적원칙성과 겸손한 품성으로 하여 우리 당원들과 인민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라고 아주 후하게 칭송하였다. 따로 발표된 략력에서도 "강석주동지는 당과 수령에 대한 백옥같은 충정을 지니고 생명의 마지막순간까지 당의 령도에 무한히 충실하였다. 강석주동지는 비록 서거하였으나 우리 당과 혁명,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바친 그의 투쟁공적은 길이 남아있을것이다."라고 그를 기렸다.

장의식 거행 이후 시신은 애국렬사릉에 당중앙위원회 비서 직함으로 안장되었다.

3. 경력

임기시작 임기종료 비고
정무원 외교부 제1부부장
1987년 4월? 1998년 9월 5일 직함 개편
내각 외무성 제1부상
1998년 9월 5일 2010년 9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해임
내각 부총리
2010년 9월 23일 2014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최고인민회의 13기 1차 회의에서 조동
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위원
2010년 9월 28일 2016년 5월 9일 3차 당대표자회에서 선출
7차 당대회에서 은퇴
조선로동당 국제부장
2014년 4월 8일 2016년 5월 9일 2014년 4월 8일 정치국 회의에서 임명
7차 당대회에서 은퇴
조선로동당 6기 국제비서
2014년 4월 8일 2016년 5월 9일 2014년 4월 8일 정치국 회의에서 임명
7차 당대회에서 은퇴

4. 장의위원회 구성

5. 수훈

6. 여담



[1] 한편 오창림은 평성시로 추방당했으나, 고난의 행군 시기 장사를 하면서 그런대로 먹고 살면서 생각보단 잘 지냈다고 한다. [2] 여기에 대해 태영호는 켈리가 북한이 HEU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물을 제시하면서 압박하자 강석주가 미국이 여기에 협상이 아니라 압박을 하러 온 것 같다고 비난하면서 미국이 조선을 이렇게 압박하면 우리는 핵무기보다 더한 것도 가질 수 있다고 했고, 이를 켈리가 강석주가 부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